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15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157B1
KR100919157B1 KR1020080021272A KR20080021272A KR100919157B1 KR 100919157 B1 KR100919157 B1 KR 100919157B1 KR 1020080021272 A KR1020080021272 A KR 1020080021272A KR 20080021272 A KR20080021272 A KR 20080021272A KR 100919157 B1 KR100919157 B1 KR 10091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filt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982A (ko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1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 및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지 않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 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필터의 자동 청소가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용기의 착탈이 용이한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 및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필터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기;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 및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에 의해서 탄성 운동되고,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로 탄성 복원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가압 유닛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의 이물질이 청소 기구에 의해서 자동으로 청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시키는 집진 용기를 본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유닛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집진 용기로 전달되어 상기 집진 용기가 전방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진 용기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인출된 상기 집진 용기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2)에는 공기 흡입부(4)와 공기 토출부(6)가 형성된다. 도 1에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천정형 공기 조화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공기 흡입부(4)는 상기 본체(2)의 전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거나, 전면 상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2)는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4)는 상기 경사부나 라운드부에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공기 토출부(6)는 상기 본체(2)의 전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2)의 전면의 하부에 형성되거나, 전면의 하부와 하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2)는 전면과 하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부(6)는 경사부나 라운드부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2)에는, 배면 프레임(10)과, 전면 프레임(20)과, 흡입 그릴(21)과, 토출 유닛(30)과, 전면 패널(40)이 포함된다.
상기 배면 프레임(10)은 실내 벽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를 정의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20)은 상기 배면 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20)의 상면과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는 공기 흡입부(4)로 작용하고, 전면 개구부는 부품 교체 등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홀로 작용한다.
상기 흡입 그릴(21)은 상기 공기 흡입부(4)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4)의 내부에 위치한 부품이 보호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 유닛(30)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기 실내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토출 유닛(30)은 상기 배면 프레임(10) 및 전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 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40)은 전면 프레임(20)의 전면을 보호한다. 상기 전면 패널(40)은 상기 전면 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40)에는 후술하는 발광 장치(미도시)의 빛이 투과하도록 투명부(45)가 형성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 프레임(10)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부(6)로 안내하는 송풍 유로 가이드(12)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 유로 가이드(12)의 좌우측 중 일측방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 유로 가이드(12)에는 상기 배면 프레임(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및 우측 가이드(15, 16)와,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15, 16)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가이드(17)가 포함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15, 16) 중 하나에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상기 배면 프레임(10)에는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모터 설치부(14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청소 팬 하우징(181)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하우징 설치부(14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장부(13)에는 후술하는 송풍기(50)의 팬모터(52), 구동 장치(120), 청소 흡입력 발생기(180)의 청소용 모터(182), 발광 장치(140)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19)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 유닛(30)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상기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상기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33)가 연결된다.
상기 토출 유닛(30)에는 상기 공기 토출부(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부(6)를 개폐하는 베인(3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베인(34)은 베인 모터(35)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토출 유닛(30)에는 상기 공기 토출부(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4)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부(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기(50)와, 상기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내부의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6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50)에는, 상기 전장부(13)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4a)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상기 팬모터(5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팬(54)과, 상기 팬모터(52)를 덮으며, 상기 배면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54)으로는 크로스 플로우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상기 수직부(6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전방 경사부(64)와, 상기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후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후방 경사부(6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2)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80)와, 상기 필터(8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80)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110)와, 상기 청소 장치(110)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120)와, 상기 청소 장치(110)에 의해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처리 기구(160)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8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82)와, 상기 수평부(82)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80)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되는 필터 프레임(90)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부(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90)에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92)와, 수평부(92)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93)가 포함된다.
상기 청소 장치(110)는 상기 필터(8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80)의 이물질을 필터(80)에서 분리시키고 이물질이 처리 기구(16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청소 장치(1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8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청소 장치(110)에는 상기 필터(80)의 이물질을 필터(80)에서 분리시키면서 분리된 이물질을 좌우 방향으로 쓸어내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브러시(미도시)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110)에는 상기 청소 장치(110)의 작동 및 이동 여부 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일종의 알림 기구인 발광 장치(140)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 장치(140)에는 하나 이상의 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120)는 상기 필터 프레임(90)의 경사부(93) 하부 근처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90)의 수평부(92) 후방 근처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장치(120)의 흔들림을 최소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장치(12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아울러 구동 장치(120)가 공기의 통로 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 장치(120)는 상기 필터 프레임(90)의 수평부(92) 후방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장치(120)는 상기 필터 프레임(90)의 상부 또는 배면 프레임(1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구동 장치 케이스(130: 이하 ‘케이스’라 칭함)가 배면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120)가 케이스(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장치(120)의 각 구성들이 케이스(130)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120)는 케이스(1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 기구(160)는 상기 청소 장치(110)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분리기(162)와, 상기 분리기(162)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안내하는 흡입 덕트(170)와, 상기 흡입 덕트(170)에 연결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기(180)와, 흡입력 발생기(18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이물질은 저장되도록 하고, 공기는 배출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19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분리기(162)는 상기 청소 장치(110)의 브러시와 마찰되면서 브러시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포함된다. 상기 분리기(162)에는 상기 청소 장치(110)의 브러시(에 의해 쓸려진 이물질과 돌출부에 의해서 청소 장치(110)의 브러시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통과하는 이물질 통과홀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90)에는 상기 이물질 통과홀을 통과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공간부(9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170)는 상기 필터 프레임(90)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9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력 발생기(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팬하우징(181)과, 상기 청소 팬하우징(181)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된 청소 팬과, 상기 청소 팬을 회전시키도록 청소 팬하우징(181)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되는 청소용 모터(182)가 포함된다. 상기 청소 팬하우징(181)의 흡입부(183)에는 상기 연결 호스(184)가 연결되고, 배출부(186)는 상기 집진 용기(190)와 연결된다.
상기 집진 용기(19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집진 박스(191)와, 상기 집진 박스(191)의 개방부를 커버하며 상기 집진 박스(191)와 결합되는 집진 커버(19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박스(191)에는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9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93)는 상기 집진 박스(191)의 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커버(192)에는 상기 집진 커버(192)가 상기 집진 박스(19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박스(191) 내부에 ′U′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19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커버(192)의 상측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94)가 형성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프레임(20)에는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되는 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4)는 상기 전면 프레임(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용기(190)는 상기 장착부(24)에 수용된다.
상기 장착부(24)의 후면에는 상기 청소 팬 하우징의 배출부(184)가 관통하는 관통홀(29)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184)의 일부는 상기 관통홀(29)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24) 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배출부(184)는 상기 집진 용기의 흡입구(193)를 관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19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장착부(24)의 하면에는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190)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2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레버(25)는 상기 장착부(24)에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레버(25)의 상측에는 상기 집진 용기와 선택적으로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고정 후크(26)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4)의 후면에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집진 용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압 유닛(27)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 유닛(27)의 전면에는 가압 돌기(28)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유닛(27)은 상기 장착부(24)의 후면에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부(24)의 후면에서 상기 가압 유닛(27)의 둘레부 일부는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압 돌기(28)는 상기 장착부(24)에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190)의 후면에 의해서 가압된다. 즉, 상기 가압 돌기(28)는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24)로 돌출되며,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되면,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가압 돌기(28)를 후측으로 밀게 된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도 5에는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6은 도 5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 용기(190)의 하면에는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홈(19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96)은 상기 집진 용기(19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96)은 상기 집진 용기(190)의 하면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진 용기(190)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 후크(26)와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걸림부(19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후크(26)가 상기 걸림부(197)에 걸리면 상기 집진 용기(190)는 상기 장착부(24)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용기의 장착 및 분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집진 용기(190)를 상기 전면 프레임(20)에 장착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전면 패널(40)을 상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190)와 상기 장착부(24)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상기 집진 용기(190)를 상기 장착부(24)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집진 용기(190)의 하면이 상기 고정 레버(25)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고정 레버(25)는 하측으로 탄성 운동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고정 후크(26)는 상기 걸림부(197에 걸려 상기 집진 용기(190)는 상기 장착부(24)에 고정된다.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에 장착되면, 상기 집진 용기(190)의 후면은 상기 가압 돌기(28)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가압 유닛(27)이 후측으로 탄성 운동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집진 용기(190)는 상기 가압 돌기(28)를 지속적으로 가압한다.
반면, 상기 집진 용기를 상기 전면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레버(25)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 레버(25)는 하측으로 탄성 운동되어 상기 고정 후크(26)와 상기 걸림부(197)의 걸림 작용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 돌기(28)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가압 유닛(27)은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가압 유닛(27)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유닛(27)의 복원력은 상기 집진 용기로 전달된다. 즉, 상기 가압 유닛(27)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돌기(28)는 상기 집진 용기(19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집진 용기(190)는 상기 가압 돌기(28)의 미는 힘에 의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집진 용기(190)를 상기 전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유닛(27)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집진 용기(190)로 전달되어 상기 집진 용기(190)가 전방으로 일정 길이 만큼 자동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진 용기(190)를 상기 장착부(2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 용기(190)가 상기 장착부(24)의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인출된 상기 집진 용기(19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7에는 집진 용기가 공기 조화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8은 도 7에서 집진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압 유닛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220)은, 상기 집진 용기(190)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집진 용기(190)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224)와 상기 가압 부재(224)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4)에는 상기 가압 유닛(220)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21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 부재(210)는 상기 장착부(24)에 후크 방식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210)에는 상기 가압 부재(224)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4)에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224)의 일부는 상기 장착부(24) 내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4)에 상기 집진 용기(190)가 장착되면, 상기 집진 용기(190)에 의해서 상기 가압 부재(224)가 가압되고, 상기 탄성 부재(222)는 수축된다. 반면, 상기 집진 용기(190)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 가압 부재(224)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222)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가압 부재(224)는 상기 집진 용기(190)를 전방으로 밀게되어 상기 집진 용기(19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상기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가압 유닛(27, 220)은 상기 집진 용기(190)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상기 가압 유닛(27, 220)을 분리 가이드 장치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기구;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 및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집진 용기를 가압하는 가이드 장치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장착부에 탄성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가 포함되며,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가압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장치가 탄성 변형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집진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일부는 상기 커버 부재를 관통하는 공기 조화기.
  7.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필터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기;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레버; 및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에 의해서 탄성 운동되고, 상기 집진 용기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용기로 탄성 복원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가압 유닛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부의 후면에 상기 가압 유닛이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는 상기 장착부에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080021272A 2008-03-07 2008-03-07 공기 조화기 KR10091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72A KR10091915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72A KR10091915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82A KR20090095982A (ko) 2009-09-10
KR100919157B1 true KR100919157B1 (ko) 2009-09-28

Family

ID=4129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72A KR10091915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7781B (zh) * 2014-08-13 2017-12-29 戴若夫 除霾新风系统主动清洗静电除尘过滤器的控制方法及系统
CN105327782B (zh) * 2014-08-13 2017-06-20 戴若夫 除霾新风系统被动清洗静电除尘过滤器的控制方法及系统
CN110145807B (zh) * 2019-05-14 2023-01-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集尘盒装置及空调器室内机
CN110118392B (zh) * 2019-05-14 2023-01-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750B1 (ko) * 1999-08-07 2004-10-08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이동가능한 청소기
KR100768002B1 (ko) * 2006-09-2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14589A (ko) * 2007-04-0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750B1 (ko) * 1999-08-07 2004-10-08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이동가능한 청소기
KR100768002B1 (ko) * 2006-09-2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14589A (ko) * 2007-04-0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82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886B1 (ko) 공기 조화기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KR100919157B1 (ko) 공기 조화기
KR2009008536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22098A (ko) 공기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KR100802021B1 (ko) 공기조화기
KR100873399B1 (ko) 공기조화기
KR101444357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JP4165246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KR101305326B1 (ko) 공기조화기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KR101323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00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9745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장치
JP200630819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