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39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399B1
KR100873399B1 KR1020070087154A KR20070087154A KR100873399B1 KR 100873399 B1 KR100873399 B1 KR 100873399B1 KR 1020070087154 A KR1020070087154 A KR 1020070087154A KR 20070087154 A KR20070087154 A KR 20070087154A KR 100873399 B1 KR100873399 B1 KR 10087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ct
space
air conditioner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399B1/ko
Priority to EP07860672.0A priority patent/EP2181291B1/en
Priority to CN2007801003965A priority patent/CN101790664B/zh
Priority to ES07860672.0T priority patent/ES2524441T3/es
Priority to PCT/KR2007/006853 priority patent/WO2009028765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상기 배출부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 노즐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이 형성된 흡입 덕트와; 상기 개구면을 막고 상기 흡입 덕트와의 사이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흡입력 작용 공간을 가변시키는 공간 조절부를 포함하여, 흡입 덕트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이물질의 흡입과 무관한 공간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흡입과 관련된 공간으로만 흡입력이 작용되게 할 수 있고, 청소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필터, 흡입 노즐, 흡입 덕트, 차폐부재, 흡입 장치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를 청소하는 흡입 노즐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입 노즐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통과하는 흡입 덕트에 그 개구면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54075호에는 공기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흡인하는 먼지 흡인부와, 흡입 팬부로 구성되는 먼지 제거 수단을 설치하고, 먼지 흡입부에 위치 변경 가능한 먼지 흡인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공기 필터를 먼지 흡인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공기 필터 이동 수단을 설치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54075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그 내부에 공기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여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공기 필터 이동 수단이 설치되어 구성이 복잡함과 비용이 증대되고, 공기 필터의 이동시 공기 필터에 있던 이물질 중 일부가 먼지 흡입구 이외로 낙하되어 공기조화기의 내측 하부가 오히려 지저분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40호에는 공기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로운 흡입 노즐과, 그 흡입노즐에 연통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인배기하는 흡인 배기 장치와, 그 흡인 배기장치와 흡입 노즐을 연통시키는 신축이 자유로운 흡인 호스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흡인 호스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 상자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일단부가 흡인 배기장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인 배기 장치에서 보아서 흡입 노즐의 반대측의 측면에 연결되어 중간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40호에 기재된 공기조화기는 흡인 호스가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 상자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흡인 호스의 압축시 일 부가 전방으로 튀어나와 주변의 다른 부품과 간섭될 수 있고, 심한 경우 내부 유로가 막히거나 유동 저항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흡인 호스의 주름부에 끼여서 청소 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흡인 호스의 중간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된 경우, 흡입 호스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되어 컴팩트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에는 흡인 노즐과, 흡입 덕트의 일단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접속된 흡입 덕트와, 흡입덕트에 연결되어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인,배기하는 흡배기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에 기재된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흡입 덕트가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만 단순하게 기재되어 있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기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4655호의 도 4에는 흡인 노즐의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도록 흡입 덕트의 상면 전체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흡배기 장치의 작동시, 흡입 덕트 주변의 공기가 흡입 덕트의 상면을 통해 흡입되어 흡인 노즐에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흡입력이 미미하게 작용하므로 오히려 청소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는 흡입 덕트에 흡입 덕트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는 시트 형상이거나 띠 형상인 실(seal) 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흡인 장치의 작동시 실 수단의 내측 공간 전체와 흡인 노즐에 흡인력이 작용하고 이물질은 흡인 노즐과 실 수단의 내측 공간을 통해 흡인 장치로 흡인된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는, 흡인 노즐과 배기구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실 수단의 내측 공간 전체에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흡인 노즐이 배기구와 가까운 위치일 때에는, 흡인 노즐과 배기구의 맞은편 사이의 공간은 이물질의 흡입과 무관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흡입력이 작용되므로,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되고, 청소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에는 흡입 덕트의 내부에 실(seal) 수단을 지지하거나 회전시키는 로울러가 설치되어 실 수단(seal) 수단이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거나 실 수단(seal) 수단 및 흡인 노즐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84044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는 흡인 장치의 작동시 로울러가 위치되는 공간에도 흡입력이 작용하여 흡입력의 손실이 발생되고, 그만큼 청소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 덕트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이물질의 흡입과 무관한 공간을 차폐하여 흡입 노즐에 작용하는 흡입력 및 청소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폐부재와 흡입 노즐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신뢰성이 높고 차폐부재와 흡입 노즐의 결합이 손쉬운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흡입 노즐과; 상기 배출부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 노즐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이 형성된 흡입 덕트와; 상기 개구면을 막고 상기 흡입 덕트와의 사이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흡입력 작용 공간을 가변시키는 공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흡입 노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노즐과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좌,우 중 일측에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과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와 먼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좌,우 중에서 타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배출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좌,우 중 일측에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과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와 먼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 좌,우 중에서 타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차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롤러가 위치하는 공간을 막는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는 외주를 따라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홀의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인접하는 두면이 개방된 덕트 케이스와, 상기 덕트 케 이스의 일면을 막고 상기 덕트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개구면을 형성하는 덕트 캡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하나에는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차폐부재가 안내되는 안내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차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롤러가 위치하는 공간을 막는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 덕트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이물질의 흡입과 무관한 공간을 차폐할 수 있어 이물질의 흡입과 관련된 공간으로만 흡입력이 작용되게 할 수 있으므로, 청소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차폐부재가 흡입 노즐과 고정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흡입 노즐과 고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차폐부재가 진동 등에 의해 임의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입 노즐이나 차폐부재 중 하나의 손상시에도 손상된 부품만을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본체(2)의 외면 혹은 내부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서 정화하는 필터(80)와, 필터(80)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등에 적용 가능하고, 이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전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상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흡입구(4)가 경사부나 라운드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전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면의 하부와 하면에 걸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전면과 하면 사 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가 경사부나 라운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체(2)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2)는 크게 섀시(10)와, 흡입 유닛(20)과, 토출 유닛(30)을 포함한다.
섀시(10)는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 및 청소기구의 후술하는 흡입장치(166) 등이 장착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일종의 케이스이다.
섀시(10)는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설치판(11)이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섀시(10)가 설치판(11)에 후크 등으로 걸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섀시(10)는 후술하는 팬(54)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15)(16)(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유로 가이드(15)(16)(17)는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가이드(15)(16)와, 좌,우 가이드(15)(16) 사이의 중앙 가이드(17)를 포함한다.
섀시(10)에는 후술하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가이드(15)(16) 중 하나(16)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열교환기(60)를 지지하는 가이드/서포터의 기능을 하고, 열교환 기 서포터(18)가 좌,우 가이드(15)(16) 중 다른 하나(15)에 결합된다.
흡입 유닛(20)은 섀시(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의 전방에 결합된다.
흡입 유닛(20)은 공기 흡입구(4)가 개구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의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흡입 그릴(21)이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으로서, 섀시(10)와 흡입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토출 유닛(30)은 상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되고,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33)가 연결되며, 드레인부(32)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되어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5)(16)(17) 하부와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됨과 아울러 좌,우 측면부의 하단을 잇는 하부 수평부가 형성되어 드레인부(32)와 좌,우 측면부와 하부 수평부 사이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토출 유닛(30)에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하는 베인(3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인(34) 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35)가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3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구(6)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10)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9)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팬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된 팬(54)과, 팬모터(52)를 덮도록 섀시(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를 포함한다.
팬(54)은 유로 가이드(15)(16)(17) 특히 좌,우 유로 가이드(15)(16)의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60)는 공기 흡입구(4)와 팬(5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2)의 공간 특히, 흡입 프레임(20)의 전면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하단은 드레인부(32)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수직부(62)의 상측에서 섀시(1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부(64)와,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섀시(1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부(66)를 포함한다.
열교환기(60)에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되기 위한 냉매배관(68)이 연결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 특히 팬모터(52)의 주변에는 컨트롤 박스(70)가 설치되는 바, 컨트롤 박스(70)는 섀시(10)에 후크나 스트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된다.
컨트롤 박스(70)에는 팬모터(52) 등의 공조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72)와,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청소 피시비(74)가 함께 설치된다.
청소 피시비(74)는 메인 피시비(7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도록 메인 피시비(72)와 리드 선으로 연결되되, 청소기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리드 선이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72)에 연결된다.
컨트롤 박스(7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메인 피시비(72)와 청소 피시비(74)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내부를 닫는 박스 커버(75)가 배치된다.
필터(80)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일종의 정화 유닛으로서, 단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8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82)와, 수평부(8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에는 필터(8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90)이 설치된다.
필터(80)는 필터 프레임(90)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터 프레임(90)에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터 프레임(9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필터 프레임(90)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구(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고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92)와, 수평부(9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93)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가 열교환기(60)의 후방 경사부(66)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경사부(93)는 열교화기(60)의 전방 경사부(64)의 전방 상측에 전방 경사부(64)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되는 바,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양측 후방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95)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96)가 돌출 형성되고, 섀시(10)의 상부에는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95)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0a)가 형성되며,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양측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부재(95)로 체결된다.
필터 프레임(90)은 합성수지 등의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60)와 너무 근접할 경우 열팽창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열교환기(6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사부(9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0)에 고정됨과 아울러 일정 높이를 갖는 열교환기 고정 부(97)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열교환기 고정부(97)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고 돌출 리브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부 휨이 가능하도록 절개부(97a)가 형성된다.
청소기구는 크게, 흡입 노즐(11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장치(166)를 포함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에서 분리시킴과 아울러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대략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필터(9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대략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체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9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다. 즉, 필터(80)의 수평부와 대향되는 수평부와, 필터(80)의 경사부와 대향되는 경사부가 필터(80)의 절곡 각도와 같거나 유사하게 절곡된다.
청소기구는 흡입 노즐(110)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20)를 더 포함한다.
흡입장치(166)는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를 통과한 이물질과 공기를 안내하는 호스(170)와, 호스(170)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 노즐(1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흡입력에 호스(170)를 통해 안내된 이물질과 공기를 배출하는 청소 송풍기(180)와, 청소 송풍기(18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담아 두고 공기만을 배출하는 집진 통(190)을 포함한다.
호스(170)는 일단이 흡입덕트 어셈블리(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송풍기(180)에 연결된다.
청소 송풍기(180)는 섀시(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 청소 팬모터(181)와, 청소 팬모터(181)에 의해 회전되게 연결된 청소 팬(182)과, 청소 팬모터(181)와 결합되고 청소 팬(182)을 둘러싸는 청소 팬 하우징(184)(185)을 포함한다.
청소 팬(182)은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청소 팬 하우징(184)(185)은 청소 팬모터(181)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1 바디(184)와, 제 1 바디와 결합되어 제 1 바디와의 사이에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바디(185)로 이루어지고, 제 1,2 바디 중 청소 팬(182)의 흡입면과 대향되는 바디에 터보팬인 청소 팬(182)으로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86)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호스(170)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미도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일면이 개방된 집진 박스(191)와, 집진 박스(191)의 개방면을 막도록 집진 박스(191)와 결합되는 집진 커버(192)를 포함한다.
집진 박스(191)는 청소 팬 하우징(184)(185)의 토출부(187)와 연통되어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93)가 형성되고, 집진 박스(191)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94)가 형성된다.
집진 박스(191)는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서로 대향되지 않는 면 에 형성되다.
집진 통(190)은 집진 박스(191)의 내부에 ′U′자 형의 분리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195)이 형성되는 바, 격벽(195)은 공기 배출구(194)와 대향됨과 아울러 집진 박스(191)의 저면부와 이격되도록 집진 커버(192)에서 집진 박스(19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청소기구는 이동기구(120) 특히 후술하는 청소용 모터(121)와, 청소 송풍기(180)의 청소 팬모터(181)가 청소 피시비(74)에 의해 제어되도록 청소 피시비(74)와 리드선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과 이동기구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과 이동기구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의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덕트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덕트의 정단면도이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개구부인 흡입부(112)가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에는 흡입 노즐(110)의 이동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와 분리시키는 부재 즉, 브러시(113)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설치된다.
흡입 노즐(110)은 내부에 이물질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14)가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이물질과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인 배출부(115)가 대략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사각 덕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브러시(113)가 설치됨과 아울러 흡입부(112)와 배출부(115)가 형성된 로우어 바디(116A)와, 로우어 바디(116A)와 결합되고 로우어 바디(116A)와의 사이에 통로(114)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116B)를 포함한다.
흡입 노즐(110)은 상부에 상부 가이드부(117)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가이드부(11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상부 가이드부(117)가 섀시(10)와 흡입 유닛(20)과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 중 하나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 레일(94)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안내되고, 하부 가이드부(118)가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 중 하나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안내된다.
상부 가이드부(117)와 하부 가이드부(118) 각각은 각각 흡입 노즐(110)에서 돌출된 돌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 및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가이드부(117)와 하부 가이드부(118) 각각은 단수개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흡입 노즐(110)이 경사지게 비틀리지 않고 상하 전체가 안정감있게 이동되도록 그 각각이 복수개씩 좌,우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가이드 레일(94)은 흡입 노즐(110)이 필터(80)와 접촉된 상태에 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섀시(10)와 흡입 유닛(20)과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 중에서 흡입 유닛(90)의 수평부(92) 상면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가이드 레일(94)은 필터(8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부 가이드부(117)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홈부(94a)가 형성된 박스부로서, 그 전면에는 상부 가이드부(117) 중 일부의 전방측 임의 탈거를 제한하는 걸림턱(94b)이 돌출된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장치(166)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즉, 일종의 옵션 장치로 설치되고, 필터(80) 관련 구성 중에서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만을 기본 구성으로 할 경우, 하부 가이드 레일(131)이 불필요한 구성이므로,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그 성형이 용이하도록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부 가이드 레일(131)은 필터(8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하부 가이드부(118)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홈부(132)가 형성된 돌출부로서,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의 대략 전방부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대략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동기구(120)는 구동원인 청소용 모터(121)와, 청소용 모터(121)에 연동되어 흡입 노즐(110)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122)를 포함한다.
이동기구(120)는 청소용 모터(121)의 구동시 청소용 모터(121)가 흡입 노즐(110)과 함께 이동되도록 청소용 모터(121)가 흡입 노즐(110)에 장착된다.
동력전달기구(122)는, 청소용 모터(121)에 의해 회전되게 배치된 구동기어(123)와,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 중 일측에 형성된 고정 기어(124)와, 구동 기어(123) 및 고정 기어(124)에 치합되어 구동 기어(123)의 회전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는 종동 기어(125)(126)를 포함한다.
청소용 모터(121)는 흡입 노즐(110) 특히, 어퍼 바디(116B)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청소용 모터(121)는 회전축에 구동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기어(121a)가 설치된다.
구동 기어(123)는 모터기어(121a)와 종동 기어(125)(126)와 치합된다.
고정 기어(124)는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 중 어느 하나에 흡입 노즐(1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이다.
고정 기어(124)는 공기조화기가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장치(166)가 일종의 옵션 장치로 설치하고,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만을 기본 구성으로 할 경우, 불필요한 구성이므로,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그 성형이 용이하도록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종동 기어(125)(126)는 구동기어(12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어, 구동기어(123)와 청소용 모터(121)와 흡입 노즐(110)이 함께 좌,우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나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종동 기어(125)(126)는 흡입 노즐(110)을 좌,우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좌,우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 노즐(110)에는 구동 기어(123)와 종동 기어(125)(12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 노즐(110)은 구동 기어(123)와 종동 기어(125)(126)를 덮는 기어 박스(127)를 더 포함한다.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는 필터 프레임(90)의 경사부(93) 중 하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개구면(134)의 후방 상부를 향하게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나, 이하 대략 전방을 향하는 면을 전면으로 설명하고, 대략 후방을 향하는 면을 후면으로 설명하며, 대략 상측을 향하는 면을 상면으로 설명하고, 대략 하측을 향하는 면을 하면으로 설명한다.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연통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흡입 노즐(110)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134)이 형성된 흡입 덕트(135)와, 흡입 노즐(110)과 연결되어 흡입 노즐(110)에 의해 무빙되면서 개구면(134)을 막는 차폐부재(150)와, 차폐부재(150)의 무빙을 안내하는 안내기구인 롤러(160)(161)를 포함한다.
흡입 노즐(110)은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134)을 관통해 배출부(115)의 대략 하단이 흡입 덕트(135)의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즉, 흡입 노즐(110)은 이동기구(120)에 의한 이동시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면(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흡입 덕트(135)는 필터 프레임(9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필터 프레임(90)에는 흡입 덕트(135)가 올려지는 걸림턱(98)이 대략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흡입 덕트(135)와 필터 프레임(90) 중 하나에는 돌기(136)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에는 돌기(136)가 착탈되는 후크(98)가 형성되어 돌기(136)가 후크(98)를 탄성 변형시킨 후 후크(98)에 의해 걸림되어 장착된다.
흡입 덕트(135)는 전체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 고정 타입의 박스체로서, 내부에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흡입 노즐(110)을 향하는 면인 상면에 개구면(134)이 상하 개구 형성된다.
차폐부재(150)는 흡입 덕트(135)와 함께 흡입 덕트(135) 내부에 흡입력 작용 공간 즉, 흡입 통로(133)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폐루프인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차폐부재(150)는 흡입 덕트(135) 내부에서 롤러(160)(161)를 따라 회전되도록 고무 등의 탄성체나 필름 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차폐부재(150)는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 중에서 흡입 덕트(135)의 배출부(115) 이외를 모두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일측에 개구 형성되고, 흡입 노즐(110)은 배출부(115)의 단부가 차폐부재(150)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게 배출부(115)가 관통부(151)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차폐부재(150)가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흡입 노즐(11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부재(155)에 이해 흡입 노즐(1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고정부재(155)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과 결합되어 차폐부재(150)의 이탈을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과의 사이에 차폐부재(150)의 일부가 개재되게 하여 차폐부재(150)가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흡입 노즐(110)과의 결합시 흡입 덕트(135)와 차폐부재(15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게 흡입 노즐(110)과 결합된다.
고정부재(155)는 판체부로 이루어지고,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개구부(156)가 형성된다.
한편,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157)(158)이 형성되며, 차폐부재(150)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관통되는 관통 홀(152)(153)이 결합 홀(157)(158)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배출부(115)의 외면에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와 차폐부재(150)의 관통부(151) 사이의 틈을 막을 뿐만 아니라 결합 돌기(115a)(115b)의 돌출 형성을 위한 돌출부(115c)가 형성된다.
돌출부(115c)는 배출부(115)의 외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115c) 중 배출부(11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좌측 결합 돌기(115a)가 돌출되고, 돌출부(115c) 중 배출부(115)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우측 결합 돌기(115b)가 돌출된다.
즉, 흡입 노즐(110)과 차폐부재(150)와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를 차폐부재(150)의 관통부(151)에 관통시킨 후 고정부재(156)의 개구부(156)로 삽입시키면서, 흡입 노즐(110)의 결합 돌기(115a)(115b)를 차폐부재(150)의 관통 홀(152)(153)에 관통시킨 후 고정부재(155)의 결합 홀(157)(158)에 끼우면, 차폐부재(150)의 일부가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흡입 노즐(110) 및 고정부재(155)와 결합된다.
롤러(160)(161)는 흡입 덕트(135)의 내부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폐부재(150)의 일단측이 감기는 제 1 롤러(160)와, 흡입 덕트(135)의 내부 타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폐부재의 타단측이 감기는 제 2 롤러(161)를 포함하고, 이하 흡입 덕트(135)의 내부 좌측에 제 1 롤러(16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입 덕트(135)의 내부 우측에 제 2 롤러(16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롤러(160)(161)는 전방과 후방에 회전축이 각각 돌출되어, 전방측 회전축(160a)(161a)이 흡입 덕트(135)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방 회전홀(136a)(136b)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측 회전축(160b)(161b)이 흡입 덕트(135)의 후면부에 형성된 후방 회전홀(137a)(137b)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160)(161) 각각은 외주를 따라 복수개의 돌기(162)(163)가 이격 형성되고, 차폐부재(150)는 돌기(162)(163)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154)의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돌기(162)(163)와 등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즉, 차폐부재(150)는 흡입 노즐(110)의 이동시 걸림홀(154)로 롤러(160)(161)의 복수개의 돌기(162)(163)가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면서, 롤러(160)(161)와 미끌어지지 않고, 롤러(160)(161)의 외주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흡입 덕트(135)는 박스 형상의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롤러(154)(155)와 차폐부재(1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여러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덕트(135)는 인접하는 두면이 개방된 덕트 케이스(136)와, 상기 덕트 케이스(136)의 일면을 막고 덕트 케이스(136)와의 사이에 개구면(134)을 형성하는 덕트 캡(137)을 포함한다.
이하, 덕트 케이스(136)는 배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좌측판부(139a)와 우측판부(139b)와 전판부(139c)와 하판부(139d)로 이루어지고, 덕트 캡(137)은 덕트 케이스(136)의 배면을 막는 것으로 설명한다.
덕트 캡(137)은 덕트 케이스(136)의 배면을 막는 후판부(141)와, 후판 부(141)의 좌,우 양측에서 돌출된 좌,우측 돌출부(142)(143)를 포함한다.
덕트 캡(137)은 좌측 돌출부(142)가 덕트 케이스(136)의 좌측판부(139a)와 밀착되게 덕트 케이스(136)의 좌측판부(139a)와 제 1 롤러(160)의 사이로 돌출되고, 우측 돌출부(143)가 덕트 케이스(136)의 우측판부(139b)에 밀착되게 덕트 케이스(136)의 우측판부(139b)와 제 2 롤러(161)의 사이로 돌출된다.
흡입 덕트(135)는 덕트 케이스(136)와 덕트 캡(137) 중 하나에는 흡입 장치(160) 특히 호스(170)가 연결되는 연결부(138)가 형성된다.
연결부(138)는 흡입 덕트(135)와 차폐부재(15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연결부(138)는 흡입 덕트(135)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연통로(138a)가 형성된 관부로 구성되어 관부에 호스(170)가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고, 흡입 덕트(135)에 형성된 연통로(138a)에 연통되도록 흡입덕트(135)에 후크 등으로 결합되는 별도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커넥터에 호스(170)가 끼워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부(138)는 흡입 덕트(135)의 좌,우 중 일측에 구비된다.
덕트 케이스(136)와 덕트 캡(137)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차폐부재(150)가 안내되는 안내 리브(144)(145)(146)(147)가 좌우로 길게 형성되게 돌출 형성된다.
덕트 케이스(136)와 덕트 캡(137) 중 적어도 하나(136)에는 차폐 부재(150)의 내측 공간 중에서 제 1 롤러(160)가 위치하는 공간(S1) 및 제 2 롤러(162)가 위 치하는 공간(S2)을 그 사이의 공간(S3)과 막는 격벽(148)(149)이 형성된다.
격벽(148)(149)은 덕트 케이스(136)의 전판부(139c) 배면에서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에서 덕트 케이스(136)의 전판부(139c) 배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덕트 케이스(136)에서 돌출된 것으로 설명한다.
격벽(148)(149)은 제 1 롤러(160)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돌출된 제 1 격벽(148)과, 제 2 롤러(161)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돌출된 제 2 격벽(149)으로 이루어진다.
격벽(148)(149)은 차폐 부재(150)의 회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차폐부재(140)의 상,하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차폐부재(140)의 상,하부 사이의 높이보다 그 높이가 조금 낮게 형성되고,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과의 사이에 틈이 최소화되도록 덕트 케이스(136)의 전판부(139c) 배면과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 사이의 폭과 같거나 조금 적게 형성된다.
즉, 흡입 덕트(135)와 차폐부재(150) 사이의 공간은 롤러(160)(161)가 위치하는 공간(S1)(S2)이 차폐부재(150)와 격벽(148)(149)에 막혀 밀폐 공간(S1)(S2)이 되고, 송풍기(180)의 작동시 발생된 흡입력은 격벽(148)(149) 사이의 공간(S3)에만 작용되며, 흡입 덕트(135)의 전방 회전홀(136a)(136b) 및 후방 회전홀(137a)(137b)을 통한 공기의 흡입은 최소화된다.
한편, 고정부재(155)에는 차폐부재(155)가 흡입 덕트(135)와 함께 형성하는 공간 중 일부(S4)를 막는 공간 조절부(159)가 형성된다.
공간 조절부(159)는 흡입 덕트(135)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공간인 흡입력 작용 공간을 가변시키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연결부(138)와 근접한 공간(S5)과, 상대적으로 연결부(138)와 먼 공간(S4) 사이를 막아 연결부(138)와 먼 공간(S4)으로 흡입력이 작용되지 않게 하는 일종의 격벽으로 이루어진다.
공간 조절부(159)는 연결부(138)가 흡입 덕트(135)의 좌,우 중 우측에 형성된 경우, 고정부재(155)의 좌,우 중에서 좌측에 형성되고, 연결부(138)가 흡입 덕트(135)의 좌,우 중 좌측에 형성된 경우, 고정부재(155)의 좌,우 중에서 우측에 형성된다.
공간 조절부(159)는 덕트 케이스(136)의 전판부(136) 배면과 공간 조절부(159)의 선단 사이의 틈과,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과 공간 조절부(159)의 후단 사이의 틈이 최소화되도록 덕트 케이스(136)의 전판부(139c) 배면과 덕트 캡(137)의 후판부(141) 전면 사이의 폭과 같거나 조금 적게 형성된다.
공간 조절부(159)는 그 하단이 차폐부재(150)의 하부측 상면과 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즉, 공간 조절부(159)는 고정부재(155)에서 돌출 형성되되, 차폐부재(150)의 상부측 하면과 하부측 상면 사이의 높이에서 고정부재(155)의 판체부 두께만큼을 뺀 높이와 같거나 조금 낮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피시비(7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이나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를 통해 필터 청소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이 필터 청소 조건이거나, 주기적으로 청소 피시비(74)로 필터 청소의 신호를 출력한다.
청소 피시비(74)는 필터 청소의 신호 입력시 청소용 모터(12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청소 팬모터(18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청소용 모터(121)와 청소 팬모터(181)는 구동된다.
청소용 모터(121)의 구동시 구동 기어(122)는 회전되고, 종동기어(125)(126)는 구동기어(123)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며, 흡입 노즐(110)은 상부 가이드부(117)가 상부 가이드 레일(94)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안내됨과 아울러 하부 가이드부(118)가 하부 가이드 레일(131)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필터(80)를 따라 고정 기어(12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고, 이때 필터(80)에 있던 이물질은 브러시(113)에 의해 필터(80)와 분리된다.
청소용 모터(171)는 흡입 노즐(110)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그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역구동되고, 흡입 노즐(110)은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흡입 노즐(110)의 이동과 그에 따른 이물질의 분리와 함 께, 청소 팬(182)은 청소 팬모터(18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호스(170)의 내부와 흡입 덕트(135) 특히, 연결부(138)와 공간 조절부(159)의 사이와,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와 통로(114) 및 흡입부(112)에는 청소 팬(182)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력 작용시 필터(8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흡입 노즐(110)의 흡입부(112)와 통로(114)와 배출부(115)를 통과해 흡입 덕트(135)로 흡입된 후, 흡입 덕트(135) 특히 공간 조절부(159)와 연결부(138)의 사이를 통과하고, 연결부(138)와 호스(170)를 차례로 통과하여 청소 팬 하우징(184)(185)으로 흡입되고, 이후 청소 팬(182)에 의해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보내진다.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집진 통(190)의 내부에서 격벽에 의해 우회되어 ′U′자형 유로를 통과하고, 이때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집진 통(190)의 상부를 향해 상승되지 않고, 집진 통(190)의 내측 하부에 모이며, 공기는 공기 배출구(194)를 통해 집진 통(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물질과 공기의 흡입시, 청소 팬(182)에 의한 흡입력은 차폐부재(150)에 의해 차폐부재(150)의 외측 상부 및 하부로 작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155)의 공간 조절부(159)의 좌측 및 제 2 격벽(149)의 우측에 작용하지 않고, 흡입 덕트(135) 내부의 흡입력은 흡입 노즐(110)에만 작용되며, 이물질의 흡입력은 최대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필터(90)의 청소시, 흡입 덕트(135)는 흡입 노즐(110) 의 이동시 청소 팬(182)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공간인 흡입력 작용 공간(S5)의 용적이 가변되므로, 상기 공간(S5)이 적을 경우 예를 들면,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와 흡입 덕트(135)의 연결부(138)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청소 팬모터(181)를 상대적으로 적은 흡입력이 발생되게 제어하고, 흡입력 작용 공간(S5)이 클 경우 예를 들면,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와 흡입 덕트(135)의 연결부(138)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청소 팬모터(181)를 상대적으로 큰 흡입력이 발생되게 제어하면, 흡입 노즐(110)은 필터(80) 전체에 대체로 일정한 흡입력으로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한다.
즉,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와 흡입 덕트(135)의 연결부(138) 사이의 거리에 선형적 혹은 비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청소 팬모터(181)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10) 특히 배출부(115)에 공간 조절부(159′)가 형성된다.
공간 조절부(159′)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를 기준으로 연결부(138)와 근접한 공간(S5)과, 상대적으로 연결부(138)와 먼 공간(S4)을 막는 것으로서, 연결부(138)가 흡입 덕트(135)의 좌,우 중 우측에 형성된 경우,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좌,우 중에서 좌측에 형성되고, 연결 부(138)가 흡입 덕트(135)의 좌,우 중 좌측에 형성된 경우,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좌,우 중에서 우측에 형성된다.
공간 조절부(159′)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옆에 이격되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일측벽에서 연장되게 돌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차폐부재(150′)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155′)에 의해 흡입 노즐(110)에 직접 고정된다.
차폐부재(150′)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차폐부재(150′)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까지 절개 형성되어 흡입 노즐(110)과 차폐부재(150′)가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고, 관통부(151′)의 주변부(151a′)가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15c)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착수단(155′)으로 접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10)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 실시예에 같이, 공간 조절부(159′)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 노즐(110)에는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상,하 끼움 리브(155a″)(155b″)가 형성되고, 차폐부재(150″) 특히 관통부(151″)의 주변부(151a″)는 상,하 끼움 리브(155a″)(155b″)의 사이로 삽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차폐부재(150″)가 흡입 노즐(110)과 결합된다.
한편, 차폐부재(150″)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같이, 차폐부재(150″)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까지 절개 형성되어, 흡입 노즐(110)과 차폐부재(150″)가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10)에 본 발명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공간 조절부(159′)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부재(150)에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본 발명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차폐부재(150)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까지 절개 형성되어, 흡입 노즐(110)과 차폐부재(150)가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차폐부재(15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정부재(155′)에 의해 흡입 노즐(110)과 고정된다.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157′)(158′)이 형성되며, 차폐부재(150)에는 결합 돌기(115a)(115b)가 관통되는 관통 홀(152)(153)이 결합 홀(157′)(158′)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부재(150)는 관통부(151′)의 주변부(151a′)가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115c)의 상면 혹은 하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155′)가 차폐부재(150)의 관통부(151′) 주변부(151a′)를 사이에 두고 흡입 노즐(110)과 결합된다.
한편, 고정부재(155′)는 흡입 덕트(110)가 관통되는 관통부(156′)가 형성되되, 관통부(156′)는 고정부재(155′)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까지 절개 형성되며, 특히 차폐부재(150)의 관통부(151′)와 반대 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흡입 덕트 내부의 흡입력 작용 공간이 조절부에 의해 가변되는 공기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과 이동기구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과 이동기구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덕트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 덕트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공기 토출구 10: 섀시
20: 흡입 유닛 21: 흡입 그릴
30: 토출 유닛 50: 송풍기
60: 열교환기 70: 컨트롤 박스
72: 메인 피시비 74: 청소 피시비
75: 박스 커버 80: 필터
82: 수평부 83: 경사부
90: 필터 프레임 92: 수평부
93: 수직부 94: 상부 가이드 레일
110: 흡입 노즐 112: 흡입부
113: 브러쉬 114: 통로
115: 배출부 115a,115b: 결합돌기
116A: 로우어 바디 116B: 어퍼 바디
117: 상부 가이드부 118: 하부 가이드부
120: 이동기구 121: 청소용 모터
122: 동력전달기구 123: 구동기어
124: 고정 기어 125,126: 종동기어
127: 기어 박스 130: 흡입 덕트 어셈블리
134: 개구면 135: 흡입 덕트
136: 덕트 케이스 137: 덕트 캡
138: 연결부 148,149: 격벽
150: 차폐부재 151: 관통부
152,153: 관통홀 154: 걸림홀
155: 고정부재 156: 개구부
157,158: 결합홀 159: 공간 조절부
160,161: 롤러 162,163: 돌기
166: 흡입 장치 170: 호스
180: 청소 송풍기 181: 청소 팬모터
182: 청소 팬 184,185: 청소 팬 하우징
186: 오리피스 190: 집진 통
191: 집진 박스 192: 집진 커버
195: 격벽

Claims (15)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흡입 노즐과;
    상기 배출부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 노즐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이 형성된 흡입 덕트와;
    상기 개구면을 막고 상기 흡입 덕트와의 사이에 흡입력 작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흡입력 작용 공간을 가변시키는 공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차폐부재를 상기 흡입 노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과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좌,우 중 일측에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과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와 먼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좌,우 중에서 타측에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흡입 덕트의 배출부에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좌,우 중 일측에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과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 조절부는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와 먼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흡입 노즐의 배출부 좌,우 중에서 타측에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차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롤러가 위치하는 공간을 막는 격벽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외주를 따라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홀의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덕트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덕트는 인접하는 두면이 개방된 덕트 케이스와, 상기 덕트 케이스의 일면을 막고 상기 덕트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개구면을 형성하는 덕트 캡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하나에는 상기 흡입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차폐부재가 안내되는 안내 리브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에는 상기 차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덕트 케이스와 덕트 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차폐 부재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롤러가 위치하는 공간을 막는 격벽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70087154A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KR10087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4A KR100873399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EP07860672.0A EP2181291B1 (en) 2007-08-29 2007-12-26 Air conditioner
CN2007801003965A CN101790664B (zh) 2007-08-29 2007-12-26 空调
ES07860672.0T ES2524441T3 (es) 2007-08-29 2007-12-26 Acondicionador de aire
PCT/KR2007/006853 WO2009028765A2 (en) 2007-08-29 2007-12-2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4A KR100873399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399B1 true KR100873399B1 (ko) 2008-12-11

Family

ID=4037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154A KR100873399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81291B1 (ko)
KR (1) KR100873399B1 (ko)
CN (1) CN101790664B (ko)
ES (1) ES2524441T3 (ko)
WO (1) WO20090287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380B1 (ko) 2014-01-17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7067431A (ja) * 2015-09-28 2017-04-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490260B2 (ja) * 2018-02-06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21036196A (ja) * 2020-12-03 2021-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218Y1 (ko) * 2001-07-28 2001-11-22 이강영 필터부스
KR20050107483A (ko) 2003-03-04 2005-11-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50114655A (ko) 2003-03-20 2005-12-0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65B1 (ko) * 2003-08-18 2011-09-19 파나소닉 주식회사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이 부가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CN100565028C (zh) * 2004-09-03 2009-12-02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0427838C (zh) * 2004-10-19 2008-10-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调机的过滤装置
JP2006284044A (ja) * 2005-03-3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218Y1 (ko) * 2001-07-28 2001-11-22 이강영 필터부스
KR20050107483A (ko) 2003-03-04 2005-11-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50114655A (ko) 2003-03-20 2005-12-0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필터 자동 청소 기능 부착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1291A4 (en) 2011-07-06
EP2181291B1 (en) 2014-11-12
ES2524441T3 (es) 2014-12-09
WO2009028765A2 (en) 2009-03-05
CN101790664A (zh) 2010-07-28
CN101790664B (zh) 2012-11-14
EP2181291A2 (en) 2010-05-05
WO2009028765A3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6092A (ko) 공기조화기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0873399B1 (ko) 공기조화기
EP2181293B1 (en) Air conditioner
JP506211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KR101323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2B1 (ko) 공기조화기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0A (ko) 공기조화기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5A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101362318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7B1 (ko) 공기조화기
KR100907717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9745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장치
KR101450561B1 (ko) 공기조화기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KR10148210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50317A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55465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766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