KR20050026521A - 가변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편성기 - Google Patents
가변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편성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6521A KR20050026521A KR1020057001456A KR20057001456A KR20050026521A KR 20050026521 A KR20050026521 A KR 20050026521A KR 1020057001456 A KR1020057001456 A KR 1020057001456A KR 20057001456 A KR20057001456 A KR 20057001456A KR 20050026521 A KR20050026521 A KR 20050026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butt
- variable
- stitch
- need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stitch-length regul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04B7/045—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동일한 위상에 큰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61, 161, 261)과 수용캠면(63, 163, 305)을 형성하는 제1캠(50, 150, 250)과, 공통 인하 캠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89, 189, 289)과 동일한 위상에 수용캠면(95, 195, 331)을 형성하는 제2캠(80, 180, 280)을 포함하는 스티치캠과, 상기 제1캠과 제2캠의 각각의 구동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캠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제2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고 또한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캠이 전후 방향으로 상대변위하여 제1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하여 제2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제2캠을 제1캠에 지지시켜 동일한 코스에 있어서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동일한 편성 코스(knitting course)에 있어서 대소(大小)의 크기가 다른 스티치(stitch)를 형성할 수 있는 편성기(編成機), 특히 형성되는 대소 스티치 크기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도 조정 기구(variable rate changing mechanism)를 구비하는 편성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버트(butt)에 관하여, 프레셔(presser)에 의한 가압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를 풀(full) 높이, 가변도 조정 프레셔에 의하여 가압되어 대략 반 정도 가라앉은 상태를 하프(half) 높이, 풀 높이의 프레셔에 의한 가압을 받고 있는 상태를 제로(zero) 높이라고 한다. 캠(cam)이나 프레셔에 관하여 니들베드(needle bed)에 접근할수록 캠 표면의 높이를 높다고 하고, 풀 높이의 캠은 하프 높이 및 풀 높이의 버트의 양방(兩方)과 결합할 수 있고, 하프 높이의 캠은 풀 높이의 버트와만 결합할 수 있다. 제로 높이의 캠면은 풀 높이의 버트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를 말한다. 또한 캐리지(carriage)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前方側)을 선행(先行), 후방측(後方側)을 후행(後行)이라고 한다. 또한 바늘의 진퇴 방향에 관해서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스티치캠(stitch cam)의 각 부를 나타낼 때에 캠의 전방부는 니들베드 갭과 가까운 쪽, 후방측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먼 쪽을 나타낸다. 또한 상하 방향의 높이는, 도면(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캐리지의 1회의 트래버스(traverse)로 형성되는 코스 내에 크기가 다른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세컨드 스티치캠(second stitch cam)라고 불리는 스티치캠을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다. 이 스티치캠은, 프레셔(presser)의 가압을 받지 않아 풀 높이를 유지하는 버트(이하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과, 하프 높이의 가변도 조정 프레셔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프 높이가 된 버트(이하 하프 높이의 버트)에 대해서만 결합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을 구비한다. 하프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은,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풀 높이의 버트의 바늘로 형성되는 스티치는,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로 형성되는 스티치에 비하여 캠면의 단차(段差)만큼 더 삽입되기 때문에 사이즈(size)가 커진다.
그런데 편성 속도에 비례하여 바늘을 삽입할 때에 발생하는 관성력(慣性力)이 커지기 때문에 버트가 스티치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을 초과하여 더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예정된 사이즈의 스티치를 얻을 수 없게 하여 편성포의 편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버트의 삽입량을 일정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풀 높이의 버트의 바늘로 형성된 스티치와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로 형성된 스티치를 서로 판별할 수 없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티치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60499호 공보(유럽특허명세서 제0698679호)에 기재한 스티치캠을 앞서 제안하였다. 이 공보에 기재한 스티치캠으로는,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과 풀 높이의 버트의 바늘의 쌍방(雙方)의 버트를 끌어내리는 공통 인하 캠면(共通 引下 cam面)의 후행측에, 하프 높이의 버트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선행측으로 하고 풀 높이의 버트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그 후행측으로 위상(位相)을 시프트(shift)시켜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에 버트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수용캠(受容cam)을 대응시켜 형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스티치캠을 사용하면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한 스티치캠은, 단일 캠 상에 하프 높이와 풀 높이의 각 버트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이들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응하는 수용캠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가변도 결정 캠면의 단차량은 항상 일정하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풀 높이의 버트와 하프 높이의 버트의 가변도 결정 캠면의 단차량을 가변(可變)시켜 형성하고 또한 스티치 사이즈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타입의 세컨드 스티치캠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횡편기로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株式會社島精機製作所) 제품인 컴퓨터 횡편기(제품명 : SET-092FF, SIK-102KI 등)가 있다. 이들 횡편기에서는, 풀 높이와 하프 높이 각각의 버트에 작용할 수 있는 스티치캠 상에 풀 높이의 버트의 가변도 결정 캠면을 구비하는 가동캠(可動 cam)을 슬라이딩(sliding) 할 수 있도록 축(軸)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수동식 조정 다이얼(手動式 調整 dial)을 캐리지의 외측(外側)에 설치하고, 이 조정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동캠의 슬라이딩 자세를 변위시켜 가변도 조정의 단차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횡편기에서는 가변도 결정 캠면의 단차량의 조정은 가능하지만, 스티치캠에는 버트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수용캠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변도 결정 캠면을 초과하여 버트가 과잉으로 삽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동캠과 스티치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의 단차량의 조정은, 가동캠의 슬라이딩 변위에 의하여 실현되기 때문에 가동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은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그 캠면의 방향이 스티치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각도를 이루게 된다. 각 가변도 결정 캠면의 방향은 단차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것이 스티치의 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슬라이딩 변위에 의하여 단차량을 조정하는 타입의 가변도 조정 캠에서 이 문제는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변도 결정 캠면 사이의 단차량이 가변이고 또한 각 버트의 바늘이 가변도 결정 캠면을 초과하여 과잉으로 인하되지 않는 가변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편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캐리지의 캠록을 하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니들베드에 형성한 니들홈에 장착된 상태의 바늘, 잭, 실렉트잭, 실렉터의 측면도이다.
도3은 스티치캠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량을 크게 설정한 상태, 도3B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를 제로로 설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4는 가변도 조정용 스티치캠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화살표 방향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실시예2에 관한 스티치캠을 나타내고, 도6A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량을 크게 설정한 상태, 도6B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를 제로로 설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7은 실시예3에 관한 스티치캠을 나타내고, 도7A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량을 크게 설정한 상태, 도7B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를 제로로 설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8은 실시예3에 관한 스티치캠의 제1캠과 제2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화살표 방향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캐리지(carriage)에 설치한 프레셔(presser)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니들베드(needle bed)로부터 돌출하는 버트(butt)의 높이를 풀(full) 높이와 하프(half) 높이의 서로 다른 높이로 한 바늘의 진퇴조작용(進退操作用)으로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트와 결합하여, 작은 사이즈(size)의 스티치(stitch) 형성용의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과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풀 높이의 버트의 바늘의 쌍방(雙方)의 버트를 끌어내리는 공통 인하 캠면(共通 引下 cam面)과, 그 공통 인하 캠면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stitch用 可變度 決定 cam面)과, 상기 가변도 결정 캠면보다 후행측(後行側)에 형성되는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큰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버트가 대응하는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초과하여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수용캠(受容cam)을 형성하여 동일한 코스(course)에 있어서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가변도 조정용 스티치캠을 구비한 편성기에 있어서,
큰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상기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位相)에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의 버트와 결합하는 수용캠면을 형성하는 제1캠과,
공통 인하 캠면과, 이것에 이어지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그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에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캠면을 형성하는 제2캠을 포함하는 스티치캠(stitch cam)과,
상기 제1캠을 전후(前後) 방향으로 구동(驅動)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2캠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캠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제2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고 또한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캠이 전후 방향으로 상대변위(相對變位)하여 제1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하여 제2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제2캠을 제1캠에 지지시킨다.
또한 제1캠에 피벗(pivot) 지지되고 일단(一端)을 구동측(驅動側), 타단(他端)을 제2캠과 연결한 링크(link)가 제2캠의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제2캠이 구동되어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한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제2캠의 구동수단과 링크와의 사이에는,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前後)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가이드캠(驅動 guide cam)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 가이드캠에는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링크의 구동측이 상기 구동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캠면은, 제1캠 및 제2캠의 전방부(前方部)에서 각각의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位相)에 형성되고, 이들 수용캠에 결합할 수 있으며 버트 사이의 거리가 각 가변도 결정 캠면과 수용캠 사이의 간격과 같아지도록 형성된 또 하나의 버트가 바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캠면은, 제1캠 및 제2캠의 후방부(後方部)에서 버트의 통과영역을 사이에 두고 가변도 결정 캠면과 대치(對峙)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캠을 적어도 제1캠과 제2캠의 2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캠에는, 대소(大小) 각각의 사이즈의 스티치용 공통 인하캠과 이것에 이어지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 및 이것에 대응하는 수용캠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캠에는, 큰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이것에 대응하는 수용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캠과 제2캠은, 각각의 구동용으로 설치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캠은 제1캠에 지지된 상태로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캠이 구동되면 제2캠도 제1캠과 동일한 양만큼 전후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제2캠에는 제2캠만을 전후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캠에 지지되어 있는 제2캠을 제1캠에 대하여 변위시켜 제2캠에 형성한 가변도 결정 캠면을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하여 변위시켜 그 단차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캠의 구동수단을 소정의 양만큼 구동하여 제1캠과 제2캠과의 사이에 소정의 단차량이 설정되면, 그 단차량을 유지시킨 채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즉 큰 사이즈의 스티치와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의 사이즈의 비율은 이 단차량으로 결정된다.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 가변도 결정 캠을 편성포의 편성에 대한 기준으로 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 이에 대하여 작은 사이즈의 형성용 가변도 결정 캠에서는 이 단차량만큼 스티치가 촘촘하게 된다. 제1캠의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제2캠도 함께 구동되기 때문에 제1캠이 편성포의 편성 중에 소정의 코스에 있어서 임의로 구동되더라도 동시에 동일한 양만큼 제2캠도 구동되므로 제1캠과 제2캠과의 사이에 설정된 단차량은 일정하여 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용캠면을 제1캠 및 제2캠의 전방부에 형성한 것에서는, 바늘의 진퇴조작용으로 형성한 제1버트와 제2버트 중 후방에 형성한 제2버트가 가변도 결정 캠면까지 삽입되어 스티치가 형성될 때에 전방에 있는 제1버트가 수용캠면과 결합하기 때문에 제2버트가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캠면을 제1캠 및 제2캠의 후방부에서 버트의 통과영역을 사이에 두고 가변도 결정 캠면과 대치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동일한 버트에 대하여 인하캠과 가변도 결정 캠 및 수용캠을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의 진퇴조작용으로서 단일 버트만을 가지고 있는 바늘의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변도 조정 기구(variable rate changing mechanism)를 구비하는 편성기에 대해서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캐리지(carriage)1의 캠록(cam lock)3을 하면(下面)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2는 니들베드(needle bed)(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형성한 니들홈(needle groove)에 장착된 상태의 바늘5, 잭(jack)7, 실렉트잭(select jack)9, 실렉터(selector)1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바늘5는 미부(尾部)가 잭7과 일체화(一體化)되어 있어, 그 진퇴조작은, 잭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제1버트(butt)13, 제2버트15가 캠록3에 형성된 캠(cam)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잭7의 후부(後部)에 형성되는 탄성다리부(彈性脚部)8은, 실렉트잭9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제2버트15와 함께 실렉트잭9의 버트17을 니들홈 밖으로 돌출시킨다. 실렉트잭9는, 그 상위(上位)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 와이어(wire)(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상한(上限) 위치가 제한되어 있다. 캐리지에 설치한 프레셔(presser)에 의하여 실렉트잭9의 버트17이 가압되면, 그 하위(下位)에 있는 잭7도 가압작용을 받아 잭7의 제2버트15는 니들홈 안으로 가라앉는다. 또한 바늘5와의 연결부 근방에 형성된 제1버트13은, 프레셔의 가압작용과 관계없이 항상 니들홈 밖으로 돌출한 위치를 유지한다.
캠록3은 중심선X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중앙에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21이 설치된다. 니들 레이징캠21과 제2버트15의 통로23을 사이에 두고 스티치캠(stitch cam)25a, 25b는 설치된다. 스티치캠25a, 25b는, 각각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니들 레이징캠21의 경사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7은 니들 레이징캠21의 내측(內側)에 설치되는 트랜스퍼 수용캠(transfer 受容cam)이다. 브리지캠(bridge cam)29의 전방에는 제1버트13의 통로31을 사이에 두고 트랜스퍼캠(transfer cam)이 설치되어 있다. 33은 트랜스퍼 출몰캠(transfer 出沒 cam), 35는 트랜스퍼 가이드캠(transfer guide cam)을 나타낸다. 니들 레이징캠21의 후방에는 실렉트잭9의 버트17을 가압하는 프레셔 기구(presser 機構)14가 설치되어 있다. 실렉트잭은 실렉트 니들 수단(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실렉터11이 진퇴조작됨으로써 A, H, B의 세 위치에 세트(set) 가능하다. A위치에 가변도 조정 프레셔39a, 39b가 설치된다. 이 가변도 조정 프레셔39a, 39b는 A위치에 있는 실렉트잭9의 버트17을 반 정도 가라앉혀 하프(half) 높이로 한다. B위치에는 웰트 프레셔(welt presser)41이 설치되어 있어, 실렉트잭9의 버트17을 깊게 가라앉혀 제2버트15와 캠과의 결합을 끊는다. H위치에는 프레셔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후술하는 70은 링크(link)로서, 선단(先端)이 스티치캠의 제2캠과 연결되어 있다. 링크의 타단(他端)에는 롤러(roller)73이 설치되어 있고, 이 롤러가 캐리지 내부에 설치된 스텝 모터(step motor) 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구동되는 구동 가이드캠(驅動 guide cam)22a, 22b에 형성되고 또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슬릿홈(slit groove)에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도3∼도5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변도 조정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스티치캠25a, 25b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일방의 25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티치캠25b는 제1캠50, 제2캠80 및 링크70으로 구성된다. 제1캠에는 풀(full) 높이의 버트15와 결합하여 하프 높이의 버트15의 바늘보다 큰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6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캠에는 하프 높이의 버트15와 결합하는 가변도 결정 캠면89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제1캠50의 하위의 캠 플레이트(cam plate)4에는 브리지캠29의 경사면과 평행한 슬릿홈이 뚫려서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홈 내를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블록(支持 block)이 캐리지 내에 설치된 구동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제1캠은 상기 지지 블록에 부착 구멍46을 통하여 나사44와 나사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 블록이 구동되면 제1캠이 지지 블록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구동된다.
제2캠80은, 제1캠50에 지지되어 있어, 상기 제1캠50의 구동 기구에 의하여 제1캠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캠80은, 제1캠50에 설치되는 지축(支軸)57a에 피벗(pivot) 지지되고, 별도로 설치되는 제2캠의 구동 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링크70, 구동 가이드캠22b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어, 이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하여 제1캠에 대하여 상대변위(相對變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캠80을 임의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가변도 결정 캠면89의 위치를 가변도 결정 캠면6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가변도 결정 캠 사이의 단차량(段差量)은, 예를 들면 0.0∼2.0mm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스티치캠25b의 확대도로서, 도3A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량을 크게 설정한 상태, 도3B는 가변도 조정의 단차를 제로(zero)로 설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4는 스티치캠25b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각 부품(parts)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제1캠과 제2캠의 도4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1캠50은, 전후의 일부를 제외한 풀 높이의 부분51을 구비한다. 이 풀 높이의 부분51의 우측면에는, 제2캠80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를 지지하는 가이드면(guide面)53이 형성된다. 가이드면53의 후방에 제2캠80의 전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55가 형성된다. 부분57은, 제1버트13의 통과를 허용하는 제로(zero) 높이에서 형성된다. 부분57은, 이면측(裏面側)을 깎아 링크70의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축71을 피벗 지지하는 지축57a를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다. 부분51의 후방부에는 하프 높이의 부분56이 형성되어 있다. 부분56의 측면에 풀 높이의 제2버트15와 결합할 수 있는 인하캠(引下 cam)59와 이것에 이어지는 가변도 결정 캠면61이 형성되어 있다. 67은 부분56의 표면측에 형성한 오목부를 나타낸다. 가변도 결정 캠면61과 동일한 위상(位相) 상의 부분51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제1버트13과 결합할 수 있는 수용캠63이 형성되어 있다. 부분51의 전방에서부터 우측에 걸친 이면측은 절단되어 절단부65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65와 캠 플레이트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2캠의 부분83을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受容 space)가 형성된다. 부호69는 부분51의 이면(裏面)에 형성한 볼록부를 나타낸다.
제2캠80은,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풀 높이의 부분81과 제1캠50의 절단부65에 수용되는 높이의 낮은 부분83을 구비한다. 부분81의 좌측면은 제1캠50의 가이드면53과 접하는 슬라이딩면(sliding 面)85가 형성된다. 부분81의 우측면에는 풀 높이와 하프 높이의 양방(兩方)의 버트15와 결합하여 바늘을 삽입하는 공통의 삽입면(揷入面)87이 형성된다. 이 삽입면87에 연속하여 하프 높이의 버트15에만 작용할 수 있는 가변도 결정 캠면89가 형성된다. 부분81의 후방 부분81a의 이면측을 절단하여 절단부93을 형성하고, 여기에 제1캠50의 부분56이 수용된다. 가변도 결정 캠면89와 동일한 위상(位相) 상의 부분83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제1버트13에 대하여 결합하는 수용캠95와 그것에 이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97이 형성되어 있다. 제1캠50에 설치된 가변도 결정 캠면61과 수용캠63 사이의 간격 및 제2캠80에 설치된 가변도 결정 캠면89와 수용캠95 사이의 간격은 잭의 제1버트13과 제2버트15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그 때문에 편침(編針)이 진퇴 조작되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삽입되는 제2버트15의 삽입량은, 제1버트13과 수용캠63, 95와의 결합에 의하여 그 양이 제한된다.
제2캠80은, 부분83의 이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오목부82를 구비하고, 링크70의 선단부75가 여기에 삽입된다. 링크70의 후단(後端)에는 롤러73이 축(軸)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롤러73이 스티치캠25b의 바로 옆에 설치된 구동 가이드캠22b를 뚫어 형성되고 또한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슬릿홈24 내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 가이드캠22b는 제1버트13을 통과할 수 있는 제로 높이의 캠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가이드캠22b는, 캠 플레이트(cam plate) 상을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이면측을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 기구에 직접 내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 가이드캠22b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면 슬릿홈 내의 롤러73도 전후로 구동되므로 링크70은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링크가 회전하면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89가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61에 대하여 상대변위된다. 이에 따라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61에 대한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89의 전후 방향의 위치, 즉 단차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캠과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의 단차량이 설정된 후에는, 제2캠은 제1캠과 함께 제1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지만, 구동 가이드캠22b의 슬릿홈(slit groove)24가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으므로 제2캠의 구동수단의 구속을 받지 않고 제2캠은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가변도 결정 캠 사이에 설정된 단차량이 유지된 채 스티치캠의 전진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2캠의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그 때마다 단차량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에서는 구동 가이드캠에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슬릿홈을 형성하여 이것을 구동 가이드로 하고, 이 홈에 링크의 롤러를 결합시킴으로써 제2캠이 제1캠과 함께 전후로 구동되고 또한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 가이드캠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을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하여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제2캠의 이러한 움직임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 가이드캠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더라도 상관없다. 또는 슬릿홈을 대신하여 구동 가이드캠에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돌기 모양부를 설치하고, 링크에 설치한 한 쌍의 협지 롤러(挾持 roller)로 이 돌기 모양부를 협지(挾持)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캠50과 제2캠8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층(積層) 모양으로 조합시킨 상태에서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과 가까운 전방측에서는 제1캠50이 제2캠80의 상위(표면측)에 나타나고, 반대로 후방측에서는 제1캠50이 제2캠80의 하위에 숨도록 상하 관계가 그 사이에서 교대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캠을 제1캠의 가이드면53에 의하여 지지하고 또한 제1캠에 형성된 오목부67, 볼록부69와 제2캠에 형성된 볼록부99, 오목부88이 조합됨으로써 제2캠의 슬라이드 방향을 제1캠에 의하여 확실히 가이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캠50을 지지 블록에 나사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제2캠80이 제1캠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티치캠에 의한 가변도 조정 편성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금 캐리지1이 도1에서의 지면(紙面)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공지의 선택수단에 의하여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실렉트잭의 버트17이 도1의 A위치에,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실렉트잭의 버트17이 H위치에 세트된다. H위치에 프레셔는 없고, A위치에는 후행측의 가변도 조정 프레셔39b가 세트되어 있다.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은, 프레셔39b의 가압작용을 받을 때까지는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제2버트15와 함께 풀 높이를 유지하여, 니들 레이징캠21의 경사면에 접하여 캠의 정상부까지 전진한 후에 브리지캠29에 의하여 후퇴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급사수단(給絲手段)에 의하여 바늘5의 훅(hook) 내에 편사(編絲)가 공급된 후, 잭7의 제2버트15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의 제2캠80에 형성된 공통 인하 캠면87과 결합하여 삽입된다.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실렉트잭의 제2버트15는, 이 위치에서는 가변도 조정 프레셔39b의 가압작용을 받아 버트가 대략 반 정도 가라앉았기 때문에 잭7의 제2버트15는 하프 높이가 된다. 한편 H위치에는 프레셔가 없기 때문에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제2버트15는 풀 높이를 유지한다. 이후에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 및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 각각의 제2버트는, 버트의 높이를 상기의 상태로 유지한 채 스티치캠의 작용을 받는다.
도3A에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과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 각각의 제1버트와 제2버트의 통과궤적(通過軌跡)을 나타낸다.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제1버트의 통과궤적을 L1, 제2버트의 통과궤적을 L2로 나타내고,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제1버트의 통과궤적을 S1, 제2버트의 통과궤적을 S2로 나타낸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큰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에 관해서는, 제2캠80의 공통 인하 캠면87의 종단(終端)에 도달하면, 풀 높이의 제2버트15는 일단 제2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89를 따라 조금만 이동한다. 그 후 제1캠에 형성된 인하캠59와 결합하여 더 삽입된 후에 가변도 결정 캠면61을 통과한다. 이 때 큰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의 제1버트13은, 제2캠의 수용캠95 계속하여 경사면97을 따라 통과한 후에 제1캠의 수용캠63으로 가이드되어 통과한다. 그 때문에 제2버트15가 가변도 결정 캠면61을 초과하여 과잉으로 인하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작은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에 관해서는, 제2버트15는 하프 높이에 있기 때문에 제2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89를 따라 통과하지만, 제1캠의 인하캠59의 작용은 받지 않는다. 이 때 제1버트13은, 제2캠의 수용캠95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제2버트15가 가변도 결정 캠면89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인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은 스티치 형성용 바늘과 큰 스티치 형성용 바늘은, 가변도 결정 캠면89, 61의 단차량에 따라 사이즈가 다른 스티치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캠은 제1캠의 구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 회전 타입의 가변도 조정 캠과 같이 회전 위치에 의하여 각 가변도 결정 캠면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각도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치 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실시예2)
다음에 실시예2의 스티치캠을 도6에 나타낸다. 이 스티치캠125b는, 풀 높이의 제2버트의 가변도 결정 캠면161과 제1버트의 수용부163을 동일한 위상에 형성하는 제1캠과, 이 제1스티치캠의 상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하프 높이의 제2버트의 가변도 결정 캠면과 제1버트의 수용부를 동일한 위상에 형성하는 제2캠으로 구성되고, 이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과 수용캠이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과 수용캠보다 선행측(先行側)에 위치하도록 제2캠을 선행측으로 시프트(shift)하여 형성한 것이다. 제1캠과 제2캠은 대략 동일한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시예1에서 87로 나타낸 공통의 가변도 결정 캠면은, 실시예2에서는 187로 한 방식으로서 스티치캠의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의 100대의 참조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1캠150은 풀 높이의 부분151과 하프 높이의 부분156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부분과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가 제2캠180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를 지지하는 가이드면153이 된다. 157은 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링크170의 회전축을 피벗 지지하는 지축157a가 형성된다. 173은 롤러를 나타낸다. 링크170은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된다. 부분156의 우측면에서부터 후방에 걸쳐 풀 높이의 버트15와 결합할 수 있는 인하캠159와 이것에 이어지는 가변도 결정 캠면161이 형성되어 있다. 가변도 결정 캠면161과 동일한 위상 상의 부분151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제1버트13과 결합할 수 있는 수용캠163이 형성되어 있다.
제2캠180은 제1캠150의 부분156 상에 지지되어 있어, 전체로서 풀 높이를 구비한다. 브리지캠으로 향하는 경사면을 따라 풀 높이 및 하프 높이의 버트15의 바늘을 삽입하는 공통의 삽입면187과 가변도 결정 캠면189가 형성된다. 가변도 결정 캠면189와 동일한 위상 상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제1버트13에 대해서 결합되는 수용캠195와 그것에 이어지는 경사면197이 형성되어 있다.
제2캠180은 중앙부에 긴 구멍148을 구비하고, 여기에서 단나사(段螺絲)144에 의하여 제1캠에 대해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단나사144에 의하여 제1캠만이 아니라 제2캠도 슬릿홈 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 블록에 고정된다. 146은 제1캠에 형성되는 부착 구멍을 나타낸다. 제2캠180의 우측 단부(端部)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링크의 선단부175를 받는 수용부182가 형성되어 있어, 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제2캠180이 제1캠151에 대해서 상대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6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지만, 링크170의 회전은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 가이드캠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낸 S1, S2, L1, L2는 풀 높이의 버트와 하프 높이의 제1, 제2버트13, 15 각각의 통과궤적을 나타내고,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궤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관한 스티치캠은, 이전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스티치캠의 구조를 더 간소화할 수 있다는 메리트(merit)가 있다.
(실시예3)
다음에 실시예3의 가변도 조정용 스티치캠을 도7∼도9에 나타낸다. 도8은 링크를 제외한 제1캠과 제2캠만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관한 스티치캠에서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트가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캠을 이전 실시예에서 말하는 잭의 제2버트측에, 가변도 결정 캠면과 버트 통로를 사이에 둔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스티치캠은 진퇴조작을 단일의 버트로 하도록 하는 편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1의 각 부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동일한 숫자의 200대의 부호를 붙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캠의 캠 플레이트로의 지지 구조는 실시예1의 것과 개략 동일하다. 즉 제1캠250과 제2캠280은, 전후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 상하 관계가 전후로 교대하는 적층구조(積層構造)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제2캠280의 제1캠250에 대한 상대이동은, 제1캠25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제2캠280은, 제1캠250을 지지 블록에 나사244로 고정하여 그 탈락이 저지된다.
제1캠250에 있어서, 251은 전후의 일부를 제외한 풀 높이의 부분, 253은 제2캠280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를 지지하는 가이드면, 255는 제2캠280의 스토퍼, 257은 제로 높이의 부분이고, 257a는 그 이면측(裏面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 링크270용의 지축을 나타낸다. 256은 하프 높이의 부분으로서, 여기에 풀 높이의 버트15와 결합할 수 있는 인하캠259와 가변도 결정 캠면261이 형성된다. 267은 오목부로서, 부분251의 이면에 형성된 볼록부269와 함께 제2캠280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된다. 제1캠250의 부분251의 후방측에 수용부301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버트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하프 높이의 부분303을 구비하고, 이 부분303의 가변도 결정 캠면261에 대치하는 장소에는 버트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는 수용캠305가 형성되어 있다. 307은 버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제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분303을 풀 높이로 하여 수용캠을 형성하더라도 상관없다. 251의 이면측에는 절단부265와 266이 형성되어 있고, 절단부265와 캠 플레이트와의 사이는 제2캠280의 부분283의 수용 스페이스를 제공하고, 절단부266의 하방에는 링크270을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가 제공된다.
제2캠280에 있어서 281은 풀 높이의 부분, 283은 제1캠250의 절단부265에 수용되는 높이의 낮은 부분, 285는 제1캠250의 가이드면253과 접하는 슬라이딩면, 287은 풀 높이 및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을 삽입하는 공통의 삽입면, 289는 작은 스티치 형성용의 가변도 결정 캠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1캠의 부분256을 수용하는 절단부293이 부분281a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가변도 결정 캠면289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331이 설치되어 있고, 풀 높이의 부분333에는 하프 높이와 풀 높이 각각의 버트와 결합되어 바늘이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캠335가 형성되어 있다. 339는 수용캠335의 후행측에 형성한 경사면을 나타낸다. 337은 303과 마찬가지로 버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티치캠250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261에 대한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289의 단차량의 조정은, 링크270이 지축257a를 중심으로 회전구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7A는 단차량의 차이를 최대로 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7B는 단차량의 차이를 제로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7B의 상태에서는 각각의 수용캠305, 335가 일직선 상에서 나란하도록 수용캠이 형성되어 있다.
Claims (5)
- 캐리지(carriage)에 설치한 프레셔(presser)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니들베드(needle bed)로부터 돌출하는 버트(butt)의 높이를 풀(full) 높이와 하프(half) 높이의 서로 다른 높이로 한 바늘의 진퇴조작용(進退操作用)으로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트와 결합하여, 작은 사이즈(size)의 스티치(stitch) 형성용의 하프 높이의 버트의 바늘과 큰 사이즈의 스티치 형성용의 풀 높이의 버트의 바늘의 쌍방(雙方)의 버트를 끌어내리는 공통 인하 캠면(共通 引下 cam面)과, 그 공통 인하 캠면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stitch用 可變度 決定 cam面)과, 상기 가변도 결정 캠면보다 후행측(後行側)에 형성되는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큰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 스티치 형성용 바늘의 버트가 대응하는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을 초과하여 과잉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수용캠(受容cam)을 형성하여 동일한 코스(course)에 있어서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와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가변도 조정용 스티치캠을 구비한 편성기(編成機)에 있어서,큰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상기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位相)에 큰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의 버트와 결합하는 수용캠면을 형성하는 제1캠과,공통 인하 캠면과, 이것에 이어지는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그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용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에 작은 사이즈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캠면을 형성하는 제2캠을 포함하는 스티치캠(stitch cam)과,상기 제1캠을 전후(前後) 방향으로 구동(驅動)시키는 구동수단과,상기 제2캠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캠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제2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고 또한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캠이 전후 방향으로 상대변위(相對變位)하여 제1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하여 제2캠에 형성된 가변도 결정 캠면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제2캠을 제1캠에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도 조정 기구(variable rate changing mechanism)를 구비하는 편성기.
- 제1항에 있어서,제1캠에 피벗(pivot) 지지되고 일단(一端)을 구동측(驅動側), 타단(他端)을 제2캠과 연결한 링크(link)가 제2캠의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제2캠이 구동되어 제1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에 대한 제2캠의 가변도 결정 캠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 제2항에 있어서,제2캠의 구동수단과 링크와의 사이에는, 제2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前後) 방향 또는 좌우(左右)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가이드캠(驅動 guide cam)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 가이드캠에는 스티치캠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링크의 구동측이 상기 구동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캠면은, 제1캠 및 제2캠의 전방부(前方部)에서 각각의 가변도 결정 캠면과 동일한 위상(位相)에 형성되고, 이들 수용캠에 결합할 수 있으며 버트 사이의 거리가 각 가변도 결정 캠면과 수용캠 사이의 간격과 같아지도록 형성된 또 하나의 버트가 바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캠면은, 제1캠 및 제2캠의 후방부(後方部)에서 버트의 통과영역을 사이에 두고 가변도 결정 캠면과 대치(對峙)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28651 | 2002-08-06 | ||
JP2002228651 | 2002-08-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6521A true KR20050026521A (ko) | 2005-03-15 |
KR100950227B1 KR100950227B1 (ko) | 2010-03-29 |
Family
ID=3188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1456A KR100950227B1 (ko) | 2002-08-06 | 2003-07-31 | 가변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편성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55941B2 (ko) |
EP (1) | EP1536050B1 (ko) |
JP (1) | JP4016031B2 (ko) |
KR (1) | KR100950227B1 (ko) |
CN (1) | CN100400732C (ko) |
AU (1) | AU2003252310A1 (ko) |
WO (1) | WO200401684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9211B1 (ko) * | 2006-06-30 | 2013-11-13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횡편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94539C (zh) * | 2005-07-29 | 2009-06-03 | 冯加林 | 具有多段压针密度的织针和含有三针踵挺针片的辅针组合装置 |
WO2010073500A1 (ja) * | 2008-12-26 | 2010-07-0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横編機 |
JP5286249B2 (ja) * | 2009-12-29 | 2013-09-1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度山カム装置 |
DE102010017946B4 (de) * | 2010-04-22 | 2013-10-10 | H. Stoll Gmbh & Co. Kg | Schloss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
JP2013108184A (ja) * | 2011-11-17 | 2013-06-06 | Shima Seiki Mfg Ltd | 度違い装置を備えた横編機 |
CN102776695A (zh) * | 2012-08-21 | 2012-11-14 |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 度目三角及应用有该度目三角的电脑针织横机度目三角机构 |
JP5913427B2 (ja) * | 2014-05-08 | 2016-04-2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割増やし方法 |
CN106222870B (zh) * | 2016-09-27 | 2018-10-26 |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 一种织袜机提针连杆机构 |
GB2559567B (en) * | 2017-02-08 | 2022-06-22 | Unmade Ltd | A method of knitting a fabric using a knitting machine and a knitting machine |
CN109518351A (zh) * | 2019-01-29 | 2019-03-26 |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 三位一体电机控制山板 |
CN110453363B (zh) * | 2019-09-19 | 2023-06-02 |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清针三角机构及其清针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95706B (en) * | 1980-09-30 | 1984-05-16 | Shima Idea Center Co Ltd |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altering wale density |
DE3310671C2 (de) * | 1983-03-24 | 1986-04-17 |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instellung der Abzugsteile eines Strickschlosses |
DE3336368C2 (de) * | 1983-10-06 | 1986-06-05 |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 Flachstrickmaschine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ung für die Nadelabzugsteilverstellung |
DE3541171A1 (de) * | 1985-11-21 | 1987-05-27 | Stoll & Co H |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auswahleinrichtung |
JP2610533B2 (ja) * | 1990-02-14 | 1997-05-14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
GB2256654B (en) * | 1991-06-13 | 1995-03-29 | Gen Motors Corp | Fabric and knitting |
JP2929041B2 (ja) * | 1991-09-21 | 1999-08-03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機の度山 |
JP3306763B2 (ja) | 1994-08-24 | 2002-07-24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
-
2003
- 2003-07-31 US US10/523,648 patent/US71559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31 EP EP03788024A patent/EP153605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7-31 WO PCT/JP2003/009776 patent/WO20040168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7-31 CN CNB038188430A patent/CN10040073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31 KR KR1020057001456A patent/KR1009502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7-31 AU AU2003252310A patent/AU200325231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31 JP JP2004528842A patent/JP401603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9211B1 (ko) * | 2006-06-30 | 2013-11-13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횡편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536050B1 (en) | 2011-06-08 |
WO2004016842A1 (ja) | 2004-02-26 |
JPWO2004016842A1 (ja) | 2005-12-02 |
EP1536050A4 (en) | 2010-04-07 |
US20050268666A1 (en) | 2005-12-08 |
CN100400732C (zh) | 2008-07-09 |
US7155941B2 (en) | 2007-01-02 |
KR100950227B1 (ko) | 2010-03-29 |
CN1675423A (zh) | 2005-09-28 |
AU2003252310A1 (en) | 2004-03-03 |
EP1536050A1 (en) | 2005-06-01 |
JP4016031B2 (ja) | 2007-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0227B1 (ko) | 가변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편성기 | |
EP1835059B1 (en) | Complex cam system | |
EP0060888B1 (en) |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altering wale length | |
KR101329211B1 (ko) | 횡편기 | |
KR102226578B1 (ko) | 횡편기 | |
US6799443B2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 |
US5355699A (en) |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 |
US5131340A (en) | Selective thread cutting device in a sewing machine | |
CN102108594B (zh) | 拉圈三角装置 | |
JP3540448B2 (ja) | 丸編機におけ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 |
JP4369000B2 (ja) | 編目形成機械の目移し用の掛け換えニードル | |
CN100366807C (zh) | 具有可动沉降装置的横机 | |
EP0698679B1 (en) |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 |
JP2604677B2 (ja) |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 |
KR101576837B1 (ko) |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 |
EP1655398A1 (en) |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 |
CN100434583C (zh) | 横机的沉降片装置 | |
JP2676179B2 (ja) |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 |
JP3793981B2 (ja) | ミシンの送り発生装置 | |
JP2024004096A (ja) | 押え装置及びミシン | |
JP2602238Y2 (ja) | 横編機の度目調整装置 | |
JPS623421Y2 (ko) | ||
JPH03143475A (ja) | ミシンの布送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