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32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322B1
KR101392322B1 KR1020070087157A KR20070087157A KR101392322B1 KR 101392322 B1 KR101392322 B1 KR 101392322B1 KR 1020070087157 A KR1020070087157 A KR 1020070087157A KR 20070087157 A KR20070087157 A KR 20070087157A KR 101392322 B1 KR101392322 B1 KR 10139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collecting
suction
foreign mat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093A (ko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322B1/ko
Priority to CN2008100067932A priority patent/CN101377326B/zh
Publication of KR2009002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격벽을 우회하여 돌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집진 통의 하부에 남게 되고 공기만이 집진 통에서 배출되므로, 집진 통 내부에 별도의 집진용 필터를 구비하거나 집진용 필터를 청소/교체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필터, 흡입력 발생기구, 흡입구, 공기 배출구, 집진 통, 격벽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 통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는 띠 형상의 에어 필터를 실내기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한 조출/권취용 축 사이에 걸쳐 흡입부에 이면으로부터 임하도록 걸치고, 한쪽축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 필터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이 에어 필터의 하둔부 근방에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쉬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청소용 브러쉬의 하방에 청소용 브러쉬에 의해 긁혀 떨어진 먼지를 회수하는 더스트 박스(dust box)를 설치한 에어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 개시된 에어 필터 장치는, 에어 필터가 조출축과 권취용 축을 따라 회전되므로, 에어 필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에어 필터가 조출축을 따라 돌면서 에어 필터에 있던 이물이 더스트 박스 이외로 낙하될 수 있어 오히려 오히려 지저분해 질 수 있으며, 더스트 박스의 상면 전체가 개방된 구조이므로, 공기조화기의 공조 작동시 더스트 박스 내의 이물이 더스트 박스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073666호에는 흡입 노즐에 의해 흡입된 진애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와, 한쪽이 흡입 덕트에 연결되고 흡인된 공기 유로의 하류측에 진애를 집진할 수 있는 필터가 형성되며, 필터의 하방에 착탈가능하며 진애를 축적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10-073666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는, 집진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필터가 형성됨과 아울러 필터의 하방에 별도의 오목부가 구 비되므로, 필터장치의 전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대되고, 장시간 사용시 필터에 진애가 부착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10-073666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는, 집진 장치의 흡입구가 집진 장치의 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와 진애가 출구로 곧장 향하므로, 대부분의 진애가 집진 장치의 출구를 향해 송출되므로, 집진 장치의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진애의 집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공기와 이물질이 분리되게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 통의 설치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진 통이 견고하게 고정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집진 통의 내부에 ′U′자형 유로가 형성시키도록 상기 집진통의 상부에서 하향 돌출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면과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배출구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서로 직교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집진 통은 둘레부에 상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상면을 막고 상기 박스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격벽이 돌출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와 박스체 중 일측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에 연결된 호스와, 상기 호스가 흡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진 통이 토출부에 연결되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 하여 상기 집진통으로 토출하는 청소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구가 상기 청소 송풍기의 토출부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흡입 플랜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집진 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벽에 설치되는 섀시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집진 통이 올려지도록 상기 토출 유닛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 리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집진 통이 후방으로 걸리도록 걸림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집진 통은 전방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집진통의 경사부가 타고 넘고 상기 집진통의 경사부 하단이 전방으로 걸리는 걸이부가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와 집진 통에는 상호 걸리는 걸이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벽에 설치되는 섀시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집진통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상방향으로 걸리도록 상기 토출 유닛에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진 통에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격벽을 우회하여 돌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집진 통의 하부에 남게 되므로, 집진 통 내부에 별도의 집진용 필터를 구비하거나 집진용 필터를 청소/교체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격벽이 집진 통의 내부에 ′U′자형 유로가 형성시키도록 집진통의 상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공기와 이물질을 분리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격벽이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면과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배출구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물질 중 일부가 공기 배출구를 향해 곧장 유동되지 않고, 이물질의 우회 유로가 길기 때문에 이물질의 분리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집진 통의 서로 직교하는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어, 공기와 이물질의 유동 방향이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자체 구조에 의해 직각으로 꺽이므로,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 마주보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보다 이물질의 분리율이 더욱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진 통이 박스체와, 덮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격벽이 박스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덮개와 박스체 중 일측에 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크가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후크 조작의 간단한 동작으로 박스체를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력 발생기구가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흡입 덕트에 연결된 호스와, 호스가 흡입부에 연결되고 집진 통이 토출부에 연결되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통으로 토출하는 청소 송풍기를 포함하여, 필터를 이동시키는 경우 보다 필터 주변을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진 통의 흡입구가 청소 송풍기의 토출부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흡입 플랜지부로 이루어져, 집진 통과 청소 송풍기의 사이로 이물질이 새거나 끼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진 통과 청소 송풍기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구조가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집진 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집진 통이 안정감 있게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집진 통에 상호 걸리는 걸이수단이 형성되어, 집진 통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때 보다 손쉽게 고정될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본체(2)의 외면 혹은 내부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서 정화하는 필터(80)와, 필터(80)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등에 적용 가능하고, 이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전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상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흡입구(4)가 경사부나 라운드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전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면의 하부와 하면에 걸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전면과 하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가 경사부 나 라운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체(2)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2)는 크게 섀시(10)와, 흡입 유닛(20)과, 토출 유닛(30)을 포함한다.
섀시(10)는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 및 청소기구의 후술하는 청소 송풍기(180) 등이 장착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일종의 케이스이다.
섀시(10)는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설치판(11)이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섀시(10)가 설치판(11)에 후크 등으로 걸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섀시(10)는 후술하는 팬(54)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15)(16)(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유로 가이드(15)(16)(17)는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가이드(15)(16)와, 좌,우 가이드(15)(16) 사이의 중앙 가이드(17)를 포함한다.
섀시(10)에는 후술하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가이드(15)(16) 중 하나(16)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열교환기(60)를 지지하는 가이드/서포터의 기능을 하고,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좌,우 가이드(15)(16) 중 다른 하나(15)에 결합된다.
흡입 유닛(20)은 섀시(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의 전방에 결합된다.
흡입 유닛(20)은 공기 흡입구(4)가 개구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의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흡입 그릴(21)이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으로서, 섀시(10)와 흡입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토출 유닛(30)은 상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되고,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33)가 연결되며, 드레인부(32)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되어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5)(16)(17) 하부와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됨과 아울러 좌,우 측면부의 하단을 잇는 하부 수평부가 형성되어 드레인부(32)와 좌,우 측면부와 하부 수평부 사이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토출 유닛(30)에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하는 베인(3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인(34)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35)가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3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구(6)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10)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9)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팬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된 팬(54)과, 팬모터(52)를 덮도록 섀시(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를 포함한다.
팬(54)은 유로 가이드(15)(16)(17) 특히 좌,우 유로 가이드(15)(16)의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60)는 공기 흡입구(4)와 팬(5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2)의 공간 특히, 흡입 프레임(20)의 전면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하단은 드레인부(32)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수직부(62)의 상측에서 섀시(1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부(64)와,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섀시(1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부(66)를 포함한다.
열교환기(60)에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되기 위한 냉매배관(68)이 연결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 특히 팬모터(52)의 주변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0)가 설치되는 바, 컨트롤 박스(70)는 섀시(10)에 후크나 스트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된다.
컨트롤 박스(70)에는 팬모터(52) 등의 공조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72)와,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청소 피시비(74)가 함께 설치된다.
청소 피시비(74)는 메인 피시비(72)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도록 메인 피시비(72)와 리드 선으로 연결되되, 청소기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리드 선이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72)에 연결된다.
컨트롤 박스(7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메인 피시비(72)와 청소 피시비(74)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내부를 닫는 박스 커버(75)가 배치된다.
필터(80)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일종의 정화 유닛으로서, 단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8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82)와, 수평부(8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에는 필터(8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90)이 설치된다.
필터(80)는 필터 프레임(90)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터 프레임(90)에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터 프레임(9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필터 프레임(90)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구(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고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92)와, 수평부(9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93)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가 열교환기(60)의 후방 경사부(66)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경사부(93)는 열교화기(60)의 전방 경사부(64)의 전방 상측에 전방 경사부(64)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되는 바,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양측 후방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95)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96)가 돌출 형성되고, 섀시(10)의 상부에는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95)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0a)가 형성되며,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양측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부재(95)로 체결된다.
필터 프레임(90)은 합성수지 등의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60)와 너무 근접할 경우 열팽창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열교환기(6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사부(9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0)에 고정됨과 아울러 일정 높이를 갖는 열교환기 고정부(97)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열교환기 고정부(97)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고 돌출 리 브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부 휨이 가능하도록 절개부(97a)가 형성된다.
청소기구는 필터(90)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100)와; 흡입력 발생기구(100)와 연통되고, 흡입력 발생기구 (100)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어 공기만 배출되고 이물질이 모이는 집진 통(190)을 포함한다.
흡입력 발생기구(100)는 필터(90)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집진 통(190)으로 흡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하 흡입 노즐(11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호스(170)와, 청소용 송풍기(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에서 분리시킴과 아울러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대략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필터(9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대략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체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9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다. 즉, 필터(80)의 수평부와 대향되는 수평부와, 필터(80)의 경사부와 대향되는 경사부가 필터(80)의 절곡 각도와 같거나 유사하게 절곡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개구부인 흡입부(112)가 형성된 다.
흡입 노즐(110)에는 흡입 노즐(110)의 이동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와 분리시키는 부재 즉, 브러시(113)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설치된다.
흡입 노즐(110)은 내부에 이물질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14)가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이물질과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인 배출부(115)가 대략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사각 덕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브러시(113)가 설치됨과 아울러 흡입부(112)와 배출부(115)가 형성된 로우어 바디(116A)와, 로우어 바디(116A)와 결합되고 로우어 바디(116A)와의 사이에 통로(114)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116B)를 포함한다.
청소기구는 흡입 노즐(110)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20)를 더 포함한다.
이동기구(120)는, 흡입 노즐(110)과 함께 이동되도록 흡입 노즐(110)에 장착된 구동원인 노즐 이동용 모터(121)와, 노즐 이동용 모터(121)에 의해 회전되게 배치된 구동기어(123)와,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 중 일측에 형성되고 흡입 노즐(8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기어(124)와, 구동 기어(123) 및 고정 기어(124)에 치합되어 구동 기어(123)의 회전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는 종동 기어(125)(126)를 포함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흡입 노즐(110)이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회전축(121b)이 정/역회전되는 양방향 회전 모터로 이루어진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구동기어(123)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121b)에 구동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기어(121a)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종동 기어(125)(126)는 하나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흡입 노즐(110)을 좌,우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좌,우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연통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흡입 노즐(110)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이 형성된 흡입 덕트(135)와, 흡입 노즐(110)과 연결되어 흡입 노즐(110)에 의해 무빙되면서 개구면(134)을 막는 차폐부재(150)를 포함한다.
즉, 흡입 노즐(110)은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을 관통해 배출부(115)의 대략 하단이 흡입 덕트(135)의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되어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흡입 덕트(135)는 전체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 고정 타입의 박스체로서, 흡입 노즐(110)을 향하는 면인 상면에 개구면이 상하 개구 형성된다.
흡입 덕트(135)는 인접하는 두면이 개방된 덕트 케이스(136)와, 덕트 케이스(136)의 일면을 막고 덕트 케이스(136)와의 사이에 개구면을 형성하는 덕트 캡(137)을 포함한다.
차폐부재(150)는 흡입 덕트(135)와 함께 흡입 덕트(135) 내부에 흡입 통로(133)를 형성하는 폐루프로 이루어져,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 중에서 흡입 덕트(135)의 배출부(115) 이외를 모두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일측에 개구 형성된다.
차폐부재(150)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흡입 노즐(11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부재(155)에 이해 흡입 노즐(1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고정부재(155)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과 결합되어 차폐부재(150)의 이탈을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과의 결합시 차폐부재(15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게 흡입 노즐(110)과 결합되고, 흡입 노즐(110)과의 사이에 차폐부재(150)의 일부가 개재되게 하여 차폐부재(150)가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에 의해 구속되게 한다.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개구부(156)가 형성된다.
호스(170)는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를 통과한 이물질과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흡입덕트 어셈블리(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송풍기(180)에 연결된다.
청소 송풍기(180)는 호스(170)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 노즐(1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흡입력에 호스(170)를 통해 안내된 이물질과 공기를 집진 통(190)으로 송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섀시(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 청소 팬모터(181)와, 청소 팬모터(181)에 의해 회전되게 연결된 청소 팬(182)과, 청소 팬모터(181)와 결합되고 청소 팬(182)을 둘러싸는 청소 팬 하우징(184)(185)을 포함한다.
청소 팬(182)은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청소 팬 하우징(184)(185)은 청소 팬모터(181)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1 바디(184)와, 제 1 바디(184)와 결합되어 제 1 바디(184)와의 사이에 송풍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바디(185)로 이루어지고, 제 1,2 바디 중 청소 팬(182)의 흡입면과 대향되는 바디에 터보팬인 청소 팬(182)으로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86)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호스(170)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미도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청소 송풍기(18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담아 두고 공기만을 배출하는 일종의 공기 분리기 및 이물질 저장부로서, 일면이 개방된 박스체(191)와, 박스체(191)의 개방면을 막도록 박스체(191)와 결합되는 덮개(19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청소기구는 이동기구(120) 특히 노즐 이동용 모터(121)와, 청소 송풍기(180)의 청소 팬모터(181)가 청소 피시비(74)에 의해 제어되도록 청소 피시 비(74)와 리드선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과 청소 송풍기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집진 통(190)은 흡입력 발생기구(100) 특히 청소 송풍기(180)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력 발생기구(100)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193)가 형성되고, 집진 통(190)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94)가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곧바로 공기 토출구(194)로 토출되지 않고 집진 통(19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딪히면서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되도록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서로 대향되지 않게 형성되고, 서로 직교하는 면에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하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구조로서, 공기 배출구(194)는 집진 통(190)의 상하 중에서 대략 상부에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가 집진 통(190)의 전,후판부(200)(201) 중 일측에 형성될 경우, 공기 배출구(194)가 집진 통(190)의 좌,우판부(202)(203)중 일측의 상부 또는 상판부(204)에 형성되고, 흡입구(193)가 집진 통(190)의 좌,우판 부(202)(203) 중 일측에 형성될 경우, 공기 배출구(194)가 집진 통(190)의 전,후판부(200)(201)의 상부 또는 상판부(204)에 형성되며, 흡입구(193)가 집진 통(190)의 상판부(204)에 형성될 경우 공기 배출구(194)가 집진 통(190)의 전,후,좌,우판부(200)(201)(202)(203) 중 일측의 상부에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 모두가 박스체(191)에 형성되고, 덮개(192)가 박스체(191)의 개구면을 덮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박스체(191)는 상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집진 통(190)의 전,후,좌,우판부(200)(201)(202)(203)와 하판부(205)를 구성하되, 전,후,좌,우판부(200)(201)(202)(203) 중 직교하는 두 판부에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덮개(192)는 박스체(191)의 상면을 덮는 상판부(204)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덮개(192)는 전체적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체(191)의 상면을 덮고, 그 테두리를 따라 박스체(191)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커버부(206)가 돌출 되게 형성된다.
한편, 집진 통(190)은 박스체(191)와 덮개(192) 중 일측에는 후크(206)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크(206)가 걸림되는 걸이부(207)가 형성된다.
후크(206)는 덮개(192)에서 박스체(191)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고, 걸이부(207)는 박스체(191)의 전판부에 후크(195)가 걸리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이나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가 청소 송풍기(180)의 토출부(187)와 삽입식으 로 결합되는 흡입 플랜지부(193a)가 사각 덕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박스체(191)에는 흡입 플랜지부(193a)가 청소 송풍기(180)의 토출부(187)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집진 통(190)은 공기 배출구(194)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198)이 형성된다.
격벽(198)은 집진 통(190)의 내부에 ′U′자형 유로(198)가 형성시키게 형성된다.
′U′자형 유로(198)는 흡입구(193)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집진 통(190)의 내측 하부를 향해 하향 이동되게 하는 공기/이물질 흡입 유로인 하향 유로(198a)와, 집진 통(190) 하부의 공기가 공기 토출구(194)를 향해 상향 이동되게 하는 공기 배출 유로인 상향 유로(198b)와, 하향 유로(198a)와 상향 유로(198b)를 잇도록 격벽(198)의 하단과 집진 통(190)의 하판부(205) 사이에 형성된 연결 유로(198c)로 이루어진다.
즉, 격벽(198)은 덮개(192) 특히, 박스체(191)의 내부를 향하는 면(204a)에서 박스체(191)의 저판부(205)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박스체(191)의 저판부(205)와 이격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격벽(198)은 박스체(191)의 공기 토출구(194)가 형성된 면(202a)과, 그 대향되는 반대면(203a) 사이에 위치되되 그 각각의 면(202a)(203a)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선단은 집진 통(190) 특히 박스체(191)의 전판부(200) 후면(200a)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그 후단은 집진통(190) 특히 박스체(191)의 후판부(201)의 전 면(201a)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공기 흡입구(193)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공기 흡입구(193)에서 곧바로 옆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격벽(195)의 하단을 돌아 우회하며, 상기와 같은 우회의 도중에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하측으로 낙하되고, 공기만이 상향 유로(198b)를 통과해 공기 배출구(194)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진 통(190)은 하향 유로(198a)와 상향 유로(198b)의 체적이 동일한 것도 가능하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공기 배출구(194)로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상향 유로(198)가 하향 유로(198a) 보다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격벽(198)은 집진통(190) 특히 박스체(191)의 좌,우판부(202)(203) 사이 중에서, 하향 유로(198a)의 좌우 폭(L1)이 상향 유로(198b)의 좌우 폭(L2) 보다 큰 위치에 형성되며, L1:L2의 비가 1.5~5:1인 위치에 격벽(19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격벽(198)은 그 하단이 공기 토출구(194)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거나 공기 토출구(194)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이물질 중 일부가 집진 통(190)의 내측 하부까지 유동되지 못하고 공기와 함께 공기 토출구(194)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바, 격벽(198)의 크기(S1)는 공기 배출구(194)의 크기(S1) 보다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198a)이 공기 토출구(194)의 하단(194A) 보다 낮게 위치되는 높이를 갖는다.
또한, 집진 통(190)은 주변의 다른 부품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흡입 유닛(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그 전판부(200)는 상측의 수 직부(200A)와 하측의 경사부(200B)로 이루어져, 경사부(200B)가 흡입 유닛(20)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격벽(195)은 그 선단이 집진 통(190)의 선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므로, 격벽(195)의 선단도 상측의 수직부(195b)와 하측의 경사부(195c)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진 통(190)은 본체(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바, 본체(2)에는 집진 통(19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된다.
지지 수단은 집진 통(190)이 올려지도록 토출 유닛(30)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는 토출 유닛(30) 특히 드레인부(32)에서 후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집진 통(190)이 후방으로 걸리도록 걸림턱(212)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집진통(190)의 경사부(200B)가 타고 넘고 집진통(190)의 경사부(200B) 하단이 전방으로 걸리는 걸이부(214)가 곡면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2)와 집진 통(190)에는 상호 결합되는 걸이수단이 형성된다.
걸이수단은 집진통(190)에서 돌출된 돌출부(199a)(199b)와, 돌출부(199a)(199b)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됨과 아울러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토출 유닛(30)에 형성된 걸이부(216)(217)를 포함한다.
돌출부(199a)(199b)는 집진통(190)의 측판부에서 옆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집진통(190)의 하판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집진 통(190)의 측판부에서 제 1 돌출부인 측판 돌출부(199a)가 돌출되고, 집진통(190)의 하판부(205)에서 제 2 돌출부인 하판 돌출부(199b)가 돌출된 것으로 설명한다.
측판 돌출부(199a)는 집진 통(190)의 좌,우판부(202)(203)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돌출되고, 하판 돌출부(199b)는 집진 통(190)의 하판부(205)의 외면에서 ‘ㄴ’자 단면 모양이면서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걸이부(216)는 측판 돌출부(199a)가 상향으로 걸리는 제 1 걸이부인 측판 걸이부(216)와, 하판 돌출부(199b)가 상향으로 걸리는 제 2 걸이부인 하판 걸이부(217)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측판 걸이부(216)는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의 옆에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와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단이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 보다 높게 형성된 수직 리브(216a)와, 수직 리브(216)에서 돌출되어 집진 통(190)의 측판 돌출부(199a)가 전후로 슬라이딩됨과 아울러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수평 리브(216b)로 이루어진다.
측판 걸이부(216)는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의 좌,우 중 일측 옆에만 형성 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의 좌,우 중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판 걸이부(217)는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 중 어느 하나에서 하판 돌출부(199b)의 수평부가 상향으로 걸리도록 돌출된다.
즉, 집진 통(190)은 돌출부(199a)(199b)가 걸이부(216)(217)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에 올려지고, 청소 팬 하우징(184)(185)의 배출부(187)가 집진 통(190)의 흡입 플랜지부(193a)에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그 후판부(200)가 청소 팬 하우징(184)(185)의 배출부(187)와 고정됨과 아울러 걸림턱(212)에 걸리고, 그 하판부(205)가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에 올려진 상태에서 그 돌출부(199a)(199b)가 걸이부(216)(217) 및 복수개의 지지 리브(210) 중 하나에 상측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걸리게 되며, 집진 통(19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청소 팬 하우징(184)(185)과 토출 유닛(30)에 의해 장착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참조 부호 220은 집진 통(190)의 전판부(200)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서, 집진 통(190)의 착탈시 그 착탈을 돕는 손잡이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피시비(7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이나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를 통해 필터 청소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이 필터 청소 조건이거나, 주기적으로 청소 피시비(74)로 필터 청소의 신호를 출력한다.
청소 피시비(74)는 필터 청소의 신호 입력시 노즐 이동용 모터(12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청소 팬모터(18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노즐 이동용 모터(121)와 청소 팬모터(181)는 구동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의 구동시 구동 기어(122)는 회전되고, 종동기어(125)(126)는 구동기어(123)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며, 흡입 노즐(110)은 필터(80)를 따라 고정 기어(12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고, 이때 필터(80)에 있던 이물질은 브러시(113)에 의해 필터(80)와 분리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흡입 노즐(110)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그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역구동되고, 흡입 노즐(110)은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흡입 노즐(110)의 이동과 그에 따른 이물질의 분리와 함께, 청소 팬(182)은 청소 팬모터(18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호스(170)의 내부와 흡입 덕트(135)와, 흡입 노즐(110)에는 청소 팬(182)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력 작용시 필터(8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입 노즐(110)과, 흡입 덕트(135)와, 호스(170)를 차례로 통과하여 청소 팬 하우징(184)(185)으로 흡입되고, 이후 청소 팬(182)에 의해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보내진다.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집진 통(190)의 내부에서 격벽(195)에 막혀 공기 배출구(194)로 곧바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향 유로(198a)를 따라 이동된다. 하향 유로(198a)를 따라 이동된 공기와 이물질은 격벽(195)의 하단(195a)을 따라 돌고, 이때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집진 통(190)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하향 유로(198a) 보다 상대적으로 협소한 상향 유로(198b)로 상승되지 못한 체 집진 통(190)의 내측 하부에 낙하되어 모인다.
한편, 집진 통(190)의 내측 하부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상향 유로(198b)로 이동된 후 공기 배출구(194)를 통해 집진 통(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집진 통에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격벽을 우회하여 돌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집진 통의 하부에 남게 되므로, 집진 통 내부에 별도의 집진용 필터를 구비하거나 집진용 필터를 청소/교체할 필요가 없는 공기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흡입 유닛을 분리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과 청소 송풍기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통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공기 토출구 10: 섀시
20: 흡입 유닛 21: 흡입 그릴
30: 토출 유닛 50: 송풍기
60: 열교환기 80: 필터
90: 필터 프레임 110: 흡입 노즐
120: 이동기구 135: 흡입 덕트
170: 호스 180: 청소 송풍기
181: 청소 팬모터 182: 청소 팬
184,185: 청소 팬 하우징 190: 집진 통
191: 박스체 192: 덮개
195: 격벽 199a,199b: 돌출부
210: 지지 리브 212: 걸림턱
214: 걸이부 216,217: 걸이부
216a: 수직 리브 216b: 수평 리브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서로 직교하는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은 둘레부에 상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상면을 막고 상기 박스체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격벽이 돌출된 덮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박스체 중 일측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삭제
  8.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에 연결된 호스와, 상기 호스가 흡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진 통이 토출부에 연결되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통으로 토출하는 청소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구가 상기 청소 송풍기의 토출부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흡입 플랜지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삭제
  10.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집진 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벽에 설치되는 섀시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집진 통이 올려지도록 상기 토출 유닛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 리브인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집진 통이 후방으로 걸리도록 걸림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은 전방부의 하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집진통의 경사부가 타고 넘고 상기 집진통의 경사부 하단이 전방으로 걸리는 걸이부가 곡면지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력 발생기구와;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력 발생기구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집진 통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공기 배출구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집진 통에는 상호 걸리는 걸이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벽에 설치되는 섀시와,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유닛과,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집진통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상방향으로 걸리도록 상기 토출 유닛에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87157A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KR10139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7A KR101392322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CN2008100067932A CN101377326B (zh) 2007-08-29 2008-01-31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7A KR101392322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093A KR20090022093A (ko) 2009-03-04
KR101392322B1 true KR101392322B1 (ko) 2014-05-07

Family

ID=4042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157A KR101392322B1 (ko) 2007-08-29 2007-08-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2322B1 (ko)
CN (1) CN10137732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571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651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568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0713A (ko) 2019-03-19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4601A (ko) 2019-07-05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330B (zh) * 2018-10-30 2021-01-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室内机、控制方法、控制装置
CN110057077A (zh) * 2019-05-31 2019-07-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壳体及壁挂式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714A (ja) * 2002-08-29 2004-03-18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4340507A (ja)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JP2006258376A (ja) * 2005-03-17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ター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5676A1 (de) * 1981-02-17 1982-09-02 Krupp-Koppers Gmbh, 4300 Essen Prallabscheider fuer staubbeladene gase
US5211729A (en) * 1991-08-30 1993-05-18 Sematech, Inc. Baffle/settling chamber for a chemical vapor deposition equipment
CN1766455B (zh) * 2004-10-26 2010-06-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调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714A (ja) * 2002-08-29 2004-03-18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4340507A (ja)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JP2006258376A (ja) * 2005-03-17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ター清掃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571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651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11568A (ko) 2019-03-19 202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0713A (ko) 2019-03-19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4601A (ko) 2019-07-05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7326B (zh) 2010-10-27
KR20090022093A (ko) 2009-03-04
CN101377326A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JP4674586B2 (ja) エアフィルタ清掃装置
KR1024571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44357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100919157B1 (ko) 공기 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EP2181291B1 (en) Air conditioner
JP2007170789A (ja) 空気調和機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JP2018105510A (ja) 空気調和機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JP2018204806A (ja) 空気調和機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1323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7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50317A (ko) 공기조화기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