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607A -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피씨카텐월 - Google Patents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피씨카텐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607A
KR20050020607A KR1020040060824A KR20040060824A KR20050020607A KR 20050020607 A KR20050020607 A KR 20050020607A KR 1020040060824 A KR1020040060824 A KR 1020040060824A KR 20040060824 A KR20040060824 A KR 20040060824A KR 20050020607 A KR20050020607 A KR 2005002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fabric sheet
nonwoven fabric
wall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844B1 (ko
Inventor
노다코이치
네모토노리오
코지마히데토시
아리카와사다아키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건축물의 외벽에 대해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화장을 간단하고 단기간에 실시할 수 있는 하지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부직포 시트(3)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4)과의 적층체로 하지패널(1)을 형성한다. 이 하지패널(1)을 이용하여 외벽화장하는 데에는 건물의 벽에 대해 이 하지패널(1)을 부직포시트측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 그 부직포 시트(3)의 폴리머세멘트 함침면에 접착몰탈을 도포하고, 외벽화장재를 점착하는 것으로 외벽화장재를 강고하게 하지패널에 고정할 수 있으며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피씨카텐월{UNDERGROUND PANEL, OUTER WALL FACING METHOD AND PC CURTAIN WALL}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이용하는 하지패널 및 그 하지패널을 이용한 외벽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이용하는 PC카텐월에도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에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부착하여 외벽화장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합판이나 케이칼판 등을 하지로서 시공하고, 이 하지재에 보강재로서 네트를 붙이고 그 위에 하지몰탈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그 위에 접촉몰탈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재를 접착하였다. 또 하지재로서 단열재를 이용함으로써 외벽화장공사와 동시에 외단열 공사를 행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 2002-220886 공보에는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몸체의 외면에 단여재를 붙인 후 그 단열재의 표면에 단섬유가 들어간 몰탈을 바르고, 그 위에 넷트를 겹쳐 이어서 제 2층의 몰탈을 바르며 또한 기모(起毛)처리하고, 몰탈이 경화한 후 앵커볼트로 네트를 몸체에 고정하며, 제 2층의 몰탈 위에 하지몰탈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접착몰탈을 도포하여 타일을 붙이는 타일을 까는 외단열 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종래방법에서는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의 부착에 있어서 현장에서 네트를 접착, 하지몰탈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또한 그 위헤 접착몰탈을 도포한다는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평 11-62168호 공보에는 타일 등의 마감재를 접착하는 하지재로서 겔칼판 등의 하지용성형판의 마감재의 접착면측이 되는 외측에 입모포면을 부착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하지재에서는 입모포백(立毛布帛)의 위에 몰탈을 도포하여 타일 등의 마감재를 붙이는 것으로 입모포백의 입모사부가 몰탈내에 칠해져 앵커의 역할을 하고 마감재의 결합강도를 높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감재의 접착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하지재에서는 입모포면의 위에 몰탈을 도포할 때에 입모사부를 눌러부수는 경우가 있어 충분히 앵커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염려가 있었다.
PC카텐월을 이용한 공법에 있어서도 외벽화장이나 외단열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미리 외벽화장면과 외단열 구조를 구비한 PC카텐월이 일본국 특개 2002-339469호 공보에 제안되고 있다. 이 공보에 제안한 PC카텐월은 패널구조체의 외벽면에 외장재를 부착한 구조의 것으로 상기 외장재와 패널구조체 사이에 그 외장재의 이면에 접착된 외장재 비산방지네트와 단열판을 배치하고, 상기 외장재를 패널구조체에 계지구에 의해 유지시킨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이 PC카텐월은 외장재를 계지구에 의해 패널구조체에 고정하는 관계상, 외장재가 상당히 넓고 또한 두꺼운 판재(예를들어 판두께 15~30mm의 천연석판 또는 인공석판등)에 한정되며 다수의 타일을 붙이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평 11-62168호 공보에는 타일 등의 마감재를 접착하는 하지재로서 겔칼판 등의 하지용성형판의 마감재의 부착면측이 되는 외측에 입모포면을 부착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하지재에서는 입모포면의 위에 몰탈을 도포하여 타일 등의 마감재를 붙이는 구성으로 입모포면의 입모사부가 몰탈내에 칠해져 앵커의 역할을 하고 마감재의 결합강도를 높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감재의 붙임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하지재에서는 입모포면의 위에 몰탈을 도포할 때에 입모사부를 눌러부수는 경우가 있어 충분히 앵커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염려가 있었다.
PC카텐월을 이용한 공법에 있어서도 외벽화장이나 외단열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미리 외벽화장면과 외단열 구조를 구비한 PC카텐월이 일본국 특개 2002-339469호 공보에 제안되고 있다. 이 공보에 제안한 PC카텐월은 패널구조체의 외벽면에 외장재를 부착한 구조의 것으로 상기 외장재와 패널구조체 사이에 그 외장재의 이면에 접착된 외장재 비산방지네트와 단열판을 배치하고, 상기 외장재를 패널구조체에 계지구에 의해 유지시킨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이 PC카텐월은 외장재를 계지구에 의해 패널구조체에 고정하는 관계상, 외장재가 상당히 넓고 또한 두꺼운 판재(예를들어 판두께 15~30mm의 천연석판 또는 인공석판등)에 한정되며 다수의 타일을 붙이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해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부착하는 등의 외벽화장공정을 간략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하지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외벽화장공정을 간략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단열 구조 또는 외장단열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하지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짧은 공사기간으로 건축물의 외벽화장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외벽화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으로 외벽화장을 실시한 외단열 구조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와 단열재층을 구비한 단열 PC카텐월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지패널을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질업게 보드층을 대신하여 단열재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하지패널을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 시트와, 그 부직포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 표면에 접합된 단열재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도 있다.
또 하지패널을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 시트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과, 그 질업계 보드층의 상기 부직포 시트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단열재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에 함침시킨 폴리머세멘트는 콘크리트, 세멘트, 몰탈등에 대해 양호한 접착성을 발휘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그 폴리머세멘트에 이용한 폴리머는 세멘트와의 사용성이 좋은 것이며 또한 내알칼리성의 것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머로서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 초산 비닐공중합체, SBR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의 세멘트에 대한 혼합비는 세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머가 20~60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폴리머의 비율이 적어지게 되면 부직포시트에 폴리머 세멘트액을 함침시킬 때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함침이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후의 부직포 시트가 너무 딱딱해져 권취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폴리머의 비율이 높아지면 원가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 세멘트의 부직포시트면으로의 면적당 함침량은 500~1200g/m2로 하는 것이 좋다. 이 함침량이 적어지면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효과가 적어지고 한편 많아지게 되면 원가가 높아지게 됨과 동시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후의 시트가 너무 딱딱해져 권취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시트에는 그 한쪽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킬 수 있으며 반대측 면에 질업계보드층 또는 단열재층과 일체화하도록 접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내알칼리성을 구비한 것이 사용되지만 특히 그 양면에 접합되는 재료에 대한 양호한 앵커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양면에 각각 다수의 공간을 갖는 것 혹은 양면에 다수의 입체적으로 배치된 섬유(섬유사이에 많은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배치된 섬유)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시트의 적당한 예로서는 내알칼리성 재료로 구성된 기재시트에 내알칼리성의 섬유(단섬유, 장섬유중 어느것이라도 된다)를 니들링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또한 그 면적당 중량이 80~200g/m2의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이용하는 기재시트는 니들링되는 섬유를 담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면 임의이고 부직포, 스팬본드, 직포, 종이, 시트,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시트로서 이용하는 부직포, 스팬본드, 직포 등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니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알칼리성 섬유를 예시할 수 있고 또한 시트, 필름 등의 재료로서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니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알칼리성 섬유를 예시할 수 있으며 또 시트, 필름 등의 재료로서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닐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료로서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니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알칼리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기재시트에 니들링 하여 부착하는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니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내알칼리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섬유의 길이 및 굵기는 니들링에 의해 그 섬유가 기재시트에 유지됨과 동시에 그 양면에 적당한 강성을 갖고 입체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정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길이는 20mm정도 이상이면 장섬유, 단섬유 중 어느 것이라도 되며 또한 굵기는 10~30의 테닐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지패널에 이용하는 단열재층은 단열특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적당한 강도, 강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문에 페놀폼, 스틸렌폼, 우레탄폼 중 어느 것의 발포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열재층은 미리 판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직포 시트 또는 질업계 보드층에 접착일체화하여 형성해도 되며, 부직포 시트 또는 질업계 보드 층의 위에 발포단열재 제조용 원료액을 흐르게 하여 직접 발포성형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단열재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단열특성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되며 통상 15~60mm정도로 선정된다.
본 발명의 하지패널에 이용하는 질업계 보드층은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유지하는 데 적합한 강성, 강도, 평면성 등을 구비한 것으로 적절한 예로서 섬유세멘트판, 세멘트규산 칼슘판, 규산칼슘판, 슬러그석고판, 탄산마그네슘판, 마그네슘세멘트판등을 들 수 있으며, 더욱 적절한 예로서 산화마그네슘과 규사를 주성분으로 하고, 양면에 가라스 섬유부직포 또는 가라스섬유네트가 매설된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구조의 것은 강도, 강성이 큼과 동시에 치수안정성, 내열성에 뛰어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질업계 보드층은 미리 판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직포 시트에 접착일체화하여 형성해도 되며 부직포 시트의 위에 질업계 보드제조용 원료를 흐르게 하여 수화경화시켜 형성해도 된다. 질업계 보드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강도, 강성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되며 통상 3~20mm정도로 선정된다.
본 발명의 외벽화장방법은 상기한 하지패널을 건축물의 외벽부분에 상기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 이어서 상기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벽화장의 구체예로서는 접착몰탈을 도포하여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붙이는 방법, 마감몰탈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으로 하는 방법, 분사도장을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PC카텐월은 한쪽 표면에서 외벽화장재, 접착몰탈, 이 접착몰탈에 접하는 측의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 질업계 보드층, 발포단열재층, 다지는 몰탈층이 적층 일체화 된 것이며 또한 상기 부직포시트로부터 다지는 몰탈층까지 화스너 볼트가 관통하고 있고 이 화스너볼트의 단부는 다지는 몰탈층내에서 플라스틱앵커에 연결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단열 PC카텐월에 이용하는 폴리머세멘트도 상기한 하지패널에 이용한 폴리머세멘트와 마찬가지 특성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폴리머세멘트의 폴리머가 세멘트와의 상용성이 좋고 또한 세멘트에 대한 혼합비가 세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20~60중량부이고 상기 폴리머세멘트의 부직포시트면으로의 면적당 함침량이 500~1200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열 PC카텐월에 이용하는 부직포시트는 상기한 하지패널에 이용한 부직포시트와 마찬가지로 내알칼리성 재료로 구성된 기재시트에 내알칼리성의 섬유를 니들링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하며, 그 면적당 중량을 80~200g/m2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1) 및 그 제조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에 단면을 도시하는 하지패널(1)은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3)와, 그 부직포시트(3)의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4)을 구비한 구조의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부직포시트(3)로서 도 1(a)과 같이 스팬본드 등의 기재시트(3a)에 비니론등의 섬유(3b)를 니들링하여 양면에 섬유(3b)가 입체적인 형태로 존재하도록 구성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하지패널(1)을 제조하는 데에는 우선 도 1(a)에 도시하는 부직포시트(3)를 준비하고 이어서 이 부직포 시트(3)의 한쪽면에 액상의 폴리머세멘트를 도포, 경화시키며 도 1(b)와 같이 부직포 시트(3)의 한쪽면에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상태로 하고, 그 후 그 부직포시트(3)를 폴리머세멘트 함침측과는 반대측을 위로 향하게 하여 형틀(도시하지 않음)내에 셋트하고 그 위에 질업계 보드제조용 원료를 흐르게 하여 수화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도 1(c)과 같이 하지패널(1)이 제조된다. 얻어진 하지패널(1)에서는 부직포시트(3)의 섬유(3b)가 질업계 보드층(4)내에 묻힌 상태가 되고 있으며 그 앵커효과에 의해 부직포시트(3)와 질업계보드층(4)과의 접합강도가 극히 커지고 있다. 또한 질업계보드층(4)은 미리 성형한 질업계 보드를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시트(3)에 접착함으로써 성형해도 된다.
다음에 이 하지패널(1)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빌딩 등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몸체(5)에, 플라스틱앵커 등의 앵커(6a) 및 화스너볼트(6b)를 이용하여 하지패널(1)을, 부직포시트(3)측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그 하지패널(1)의 표면(부직포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고 그 위에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8)를 붙인다. 이상으로 외벽화장공정이 종료한다. 이와같이 이 하지패널(1)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래 필요로 하였던 네트접착작업, 하지몰탈도포라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얻어진 벽면에서는 폴리머세멘트로 함침된 부직포시트표면에 접착몰탈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재(8)를 점착하고 있기 때문에 폴리머세멘트와 접착몰탈과의 뛰어난 접착성에 의해 또는 부직포시트(3)의 표면에 입체적으로 존재하는 섬유(3b)(도 1참조)에 의한 앵커효과에 의해 접착몰탈이 부직포시트(3)에 대해 극히 강고하게 접착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외벽화장재(8)나 접착몰탈(7)이 벗겨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제 2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을 설명한다. 도 3은 제 2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10) 및 그 제조순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d)에 단면을 도시하는 하지패널(10)은 한쪽의 표면에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3)와, 그 부직포시트(3)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4)과 그 질업계 보드층(4)의 부직포 시트(3)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발포단열재층(11)을 구비한 구조의 것이다. 이 하지패널(10)에 이용하고 있는 부직포 시트(3)와 질업계 보드층(4)과의 적층체(1A)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하지패널(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 3(d)에 도시하는 부직포시트(3)를 준비하여 다음에 이 부직포시트(3)의 한쪽면에 액상의 폴리머세멘트를 도포, 경화시키고, 도 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직포 시트(3)의 한쪽면에 폴리머세멘트(2)를 함침시킨 상태로 하며 그 후 그 부직포 시트(3)를 폴리머세멘트 함츰측과는 반대측을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형틀내에 셋트하며, 그 위에 질업계 보드제조용 원료를 흐르게 하여 수화경화시키고, 도 3(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직포 시트(3)와 질업계 보드층(4)을 일체 적층한 구조의 적층체(1A)를 제조한다. 그 후 그 적층체(1A)를 질업계 보드층(3)측을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형틀내에 셋트하며 그 위헤 발포단열재 제조용 원료를 부어넣어 발포경화시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상에 의해 도 3(d)에 도시하는 하지패널(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하지패널(10)은 발포단열재층(1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단열공법 및 외장단열공법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공법에서의 하지패널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외단열공법에 하지패널(10)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우선 빌딩 등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몸체(5)에, 플라스틱앵커 등의 앵커(6a) 및 화스너볼트(6b)를 이용하여 하지패널(10)을, 부직포시트(3)측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그 하지패널(10)의 표면(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고 그 위에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8)를 점착한다. 이상으로 외단열 구조의 형성 및 외벽화장공정이 종료한다. 이와같이 이 하지패널(10)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 필요하였던 단열재 접착작업, 그 표면으로의 네트접착작업, 하지몰탈도포라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고정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얻어진 벽면에서는 폴리머세멘트로 함침된 부직포시트 표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재(8)를 점착하고 있기 때문에 폴리머세멘트와 접착몰탈과의 뛰어난 접착성에 의해 또는 부직포시트(3) 표면에 입체적으로 존재하는 섬유(3b)(도 3참조)에 의한 앵커효과에 의해 접착몰탈(7)이 부직포 시트(3)에 대해 극히 강고하게 접착하고 있어 장기간에 걸쳐 외벽화장재(8)나 접착몰탈(7)이 벗겨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도 5는 외장단열공법에 하지패널(10)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건축물의 기둥(15), 간주(16) 등의 옥외측에 고정구(17)를 이용하여 하지패널(10)을, 부직포시트(3)측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도 5(b)와 같이 그 하지패널(10)의 표면(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고 그 위에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7)를 점착한다. 이상으로 외장단열공정 및 외벽화장공정이 종료한다. 이와같이 이 하지패널(10)을 이용하는 것으로 종래필요로 하였던 단열재 부착공정, 네트점착작업, 하지몰탈도포라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얻어진 벽면에서는 폴리머세멘트로 함침된 부직포시트표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재(8)를 점착하고 있기 때문에 폴리머세멘트와 접착몰탈과의 뛰어난 접착성에 의해 또는 부직포 시트(3)의 표면에 입체적으로 존재하는 섬유(3b)(도 3참조)에 의한 앵커효과에 의해 접착몰탈(7)이 부직포시트(3)에 대해 극히 강고하게 접착하고 있어 장기간에 걸쳐 외벽화장재(8)나 접착몰탈(7)이 벗겨져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2, 도 4, 도 5에 설명한 시공방법에서는 모두 하지패널(1)(10)의 표면에 접착몰탈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재(8)를 점착하고 있지만 외벽화장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가능하고 예를들어 하지패널(1)(10)의 표면에 마감몰탈을 도포하여 외벽화장으로 하거나 분무도장에 의한 외벽화장을 행해도 된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폴리머세멘트 함침부직포 시트에 대해 마감몰탈 도포나 분무도장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면의 부착안정성에 뛰어나고 장기간에 걸쳐 표면의 박리나 탈락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도 3(d)에 도시하는 하지패널(10)에서는 부직포시트(3)와 발포단열재층(11)의 사이에 질업게 보드층(4)을 배치하고 있다. 이 질업계 보드층(4)은 하지패널(10)에 강도, 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화단열성을 부여하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발포단열재층(11)이 충분한 강도, 강성을 갖고 있는 경우 등에는 질업계 보드층(4)을 생략하고 부직포시트(3)에 발포단열재층(11)을 직접 접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관한 단열 PC카텐월을 설명한다. 도 6은 단열PC카텐월(2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단열 PC카텐월(20)은 한쪽의 표면에서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8), 접착몰탈(7), 이 접착몰탈에 접하는 측의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3), 질업계 보드층(4), 발포단열재층(11), PC용 배근(21)을 배치한 다진 몰탈층(22)이 적층일체화 되고, 또한 부직포 시트(3)로부터 다진 몰탈층(22)까지 화스너볼트(6b)가 관통되고 있으며 이 화스너볼트(6b)의 단부는 다진 몰탈층(22)내에서 플라스틱 앵커 등의 앵커(6a)에 연결된 구성이 되고 있다. 여기서 부직포시트(3), 질업계 보드층(4), 발포단열재층(1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0A)는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다음에 이 단열 PC카텐월(2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7(a)과 같이 부직포 시트(3), 질업계 보드층(4), 발포단열재층(1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0A)(도 3에 도시하는 하지패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를 준비하고 그 적층체(10A)에 화스너볼트(6b)를 관통하여 부착, 발포단열재층(11)측의 단부에 앵커(6a)를 연결한다. 다음에 도 7(b)과 같이 그 적층체(10A)의 폴리머세멘트 함침부직포시트(3)측 표면에 접착몰탈(7)을 도포하고 그 위에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8)를 점착한다. 그 후 그 적층체(10A)를 도 7(c)과 같이 형틀(25)내에 발포단열재층(11)측을 위로 하여 셋트하고, 그 위에 PC용 배근(21)을 배치한 후 몰탈을 다져서 다진 몰탈층(22)을 적층 일체화한다. 이상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단면구성의 단열 PC카텐월(20)이 형성된다.
얻어진 단열 PC카텐월(20)에서는 부직포시트(3)의 폴리머세멘트 함침면에 접착몰탈(7)을 통해 외벽화장재(8)가 강고하게 고정된 구성이 되며 또한 그 외벽화장재(8)를 구비한 외면과 다진 몰탈츨(22)과의 사이에 발포단열재층(11)을 구비한 구조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단열 PC카텐월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면에 외벽화장재를 강고하게 부착한 외단열 구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하지패널(1)(10)을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더욱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공사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하지패널은 빌딩, 맨션 등을 주체로 하는 RC 및 SRC건축물이나 주택이나 저층의 공동주택 등을 주체로 하는 목질구조 건축물이나 경량철골건축물 등 여러가지 건축물의 외벽화장에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단열재층을 구비한 하지패널은 이들의 건축물에 대한 외단열 공법 및 외장단열공법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단열 PC카텐월은 종래의 PC카텐월과 마찬가지로 PC카텐월공법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층 공사기간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하지패널은 건축물에 대해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트 면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 그 표면에 마감몰탈을 도포하여 외벽마감을 행하거나 접착몰탈을 도포하여 타일 등의 외벽화장재를 점착한다는 외벽화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외벽에 원하는 화장을 실시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네트접착, 하지몰탈도포, 경화 등의 작업이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을 줄일수 있고 또한 공사기간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감몰탈이나 접착몰탈을 도포하는 면은 부직포 표층이 폴리머세멘트로 함침된 구조이므로 마감몰탈이나 접촉몰탈과의 접착에 뛰어나 시공속도의 향상과 함께 화장면의 부착안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형성된 외벽면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화장면이 벗겨지거나 탈락되거나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하지패널로서 단열재층을 구비한 것을 이용하면 외벽에 표면화장을 실시함과 동시에 단열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열재층을 구비한 하지패널은 외단열 공법 혹은 외장단열공법에 적합하며 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외단열 구조 혹은 외장단열구조의 외벽을 단기간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PC카텐월은 외벽화장재 및 발포단열재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면에 외벽화장재를 배치한 외단열 구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더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PC카텐월은 외벽화장재 및 발포단열재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면에 외벽화장재를 배치한 외단열 구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더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외벽에서는 부직포시트로부터 다진 몰탈층까지가 화스너볼트로 고정되고 있으며 또한 부직포 시트의 접착몰탈을 도포하는 면은 부직포 표층이 폴리머세멘트로 함침된 구조이므로 접착몰탈과의 접착에 뛰어나며 이 때문에 표면의 외벽화장재가 다진 몰탈층에 대해 극히 강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어 화장면의 부착안정성이 크다.
도 1(a)는 부직포시트의 개략단면도, 도 1(b)는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 시트의 개략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의 개략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하지패널을 외벽에 부착, 표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3(a)는 부직포시트의 개략단면도, 도 3(b)는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의 개략단면도, 도 3(c)는 부직포시트에 질업계 보드층을 적층한 적층체의 개략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하지패널의 개략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하지패널을 외벽에 부착, 표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5(a)는 도 3에 도시하는 하지패널을 외장단열구조를 형성하도록 기둥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5(b)는 그 하지패널표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PC카텐월의 개략단면도.
도 7(a)는 도 6에 도시하는 단열 PC카텐월의 제조에 이용하는 적층체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7(b)는 그 적층체의 표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c)는 그 적층체의 위에 몰탈을 다져넣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지패널 1A: 적층체
2: 폴리머세멘트 3: 부직포시트
3a: 기재시트 3b: 섬유
4: 질업계 보드층 5: 몸체
6a: 앵커 6b: 화스너볼트
7: 접착몰탈 8: 외벽화장재
10: 하지패널 10A: 적층체
15: 기둥 16: 간주
17: 고정구 20: 단열 PC카텐월
21: PC용 배근 22: 다져넣는 몰탈층
25: 형틀

Claims (12)

  1.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2.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단열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3. 한쪽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와, 그 부직포 시트의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접합된 질업계 보드층과, 그 질업계 보드층의 상기 부직포 시트측과는 반대측 표면에 접합된 단열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세멘트의 폴리머가 세멘트와의 상용성이 좋은 것으로 또한 세멘트에 대한 혼합비는 세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머가 20~60중량부이며, 상기 폴리머 세멘트의 부직포시트면으로의 면적당 함침량은 500~120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시트는 내알칼리성 재료로 구성된 기재시트에 내알칼리성의 섬유를 니들링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그 면적당 중량이 80~2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층은 페널폼, 스틸렌폼,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의 발포단열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질업계 보드층은 섬유세멘트판, 세멘트 규산칼슘판, 규산칼슘판, 슬러그석고판, 탄산마그네슘판, 마그네슘 세멘트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질업계 보드층은 산화마그네슘과 규사를 주성분으로 하고 양면에 가라스섬유 부직포 또는 가라스섬유네트가 매설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하지패널을 건축물의 외벽부분에 상기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을 외측으로 하여 부착, 이어서 상기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면에 외벽화장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화장방법.
  10. 한쪽 표면에서 외벽화장재, 접착몰탈, 이 접착몰탈에 접하는 측 표면에 폴리머세멘트를 함침시킨 부직포시트, 질업계 보드층, 발포단열재층, 다진 몰탈층이 적층일체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부직포시트로부터 다진 몰탈층까지 화스너볼트가 관통되고 있고 이 화스너볼트의 단부는 다진 몰탈층내에서 플라스틱앵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PC카텐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세멘트의 폴리머가 세멘트와의 상용성이 좋은 것으로 또한 세멘트에 대한 혼합비가 세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20~60중량부이고 상기 폴리머세멘트의 부직포 시트면으로의 면적당 함침량이 500~12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시트는 내알칼리성 재료로 구성된 기재시트에 내알칼리성의 섬유를 니들링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그 면적당의 중량은 80~20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패널.
KR1020040060824A 2003-08-22 2004-08-02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단열피씨카텐월 KR100777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99326A JP4033078B2 (ja) 2003-08-22 2003-08-22 Pcカーテンウォール
JPJP-P-2003-00299326 2003-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607A true KR20050020607A (ko) 2005-03-04
KR100777844B1 KR100777844B1 (ko) 2007-11-21

Family

ID=3440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24A KR100777844B1 (ko) 2003-08-22 2004-08-02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단열피씨카텐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33078B2 (ko)
KR (1) KR100777844B1 (ko)
CN (1) CN1329605C (ko)
TW (1) TW200512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9879A (zh) * 2017-04-17 2017-12-01 上海华唐装饰集团有限公司 聚苯乙烯泡沫复合装饰线条板造型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814B2 (ja) * 2008-05-19 2013-10-23 株式会社大林組 接合用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躯体の表面処理方法
CN102134899A (zh) * 2011-01-18 2011-07-27 霍春刚 彩石质柔性建筑物内外墙贴面板及其制作方法
CN103195208B (zh) * 2013-04-28 2015-03-25 烟台同化防水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界面聚合物水泥片材及其制作方法
CN104131677B (zh) * 2014-08-19 2016-11-23 广西启利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岩片制备贴面板的方法
CN114908903A (zh) * 2022-03-14 2022-08-16 中建二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陕北风格的幕墙造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769A (en) * 1983-03-24 1985-11-26 Ina Seito Co., Ltd. Adhesive-backed tile panel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JPS6467118A (en) * 1987-09-07 1989-03-13 Iseki Agricult Mach Rush receiving frame of rush mower
JPH1162168A (ja) * 1997-08-12 1999-03-05 Ohbayashi Corp 下地用成形板
JP4449129B2 (ja) * 1999-12-21 2010-04-14 日東紡績株式会社 不織布及びユニットタイル
JP2002220886A (ja) * 2001-01-24 2002-08-09 Inax Corp タイル張り外断熱工法
JP2002339469A (ja) * 2001-03-08 2002-11-27 Takahashi Curtain Wall Kogyo Kk Pc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33904A (ja) * 2001-05-17 2003-02-04 Toyo Chemitec Co Ltd タイル施工用の目地材、タイル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9879A (zh) * 2017-04-17 2017-12-01 上海华唐装饰集团有限公司 聚苯乙烯泡沫复合装饰线条板造型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84253A (zh) 2005-02-23
JP2005068782A (ja) 2005-03-17
TW200512347A (en) 2005-04-01
CN1329605C (zh) 2007-08-01
JP4033078B2 (ja) 2008-01-16
KR100777844B1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1301A1 (en) Insulated wall panel
US9963885B2 (en) Wall panel
EP3365511B1 (en) Insulated wall panel with plurality of aesthetic facing elements
KR100777844B1 (ko)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단열피씨카텐월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US8287671B2 (en) Vandalism-resistant insulating panels for building exteriors and building having vandalism-resistant thermally insulative walls
US20010045071A1 (en) Concrete composite non-meshed wall finishing system over key lock grid substrated
CN211548402U (zh) 一种快捷施工瓦屋面结构
JPH07331761A (ja) 断熱成形板及びその施工法
JPH0819340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パネル、その接合体および不燃複合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パネル
JPH0249843A (ja) 建築用複合板材の製造方法
JP2006169810A (ja) 建築物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0028446A (ko) 건축용 복합패널
JP3045661U (ja) 水勾配面の下地用勾配板
KR20000030201A (ko) 외벽 단열 시공방법
KR20210023123A (ko)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CN201447800U (zh) 一种外墙的保温复合砖
JPH081846A (ja) 断熱成形板及びその施工法
JP2002371704A (ja) 建築用装飾材とその建造物への取り付け方法
JPH0528986B2 (ko)
JPS63312452A (ja) 構造物の模様仕上げ材
JP2002364162A (ja) 建築用装飾材とその建造物への取り付け方法
HU198975B (hu) Hőszigetelő elem, különösen épületek térelhatároló szerkezeteinek hőszigeteléséhez, valamint eljárás az elem előállítására
KR19980026642U (ko) 건물 내·외장재용 복합패널
IE42359B1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