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616A -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616A
KR20050020616A KR1020040062714A KR20040062714A KR20050020616A KR 20050020616 A KR20050020616 A KR 20050020616A KR 1020040062714 A KR1020040062714 A KR 1020040062714A KR 20040062714 A KR20040062714 A KR 20040062714A KR 20050020616 A KR20050020616 A KR 2005002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elt
nozzle
suction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965B1 (ko
Inventor
진노야스시
시미즈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94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87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6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404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6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404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6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880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08B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흡인 구멍을 갖는 구동 가능한 벨트를 흡인 노즐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흡인 장치에 의한 흡인 동작을 흡인 구멍으로 좁혀서, 강한 흡인력을 유지하면서 흡인 풍량을 감소시켜서 흡인 장치의 출력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벨트를 구동시켜서 흡인 구멍을 이동시킴으로써 흡인하는 장소를 변경하고, 흡인 노즐의 동작에 맞춰서 에어 필터상을 스위프 동작시킴으로써, 에어 필터의 전 영역을 청소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WITH AN INDOOR UNIT HAVING A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FOR AN AIR FILTER}
본 발명은, 실내 유닛의 공기 흡입구에 설치된 에어 필터(air filter)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 유닛의 열교환기의 전면(前面)에, 실내 유닛의 본체 내부에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에어 필터는 부착된 먼지를 손이나 외부의 전기 청소기등으로써 청소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 필터는, 빈번한 보수(補修)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보수가 실행될 때까지의 동안에, 에어 필터가 서서히 막혀서, 그 결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풍량(風量)이 저하하여 공기 조절 능력이 저하해서 소비 전력의 증대로 연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에어 필터의 보수의 수고를 저감할 목적으로, 구동축에 팽팽하게 걸쳐 놓은 벨트 형상의 에어 필터와, 에어 필터의 표면에 접하는 회전 브러시를 설치하고, 구동축을 회전시켜서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면서, 그 표면에 퇴적한 먼지를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켜서 긁어내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6-74521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브러시와 에어 필터가 서로 문지르므로, 브러시에 먼지가 휘감기거나, 브러시가 마모 또는 변형되어서 집진 성능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브러시로 긁어 떨어뜨려서 수집한 먼지를 처리할 필요가 있고, 보수의 수고가 대폭 경감되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브러시가 에어 필터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설치되므로, 브러시의 회전에 높은 토크(torque)를 필요로 하고, 그 때문에 브러시의 구동 수단이 커지게 되어서, 그 수용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실내 유닛 본체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로서는,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흡인 노즐로써 흡인 청소하고, 흡인된 먼지를 집진 장치로 집진하거나, 실외에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있어서, 에어 필터 전면(全面)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흡인 노즐에 에어 필터의 전 길이에 상당하는 긴 슬릿(slit) 형상의 흡인 구멍을 형성하여, 흡인 구멍으로부터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흡인 청소하는 것이 좋지만, 흡인 구멍의 전 영역으로부터 흡인하는 경우에는, 흡인 풍량이 많아져서 흡인 장치의 출력이 매우 커지므로, 많은 전력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실내 유닛 본체 내부에의 흡인 장치의 내장(內藏)이 곤란하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출력이면서 소형의 흡인 장치로써 에어 필터의 흡인 청소를 실행할 수 있는, 보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흡인하는 구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흡인 노즐은, 노즐에 형성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덮어씌우면서 개구부를 따라서 구동 가능한 벨트를 구비하고, 벨트에는 흡인부가 되는 흡인 구멍이 형성되어서, 벨트를 구동함으로써 흡인하는 장소를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흡인 장치에 의한 흡인은 흡인 구멍으로 좁혀지므로, 강한 흡인력을 유지하면서 흡인 풍량을 저감하고, 흡인 장치의 출력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흡인 청소할 수 있는 것은 벨트상에 형성된 흡인 구멍의 아래에 있는 열교환기 부분만이 되지만, 흡인 노즐을 왕복시킬 때마다 벨트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열교환기 전면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극히 소출력의 흡인 장치라도 에어 필터 전면을 충분히 흡인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벨트는 극히 얇은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얇게 함으로써, 벨트 구동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벨트의 흡인 구멍 이외의 개소가 노즐 개구부에 흡착되어서 밀봉되므로 흡인 구멍 이외에서의 흡인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흡인 구멍에서의 흡인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단, 극히 얇은 벨트를 사용한 경우, 벨트의 강도가 저하할 염려가 있으므로, 벨트의 양단(兩端) 부분 등 벨트의 일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벨트에 소정의 강도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벨트의 흡인 구멍의 주위를 두껍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벨트는 구동시에 끌어당겨지므로, 개구된 흡인 구멍의 부분은 파열되기 쉽지만, 흡인 구멍의 주위를 두껍게 함으로써, 얇은 벨트를 사용하면서 흡인 구멍 부분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 노즐에는 벨트 부분을 따라서 브러시를 배치하면, 에어 필터상에 강하게 부착되어서 흡인 청소만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먼지도, 브러시의 긁어내는 힘을 이용해서 청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인 노즐에는 벨트를 끼우도록 벨트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벨트의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벨트가 뜨는 것을 억제하여, 벨트의 흡인 구멍 이외의 개소가 흡착되어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 필터를 따라서 흡인 노즐을 구동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벨트 가이드는 에어 필터 표면 가까이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하여 에어 필터 표면을 청소하는 경우, 흡인력은 흡인 구멍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급격하게 저하한다. 흡인 구멍은 에어 필터 표면에 가까울수록 좋으므로, 가이드를 에어 필터 표면 가까이까지 연장함으로써 강한 흡인 청소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인 노즐에 벨트 부분을 따라서 브러시를 배치하는 경우, 벨트 가이드는 브러시 부근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인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흡인 제거할 수 있고, 흡인 노즐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벨트에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흡인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흡인 구멍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흡인 장치의 출력은 일정한 채로, 열교환기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서 흡인력을 적절하게 이용하거나, 큰 흡인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흡인 노즐로써 환기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인 구멍의 위치나, 흡인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흡인 장치의 출력을 가변으로 하는 기능을 설치하면, 에어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서 흡인력을 변경하거나, 또는 환기용 풍량을 설정하는 것 등, 상황에 더욱 적합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흡인 노즐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흡인 구멍이 형성된 필름 형상의 벨트를 흡인 노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흡인 노즐과 벨트를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에어 필터의 전 영역에 걸쳐서 부착된 먼지의 흡인이 가능한 동시에,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흡인 장치의 출력이 작아도 강한 흡인력을 유지하면서 흡인 풍량을 저감할 수 있고, 그 만큼 흡인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흡인 노즐은,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에 대향하여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벨트는 개구부를 덮어씌우는 동시에 개구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벨트를 복수의 롤러로 지지하여 기어(gear)로써 이동시키도록 하면, 벨트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의 근방에 벨트를 누르는 롤러(roller)를 설치함으로써, 벨트에 형성한 구멍에 맞물리는 기어의 톱니의 맞물림 수가 증대하여, 벨트를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흡인 노즐에 형성함으로써, 벨트의 흡인 구멍이 노즐에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하게 벨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흡인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적어도 1 개소를 핀(pin)으로 대용하면, 롤러의 부착 스페이스가 적어지고, 그 만큼 노즐내의 통풍로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흡인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는,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적어도 1 개소를 노즐의 표면에 형성한 매끄러운 볼록 형상부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노즐의 통풍로 면적을 더욱 확대할 수 있어서 흡인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노즐의 절곡(折曲) 각부(角部)의 돌출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실내 유닛 본체에의 노즐의 수용성(收容性)이 향상된다.
또한,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벨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세(加勢)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면, 흡인 노즐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의 치수 및 조립에 의한 편차로부터 발생하는 벨트의 이완(弛緩)을 흡수할 수 있어서, 벨트를 항상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흡인 노즐은, 먼지 흡인용 흡인 구멍과,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흡인 구멍 개폐판(開閉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흡인 구멍 개폐판으로써 흡인 구멍의 일부만을 순차적으로 개구시켜서, 흡인 노즐을 이동시키면서 흡인하면, 흡인 풍량이 좁혀져서, 흡인 구멍에서의 강한 흡인력을 확보하면서, 흡인 풍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작은 동력의 흡인 장치로써 에어 필터 전면의 흡인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으로써 흡인 구멍을 모두 열어서 흡인하면, 흡인 구멍에서의 풍속이 저하하여 통풍 저항이 대폭으로 감소하는 동시에, 흡인 장치의 출력은 동일해도 풍량은 크게 증가하여, 이것을 이용해서 방의 공기의 환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을 모두 닫음으로써, 흡인 장치의 대기시에 흡인 노즐측에 공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하면, 흡인 노즐을 얇게 구성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하면, 흡인 노즐을 얇고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 본체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 또는 회전시켜서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하면, 흡인 노즐의 폭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흡인 노즐에 의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통 풍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흡인 노즐의 내장(內藏)과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이 흡인 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과, 흡인 구멍 개폐판에 연결된 와이어를 설치하고, 스프링의 가세력(加勢力)에 대항하여 와이어를 구동시켜서 흡인 구멍 개폐판의 이동 또는 회전을 실행하도록 하면, 구동력 전달에 가느다란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흡인 노즐을 얇게 구성할 수 있어서, 흡인 노즐의 부가에 의한 실내 유닛 본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의 구동은, 흡인 구멍 개폐판에 형성한 톱니와, 이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한 모터, 또는, 흡인 구멍 개폐판에 형성된 나사 홈과, 나사 홈에 맞물리는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로써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인 구멍 개폐판의 개폐 동작을 강한 힘으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흡인 구멍의 개폐 동작 불량에 의한 흡인 청소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 개폐판의, 흡인 구멍의 주변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밀봉재를 설치하면, 흡인 구멍의 주위에 만일 먼지 등의 이물(異物)이 부착되어도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의 흡인 구멍으로써 먼지를 흡인중에, 기타의 흡인 구멍이 이물에 의해서 불완전한 닫힘 상태에 있어도, 흡인 누설, 나아가서는 흡인 청소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흡인 노즐은, 슬릿 형상의 개구부와, 복수의 흡인 구멍을 어긋나게 배치한 흡인 구멍 절환판을 구비하여, 흡인 구멍 절환판을 흡인 노즐의 개구부상에서 이동시켜서 흡인 위치를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흡인 노즐을 에어 필터의 표면을 따라서 왕복시킬 때마다 흡인 구멍 절환판을 개구부상에서 이동시켜서, 흡인하는 흡인 구멍을 순차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에어 필터 전면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흡인하는 부분은 개구부와 겹친 흡인 구멍만으로 좁혀지므로,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면서 흡인 풍량을 대폭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흡인 장치에 필요로 되는 동력을 극히 작게 할 수 있어서, 흡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에어 필터의 부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상류측에 배치되어서, 열교환기에 유입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 필터는, 필터 프레임(1)과, 필터 망(2)으로 구성되고, 에어 필터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3)이 설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3)은 필터 프레임(1)의 상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에 의해서, 에어 필터와 극히 좁은 간극(間隙)을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에어 필터 상에 부착된 먼지는 이 흡인 노즐(3)에 의해서 흡인된다.
흡인 노즐(3)의 일단(하단)에는, 가요성(可撓性)이 우수한 주름 형상의 호스 등으로 형성된 흡인 덕트(5)의 일단이 연결되고, 흡인 덕트(5)의 타단은 전동 송풍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내장하는 흡인 장치(6)에 연결된다. 또한, 흡인 장치(6)에는 배기 덕트(7)가 연결되어서, 실외로 끌어내어 돌려진다. 흡인 노즐(3)에 의해서 흡인된 에어 필터의 먼지는 흡인 덕트(5), 흡인 장치(6), 배기 덕트(7)를 경유하여 실외에 배출된다.
이어서, 도 2∼도 4를 참조하여 흡인 노즐(3)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상기한 먼지 제거 장치에 있어서의 흡인 노즐(3)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흡인 노즐(3)을 비스듬하게 상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흡인 노즐(3)은 주로, 흡인한 바람의 유통로가 되는 노즐(8)과, 노즐(8)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폭 20 mm의 필름 형상의 벨트(9)로 구성된다. 노즐(8)의 에어 필터측의 면에는, 예로서 320 mm의 길이(에어 필터의 세로 길이에 상당)이고, 예로서 3 mm 폭의 슬릿 형상의 노즐 개구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벨트(9)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노즐 개구부(10)를 덮어씌우도록 노즐(8)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벨트(9)에는, 예로서 길이 80 mm(에어 필터의 세로 길이의 1/4)이고, 예로서 2 mm 폭의 흡인 구멍(11)이 설치되어 있고, 흡인 구멍(11)의 위치는 노즐 개구부(10)의 바로 위에 오도록 벨트(9)가 부착된다. 벨트(9)의 양단에는 영화 필름과 같이 등간격의 구동 구멍(12)이 설치되어 있고, 노즐(8) 상에 고정된 스테핑 모터(13)에 부착된 기어(14)가, 이 구동 구멍(12)에 맞물림으로써 벨트(9)는 상하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노즐(8)과 벨트(9)를 별개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흡인 노즐(3)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의 A부의 단면).
또한, 벨트(9)를 구동하는 다른 구성으로서는, 기어(14)를 이용하지 않고 고무 롤러 등으로써 벨트(9)를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벨트(9)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릴(reel) 등을 설치하여 벨트를 감는 방법 등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흡인 장치(6)에 의해서 흡인되는 풍량은 흡인 구멍(11)으로 좁혀져서 집중하게 되므로, 적은 풍량이라도 흡인 구멍(11) 부분에서는 강한 풍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소출력으로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강한 흡인력에 의해서 흡인된 에어 필터상의 먼지는, 흡인 구멍(11)으로부터 노즐 개구부(10)를 거쳐서 노즐(8) 내부에 들어가고, 또한 흡인 덕트(5), 흡인 장치(6), 배기 덕트(7)를 경유하여 실외에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의 흡인 노즐(3)로써 에어 필터의 전면을 흡인 청소를 실행하므로, 그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도 1, 도 5, 도 6,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에어 필터의 청소 범위 Ⅰ∼Ⅳ에 따른 흡인 구멍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흡인 노즐을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실제의 흡인 노즐(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를 따라서 절곡된 형상이지만, 도 5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흡인 노즐(3)을 곧바로 펼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Ⅰ을 흡인 청소하는 경우, 벨트(9)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11)을 도 5의 위치 Ⅰ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하면서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의 우단으로부터 좌단까지 구동시킴으로써 도 1에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Ⅰ을 흡인 청소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Ⅱ의 흡인 청소로 이행(移行)하기 위하여, 벨트(9)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11)을 도 5의 위치 Ⅱ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흡인하면서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의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구동시킴으로써, 이번에는 도 1에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Ⅱ를 흡인 청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Ⅲ, Ⅳ도 흡인 청소할 수 있다.
도 6은 이 흡인 청소의 순서를 화살표로써 나타낸 도면이지만, 이러한 횡방향 스위프(sweep)의 흡인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에어 필터 전면(全面)을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풍량은, 노즐 개구부 전 영역으로부터 흡인하는 경우의 필요 동력과 비교하면 풍량은 1/4이고, 필요 동력은 풍량의 3승에 비례하므로 1/64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흡인 장치(6)에 필요로 되는 동력은 극히 작은 것으로 끝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벨트(9)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긴 흡인 구멍(11)을 형성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방향 스위프에서의 흡인 청소를 실행하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9)에 대하여 가로로 긴 흡인 구멍(11)을 형성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 스위프에서의 청소를 실행하는 방법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변형예 1)
벨트(9)는 될 수 있는 한 얇은 편이 바람직하고, 얇게 함으로써 벨트(9)의 절곡부(특히 흡인 노즐(3)의 선단부나 근원부)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벨트(9)의 구동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벨트(9)를 얇게 함으로써, 흡인 구멍(11) 부분 이외의 벨트(9)가, 노즐 개구부(10)에 흡인력에 의해서 밀착함으로써 밀봉되어서, 흡인 구멍(11) 이외에서의 흡인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흡인 누설에 의한 흡인 구멍(11)에서의 흡인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면이나, 내구성, 강도의 면으로부터, 벨트(9)에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얇은 벨트를 이용한 경우, 벨트의 강도가 저하하여 구동시의 장력에 견딜 수 없는 것이 염려된다. 이러한 경우, 벨트(9)의 일부분을 두껍게 함으로써, 구동시의 유연성이나, 벨트의 밀봉성을 손상하지 않고,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벨트(9)의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벨트(9)에는, 예로서 두께 0.1 mm의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고, 그 양단 부분을 예로서 0.2 mm로 두껍게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이 벨트(9)에서는, 벨트(9)에 형성된 등간격의 구동 구멍(12)의 부분도 두껍게 한 부분에 포함되어 있어서, 구동 구멍(12)에의 구동력 전달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예 1의 형상에 추가하여, 벨트(9)에 형성된 흡인 구멍(11)의 주위의 벨트(9)의 두께를 올리는 것도, 벨트(9)의 강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9)에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얇은 벨트를 이용한 경우, 벨트의 강도가 저하하여 구동시의 장력에 견딜 수 없는 것이 염려된다. 특히, 큰 구멍인 흡인 구멍(11)이 있는 부분의 벨트(9)의 강도는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러한 경우, 흡인 구멍(11)의 주위를 두껍게 함으로써, 흡인 구멍(11)이 있는 부분의 벨트(9)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벨트(9)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지만, 흡인 구멍(11)의 주위 부분을 예로서 0.2 mm로 두껍게 함으로써, 흡인 구멍(11)이 있는 부분의 벨트(9)에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변형예 3)
도 11∼도 13은 흡인 노즐(3)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가로로 긴 흡인 구멍(11)으로써 종방향 스위프 청소를 실행하는 경우에 응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흡인 노즐(3)에 있어서, 브러시(15)를, 벨트(9)를 따라서 옆에 배치하고, 브러시(15)는 기모직물(起毛織物)의 털이 짧은 것(소위 에티켓 브러시)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브러시(15)는, 에어 필터상에 강하게 부착되어서 흡인 청소만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먼지도 긁어낼 수 있으므로, 이 효과를 이용하여 더욱 고성능의 필터 청소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브러시(15)를 이용하는 흡인 청소 방법에 있어서는, 벨트(9)의 흡인 구멍(11)의 형상은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서 종방향 스위프 동작으로 청소하는 경우(도 7, 도 8 참조)의 쪽이 바람직하므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그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먼지는 우선 흡인 청소에 의해서 제거되고, 제거할 수 없는 먼지를 브러시(15)가 뒤에서 긁어내는 구조로 되어서 이상적이다. 한편, 흡인 구멍(11)이 세로 방향으로 긴 경우에 대해서는, 브러시(15)를 배치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방향 스위프 동작은 실행하기 어렵게(흡인 구멍(11) 이외의 위치의 먼지는 브러시(15)만이 청소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되지만, 동작을 연구함으로써 에어 필터 청소를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어느 정도의 거리만 흡인 노즐(3)을 움직여서 브러시(15)로써 먼지를 긁어 모은다. 그 후, 흡인 구멍(11)을, 긁어 모은 먼지의 위치 부근에서 상하로 1 왕복시킴으로써 브러시(15)로써 긁어 모은 먼지를 흡인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브러시(15)와 흡인의 쌍방의 효과를 발휘하고, 에어 필터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4)
도 15는,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노즐(8)의 주위에 벨트(9)가 설치되어 있는 점은, 상기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추가로 노즐(8)의 이면(裏面)(흡인 구멍(11)이 있는 측)에 벨트(9)를 끼워 넣는 형태로 노즐(8)로부터 벨트 가이드(16)를 연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벨트(9)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흡인 구멍(11) 이외의 부분의 벨트(9)가 노즐(8)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변형예 1에서 설명한 노즐 개구부(10)에 벨트(9)가 흡착되어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16)는 흡인 구멍(11)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인 구멍(11)으로부터의 흡인력이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강한 흡인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변형예 5)
도 16은,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상기한 변형예 4에 있어서의 벨트 가이드(16)를 에어 필터 표면 가까이에 연장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흡인하여 에어 필터 표면을 청소하는 경우, 흡인력은 흡인 구멍(1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급격하게 저하한다. 이것은, 흡인하는 공기의 흐름이, 흡인 구멍(1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확산하기 때문이고, 흡인 구멍(11)은 에어 필터 표면에 가까울수록 좋다. 그러나, 실내 유닛의 구성상, 흡인 노즐(3)이 에어 필터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를 갖지 않을 수 없는 경우, 벨트 가이드(16)를 에어 필터 표면 가까이까지 연장함으로써 흡인하는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여, 에어 필터 표면 가까이에서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6)
도 17은,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변형예 3에서 설명한 브러시(15)를 이용한 흡인 노즐(3)에 있어서, 벨트 가이드(16)를 에어 필터 가까이, 또한 브러시(15)의 부근까지 연장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변형예 5에서 설명한 에어 필터 표면에서의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브러시(15)에 부착된 먼지도 흡인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흡인 노즐(3)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7)
도 18 및 도 19는,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의 구조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성 부품으로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흡인 노즐(3)과 동일하지만, 노즐(8)의 노즐 개구부(10)를 폭이 넓게 설정하고 있다(예로서, 10 mm 폭). 또한, 벨트(9)에는, 흡인 청소용의 흡인 구멍(11)(예로서, 폭 2 mm, 길이 80 mm)의 반대측 대칭 위치에, 예로서, 폭 10 mm, 길이 80 mm 크기의 구멍을 환기 구멍(17)으로서 또 하나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통상, 흡인 청소를 실행하는 경우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11)이 노즐(8)의 노즐 개구부(10)측에 있도록 벨트(9)의 위치를 구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환기 구멍(17)은 노즐(8)의 상면측에 있고,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으므로,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인 구멍(11)으로써 흡인 청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9)를 흡인 구멍(11)의 반대측 대칭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환기 구멍(17)이 노즐(8)의 노즐 개구부(10)측에 있도록 벨트(9)의 위치를 구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이번에는 흡인 구멍(11)은 기능하지 않고, 환기 구멍(17)을 통해서 흡인이 실행되지만, 환기 구멍(17)은 흡인 구멍(11)에 비하여 개구부의 크기를 매우 크게 하였으므로(예로서, 5배), 큰 풍량을 낮은 통풍 저항이면서, 또한 저소음으로 흡인할 수 있어서 환기 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기시에는 흡인 노즐(3)은 스위프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벨트(9)에 흡인 구멍(11)과 환기 구멍(17)이라고 하는, 2 개의 상이한 크기의 흡인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흡인 청소와 환기라고 하는 2 가지의 기능을 흡인 노즐(3)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2 개의 흡인 구멍(11, 17)을 형성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9)를 루프 형상의 것이 아니고 릴에 감는 방법을 취하면, 벨트(9)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크기의 더욱 많은 흡인 구멍을 형성할 수 있어서,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의 양이나, 부착되는 먼지의 종류에 따라서 흡인 구멍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8)
실내 유닛의 에어 필터를 통과하는 송풍 풍속은 균일하지 않고, 도 1에 나타내는 실내 유닛의 경우, 전면측의 풍속이 높고, 그 부분의 에어 필터에는, 부착되는 먼지의 양도 많아진다. 즉, 도 1에 있어서 에어 필터의 범위 Ⅰ, Ⅱ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은, 범위 Ⅲ, Ⅳ보다 많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횡방향 스위프 청소(도 6 참조)에 있어서, 먼지의 부착량이 많은 부분의 에어 필터를 흡인 청소하는 경우는, 흡인 장치(6)의 출력을 올림으로써 확실하게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전 영역에서 흡인 장치(6)의 출력을 올리는 것은, 소비 전력도 많아지고, 또한, 부품의 소모도 촉진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표 1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흡인 청소 범위별 흡인 출력(흡인 팬(fan) 회전수)과 흡인 풍속을 나타낸 표이다. 도 1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Ⅰ, Ⅱ의 흡인 청소시의 흡인 풍속을, 범위 Ⅲ, Ⅳ의 부분의 흡인 청소시의 흡인 풍속에 대하여, 1.2 배로 설정함으로써 먼지의 부착이 많은 부분을 청소할 때의 청소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기능은 또한, 흡인 노즐(3)의 통풍 저항에 의한 흡인력 저하를 보충하는 방법으로서도 유효하다. 흡인 노즐(3)이 실내 유닛의 크기나 구성상, 할 수 없이 가늘고 긴 구조로 될 때, 동일한 흡인 장치 출력으로써 흡인해도 노즐 선단부에서의 흡인시(도 1의 Ⅳ측)에는 노즐의 통풍 저항이 크므로 흡인력은 저하한다. 이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노즐 선단부에서는 충분한 청소 성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지만, 흡인 노즐 선단부에서 흡인 청소시에는 흡인 장치의 출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충분한 청소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인 노즐(3)의 통풍 저항에 따라서 흡인 장치(6)의 출력을 미세하게 설정함으로써, 필요한 최소한의 흡인 출력을 이용할 수 있어서, 소비 전력의 억제나, 부품의 소모 촉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 1)
도 1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청소 범위 범위 Ⅰ 범위 Ⅱ 범위 Ⅲ 범위 Ⅳ
흡인 출력(흡인 팬 회전수: rpm 6000 6000 5000 5000
흡인 풍속(m/sec) 18 18 15 15
실시형태 2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에어 필터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상기한 실시형태 1과의 상위점을 도 21∼도 2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1은 흡인 노즐(3)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흡인 노즐(3)의 종단면도(도 21의 A-A 단면도), 도 23은 흡인 노즐(3)의 횡단면도(도 21의 B-B 단면도)이다.
흡인 노즐(3)은, 흡인한 바람의 유통로를 구성하는 노즐(8)과, 노즐(8)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필름 형상의 벨트(9)와, 벨트(9)를 지지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14)와, 벨트(9)를 지지하여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롤러(20a, 20b, 20c)로 구성된다. 노즐(8)의 에어 필터측의 면에는, 에어 필터의 세로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슬릿 형상의 노즐 개구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벨트(9)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노즐 개구부(10)를 덮어씌우도록 노즐(8)의 외주에 감겨져 있고, 에어 필터측의 면은, 노즐 개구부(10)와 대략 동일한 개구 형상을 갖는 개구부(30)가 설치된 벨트 가이드(22)로써 지지되어 있다. 벨트(9)에는 에어 필터의 세로 길이의 8분의 1의 길이의 슬릿 형상의 흡인 구멍(11)(도 23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그 흡인 구멍(11)의 위치가 노즐 개구부(10)에 상대하는 위치에 오도록 벨트(9)가 부착되어 있다. 벨트(9)의 양측에는 등간격으로 구동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13)에 연결된 기어(14)가, 구동 구멍(12)에 맞물림으로써 벨트(9)는 상하 방향, 즉, 흡인 노즐(3)의 좌우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 흡인 장치(6)에 의해서 흡인되는 풍량은 흡인 구멍(11)으로 좁혀져서 집중하게 되므로, 적은 풍량이라도 흡인 구멍(11) 부분에서는 강한 풍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소출력으로써 강한 흡인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강한 흡인력에 의해서 흡인된 에어 필터상의 먼지는, 흡인 구멍(11)으로부터 노즐 개구부(10)를 거쳐서 노즐(8) 내부에 들어가고, 또한 흡인 덕트(5), 흡인 장치(6), 배기 덕트(7)를 경유하여 실외에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흡인 노즐(3)로써, 에어 필터(2)의 전면을 흡인 청소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도 20에 나타낸 에어 필터의 청소 범위 A∼H에 대응하는 흡인 구멍(11)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흡인 노즐(3)을 배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실제의 흡인 노즐(3)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를 따라서 절곡된 형상이지만, 도 24에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흡인 노즐(3)을 곧바로 펼친 상태, 즉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20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A를 흡인 청소하는 경우, 벨트(9)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11)을 도 24의 위치 A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흡인하면서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의 우단으로부터 좌단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도 20에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A가 흡인 청소된다.
이어서, 도 20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B의 흡인 청소로 이행(移行)하기 위하여, 벨트(9)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11)을 도 24의 위치 B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흡인하면서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의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이번에는 도 20에서의 에어 필터의 범위 B가 흡인 청소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20에 있어서의 에어 필터의 C로부터 H의 범위도 흡인 청소된다. 이와 같이 벨트(9)를 구동하여 흡인 구멍(11)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에어 필터 전면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1)
도 25는, 흡인 노즐(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벨트(9)를 지지하는 동시에 구동시키는 기어(14)의 근방에, 벨트(9)를 누르는 방향으로, 즉 벨트(9)에 형성한 구동 구멍(12)과 기어(14)의 맞물림 수를 증대시키도록 롤러(20d)를 설치한 것이다. 벨트(9)에 형성한 구동 구멍(12)과 기어(14)의 맞물림 수가 증가함으로써, 벨트(9)를 더욱 원활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에서는, 기어(14)의 상하 2 개소에 롤러(20d)를 설치했지만, 어느 한 쪽에만 설치해도 좋다.
(변형예 2)
도 26(a)는, 흡인 노즐(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노즐(8)에 벨트(9)의 안내용 안내 홈(23)을 설치한 것이고, 벨트(9)를 구동할 때에, 벨트(9)에 형성한 흡인 구멍(11)이 노즐(8)에 형성한 노즐 개구부(10) 및 벨트 가이드(22)의 개구부(30)와 어긋나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으므로, 흡인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한 흡인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측에 위치하는 벨트(9)의 안내 홈(23)을, 벨트 가이드(22)에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3)
도 27은,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2에 나타내는 롤러(20a, 20b, 20c) 중에서, 노즐(8)의 절곡부에 설치한 롤러(20b) 대신에 핀(24)을 설치하여 벨트(9)를 지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20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노즐(8)내의 바람의 유통로가 좁게 되어 있었던 부분의 통로 면적을 확대할 수 있어서, 흡인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양호한 흡인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8)의 절곡부의 표면에 매끄러운 볼록 형상부(25)를 형성해서 벨트(9)를 지지하여, 벨트(9)가 매끄럽게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하면, 롤러(20b)를 설치하였던 부분의 통로 면적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노즐(8)의 절곡 각부(角部)의 돌출을 적게 할 수 있어서, 실내 유닛 본체에의 노즐(8)의 수용성이 향상된다.
(변형예 4)
도 29는,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벨트(9)를 지지하는 롤러(20c)를, 노즐(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支持) 부재(26)로써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26)를,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27)로써 외측 방향으로, 즉, 벨트(9)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롤러(20c)에 의해서 지지된 벨트(9)에 장력이 가하여지므로, 흡인 노즐(3)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의 치수 편차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벨트(9)의 휨을 흡수할 수 있어서, 벨트(9)는 항상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7)의 하중은 노즐(8)에 감긴 벨트(9)에 적절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설정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롤러(20c)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벨트(9)의 장력을 조정하는 대신에, 다른 롤러(20a)를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유닛 본체에 대하여, 흡인 노즐(3)을 좌우 방향으로, 벨트(9)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했지만, 흡인 노즐(3)을 상하 방향으로, 벨트(9)를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1 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노즐(3)의 구체적인 이동 기구에 대하여 다루지 않았지만, 예로서, 흡인 노즐(3)을 1 방향으로 가세(加勢)하는 탄성체와, 이 탄성체의 가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인출된 와이어 또는 끈을 각각 흡인 노즐(3)에 연결하고, 와이어 또는 끈을 구동 모터로써 감아 올리거나, 늦추거나 함으로써, 흡인 노즐(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레일(4)의 한쪽을 길이가 긴 볼트로써 형성하고, 흡인 노즐(3)측에 이 볼트에 나사로 맞물리는 너트를 부착하고, 볼트를 구동 모터로써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흡인 노즐(3)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에어 필터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상기한 실시형태 1과의 상위점을 이하에 설명한다.
흡인 노즐(3)의 에어 필터측의 면에는, 예로서, 2∼3 mm 폭의 슬릿 형상의 노즐 개구부(10)가 설치되어 있어서, 에어 필터상에 부착된 먼지는 노즐 개구부(10)에 의해서 흡인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 1 또는 2에 설치된 필름 형상의 벨트(9)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31은, 흡인 노즐(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흡인 노즐(3)은,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를 따라서 절곡된 형상이지만,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도 31에서는 흡인 노즐(3)을 진 곧바로 펼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노즐(3)에 형성된 노즐 개구부(10)는, 흡인 구멍(10a), 흡인 구멍(10b), 흡인 구멍(10c), 흡인 구멍(10d)으로 4 분할되어 있다.
흡인 노즐(3)내에는,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흡인 구멍(10a∼10d)을 개폐하는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이 설치되어 있다.
도 31은, 흡인 구멍(10a∼10d) 중에서, 흡인 구멍(10a)만을 열고, 기타 흡인 구멍(10b∼10d)이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흡인 장치(6)를 운전하여 흡인을 실행한 경우, 흡인되는 바람의 흐름은 도면 중의 흰 화살표와 같이 되어서, 흡인 구멍(10a)만으로 흡인된다.
도 32는 흡인 구멍(10b)만을 열고, 기타 흡인 구멍(10a, 10c, 10d)은 닫혀져서, 흡인 구멍(10b)만으로 흡인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흡인 구멍(10c), 흡인 구멍(10d)를 순차적으로 여는 상태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흡인 노즐(3)로써 에어 필터의 전면을 흡인 청소를 실행할 때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 개폐판(31a)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흡인 구멍(10a)만을 열고, 흡인 장치(6)를 운전하면서 흡인 노즐(3)을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흡인 구멍(10a)에 대응하는 에어 필터의 범위 Ⅰ에서 전폭에 걸쳐서 흡인 청소가 실행된다.
이어서,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 개폐판(31a)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흡인 구멍(10a)을 닫는 동시에, 흡인 구멍 개폐판(31b)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흡인 구멍(10b)을 열고, 흡인 장치(6)를 운전하면서 흡인 노즐(3)을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켜서, 흡인 구멍(10b)에 대응하는 에어 필터의 범위 Ⅱ에서 전폭에 걸쳐서 흡인 청소를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순서대로, 흡인 구멍(10b)을 닫고 흡인 구멍(10c)을 열어서, 또한 흡인 구멍(10c)을 닫고 흡인 구멍(10d)을 열어서, 흡인 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에어 필터의 범위 Ⅲ, Ⅳ를 흡인 청소하여, 에어 필터의 전면의 흡인 청소를 끝낸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흡인 구멍을 통과하는 풍량은 전체의 흡인 구멍으로써 흡인한 경우(흡인 구멍(10a∼10d)을 모두 열어서 운전한 경우)의 1/4로 감소하고, 흡인 개구 면적이 좁혀지게 되므로,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에서의 풍속은 필요한 풍속을 확보할 수 있어서, 충분한 흡인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전제의 흡인 구멍(10a∼10d)을 모두 열고, 필요한 풍속으로써 동시 흡인하는 경우의 필요 동력과, 흡인 구멍(10a∼10d)을 1개씩 열어서 흡인한 경우의 필요 동력과 비교하면, 필요 동력은 풍량의 3승에 비례하므로, 필요 동력은 1/64까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흡인 장치(6)에 필요로 되는 동력은 극히 작은 것으로 끝마칠 수 있어서, 그 만큼 흡인 장치(6)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흡인 구멍(10a∼10d)을 모두 열어서 전체의 개구 면적을 넓히면, 그 부분에서의 풍속이 떨어짐으로써 통풍 저항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흡인 장치(6)의 출력은 동일해도 풍량은 크게 증가한다(당연히 흡인력은 대폭으로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는 흡인 청소는 하지 않는다). 이것을 이용하여, 방의 환기에 필요한 풍량을 흡인 노즐(3)로부터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흡인 노즐(3)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에 환기 모드(mode)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장치(6)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대기 상태)일 때, 옥외에서 강풍이 불면 옥외에 연통(連通)되어 있는 배기 덕트(7)로부터 흡인 노즐(3)에 바람이 역류하여, 흡인 노즐(3) 내부에 부착된 먼지가 분출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경우는 흡인 구멍(10a∼10d)을 모두 닫음으로써 이러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인 장치(6)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인 노즐(3)에 환기 기능을 부가하거나, 역류 방지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흡인 노즐(3)내에 내장하고, 더욱이 흡인 구멍(10a∼10d)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해서, 흡인 노즐(3)을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 유닛 본체가 커지는 것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외에,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노즐(3)이 L자 형상으로 굽혀져 있어도 문제 없이 구성할 수 있어서, 흡인 노즐(3)의 설계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3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인 노즐(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이고, 특히 흡인 구멍(10c), 흡인 구멍(10d)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흡인 구멍(10c)은 닫힘, 흡인 구멍(10d)은 열린 상태로 있다.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각각에, 흡인 구멍(10a∼10d)의 각각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1 쌍의 스프링(41)과, 스프링(4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끌어당기기 위한 와이어(42)를 설치하고,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은 스프링(41)의 힘에 의해서 통상은 닫히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개방으로 할 때는, 와이어(42)는 스프링(41)의 힘에 대항하여 끌어당겨지지만, 와이어(42)를 끌어당기는 방법으로서는,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로써 감아 올리거나, 와이어(42)에 액추에이터ㆍ와이어(와이어에 통전함으로써 와이어가 수축하고, 인장되는 작용을 할 수 있는)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구동력 전달에 가느다란 와이어(42)를 이용함으로써, 흡인 노즐(3)을 얇게 구성할 수 있어서, 흡인 노즐(3)의 부가에 의한 실내 유닛 본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인 노즐(3)이 곧바른(평탄한) 구조에 있어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일단(一端)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을 더욱 간소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의 유통로의 장해물도 감소하므로 통풍 저항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스프링(41)과 와이어(42)를 이용한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구동 방법 이외에도,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에 톱니(44)를 형성하고, 이 톱니(44)에 맞물리게 한 기어(45)를 모터(46)로써 구동함으로써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에, 내부에 나사 홈을 형성한 수직판(48)을 부착하여, 이 수직판(48)의 나사 홈에, 맞물리는 회전축(49)을 관통시키고, 회전축(49)을 모터(50)로써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개폐 동작을 강한 힘으로써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흡인 구멍(10a∼10d)의 개폐 동작 불량에 의해서, 흡인 청소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전자석이나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변형예 1)
도 37은, 흡인 노즐(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도 36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동작은, 모두 흡인 구멍(10a∼10d)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했지만, 도 37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스프링(41)으로써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동시에, 와이어(42)로써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에 대하여 수직 방향(떨어지고 붙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각각의 흡인 구멍(10a∼ 10d)을 개폐하도록 한 것이다.
또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1 변(도면에서는 좌측)을 회전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비틀림형 스프링(52)으로써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고, 와이어(53)로써, 스프링(52)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회전 동작시켜서,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모두,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 (31a∼31d)의 개폐 구동에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하고 있지만, 도 35 또는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톱니나 회전축을 이용하는 방법, 또한 전자석을 이용한 방법도 응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을,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수평 동작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왕복 동작 만큼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흡인 노즐(3)의 가로 폭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서, 흡인 노즐(3)에 의해서 실내 유닛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통 풍량이 방해되어 풍량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흡인 노즐(3)의 내장과,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2)
도 39는 흡인 노즐(3)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로서, 도 37의 E-E 단면도이다.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으로써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닫을 때에는, 완전히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일 흡인 구멍(10a∼10d)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어서, 닫았을 때에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이 약간이라도 뜬 상태가 되면, 그 곳으로부터 흡인 누설이 발생한다. 따라서, 흡인 구멍(10a∼10d)의 하나라도 열려 있으면, 그 부분에서의 흡인력이 크게 저하하게 된다.
도 39에 나타내는 구성은, 흡인 누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의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의 주변과 접하는 부분에 탄성재료로 된 밀봉재(55)를 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3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10a∼ 10d)에 이물이 부착되어도, 도 3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 개폐판(31a∼31d)으로써 닫았을 때에 밀봉재(55)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간극을 막아서, 흡인 누설을 방지하여, 열리게 되어 있는 흡인 구멍으로써 충분한 흡인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3)
도 40은, 흡인 노즐(3)의 또 다른 변형예의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인 구멍(10a∼10d)의 모두를 개방함으로써 방의 환기에 필요한 풍량을 흡인 노즐(3)로부터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 경우, 환기 풍량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에서의 풍속을 될 수 있는 한 감소시키는 편이 좋으므로,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의 폭을 크게 하여 개구 면적을 넓히는 편이 좋다. 그러나, 개구 면적을 크게 하면, 흡인 청소를 실행하는 경우의 풍속이 저하하여 청소 성능이 저하된다.
그래서, 도 40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흡인 청소시와 환기시에, 흡인 구멍 (10a∼10d)의 각각의 개구 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0에 있어서,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의 전 개구 폭은 넓게, 예로서, 10 mm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필터의 흡인 청소시에는, 도 4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로서 흡인 구멍 개폐판(31b)으로써 흡인 구멍(10b)을 3 mm만 열도록 한다(기타의 흡인 구멍(10a, 10c, 10d)을 열 때도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인 풍량을 좁히고, 풍속을 상승시켜서 흡인 성능을 올릴 수 있다.
이어서, 흡인 구멍(10a∼10d)의 전부를 열어서 실행하는 환기의 경우는, 각각의 흡인 구멍(10a∼10d)을 폭 10 mm까지 완전히 개방함으로써, 흡인 풍속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통풍 저항은 대폭으로 감소하여, 흡인 장치(6)의 출력을 올리지 않고, 큰 환기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풍속이 저하함으로써, 흡인 구멍(10a∼10d)에서 발생하는 울림 소리도 저하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환기 모드에는 바람직한 것이 되고, 흡인 청소 성능과 환기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인 노즐(3)의 에어 필터측의 면에는, 슬릿 형상의 노즐 개구부(10)가 설치되어 있고, 필름 형상의 벨트(9)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 3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시형태 3과의 상위점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41은, 흡인 노즐(3)을 에어 필터측에서 본 상태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흡인 노즐(3)은, 에어 필터를 따라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도 41에 있어서는, 흡인 노즐(3)을 곧바로 펼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흡인 노즐(3)에는, 흡인 덕트(5)에 연통하는 동시에, 에어 필터상에 부착된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예로서 2∼3 mm 폭의 슬릿 형상의 노즐 개구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인 노즐(3)의 에어 필터측의 면에는, 복수의 흡인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흡인 구멍(57a∼57d)을, 노즐 개구부(10)와 평행으로, 또한 노즐 개구부(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편이시켜서 설치한 흡인 구멍 절환판(58)이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흡인 구멍 절환판(58)은, 얇은 철판 등으로써 제작되어서, 흡인 노즐(3)에 평행, 즉, 노즐 개구부(10)에 대하여 평행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42는, 흡인 노즐(3)에 흡인 구멍 절환판(58)을 부착하고, 4개의 흡인 구멍(57a∼57d) 중, 흡인 구멍(57a)이 노즐 개구부(10)와 겹치는 위치에, 흡인 구멍 절환판(58)을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기타의 흡인 구멍(57b∼57d)은 노즐 개구부(10)와 어긋나 있으므로, 이러한 흡인 구멍(57b∼57d)에 대향하는 노즐 개구부(10)는 닫힌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흡인 장치(6)를 운전하여 흡인을 실행한 경우, 흡인되는 바람의 흐름은 도면 중의 흰 화살표와 같이 되어서, 흡인 구멍(57a)의 부분으로부터만 흡인된다.
도 43은 흡인 구멍(57b)이 노즐 개구부(10)와 겹치는 위치에 흡인 구멍 절환판(58)을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기타의 흡인 구멍(57a, 57c, 57d)에 대향하는 노즐 개구부(10)는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흡인 구멍(57b)의 부분만으로 흡인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흡인 구멍(57c), 흡인 구멍(57d)만으로 흡인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흡인 노즐(3)로써 에어 필터의 전면을 흡인 청소를 실행할 때의 구체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흡인 구멍 절환판(58)의 위치를 도 42의 상태, 즉, 흡인 구멍(57a) 부분으로부터만 흡인되는 상태로 하여, 흡인 노즐(3)을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 좌우로 왕복 동작시킴으로써, 흡인 구멍(57a) 부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의 범위 Ⅰ(도 30 참조)의 먼지의 흡인 청소가 실행된다. 흡인 장치(6)에 의해서 흡인된 먼지는, 흡인 구멍 절환판(58)의 흡인 구멍(57a)으로부터 흡인 노즐(3)의 노즐 개구부(10)를 통과하여, 흡인 덕트(5), 흡인 장치(6), 배기 덕트(7)를 거쳐서 실외에 배출된다.
이어서, 흡인 구멍 절환판(58)을 편이시켜서, 도 43의 상태, 즉, 흡인 구멍(57b) 부분으로부터만 흡인되는 상태로 하여, 마찬가지로 흡인 노즐(3)을 좌우로 왕복 동작시킴으로써 흡인 구멍(57b) 부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1)의 범위 Ⅱ를 흡인 청소한다. 마찬가지로, 순서대로 흡인 구멍(57c, 57d) 부분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의 범위 Ⅲ, Ⅳ을 흡인 청소하여, 에어 필터 전면의 흡인 청소를 끝낸다.
상기한 과정에서는, 흡인 구멍(57a∼57d) 중 하나의 흡인 구멍을 통과하는 풍량은, 에어 필터의 전 길이에 상당하는 흡인 구멍으로써 일괄 흡인하는 경우의 1/4의 풍량밖에 이용하지 않지만, 흡인 구멍이 좁혀지게 되므로, 하나의 흡인 구멍에 있어서의 필요 풍속을 확보할 수 있고, 더욱이 흡인력은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흡인 구멍으로써 흡인하는 경우의 필요 동력과, 에어 필터(1)의 전 길이에 상당하는 흡인 구멍으로써 일괄 흡인하는 경우의 필요 동력과 비교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의 필요 동력은 후자의 1/64까지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 유닛의 에어 필터를 본체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극히 소출력의 흡인 장치로써 자동적으로 흡인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수(補修)를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인 노즐을 이용하여 환기를 실행할 수도 있고, 실내의 공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필터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유통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고효율(성 에너지)의 열교환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공기조화기로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흡인 노즐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인 노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흡인 노즐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2의 흡인 노즐의 배면도이고, 특히 에어 필터의 청소 범위에 따른 흡인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에어 필터에 대한 흡인 노즐의 흡인 청소 순서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흡인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에어 필터에 대한 도 7의 흡인 노즐의 흡인 청소 순서를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도 1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벨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벨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1은 흡인 노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흡인 노즐의 횡단면도.
도 13은 에어 필터에 대한 도 11의 흡인 노즐의 흡인 청소 순서를 나타낸 배면도.
도 14는 흡인 노즐이 세로 방향으로 긴 흡인 구멍을 구비한 경우의 에어 필터에 대한 흡인 노즐의 흡인 청소 순서를 나타낸 배면도.
도 15는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6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7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8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흡인 노즐의 다른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흡인 노즐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의 선 A-A를 따라서 본 단면도.
도 23은 도 21에 있어서의 선 B-B를 따라서 본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흡인 노즐의 배면도이고, 특히 에어 필터의 청소 범위에 따른 흡인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흡인 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26의 (a) 및 (b)는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3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27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28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29는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흡인 노즐의 개략 사시도.
도 32는 흡인 노즐의 다른 개략 사시도.
도 33은 흡인 노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4는 흡인 노즐의 변형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5는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6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7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8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
도 39는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7에 있어서의 선 E-E를 따라서 본 단면도로서, (a)는 흡인 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b)는 흡인 구멍이 폐쇄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0은 흡인 노즐의 또 다른 변형예의 개략 사시도로서, (a)는 흡인 청소시의 상태를, (b)는 환기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설치된 흡인 노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흡인 노즐에 있어서, 흡인 구멍 절환판에 형성된 흡인 구멍의 하나를 통해서 흡인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개략 사시도.
도 43은 도 41의 흡인 노즐에 있어서, 다른 흡인 구멍을 통해서 흡인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필터 프레임 2: 필터 망
3: 흡인 노즐 4: 가이드 레일
5: 흡인 덕트(duct) 6: 흡인 장치
7: 배기 덕트 8: 노즐
9: 벨트 10: 노즐 개구부
10a∼10d: 흡인 구멍 11: 흡인 구멍
12: 구동 구멍 13: 스테핑 모터
14: 기어 15: 브러시
16: 벨트 가이드 17: 환기 구멍
20a∼20d: 롤러(roller) 21: 개구부
22: 벨트 가이드 23: 안내 홈
24: 핀(pin) 25: 볼록 형상부
26: 지지 부재 27: 탄성체
30: 개구부 31a∼31d: 흡인 구멍 개폐판
41: 스프링 42: 와이어
44: 톱니 45: 기어
46: 모터 48: 수직판
49: 회전축 50: 모터
52: 스프링 53: 와이어
55: 밀봉재 57a∼57d: 흡인 구멍
58: 흡인 구멍 절환판

Claims (27)

  1.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흡인하는 구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이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흡인 노즐은, 노즐에 형성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덮어씌우면서 개구부를 따라서 구동 가능한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에는 흡인부가 되는 흡인 구멍이 형성되어서, 상기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인하는 장소를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 주위의 일부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의 흡인부가 되는 개구의 주위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의 옆에 벨트를 따라서 브러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를 사이에 끼우도록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 필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인 노즐이 상기 에어 필터를 따라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를 사이에 끼우도록 가이드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를 상기 에어 필터의 표면 가까이까지 연장한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의 옆에 벨트를 따라서 브러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를 상기 브러시 가까이까지 연장한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에 있어서, 벨트에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흡인부가 되는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흡인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흡인 장치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이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흡인 노즐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흡인 구멍이 형성된 벨트를 상기 흡인 노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은,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에 대향하여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개구부를 덮어씌우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벨트를 복수의 롤러로써 지지하여 기어로써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근방에 상기 벨트를 누르는 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상기 흡인 노즐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최소한 1 개소를 핀(pin)으로 대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최소한 1 개소를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에 형성한 매끄러운 볼록 형상부로 대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중에서, 최소한 1 개의 롤러에 상기 벨트를 당기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이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흡인 노즐은, 먼지 흡인용 흡인 구멍과, 상기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흡인 구멍 개폐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상기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흡인 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에 연결된 와이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와이어를 구동시켜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의 이동 또는 회전을 실행하도록 한 공기조화기.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에 형성한 톱니와, 이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는 모터를 설치하여, 이 모터로써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에 형성된 나사 홈과, 이 나사 홈에 맞물리는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를 설치하여, 이 모터로써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구멍 개폐판의 흡인 구멍의 주변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밀봉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7.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상류측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흡인 노즐과, 이 흡인 노즐에 연결된 흡인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흡인 노즐은, 슬릿 형상의 개구부와, 복수의 흡인 구멍을 편이시켜서 배치한 흡인 구멍 절환판을 구비하여, 이 흡인 구멍 절환판을 상기 개구부상에서 이동시켜서 흡인 위치를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62714A 2003-08-18 2004-08-10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10106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4321 2003-08-18
JP2003294321A JP3918789B2 (ja) 2003-08-18 2003-08-18 空気調和機
JP2003376892A JP2005140405A (ja) 2003-11-06 2003-11-06 空気調和機
JPJP-P-2003-00376893 2003-11-06
JPJP-P-2003-00376890 2003-11-06
JPJP-P-2003-00376892 2003-11-06
JP2003376893A JP2005140406A (ja) 2003-11-06 2003-11-06 空気調和機
JP2003376890A JP3918802B2 (ja) 2003-11-06 2003-11-06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616A true KR20050020616A (ko) 2005-03-04
KR101065965B1 KR101065965B1 (ko) 2011-09-19

Family

ID=3462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714A KR101065965B1 (ko) 2003-08-18 2004-08-10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5965B1 (ko)
CN (1) CN10035458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33B1 (ko) * 2007-05-23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688529A (zh) * 2016-05-03 2016-06-22 南京创元中央空调有限公司 平滑式自动清洁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8342A4 (en) * 2005-12-06 2013-04-03 Toshiba Carrier Corp AIR CONDITIONING
CN100441973C (zh) * 2006-04-12 2008-12-10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过滤网自清洁装置
JP4175408B2 (ja) * 2006-08-31 2008-1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08038570A1 (en) * 2006-09-25 2008-04-03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4251209B2 (ja) * 2006-10-19 2009-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掃除ユニット付空気調和機
KR20080057661A (ko) * 2006-12-2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290152B (zh) 2007-04-18 2010-05-26 海尔集团公司 过滤网自清洁装置
CN101290151B (zh) 2007-04-18 2010-05-26 海尔集团公司 空调过滤网自清洁装置
KR100873399B1 (ko) * 2007-08-29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103559B2 (en) 2007-12-19 2015-08-11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772096B2 (ja) * 2008-06-30 2011-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1354179B (zh) * 2008-09-10 2010-06-02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过滤网自动清扫装置
JP4411359B1 (ja) * 2008-10-31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2312230B1 (en) * 2009-04-30 2017-06-21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WO2017037990A1 (ja) * 2015-08-28 2017-03-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016685A (zh) * 2016-07-15 2016-10-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内机的框体组件及壁挂式空调室内机
JP6741915B2 (ja) * 2016-08-26 2020-08-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自動清掃装置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ならびに空気清浄機
CN106799100B (zh) * 2017-02-28 2022-06-17 张建武 一种自清洁型高效过滤网式空气滤清器
CN109708212B (zh) * 2017-10-23 2021-03-16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双层过滤网除尘装置及空调器
CN108361848B (zh) * 2018-05-03 2024-03-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WO2019220494A1 (ja) * 2018-05-14 2019-11-2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9916059A (zh) * 2019-03-21 2019-06-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09916060A (zh) * 2019-03-21 2019-06-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09916032A (zh) * 2019-03-21 2019-06-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09916030A (zh) * 2019-03-21 2019-06-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09916042A (zh) * 2019-03-21 2019-06-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
CN111023340A (zh) * 2019-11-26 2020-04-17 安徽军创佳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除尘空气净化器设备
CN111964164A (zh) * 2020-08-21 2020-11-20 王丽丽 一种通讯网络机房用空调外机的高效散热系统
CN115264666B (zh) * 2022-07-23 2023-05-12 三艾(广东)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中央空调通风过滤自清洁除尘杀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62Y2 (ja) 1979-10-31 1984-07-09 松下電工株式会社 鋸屑集塵装置
JPS61197412U (ko) 1985-05-30 1986-12-09
JPS62237920A (ja) * 1986-04-07 1987-10-17 Mikio Yagi 空調機等のエア−フイルタ−清浄装置の吸い込み口
CN2044333U (zh) * 1989-01-14 1989-09-13 王明山 空调回风过滤装置
JPH04186032A (ja) * 1990-11-20 1992-07-02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JPH05187654A (ja) *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清掃装置
JPH0914744A (ja) * 1995-06-27 1997-01-17 N T T Facilities:Kk 空気調和装置の清掃用ノズル
JPH09184656A (ja) * 1995-12-28 1997-07-15 Mitsubishi Heavy Ind Ltd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JPH11226331A (ja) * 1998-02-18 1999-08-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2340395A (ja)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N2538405Y (zh) * 2002-04-11 2003-03-05 张春生 干式空调过滤器自动清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33B1 (ko) * 2007-05-23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688529A (zh) * 2016-05-03 2016-06-22 南京创元中央空调有限公司 平滑式自动清洁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965B1 (ko) 2011-09-19
CN100354580C (zh) 2007-12-12
CN1584435A (zh)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965B1 (ko)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CN101270913B (zh) 柜式空调过滤网自清洁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086607B1 (ko) 공기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부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3918789B2 (ja) 空気調和機
WO2007026706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36666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
JP200705720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56794A (ja) 空気調和機
TWI344531B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having automatic filter cleaning function
CN100578108C (zh) 具备带空气过滤器自动清洁功能的室内组件的空调机
KR101088213B1 (ko)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을 갖춘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05140405A (ja) 空気調和機
CN100398935C (zh) 过滤器装置
KR20060054075A (ko) 공기 조화기
JP2006284044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3918802B2 (ja) 空気調和機
JP2005140406A (ja) 空気調和機
JP4655754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4278845A (ja) 空気調和機
JP2007071494A (ja) 空気調和機
KR100625593B1 (ko) 필터장치
JP2007101112A (ja) 空気調和機
JP2008281336A (ja) 空気調和機
JP2006234186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7071531A (ja) 空気調和機の塵埃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