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501A -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 Google Patents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501A
KR20050026501A KR1020057001089A KR20057001089A KR20050026501A KR 20050026501 A KR20050026501 A KR 20050026501A KR 1020057001089 A KR1020057001089 A KR 1020057001089A KR 20057001089 A KR20057001089 A KR 20057001089A KR 20050026501 A KR20050026501 A KR 2005002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lit
dividing
hole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301B1 (ko
Inventor
츠치야아케미
다나카요시노리
후지와라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18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atches or paw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05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discrete positions, e.g. in extreme extend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축 방향에 대향하는 선단부와 기초부를 지니고,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중공으로 된 원통인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 내에 축 방향으로 끼워 맞추는 것인 적어도 2개의 분할 핸들로 이루어지는 신축 핸들(2)과, 청소용 와이퍼의 부착을 위해서 상기 신축 핸들(2)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체(6)로 이루어지는 유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과, 이 탄성 팔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설치되고,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둘레벽에는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로부터 소정 길이 신장해 나왔을 때에, 상기 체결 돌기와 끼워 맞추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체결 돌기를 눌러 상기 관통 구멍과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HOLDER AND CLEANING IMPLEMENT USING THE HOLDER}
본 발명은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청소용 와이퍼의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와 청소용 와이퍼가 조합된 청소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2977477호 공보에는 한쪽 손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짧은 핸들의 선단부에 헤드부가 설치되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일회용의 청소 천이 상기 헤드부에 부착되는 청소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짧은 핸들의 청소구는 손이 닿는 범위의 가까운 장소의 청소에 알맞지만 마루 바닥이나 천장 부근의 청소 등에는 알맞지 않는다.
그래서, 신축 구조의 핸들 선단부에 청소 천이 부착되고, 상기 핸들을 짧게 하여 손이 닿는 범위 근처의 청소에 이용하고, 핸들을 길게 늘려 마루 바닥이나 천장 부근 등의 청소에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청소구가 있다. 이런 유형의 신축형 핸들을 이용한 유지구는 일본 특허 공개 평9-380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5479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10-43116호 공보에는 상기 유지구의 신축형 핸들의 구체적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신축형 핸들은 큰 통형상체와 중간 통형상체 및 작은 통형상체가 조합된 것으로, 작은 통형상체의 선단부에, 청소 천을 지지하는 헤드가 부착되어 있다. 큰 통형상체 속에 중간 통형상체를 넣고, 또한 중간 통형상체 속에 작은 통형상체를 넣어 수납함으로써 핸들을 수축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작은 통형상체를 중간 통형상체로부터 빼내고, 또한 중간 통형상체를 큰 통형상체로부터 빼냄으로써, 핸들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통형상체와 중간 통형상체 사이 및 중간 통형상체와 큰 통형상체 사이에, 각각 길이 로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길이 로크 수단에서는, 가는 쪽의 통형상체의 기초부의 외주에 결합 돌출부가 설치되고, 굵은 쪽의 통형상체의 내부에 결합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을 길게 할 때에 통형상체를 축 방향으로 세게 당김으로써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홈부가 결합하고, 또한 통형상체 사이에 큰 수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홈부의 결합을 강제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 로크 수단을 갖는 유지구에서는, 핸들을 늘려 사용할 때에, 각 통형상체를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홈부를 확실하게 결합시킬 필요가 있고, 만일 상기 결합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청소 작업시의 힘에 의해서 핸들이 줄어들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 길이 로크 수단은 모두 통형상체에 숨어, 외부에서 그 결합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작은 통형상체가 중간 통형상체로부터 빼내어진 후에 이들 사이에 수축력을 부여하는 등으로 상기 결합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또한 중간 통형상체와 큰 통형상체 사이에서도 같은 식의 확인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이 번거롭다.
반대로 핸들을 수축시킬 때에는 상기 길이 로크 수단의 각각에 있어서 통형상체 사이에 큰 수축력을 부여하여 결합 돌출부와 결합 홈부와의 결합을 해제시킬 필요가 있고, 따라서 2단의 길이 로크 수단의 결합을 각각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큰 수축력을 2회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핸들을 수축시키는 조작도 번거롭다.
또한 청소 작업 중, 늘린 상태의 핸들에 큰 수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길이 로크 수단의 결합이 벗겨져, 부주의하게 핸들이 줄어들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나 결합 홈부가 마모되면, 상기 길이 로크 수단에 의한 결합이 불안정하게 되어, 청소 작업 중에 결합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경우가 일어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이 용이하게 신축할 수 있고, 핸들을 늘린 상태 및 줄어든 상태의 쌍방에서 안정시킬 수 있는 유지구 및 그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자세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A는 측면도, 도 1B는 저면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유지구가 신축 핸들을 가장 길게 늘린 상태에서 그려져 있는 도면이다.
도 2A는 신축 핸들이 일부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B는 신축 핸들이 완전히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유지구의 지지체 및 이것에 부착되는 청소용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B의 IV로 나타내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B의 V로 나타내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는 도 1A의 VI-V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B의 VII로 나타내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는 도 1A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도 9B는 도 2A의 IX-IX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도 10B는 도 2B의 X-X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면에 있어서는, 축 방향에 대향하는 선단부와 기초부를 지니고,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중공 원통인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 내에 축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는 적어도 2개의 분할 핸들로 이루어지는 신축 핸들과,
청소용 와이퍼의 부착을 위해서 상기 신축 핸들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청소용 와이퍼를 위한 유지구가 제공되며,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과, 이 탄성 팔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설치되고,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둘레벽에는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로부터 소정 길이 신장되어 나왔을 때에, 상기 체결 돌기와 끼워 맞추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바깥쪽에서 상기 체결 돌기를 눌러 상기 관통 구멍과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유지구에서는,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을 후방부 측의 분할 핸들로부터 축 방향으로 잡아빼면,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신축 핸들이 신장된 상태에서 분할 핸들끼리 확실하게 걸리게 되어, 청소 작업중 등의 힘으로 신축 핸들이 부주의하게 줄어드는 일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에서 외부로 향하는 체결 돌기를 바깥쪽에서 누름으로써 상기 로크가 용이하게 해제되어, 신축 핸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돌기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돌기를 바깥쪽에서 관통 구멍의 내부로 눌러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조작에 과대한 힘이 필요한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의 기단에서 내부로 향해 상기 탄성 팔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로크 부재가 삽입되어, 이 로크 부재와 상기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 사이에, 상기 로크 부재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요철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로크 부재를 분할 핸들의 기단에서 핸들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탄성 팔과 결합부를 분할 핸들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가 분할 핸들과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긴 치수의 분할 핸들을 제조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로크 부재를 벗김으로써, 더욱 분할 핸들 속에 가는 다른 분할 핸들을 삽입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간단하다.
본 발명은 기초부측의 분할 핸들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 및 이것에 장착되는 로크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돌조부 또는 홈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딩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를 형성하면, 긴 분할 핸들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분할 핸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를 형성하면, 이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를 예컨대 상기 체결 돌기의 바로 근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 조절 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분할 핸들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를 형성하면, 로크 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로크 부재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신축 핸들이, 가장 신장된 상태에서 선단부 측에서 기초부 측을 향해 차례로 제1 분할 핸들, 제2 분할 핸들 및 제3 분할 핸들을 지니고, 제1 분할 핸들 및 제2 분할 핸들에 상기 탄성 팔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설치되고, 제2 분할 핸들과 제3 분할 핸들에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핸들을 적어도 3단 구성으로 함으로써, 신축 핸들을 줄였을 때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분할 핸들에 형성된 상기 체결 돌기에, 상기 신축 핸들의 기초부 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제2 분할 핸들이 제3 분할 핸들의 내부에 수납되어 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가 제3 분할 핸들의 선단에 맞닿아 제1 분할 핸들의 상기 체결 돌기가 축 중심 방향으로 변위 됨으로써, 제1 분할 핸들의 상기 체결 돌기와 제2 분할 핸들의 상기 관통 구멍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제1 분할 핸들을 제3 분할 핸들로 향해 밀어 넣는 식으로 하여, 제2 분할 핸들을 제3 분할 핸들의 내부에 수납시켜 나가면, 제1 분할 핸들의 체결 돌기가 제3 분할 핸들의 선단에 맞닿은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제1 분할 핸들과 제2 분할 핸들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체결 돌기를 손가락으로 눌러 넣는 조작이 불필요하다.
이 경우,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상기 탄성 팔이, 상기 신축 핸들의 기초부 측을 향한 자유단을 지니고, 이 자유단에 상기 체결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분할 핸들의 탄성 팔의 자유단이 제2 분할 핸들 쪽으로 향하고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가 제3 분할 핸들의 선단에 맞닿았을 때에, 상기 경사부가 축 중심 방향으로 선행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제1 분할 핸들과 제2 분할 핸들의 걸림이 신속히 해제된다. 또한 상기 탄성 팔을 축 중심을 향해 변형시키는 데에 드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분할 핸들에, 이 제2 분할 핸들에 설치된 체결 돌기보다도 선단부 측에 있어서 그 둘레벽을 관통하는 제1 구멍부가 형성되고, 제3 분할 핸들에, 이 제3 분할 핸들에 설치된 체결 돌기보다도 기초부 측에 있어서 그 둘레벽을 관통하여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제2 구멍부와 제3 구멍부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 핸들이 최단으로 수축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구멍부와 상기 제2 구멍부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되고, 상기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제1 구멍부에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멍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분할 핸들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제3 구멍부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신축 핸들이 최단으로 수축되었을 때에,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탄성 팔과, 제2 분할 핸들에 설치된 탄성 팔에 무리한 굽힘 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각 탄성 팔에 요동이 생기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신축 핸들이 최단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이 선단부 측으로 당겨졌을 때에,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체결 돌기의 상기 제1 구멍부에의 끼워맞춤은 유지한 채 그대로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와 제2 분할 핸들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제2 구멍부와 상기 제3 구멍부에서 벗겨짐으로써, 제2 분할 핸들이 제3 분할 핸들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후에 제1 분할 핸들에 설치된 체결 돌기가 상기 제1 구멍부에서 벗져겨 제1 분할 핸들이 제2 분할 핸들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체를 선단부 측으로 당기면, 맨 처음에 제2 분할 핸들이 신장되어 나오고, 이어서 제1 분할 핸들이 신장되어 나온다고 하는 동작을 하게 되어, 신축 핸들을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 핸들만을 선단부 측으로 신장되어 나오게 하여 신축 핸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신축 핸들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지지체를 착탈이 자유롭게 함으로써, 수축된 신축 핸들 및 지지체를 컴팩트하게 수납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면에 있어서는, 전술한 유지구 및 상기 지지체에 장착되는 청소용 와이퍼로 이루어지는 청소 물품이 제공되며,
상기 청소용 와이퍼는 적어도 부직포 또는 종이를 지니거나, 혹은 적어도 부직포와 섬유의 다발이 조합되어 형성된 일회용의 것으로, 상기 청소용 와이퍼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청소용 와이퍼가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지지체에의 부착이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많은 특유한 세부적인 점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유한 세부적인 점이 없더라도 본 발명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불필요하게 불명료한 것으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공지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는다.
도 1A는 측면도, 도 1B는 저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유지구가 신축 핸들을 가장 길게 늘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는 신축 핸들이 일부 수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B는 신축 핸들이 완전히 수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유지구의 지지체 및 이것에 부착되는 청소용 와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B의 IV로 나타내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B의 V로 나타내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A, 도 6B는 도 1A의 VI-V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B의 VII로 나타내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A, 8B는 도 1A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 도 9B는 도 2A의 IX-IX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도 10B는 도 2B의 X-X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로, 걸림 상태와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청소 물품은, 전체를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에 도시하는 유지구(1)와, 도 3에 도시하는 청소용 와이퍼(9)를 갖고 있다. 상기 유지구(1)는 서로 끼워 맞추는 제1 분할 핸들(3), 제2 분할 핸들(4) 및 제3 분할 핸들(5)이 조합된 신축 핸들(2)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에 지지체(6)가 부착되고 있다. 이 지지체(6)는 상기 제1 분할 핸들(3)에 착탈이 자유로운 지지 핸들(7)과, 이 지지 핸들(7)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지지 본체(8)를 갖고 있다.
상기 유지구(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전부 합성 수지제이며, 예컨대 ABS, 염화비닐,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혹은, 이들 각 부재 중의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으로 형성되고 있더라도 좋다.
각 도면에서는, 유지구(1)의 신축 핸들(2) 및 지지 핸들(7)의 축 중심선(O)이 연장되는 방향을 Y로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Y1은 지지체(6)가 부착되어 있는 유지구(1)의 선단부측을 나타내고, Y2는 제3 분할 핸들(5)이 설치되는 기초부 측을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제1 분할 핸들(3)과 상기 지지 핸들(7)의 연결부(도 1B의 IV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분할 핸들(3)은 중공의 원통체이며,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 측에는 유지구(1)의 끝 쪽(Y1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팔(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이 탄성 팔(11)의 주위에는 내부 공간(3a)에 연통되는 절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2)에 의해서 탄성 팔(11)이 제1 분할 핸들(3)의 본체부와 분리되어 있다. 이 탄성 팔(11)은 기초부 측(Y2측)이 지지단(11a)이고, 선단부 측(Y1측)이 자유단(11b)이며, 상기 자유단(11b)이 신축 핸들(2)의 축 중심선(O)을 향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탄성 팔(11)의 자유단(11b)에는 제1 분할 핸들(3)의 외주면(3b)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 돌기(13)의 단부면(13a)은 돌출 곡면 형상이며, 이 단부면(13a)의 선단부 측에는 Y1 방향으로 향함 에 따라서 서서히 축 중심선(O)에 근접하는 경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핸들(7)도 또한 중공의 원통체이며, 원통형의 내부 공간(7a)을 갖는다. 지지 핸들(7)의 내경(즉, 원통형 내부 공간(7a)의 직경)은 상기 제1 분할 핸들(3)이 지지 핸들(7)에 간극 없이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 핸들(7)의 기단부면(7c)에는 상기 내부 공간(7a)에 연통되는 개구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핸들(7)의 기단부면(7c)보다도 약간 선단부 측에는 둘레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핸들(7)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 구멍(14)의 주연부로 향해 둘레벽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는 오목부(15)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7b)로부터 지지 핸들(7)의 내부 공간(7a) 내에 삽입되면, 우선 지지 핸들(7)의 개구부(7b)의 바깥 둘레가 상기 체결 돌기(13)의 경사부(13b)에 맞닿는다. 그대로 제1 분할 핸들(3)이 지지 핸들(7)로 향해 눌려져 들어가면, 누르는 힘의 반력이 축 중심선(O) 방향으로의 분력으로 되어 상기 경사부(13b)에 작용하여, 탄성 팔(11)은 자유단(11b)이 축 중심선(O)으로 향하도록 변형된다. 또한 제1 분할 핸들(3)이 지지 핸들(7)의 내부로 눌려져 들어가, 체결 돌기(13)가 상기 관통 구멍(14)에 일치하면, 탄성 팔(11)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체결 돌기(13)가 관통 구멍(14) 내에 끼워 맞춰져, 제1 분할 핸들(3)과 지지 핸들(7)이 연결된다.
지지 핸들(7)을 제1 분할 핸들(3)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관통 구멍(14)에서 바깥쪽에서 노출되고 있는 상기 체결 돌기(13)의 단부면(13a)을 손끝으로 축 중심 방향(O)으로 눌러 넣는다. 이에 따라, 체결 돌기(13)와 관통 구멍(14)과의 끼워맞춤이 벗져겨, 제1 분할 핸들(3)을 지지 핸들(7)로부터 빼낼 수 있다. 상기 지지 핸들(7)의 외주면에서는 관통 구멍(14)의 주위에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끝으로 체결 돌기(13)의 단부면(13a)을 누르기 쉽고, 또한, 관통 구멍(14) 주위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돌기(13)를 관통 구멍(14) 내에서 빼내기 쉽다.
도 5는 제1 분할 핸들(3)과 제2 분할 핸들(4)의 연결부(도 1B의 V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제1 분할 핸들(3)은 장착되는 로크 부재와 함께 그 기초부만이 나타내어지고, 한편 제2 분할 핸들(4)은 거의 그 전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기단부면(3c)에는 상기 내부 공간(3a)에 연통되는 원형의 개구부(3d)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상기 기단부면(3c)에서 선단부 측으로 소정 범위에는 상기 외주면(3b)보다도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3e)의 외주에는 소정 폭 치수로 축 중심선(O)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가 형성되고 있다. 제1 분할 핸들(3)에는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와 직경 상에서 바로 대하는 위치에, 상기 기단부면(3c)에서 선단부 방향을 향해 절결부(22)가 형성되고 있다. 이 절결부(22)는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기단부면(3c)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기단부면(3c)에는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 및 상기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90도 각도 이격된 부분에, Y1 방향으로 얕게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23, 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 핸들(3)의 기초부에는 로크 부재(30)가 장착된다. 이 로크 부재(30)의 외주면(31)은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내부 공간(3a)에 간극 없이 삽입되는 외경 치수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의 기단부면(32)을 따라서,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33, 33)가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볼록부(33, 33)의 폭 치수 및 Y 방향의 두께 치수는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23, 23)의 개구 폭 치수 및 깊이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가 상기 개구부(3d)에서 내부 공간(3a) 내로 삽입되면,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33, 33)가 각각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23, 23)에 끼워져 들어가, 제1 분할 핸들(3)의 내부에 있어서 로크 부재(30)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없이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로크 부재(30)의 기단부면(32)은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기단부면(3c)과 거의 동일면이 된다.
상기 로크 부재(30)에는 기초부 방향(Y2)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팔(34)에는 그 자유단에,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림 볼록부(걸림 갈고리)(3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핸들(3)에는 기단부면(3c)에서 선단부 측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걸림 구멍(35)이 형성되고 있다. 로크 부재(30)가 개구부(3d)에서 내부 공간(3a)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 볼록부(34a)가 상기 걸림 구멍(35)에 끼워 맞춰져, 로크 부재(3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 구멍(35)은 제1 분할 핸들(3)의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분할 핸들(3)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 구멍(35) 내로 끼워 맞춰져 있는 상기 걸림 볼록부(34a)를 강제적으로 축 중심선(O)을 향해 눌러 넣음으로써, 상기 끼워맞춤을 해제하여, 로크 부재(30)를 제1 분할 핸들(3)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림 볼록부(34a)와 상기 걸림 구멍(35)에 의해, 로크 부재(30)를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없이 고정하는 요철 끼워맞춤부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에는 상기 탄성 팔(34)과 180도의 각도 배치로 대향하는 탄성 팔(36)이 중심축(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팔(36)은 선단부 측(Y1측)이 지지단(36a)이고, 기초부 측(Y2측)이 자유단(36b)이다. 상기 탄성 팔(36)에는 상기 자유단(36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기(37)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30)가 제1 분할 핸들(3)의 내부 공간(3a)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체결 돌기(37)는 상기 절결부(22)에 위치하고, 체결 돌기(37)는 제1 분할 핸들(3)의 외주면(3b)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5 및 도 6A,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돌기(37)는 기초부 측(Y2측)으로 향하는 제1 걸림면(37a)과, 선단부 측(Y1측)으로 향하는 제2 걸림면(37b)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걸림면(37a)과 제2 걸림면(37b)은 상기 축 중심선(O)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고 있다. 상기 체결 돌기(37)는 또 볼록 곡면 형상의 단부면(37c)을 갖고 있다. 도 6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면(37c)에는 상기 제1 걸림면(37a)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외주면(3b)으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부면(37c)에는 제2 걸림면(37b)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돌출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선단부측 경사부(37e)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할 핸들(4)은 중공의 원통체이며, 기단부면(4d)에서 선단부 측을 향해 비교적 긴 범위에서 내경 치수가 약간 커져, 대직경 내부 공간(4a)을 형성하고 있다. 제2 분할 핸들(4)에는 상기 기단부면(4d)에,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4a)으로 통하는 원형의 개구부(4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선단면(4f)으로부터 후방부 방향으로 근소하게 연장되는 범위에는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4a)보다도 직경이 약간 작은 소직경 내부 공간(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면(4f)에는 상기 소직경 내부 공간(4b)으로 통하는 원형의 개구부(4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4a)의 직경은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플랜지부(3e)가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소직경 내부 공간(4b)의 직경은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외주면(3b)이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그리고, 대직경 내부 공간(4a)과 소직경 내부 공간(4b)과의 경계의 단차면이 스토퍼부(4c)로 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4a)을 규정하는 제2 분할 핸들(4)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4c)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부(Y2측)로 연장되는 돌조부(41)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이 돌조부(41)는 상기 제1 분할 핸들(3)의 플랜지부(3e)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의 내부에 간극 없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출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둘레벽에는 상기 스토퍼부(4c)가 형성되어 있는 부근을 기점으로 하여 선단부 측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42)이, 상기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42)은 기초부 측에 위치하는 걸림 가장자리(42a)를 갖고 있다.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에는 상기 관통 구멍(42)의 주연부로 향함에 따라서 둘레벽의 두께를 서서히 얇게 하는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부재(30)가 내장된 제1 분할 핸들(3)가, 제2 분할 핸들(4)의 기단부면(4d)의 개구부(4e)로부터 삽입되고,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가, 제2 분할 핸들(4)의 선단면(4f)의 개구부(4g)에서 끝 쪽으로 돌출되면, 제1 분할 핸들(3)의 외주면(3b)이 상기 소직경 내부 공간(4b)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되고, 또한 제1 분할 핸들(3)의 플랜지부(3e)가, 제2 분할 핸들(4)의 대직경 내부 공간(4a) 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3e)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가 상기 돌조부(41)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서의 제1 분할 핸들(3)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핸들(3)이 끝 쪽으로 빼내어져, 상기 플랜지부(3e)가 상기 스토퍼부(4c)에 맞닿은 시점에서, 그 이상은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3e)가 스토퍼부(4c)에 맞닿았을 때에, 상기 로크 부재(30)에 설치된 체결 돌기(37)가, 제2 분할 핸들(4)에 개구되는 관통 구멍(42) 내로 들어간다. 이 때,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이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또한 체결 돌기(37)의 제1 걸림면(37a)이 관통 구멍(42)의 걸림 가장자리(42a)에 대향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선단부 측으로 신장되어 나온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37)의 제1 걸림면(37a)과 상기 걸림 가장자리(42a)가 대향함으로써, 제1 분할 핸들(3)과 제2 분할 핸들(4)이 서로 걸려 고정(로크)되어, 제1 분할 핸들(3)에 대하여 제2 분할 핸들(4)로 향하는 축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부여하더라도,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도 6A의 걸림 상태에서는,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에서부터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의 돌출 높이 치수(h1)가, 상기 제1 걸림면(37a)과 상기 걸림 가장자리(42a)와의 대향부(걸림부)의 높이 치수(h2)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A의 상태로부터, 상기 체결 돌기(37)를, 그 단부면(37c)이 상기 외주면(4h)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눌러 넣으면, 상기 제1 걸림면(37a)과 걸림 가장자리(42a)와의 걸림이 벗겨져,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관통 구멍(42)의 걸림 가장자리(42a)에 대향한다. 이 때, 제1 분할 핸들(3)을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로 향해 축 방향으로 눌러 넣으면, 상기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걸림 가장자리(42a)를 슬라이딩하여, 체결 돌기(37)가 축 중심선(O)을 향해 이동시켜져, 탄성 팔(36)이 축 중심선(O)을 향해 쓰러지도록 변형된다.
그 후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이 제2 분할 핸들(4)의 대직경 내부 공간(4a)의 내벽을 슬라이딩하면서,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로크 부재(30)에 형성된 탄성 팔(36)은 자유단(36b)이 기초부 방향(Y2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이 축 중심선(O)으로 향하여 눌렸을 때에, 자유단측인 제1 걸림면(37a)이 선행하여 축 중심선(O)을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걸림면(37a)과 걸림 가장자리(42a)와의 걸림이 신속히 벗겨지게 된다.
또한,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관통 구멍(42)의 걸림 가장자리(42a)에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3)을 제2 분할 핸들(4)로 향해 축 방향으로 눌러 넣었을 때에, 자유단 측으로 향하게 되어 있는 상기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축 중심선(O)을 향해 이동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제1 분할 핸들(3)을 가벼운 힘으로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로 향해 눌러 넣을 수 있다.
도 7은 제2 분할 핸들(4)과 제3 분할 핸들(5)의 연결부(도 1B의 VII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제2 분할 핸들(4)은 장착되는 로크 부재와 함께 그 기초부만이 그려져 있고, 한편 제3 분할 핸들(5)은 거의 그 전체가 그려져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기단부면(4c)에서 선단부 측으로 소정 범위에는 상기 외주면(4h)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4i)의 외주에는 소정 폭 치수로 축 중심선(O)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할 핸들(4)에는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직경상 대향하는 부분에서, 상기 기단부면(4d)에서 선단부을 향해 절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5)는 둘레벽을 관통하며 또한 상기 기단부면(4d)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 기단부면(4d)에는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 및 절결부(45)에 대하여 90도의 배치 각도로, Y1 방향으로 얕게 우묵하게 들어가는 위치 결정 오목부(46, 4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분할 핸들(4)의 기초부에는 로크 부재(50)가 장착된다. 이 로크 부재(50)는 그 외주면(51)이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4a) 내에 간극 없이 수납할 수 있는 외경 치수이다.
상기 로크 부재(50)의 기단부면(52)의 주위에는,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53, 53)가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볼록부(53, 53)의 폭 치수와 Y 방향의 두께 치수는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46, 46)의 폭 치수 및 깊이 치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50)가 상기 개구부(4e)로부터 대직경 내부 공간(4a) 내로 삽입되면,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53, 53)가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46, 46)에 끼워져 들어가,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 있어서 로크 부재(50)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없이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로크 부재(50)의 기단부면(52)은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기단부면(4d)과 거의 동일면이 된다.
상기 로크 부재(50)에는 상기 기단부면(52)과 연속해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58)에, 소정 폭 치수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58a)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로크 부재(50)에는 기초부 방향(Y2)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팔(54)의 자유단에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림 볼록부(걸림 갈고리)(5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제2 분할 핸들(4)에는 기단부면(4d)에서 선단부 측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걸림 구멍(47)이 형성되고 있다. 로크 부재(50)가 개구부(4e)에서 대직경 내부 공간(4a)으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 볼록부(54a)가 상기 걸림 구멍(47)에 끼워 맞춰져, 로크 부재(5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 구멍(47) 내에 끼워 맞춰지고 있는 상기 걸림 볼록부(54a)를, 제2 분할 핸들(4)의 바깥쪽에서 강제적으로 축 중심선(O)을 향해 눌러 넣으면, 걸림 볼록부(54a)와 걸림 구멍(47)과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있어, 로크 부재(50)를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림 볼록부(54a)와 상기 걸림 구멍(47)으로, 로크 부재(5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요철 끼워맞춤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50)에는 상기 탄성 팔(54)과 직경상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팔(56)이 중심축(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팔(56)은 선단부 측(Y1측)이 지지단(56a)이고, 기초부 측(Y2측)이 자유단(56b)이다. 상기 탄성 팔(56)에는 상기 자유단(56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기(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50)가 제2 분할 핸들(4)의 대직경 내부 공간(4a)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체결 돌기(57)는 상기 절결부(45) 내에 위치하고, 체결 돌기(57)는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 돌기(57)는 기초부 측으로 향하는 걸림면(57a)를 지니고, 이 걸림면(57a)은 축 중심선(O)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돌기(57)는 또한 볼록 곡면 형상의 단부면(57b)을 갖고 있고, 이 단부면(57b)에는 선단부 측(Y1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외주면(4h)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서서히 작아지는 경사부(57c)가 형성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분할 핸들(5)은 중공의 원통체이며, 기단부면(5d)에서 선단부 측으로 비교적 긴 범위에서 내경 치수가 약간 커져, 대직경 내부 공간(5a)을 형성하고 있다. 제3 분할 핸들(5)에는 상기 기단부면(5d)에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5a)으로 통하는 원형의 개구부(5e)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제3 분할 핸들(5)의 선단면(5f)에서 기초부 방향으로 근소하게 연장되는 범위에는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5a)보다도 직경이 약간 작은 소직경 내부 공간(5b)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선단면(5f)에는 상기 소직경 내부 공간(5b)으로 통하는 원형의 개구부(5g)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5a)의 직경은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플랜지부(4i)가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소직경 내부 공간(5b)의 직경은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이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이다. 그리고 대직경 내부 공간(5a)과 소직경 내부 공간(5b)과의 경계의 단차면이 스토퍼부(5c)로 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내부 공간(5a)을 규정하는 제3 분할 핸들(5)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5c)를 기점으로 하여 후방부(Y2측)로 연장되는 1쌍의 돌조부(61, 62)가 직경상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쪽의 돌조부(61)는 상기 제2 분할 핸들(4)의 플랜지부(4i)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가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있다. 다른 쪽의 돌조부(62)는 상기 로크 부재(50)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58a)가 간극 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분할 핸들(5)의 선단부 측에는 둘레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63)이 형성되고 있다. 제3 분할 핸들(5)의 외주면(5h)에는 상기 관통 구멍(63)의 주연부로 향함에 따라서 둘레벽의 두께를 서서히 얇게 하는 오목부(64)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63)에는 기초부 측에 위치하는 걸림 가장자리(63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크 부재(50)가 내장된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의 기단부면(5d)의 개구부(5e)로부터 삽입되면, 도 8A,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의 선단부가 제3 분할 핸들(5)의 선단면(5f)의 개구부(5g)에서 끝 쪽으로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제2 분할 핸들(4)의 플랜지부(4i)가 제3 분할 핸들(5)의 대직경 내부 공간(5a) 속을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이 소직경 내부 공간(5b) 속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i)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 내에, 상기 돌조부(61)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들어가고, 상기 로크 부재(50)에 형성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58a) 내에, 상기 돌조부(62)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들어간다. 이 2곳의 돌조부(61, 62)와,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 58a)에 의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서 제2 분할 핸들(4)이 회전하지 않고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수납된다.
또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4i)가 상기 스토퍼부(5c)에 맞닿은 시점에서, 그 이상 제2 분할 핸들(4)은 제3 분할 핸들(5)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없게 된다.
도 8A의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돌기(57)가 제3 분할 핸들(5)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관통 구멍(63) 내로 들어간다. 이 때,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은 상기 관통 구멍(63)으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체결 돌기(57)의 걸림면(57a)이 관통 구멍(63)의 걸림 가장자리(63a)에 대향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에서 선단부 측으로 가장 길게 신장되어 나온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57)의 걸림면(57a)이, 관통 구멍(63)의 상기 걸림 가장자리(63a)에 대향함으로써,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로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걸려 고정(로크)된다.
제2 분할 핸들(4)과 제3 분할 핸들(5)의 상기 걸림을 해제할 때에는 손끝 등으로,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을 축 중심선(O)을 향해 눌러 넣어, 상기 걸림면(57a)을 걸림 가장자리(63a)로부터 벗긴다. 이에 따라, 체결 돌기(57)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를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로 향해 축 방향으로 수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은 제3 분할 핸들(5)의 대직경 내부 공간(5a)을 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조부(62)의 표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분할 핸들(5)의 기단부면(5d)에는 캡(70)이 끼워져 부착된다. 이 캡(70)은 상기 제3 분할 핸들(5)의 개구부(5e)에서 대직경 내부 공간(5a)을 향해 압입되는 폐쇄 통부(71)와, 그 후단에 위치하는 덮개부(72)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72)에는 현수 구멍(73a)을 규정하는 현수부(73)가 형성되고 있다. 이 현수부(73)를 가옥의 벽에 고정된 훅 등에 걸어서, 유지구(1)를 현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지 핸들(4)에는 상기 절결부(45)보다도 약간 선단부 근처에, 둘레벽을 관통하는 제1 구멍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구멍부(48)는 축 방향을 향해 형성된 긴 구멍이며, 선단부 측에 걸림 가장자리(48a)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제3 분할 핸들(5)의 기초부 측에는 제2 구멍부(65)와, 제2 구멍부(65)보다도 기단부면(5d) 측에 위치하는 제3 구멍부(66)가 둘레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구멍부(65)는 축 방향을 향해 긴 구멍 형상이며, 그 축 방향의 개구 치수는 상기 제1 구멍부(48)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제3 구멍부(66)는 거의 원형이다. 그리고, 제2 구멍부(65)에는 선단부 측에 걸림 가장자리(65a)가, 마찬가지로 제3 구멍부(66)에도 선단부 측에 걸림 가장자리(6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A는 도 2B의 X-X선의 단면도이며, 신축 핸들(2)이 가장 짧아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분할 핸들(4)가 제3 분할 핸들(5)의 기초부 측의 종단까지 눌려 들어가져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50)에 설치된 체결 돌기(57)가 상기 제3 구멍부(66) 내로 들어가고 있다. 다만,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의 경사부(57c)가, 제3 구멍부(66)의 걸림 가장자리(66a)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2 분할 핸들(4)에 선단부 방향으로의 잡아 빼는 힘을 부여하면, 상기 경사부(57c)가 상기 걸림 가장자리(66a)를 슬라이딩하여 탄성 팔(56)이 축 중심선(O)을 향해 변형시켜져,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57)가 제3 구멍부(66)으로부터 빠져 나와,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도 10A에서는,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의 기초부 측의 종단까지 눌려 들어가져 있다. 이 때 제2 분할 핸들(4)에 형성된 제1 구멍부(48)가, 제3 분할 핸들(5)에 형성된 제2 구멍부(65)의 내측에 대향한다. 따라서, 로크 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돌기(37)가 상기 제1 구멍부(48) 내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이 체결 돌기(37)가 제2 구멍부(65)의 내부로 향하고 있다. 이 때, 제2 구멍부(65)의 걸림 가장자리(65a)가 상기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의 선단부측 경사부(37e)에 대향하고 있다.
도 10A의 상태에서, 지지체(6) 또는 제1 분할 핸들(3)이 선단부 측으로 당겨지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에 설치된 체결 돌기(57)가 제3 구멍부(66)로부터 빠져 나와,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 내에 있어서 선단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이동을 시작할 때,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 돌기(37)의 선단부측 경사부(37e)가 제2 구멍부(65)의 걸림 가장자리(65a)에 의해서 축 중심선(O)을 향해서 눌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7)가 제2 구멍부(65) 내에서 빠져 나와, 그 단부면(37c)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주면의 돌조부(62)와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B의 상태에서는, 제2 분할 핸들(4)의 제1 구멍부(48)의 걸림 가장자리(48a)가 상기 체결 돌기(37)의 선단부측 경사부(37e)에 접하여, 제2 분할 핸들(4)이 제1 분할 핸들(3)에 가볍게 체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분할 핸들(3)와 제2 분할 핸들(4)은 상기 체결 돌기(37)에 의해 서로 걸린 채로의 상태에서, 함께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를 선단부 측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1 분할 핸들(3)의 제2 분할 핸들(4)로부터의 돌출에 선행하여 제2 분할 핸들(4)가 제3 분할 핸들(5) 내에서 신장되어 나온다.
그리고,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로부터 신장되어 나온 후에, 더욱 제1 분할 핸들(3)에 선단부 측으로의 잡아 당기는 힘을 부여하면, 체결 돌기(37)의 선단부측 경사부(37e)가 제2 분할 핸들(4)에 형성된 제1 구멍부(48)의 걸림 가장자리(48a)를 슬라이딩하여, 체결 돌기(37)가 제1 구멍부(48) 내에서 빠져 나와, 제1 분할 핸들(3)가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신장되어 나온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서 선행하여 신장되어 나온 후에, 계속하여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신장되어 나온다고 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신장되어 나온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3)과 제2 분할 핸들(4)이 체결 돌기(37)에 의해 서로 걸려 고정된다.
한편, 도 10A의 상태에서, 제2 구멍부(65) 내로 향하는 체결 돌기(37) 및 제3 구멍부(66) 내에 위치하는 체결 돌기(57)는 각각 제3 분할 핸들(5)의 외주면(5h)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3 분할 핸들(5)의 외주면을 커버 튜브(74) 및/또는 점착층을 갖는 테이프로 덮어, 상기 제2 구멍부(65) 및 제3 구멍부(66)를 막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부(65, 66)를 막음으로써, 밖에서 상기 구멍부(65, 66)가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6)에서는, 상기 지지 핸들(7)의 선단부에 있어서, 지지 본체(8)가 회동 연결부(81)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 연결부(81)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 핸들(7)의 내부에는 로크 기구부(8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크 기구부(82)에 의해서, 지지 본체(8)를 여러 가지 회동 각도로 로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 핸들(7)의 측부에는 상기 로크 기구부(82)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 조작 버튼(8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본체(8)는 상기 회동 연결부(8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84)를 지니고, 이 아암부(84)는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판형의 지지편(85, 85)으로 된다. 상기 지지편(85, 85)의 분기부에는 상기 지지편(85)과 지지편(85) 사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편(8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청소용 와이퍼(9)는 그 본체(91)가 부직포, 부직포의 적층체, 종이의 적층체, 발포 수지 재료 혹은 부직포와 TOW라 불리는 섬유의 다발과의 적층체 등으로 형성된 일회용이 가능하며 연질인 것이다. 상기 본체(91)의 상면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유지 시트(92)가 중첩되어 있다. 상기 본체(91)와 유지 시트(92)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측부 접합선(93, 93)과 양 측부 접합선(93과 93)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된 중앙 접합선(94)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91)와 유지 시트(92)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측부 접합선(93)과 중앙 접합선(94)에 의해 끼워진 유지 공간부(95, 9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본체(8)의 지지편(85, 85)을 상기 유지 공간부(95, 95)내에 찔러 넣으면, 상기 누름편(86)이 유지 시트(92)의 상면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본체(8)에 부착된 상기 청소용 와이퍼(9)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상기 유지구(1)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우선 로크 부재(30)를 제1 분할 핸들(3)의 기단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3)을, 개구부(4e)에서 제2 분할 핸들(4)로 삽입하고,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를 개구부(4g)에서 선단부 측으로 돌출시킨다. 제1 분할 핸들(3)을 삽입한 후에, 제2 분할 핸들(4)의 개구부(4e)에 로크 부재(50)를 장착한다. 그리고, 내부에 제1 분할 핸들(3)이 수납되어 있는 제2 분할 핸들(4)를, 개구부(5e)에서 제3 분할 핸들(5)로 삽입하고, 제2 분할 핸들(4)의 선단부를 개구부(5g)에서 선단부 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5e)에 캡(70)을 끼워 부착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제1 분할 핸들(3)의 선단부에 지지체(6)의 지지 핸들(7)을 끼워 맞춰 부착한다.
다음에, 상기 유지구(1)의 신축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 도 1B는 신축 핸들(2)이 가장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핸들(3)에 장착된 로크 부재(30)의 체결 돌기(37)가 제2 분할 핸들(4)의 관통 구멍(42)에 끼워 맞춰져 걸려 고정(로크)되어 있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에 장착된 로크 부재(50)의 체결 돌기(57)가 제3 분할 핸들(5)의 관통 구멍(63) 내에 끼워 맞춰져 걸려 고정(로크)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지지체(6)의 지지 본체(8)에 부착한 청소용 와이퍼(9)에 의해, 곁에서 떨어진 부분의 쓰레기나 먼지를 닦아낼 수 있다.
도 1A, 도 1B의 상태로부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핸들(2)을 수축시키려면, 우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분할 핸들(5)에 형성된 관통 구멍(63) 내에 결합중인 체결 돌기(57)를 손가락으로 눌러 넣는다. 이에 따라, 제2 분할 핸들(4)과 제3 분할 핸들(5)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지지체(6)의 지지 핸들(7)또는 제1 분할 핸들(3)을 기초부 방향으로 누르면, 제1 분할 핸들(3)과 제2 분할 핸들(4)이 체결 돌기(37)에 의해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57)의 단부면(57b)이 제3 분할 핸들(5)의 돌조부(62)를 슬라이딩하여,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수납 동작이 완료되기 직전에, 도 2A 및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의 외주면(4h)에서 돌출되고 있는 체결 돌기(37)의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제3 분할 핸들(5)의 선단면(5f)에 접촉한다. 따라서 그대로 제1 분할 핸들(3)을 제3 분할 핸들(5)로 향해 눌러 넣으면, 상기 기초부측 경사부(37d)가 상기 선단면(5f)에서 눌리어, 체결 돌기(37)의 단부면(37c)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주면까지 눌려 들어간다. 이 때에 체결 돌기(37)가 눌려 들어가는 치수는 도 6A에 도시하는 h1이며, 이것은 체결 돌기(37)의 제1 걸림면(37a)과 관통 구멍(42)의 걸림 가장자리(42a)와의 걸림부의 높이 치수(h2) 보다도 크다. 따라서 도 9A의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3)을 기초부 방향으로 눌러 넣으면, 제1 걸림면(37a)과 걸림 가장자리(42a)와의 걸림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체결 돌기(57)를 눌러 제2 분할 핸들(4)과 제3 분할 핸들(5)의 걸림을 해제한 후에도 지지 핸들(7) 또는 제1 분할 핸들(3)에 기초부 방향의 힘을 계속해서 부여하는 것만으로, 신축 핸들(2)을 도 1A, 도 1B의 완전 신장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하는 완전 수축 상태로 바꿀 수 있다.
제1 분할 핸들(3), 제2 분할 핸들(4) 및 제3 분할 핸들(5)로 이루어지는 신축 핸들(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도 10A의 X-X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의 기초부에 설치된 체결 돌기(57)가 제3 분할 핸들(5)의 제3 구멍부(66) 내로 들어가 가벼운 걸림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분할 핸들(3)의 기초부에 설치된 체결 돌기(37)는 제2 분할 핸들(4)에 형성된 제1 구멍부(48)에 끼워 맞춰져 서로 걸려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체결 돌기(37)가 제3 분할 핸들(5)에 형성된 제2 구멍부(65)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축 핸들(2)이 수축 상태일 때에,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 제2 분할 핸들(4)가 가볍게 걸리고, 또한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 제1 분할 핸들(3)이 수납되어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축 핸들(2)은 수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7)를 갖는 탄성 팔(36)과, 체결 돌기(57)를 갖는 탄성 팔(56)에 대하여, 축 중심선(O)을 향해서 크게 변형시키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축 핸들(2)이 수축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되더라도, 탄성 팔(36과 56)이 변형되거나 탄성력이 약해지는 일이 없다.
도 2B의 상태로부터, 지지 핸들(7) 또는 제1 분할 핸들(3)을 유지하여 선단부(Y1방향)을 향해 당겨 빼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57)와 제3 구멍부(66)와의 걸림이 벗겨져 제2 분할 핸들(4)이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분할 핸들(4)이 선행하여 제3 분할 핸들(5) 내에서 신장되어 나와 있어, 제2 분할 핸들(4)과 제3 분할 핸들(5)이 체결 돌기(57)에 의해 걸려 고정된 후, 더욱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 내에서 선단부 측으로 신장되어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돌기(37)에 의해, 제1 분할 핸들(3)와 제2 분할 핸들(4)이 걸려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우선, 도 7에서는 제2 분할 핸들(4)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50)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58a)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가 로크 부재(50)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상기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58a)가 제2 분할 핸들(4)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혹은,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44와 58a) 중 어느 한 쪽만이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 5에서,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가 로크 부재(30)에 형성되고 있더라도 좋고, 제1 분할 핸들(3) 및 로크 부재(30)의 각각에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할 핸들(4)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41)가 형성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도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61, 62)가 형성되고 있지만, 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돌조부 대신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각 회전 정지 슬라이딩 오목부(21, 44, 58a) 대신에, 상기 홈부 내를 슬라이딩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 볼록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 돌기(37)에 형성되어 있는 기초부측 경사부(37d)와 선단부측 경사부(37e)가 곡면 형상이 아니고, 평면형의 경사면이라도 좋다. 이것은 체결 돌기(57)의 경사부(57c)에서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안되며,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서의 특징에 대해 포함되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신축 핸들이 신장된 상태 및 줄어든 상태로 안정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핸들을 늘리는 조작과 줄이는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관련 출원의 표시>
본 출원은 2002년 7월 22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2-21275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되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Claims (10)

  1. 축 방향에 대향하는 선단부와 기초부를 지니고,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중공 원통인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 내에 축 방향으로 끼워 맞춰지는 것인 적어도 2개의 분할 핸들로 이루어지는 신축 핸들(2)과,
    청소용 와이퍼의 부착을 위해서 상기 신축 핸들(2)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체(6)로 이루어지는 청소용 와이퍼를 위한 유지구에 있어서,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팔과, 이 탄성 팔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설치되고,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둘레벽에는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이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로부터 소정 길이 신장되어 나왔을 때에, 상기 체결 돌기와 끼워 맞추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바깥쪽에서 상기 체결 돌기를 눌러 상기 관통 구멍과의 끼워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의 기단에서 내부로 향해 상기 탄성 팔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로크 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이 로크 부재와 상기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 사이에, 상기 로크 부재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요철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기초부 측의 분할 핸들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 측의 분할 핸들 및 이것에 장착되는 로크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돌조부 또는 홈부에 체결하여 슬라이딩되는 회전 정지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핸들(2)은 가장 신장된 상태로 선단부 측에서 기초부 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제1 분할 핸들(3), 제2 분할 핸들(4) 및 제3 분할 핸들(5)를 지니고, 제1 분할 핸들 및 제2 분할 핸들(3, 4)에 상기 탄성 팔(36, 56) 및 상기 체결 돌기(37, 57)가 설치되고, 제2 분할 핸들과 제3 분할 핸들(4, 5)에 상기 관통 구멍(42, 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37)에는 상기 신축 핸들(2)의 기초부 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부(37d)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분할 핸들(4)이 제3 분할 핸들(5)의 내부에 수납되어 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37d)가 제3 분할 핸들(5)의 선단에 맞닿아 제1 분할 핸들(3)의 상기 체결 돌기(37)가 축 중심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제1 분할 핸들(3)의 상기 체결 돌기(37)와 제2 분할 핸들(4)의 상기 관통 구멍(42)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것인 유지구.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상기 탄성 팔(36)은 상기 신축 핸들(2)의 기초부 측을 향한 자유단을 지니고, 이 자유단에 상기 체결 돌기(3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7. 제4항에 있어서, 제2 분할 핸들(4)에는 이 제2 분할 핸들(4)에 설치된 체결 돌기(57)보다 선단부 측에 있어서 그 둘레벽을 관통하는 제1 구멍부(48)가 형성되고, 제3 분할 핸들(5)에는 이 제3 분할 핸들(5)에 설치된 체결 돌기(63)보다 기초부 측에 있어서 그 둘레벽을 관통하여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둔 제2 구멍부와 제3 구멍부(65, 6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 핸들(2)이 최단으로 수축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구멍부(48)와 상기 제2 구멍부(65)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되어, 상기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37)가 상기 제1 구멍부(48)에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멍부(65)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분할 핸들(4)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57)가 상기 제3 구멍부(66) 내에 위치하는 것인 유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핸들(2)이 최단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제1 분할 핸들(3)가 선단부 측으로 당겨졌을 때에,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체결 돌기(37)가 상기 제1 구멍부(48)로 끼워맞춰진 상태는 유지한 채로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37)와 제2 분할 핸들(4)에 설치된 상기 체결 돌기(57)가 상기 제2 구멍부와 상기 제3 구멍부(65, 66)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제2 분할 핸들(4)가 제3 분할 핸들(5)로부터 돌출되고, 그 후에 제1 분할 핸들(3)에 설치된 체결 돌기(37)가 상기 제1 구멍부(48)부터 벗겨져 제1 분할 핸들(3)이 제2 분할 핸들(4)로부터 돌출되는 것인 유지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는 상기 신축 핸들(2)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인 유지구.
  10. 제1항에 기재한 유지구 및 상기 지지체(6)에 장착되는 청소용 와이퍼(9)로 이루어지는 청소 물품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와이퍼(9)는 적어도 부직포 또는 종이를 지니거나, 혹은 적어도 부직포와 섬유의 다발이 조합되어 형성된 일회용의 것이며, 상기 청소용 와이퍼(9)가 상기 지지체(6)에 지지되는 것인 청소 물품.
KR1020057001089A 2002-07-22 2003-07-18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KR10100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2756A JP4302948B2 (ja) 2002-07-22 2002-07-22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JP-P-2002-00212756 2002-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01A true KR20050026501A (ko) 2005-03-15
KR101004301B1 KR101004301B1 (ko) 2010-12-28

Family

ID=3193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089A KR101004301B1 (ko) 2002-07-22 2003-07-18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219386B2 (ko)
EP (1) EP1523920B1 (ko)
JP (1) JP4302948B2 (ko)
KR (1) KR101004301B1 (ko)
CN (1) CN100370943C (ko)
AR (1) AR040610A1 (ko)
AT (1) ATE413132T1 (ko)
AU (1) AU2003290296B2 (ko)
CA (1) CA2492667C (ko)
DE (1) DE60324561D1 (ko)
EG (1) EG24592A (ko)
ES (1) ES2315513T3 (ko)
MX (1) MXPA05000911A (ko)
MY (1) MY134729A (ko)
TW (1) TWI273899B (ko)
WO (1) WO2004017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2171A1 (ja) * 2004-03-29 2005-10-06 Yamada, Chiyoe 清掃具及びそれに用いる保持部材
US20060010625A1 (en) * 2004-07-14 2006-01-19 Zuko, Llc Cleansing system with disposable pads
DE102004047162A1 (de) * 2004-09-29 2006-04-06 Carl Freudenberg Kg Stiel für ein Reinigungsgerät
US7346255B2 (en) * 2004-11-15 2008-03-18 Fujikura Ltd. Tool for optical connector and tool equipped optical connector
US7891898B2 (en) *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7802340B2 (en) * 2004-12-14 2010-09-28 S.C. Johnson & Son, Inc. Extendable cleaning implement having two support heads
US7566671B2 (en) * 2005-01-28 2009-07-28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US7740412B2 (en)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20060171767A1 (en) * 2005-01-28 2006-08-03 Hoadley David A Cleaning device with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976235B2 (en)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US20060230561A1 (en) * 2005-04-19 2006-10-19 Andre Sampaio Duster with handle insert
US20060260082A1 (en) * 2005-05-20 2006-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US7617560B2 (en) * 2005-08-23 2009-11-17 Randy Argo Compact collapsible squeegee
WO2007046252A1 (ja) * 2005-10-19 2007-04-26 Kao Corporation 清掃具
US7716790B2 (en) * 2005-12-22 2010-05-18 Robert D. Newman, Jr. On-the-go adjustable extension pole providing hands-free too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US8151402B2 (en) * 2006-03-09 2012-04-10 Kao Corporation Cleaning article, method of fluffing cleaning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article
US20070212157A1 (en) * 2006-03-13 2007-09-13 Hoadley David A Fringeless cleaning or dusting pad
US7650665B2 (en) 2006-07-18 2010-01-26 Kimberly-Clark Worlwide, Inc. Mop assembly with fastener channels
US7574768B2 (en) * 2006-07-18 2009-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Quick-release handle and interchangeable cleaning system
US7735182B2 (en) * 2006-07-18 2010-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p assembly with reversible head
US7624468B2 (en) * 2006-07-18 2009-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mop with multi-layer substrate
US7655852B2 (en) * 2006-07-27 2010-02-02 Sullivan George V Single reed woodwind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apparatus and method
US9643266B1 (en) * 2006-10-27 2017-05-09 Battenfeld Technologies, Inc. Extendable folding saw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US20080295779A1 (en) * 2007-05-30 2008-12-04 Dehoff Debra A Cage cleaning device
GB0713898D0 (en)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JP5052249B2 (ja) * 2007-08-0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4922102B2 (ja) * 2007-08-24 2012-04-25 花王株式会社 棒状具
KR200445144Y1 (ko) 2007-12-20 2009-07-02 조민수 다목적 3단 파괴기
DE102009014681A1 (de) * 2009-03-25 2010-09-30 Leifheit Ag Stiel, insbesondere Teleskopstiel zum Befestigen eines Arbeitsgeräts
TWM372694U (en) * 2009-07-21 2010-01-21 Younker Products Co Ltd Cleaning tool
US8578564B2 (en) 2009-11-05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removable cleaning implement
US10441120B1 (en) * 2010-04-30 2019-10-1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Universal connecting members
GB2487730B (en) * 2011-02-01 2014-05-14 Lisa Lambert Equine grooming device
FR2977468B1 (fr) * 2011-07-05 2014-09-05 Julien Jean Georges Coste Dispositif de nettoyage repliable
US11628554B2 (en) 2011-09-22 2023-04-18 Resh, Inc. Telepole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JP5871555B2 (ja) * 2011-10-14 2016-03-01 花王株式会社 パイプ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掃除具
CN103040420B (zh) * 2011-10-17 2015-11-25 杨雅菁 折叠式除尘掸
JP2013119010A (ja) * 2011-12-08 2013-06-17 Nifco Inc モップ取付用掃除具
US20130234458A1 (en) * 2012-02-24 2013-09-12 Follow Thru, Llc Zipper pulling tool
JP5894483B2 (ja) * 2012-03-29 2016-03-30 花王株式会社 柄の連結構造
JP5961425B2 (ja) * 2012-03-30 2016-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TW201340926A (zh) * 2012-04-13 2013-10-16 Ya-Jing Yang 自動對摺變長變短的除塵撢手柄
JP6062159B2 (ja) * 2012-05-28 2017-01-18 株式会社ニトムズ 伸縮シャフトおよび清掃具
US9273763B2 (en) * 2012-07-03 2016-03-01 Elston Window & Wal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ing/locking and opening/closing windows
ITMI20130294A1 (it) * 2013-02-28 2014-08-29 Nespoli Group S P A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attrezzi
US8800113B1 (en) * 2013-03-15 2014-08-12 Blackstone Medical, Inc. Rigid modular connector
TWI576079B (zh) * 2013-03-28 2017-04-01 Oimo Ind Co Ltd Three-dimensional cyclone dust
US9138043B1 (en) 2013-05-07 2015-09-22 Virgil B. Meier Universal container holder and means for application
JP6105425B2 (ja) * 2013-07-25 2017-03-29 花王株式会社 棒状具
JP6235829B2 (ja) * 2013-08-19 2017-11-22 株式会社サニクリーン 清掃具
WO2015067317A1 (en) * 2013-11-08 2015-05-14 Husqvarna Ab Coupling apparatus for telescoping tubes
CN104920087B (zh) * 2014-03-17 2017-10-1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一种延伸杆和具有该延伸杆的动力工具
US10945381B1 (en) 2014-07-02 2021-03-16 Outdoor Product Innovations, Inc. Modular tools with detachable coupling
US10091948B2 (en) * 2014-07-02 2018-10-09 Wicked Tuff Gear, Llc Light pole saw
CN204140574U (zh) * 2014-08-22 2015-02-04 奇立科技有限公司 伸缩管体及具有该伸缩管体的手杖及晒衣竿
EP2995321B1 (en) 2014-09-15 2017-07-26 Procter & Gamble International Operations SA A consumer goods product comprising chitin nanofibrils, lignin and a polymer or co-polymer
US20160106294A1 (en) 2014-10-16 2016-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Kit having a package containing cleaning implements, package therefor and blank therefor
DE102014226484A1 (de) * 2014-12-18 2016-06-23 Mahle International Gmbh Clipsverbindung
WO2016120878A1 (en) 2015-01-29 2016-08-04 Lil Monkey Ltd. A spring for connecting a pipe to a connector
JP6486203B2 (ja) * 2015-05-29 2019-03-20 河部精密工業株式会社 手動利器
US9370282B1 (en) * 2015-07-22 2016-06-21 Paris Presents Incorporated Bath brush with retractable handle
JP5976907B1 (ja) * 2015-08-17 2016-08-24 株式会社コスモ精機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
WO2017106417A1 (en)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moistened fibrous structures exhibiting increased capacity
US20170164808A1 (en) 2015-12-15 2017-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Moistened Fibrous Structures Exhibiting Increased Mileage
WO2017106422A1 (en)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ressible pre-moistened fibrous structures
EP3390718B1 (en) 2015-12-15 2021-03-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solid additive levels
WO2017106421A2 (en)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moistened fibrous structures
EP3686343B1 (en) 2015-12-15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three or more regions
EP3390719B1 (en) 2015-12-15 2021-03-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regions having different micro-ct intensive property values and associated transition slopes
US9963230B2 (en) 2016-01-11 2018-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erial drone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a target surface therewith
WO2017160900A1 (en) 2016-03-15 2017-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ultra short pulse laser source
EP3429525A1 (en) 2016-03-15 2019-01-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ultra short pulse laser source
WO2017160899A1 (en) 2016-03-15 2017-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ultra short pulse laser source
JP6568004B2 (ja) * 2016-03-31 2019-08-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玉網
WO2018013498A2 (en) * 2016-07-12 2018-01-18 Kurani Hemant Chandrakant Adaptable pole for a pool device
US11172803B2 (en) 2016-08-12 2021-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sheets having coating thereon
JP6628708B2 (ja) * 2016-09-13 2020-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CA3043527C (en) 2016-12-08 2021-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moistened cleaning pads
EP3551150A1 (en) 2016-12-08 2019-10-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having a contact surface
WO2018106854A1 (en) 2016-12-08 2018-06-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pad with split core fibrous structures
CN106765237A (zh) * 2016-12-22 2017-05-31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壁炉管道清洁的棒子
CN106765223A (zh) * 2016-12-22 2017-05-31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烟囱清洁的连接头
JP6469073B2 (ja) * 2016-12-28 2019-0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879757B2 (ja) * 2017-02-08 2021-06-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のアーム部
US10787835B2 (en) * 2017-03-05 2020-09-29 Beach House Group Limited Play structure tube connector and system
CN107192797A (zh) * 2017-07-19 2017-09-22 常州合众电气有限公司 六氟化硫气体浓度检测仪
CN111417507B (zh) 2017-12-07 2022-04-15 宝洁公司 柔性粘结
US11333182B2 (en) * 2018-03-12 2022-05-17 James R. Conrad Telescopic pole and locking mechanism
JP6567116B1 (ja) * 2018-03-20 2019-08-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用のアーム部
FR3081842B1 (fr) * 2018-05-29 2021-05-21 Arianegroup Sas Moyens de verrouillage et de retenue de segments de dispositif porteur deployable et dispositif porteur deployable les comprenant
JP7274829B2 (ja) * 2018-06-29 2023-05-17 株式会社ダスキン ボタン式清掃具
CN108937763B (zh) * 2018-07-16 2020-09-29 佛山市高明区杨和金属材料专业镇技术创新中心 一种多功能扫把
JP7268978B2 (ja) * 2018-08-30 2023-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具用柄及び清掃具
US11389986B2 (en) 2018-12-06 2022-07-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liant anvil
US11744432B1 (en) * 2019-05-06 2023-09-05 Contec Inc. Adjustable dusting tool and related method
US20210022327A1 (en) * 2019-07-17 2021-01-28 Michael Barber Telescoping pole spear
US11143229B1 (en) * 2020-11-13 2021-10-12 Rodger Gabriel Marchisset Biasing positioning element
JP7482004B2 (ja) * 2020-11-26 2024-05-13 株式会社マキタ 作業機
KR102494417B1 (ko) * 2020-12-16 2023-02-06 박현욱 청소용구의 손잡이 스틱
CN114321608A (zh) * 2022-01-04 2022-04-12 上海航天电子通讯设备研究所 一种电动升降杆
EP4299254A1 (en) * 2022-07-01 2024-01-03 Filmop International s.r.l. Telescopic handle with anti-sli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4301A (en) * 1936-03-12 1938-10-25 Carl F Guggenbuehler Universal utility extension mop
JPS49147874U (ko) 1973-04-16 1974-12-20
JPS5094037A (ko) 1973-12-24 1975-07-26
JPS50155857A (ko) 1974-06-07 1975-12-16
JPS5185273A (ja) 1975-01-22 1976-07-26 Takeshi Abiru Burashihorudaa
JPS54116960A (en) 1978-03-03 1979-09-11 Hitachi Ltd Electromagnetic flow meter
JPS5713183A (en) 1980-06-26 1982-01-23 Chlorine Eng Corp Ltd Method for recovering amino acid and caustic alkali from alkali salt of amino acid
DE3234704A1 (de) * 1982-09-18 1984-03-22 Roman Dietsche KG, 7868 Todtnau Besen, schrubber od. dgl. mit am buerstenkoerper loesbar befestigtem stiel
JP3057754B2 (ja) 1990-11-22 2000-07-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回路および分散処理システム
US5305882A (en) * 1991-12-10 1994-04-26 Kaplan Alan F Self-storing collapsible implement
CN2179742Y (zh) * 1994-01-20 1994-10-19 林耿男 具有拧干装置之拖把
CN2193304Y (zh) * 1994-05-04 1995-03-29 丰含午 自行车伞夹持器
US5593196A (en) * 1994-11-29 1997-01-14 Hastings Fiber Glass Products, Inc. Telescopic hot stick
JPH0938009A (ja) 1995-08-01 1997-02-10 Kao Corp 清掃布、清掃具の柄及び清掃具
JP2977477B2 (ja) 1995-12-08 1999-11-1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CN1241520C (zh) * 1995-08-01 2006-02-15 花王株式会社 清洁布
CA2199701A1 (en) * 1996-06-13 1997-12-13 Invacare Corporation Integral snap button and anti-rattle member
JPH1043116A (ja) 1996-08-05 1998-02-17 Kao Corp 清掃具の柄
JP3666772B2 (ja) 1997-02-26 2005-06-29 花王株式会社 伸縮棒状具
US6213672B1 (en) * 1997-10-21 2001-04-10 George J. Varga Telescoping pole & cleaning tool
JPH11123672A (ja) 1997-10-24 1999-05-11 Kao Corp 伸縮棒状具
JP2000046021A (ja) 1998-07-30 2000-02-15 Teramoto Corp 伸縮ロッドおよびこの伸縮ロッドを用いた柄付き用具
JP4170477B2 (ja) 1998-11-17 2008-10-22 寛 藤田 掃除具
US6123672A (en) * 1998-12-31 2000-09-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flow imaging for enhancing segmentation and flow dynamics
US6371686B1 (en) * 2000-06-28 2002-04-16 Tsun-Zong Wu Central shaft for collapsible umbrella
JP2002017640A (ja) 2000-07-04 2002-01-22 Teramoto Corp 清掃用具のヘッドホルダ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0943C (zh) 2008-02-27
JP2004049628A (ja) 2004-02-19
EP1523920A4 (en) 2007-01-24
CN1668239A (zh) 2005-09-14
ES2315513T3 (es) 2009-04-01
CA2492667A1 (en) 2004-03-04
AU2003290296B2 (en) 2009-07-30
AR040610A1 (es) 2005-04-13
AU2003290296A1 (en) 2004-03-11
MXPA05000911A (es) 2005-03-23
CA2492667C (en) 2009-06-02
ATE413132T1 (de) 2008-11-15
EG24592A (en) 2009-12-08
MY134729A (en) 2007-12-31
TWI273899B (en) 2007-02-21
KR101004301B1 (ko) 2010-12-28
TW200403038A (en) 2004-03-01
EP1523920B1 (en) 2008-11-05
JP4302948B2 (ja) 2009-07-29
WO2004017806A1 (ja) 2004-03-04
US20050097691A1 (en) 2005-05-12
US7219386B2 (en) 2007-05-22
EP1523920A1 (en) 2005-04-20
DE60324561D1 (de)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301B1 (ko)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KR101004306B1 (ko)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US5152626A (en) Writing pen with retractable clip
JP2020522360A (ja) 針自動後退型採血針
US5199811A (en) Telescopic construction
JP4594595B2 (ja) 伸縮ロッド、および清掃用具
JPS586640B2 (ja) ヨコホウコウニカドウナ クリツプオユウスルヒツキグ
USD445453S1 (en) Writing instrument
CN111757794B (zh) 清扫工具用的臂部
JPH0320197U (ko)
JP3668522B2 (ja) キャップレス筆記具
JP2519017Y2 (ja) 出没式筆記具
JP2001355615A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6879757B2 (ja) 清掃具用のアーム部
JP2003275309A (ja) 注射器用針カバー
JPH0534331Y2 (ko)
JP2006263004A (ja) チップ係止具
USD468984S1 (en) Drill chuck attachment for use with extendable spline-drive socket assembly
JP3054862U (ja) 移動電話用アンテナ
JP2000084078A (ja) 針キャップ付き注射器
JP2021003250A (ja) 清掃シート保持補助具
JP2561592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3448286B2 (ja) 出没式筆記具
JP2527418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513162U (ja) 伸縮式元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