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414A -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414A
KR20050018414A KR1020030056209A KR20030056209A KR20050018414A KR 20050018414 A KR20050018414 A KR 20050018414A KR 1020030056209 A KR1020030056209 A KR 1020030056209A KR 20030056209 A KR20030056209 A KR 20030056209A KR 20050018414 A KR20050018414 A KR 2005001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seat
submarine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414A/ko
Publication of KR2005001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60N2/42718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에 추가적인 에어백을 마련하여 전방 충돌에 의한 서브마린 현상 발생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400) 전방 내부의 프레임(410) 상측에 마련되어 인플레이터(110)에 의하여 팽창하는 에어백(100)과; 상기 에어백(100)의 전방에 마련된 변위센서(200)와; 차체에 마련된 충돌감지센서(310)와 상기 변위센서(200)에 연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110)를 통하여 에어백(100)을 팽창시키는 제어부(300)로 구성되어, 서브마린 현상에 의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켜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Anti sub-marine sea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에 추가적인 에어백을 마련하여 전방 충돌에 의한 서브마린 현상 발생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서브마린 현상에 의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켜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브마린(sub-marine) 현상이란, 차량의 충돌 혹은 급정거 시에 시트가 내려앉으면서 승객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밑으로 밀려들어가 상해를 입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서브마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트 내부에 안전 프레임(safety frame)을 장착한 안티 서브마린 시트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서브마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는 서브마린을 유발시키는 에너지를 원활하게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충격에너지의 상당부분이 탑승객의 운동에너지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탑승객에게 큰 충격에너지를 전달되어 대퇴부에 대한 상해치가 증대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시트쿠션의 내부 전방에서 에어백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서브마린 현상에 의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켜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 전방 내부의 프레임 상측에 마련되어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팽창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전방에 마련된 변위센서와; 차체에 마련된 충돌감지센서와 상기 변위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통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 전방 내부의 프레임(410) 상측에 마련되어 인플레이터(110)에 의하여 팽창하는 에어백(100)과; 상기 에어백(100)의 전방에 마련된 변위센서(200)와; 차체에 마련된 충돌감지센서(310)와 상기 변위센서(200)에 연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110)를 통하여 에어백(100)을 팽창시키는 제어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시트쿠션(4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400)의 전방에서 순간적으로 상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100)과, 각종 센서들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백(100)은 시트쿠션(400)의 내부에 마련되어 프레임(410)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100)의 일측에 마련된 인플레이터(inflator)(110)는 동작시 순간적으로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켜 상기 에어백(100)의 내부에 가스를 충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백(100)은 프레임(410)의 양단에 지지되는 지지패널(420)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41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410)에 의하여 그 양단이 지지되도록 지지패널(420)을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패널(420)의 상측에 에어백(100)과 인플레이터(11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백(100) 및 인플레이터(110)가 상기 지지패널(420)의 상측면 상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10)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100) 내부로 고압의 가스가 충진되면, 상기 에어백(100)은 순간적으로 상기 시트쿠션(400)의 전방 상측으로 전개되는 것이다.
또한, 변위센서(200)는 변위량을 감지하기 위한 차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게는 변위센서(200)가 상기 에어백(100)의 전방측에 상기 에어백(100)와 함께 지지패널(42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300)는 상기 변위센서(200)와 기존의 차체에 마련된 충돌감지센서(310)에서 감지된 검출값에 따라 상기 에어백(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충돌감지센서(310)에서 충돌을 감지하면 상기 변위센서(200)의 변위량과 이를 미분한 속도를 이용하여 승객의 서브마린 양을 측정하고, 그 양이 과도할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110)를 통하여 에어백(100)을 시트쿠션(400)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전개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에 대한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의 프레임(410)에 고정된 에어백(100) 및 인플레이터(110)는 별다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약,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충돌감지센서(310)가 이러한 상황을 판단하여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300)에 알려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변위센서(200)의 변위량 및 이와 같이 상기 변위센서(200)에 검출된 변위량을 미분하여 얻어낸 속도를 이용하여 승객의 서브마린 양을 계산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가 계산한 탑승객의 서브마린 양이 기준치 이상으로 과도하다면, 상기 제어부(300)는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A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110)를 통하여 에어백(100)을 시트쿠션(400)의 전방에서 상측 방향으로 전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백(100)의 인플레이터(11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순간적으로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켜, 상기 에어백(100)의 내부에 고압의 가스를 충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에어백(100) 내부로 고압의 가스가 충진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100)은 시트쿠션(400)의 전방에서 상측 방향으로 전개되어 탑승객의 대퇴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순간적으로 시트쿠션(400)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100)이 탑승객의 대퇴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충돌사고에 의한 탑승객의 서브마린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탑승객의 상해치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시트쿠션의 내부 전방에서 에어백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서브마린 현상에 의한 탑승객의 대퇴부 상해치를 저감시켜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백 110 : 인플레이터
200 : 변위센서 300 : 제어부
310 : 충돌감지센서 400 : 시트쿠션
410 : 프레임 420 : 지지패널

Claims (3)

  1. 시트쿠션 전방 내부의 프레임 상측에 마련되어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팽창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전방에 마련된 변위센서와;
    차체에 마련된 충돌감지센서와 상기 변위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통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되는 지지패널 상에서 상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돌감지센서에서 충돌을 감지하면 상기 변위센서의 변위량과 이를 미분한 속도를 이용하여 승객의 서브마린량을 측정하고, 그 양이 과도할 경우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1020030056209A 2003-08-13 2003-08-13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20050018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09A KR20050018414A (ko) 2003-08-13 2003-08-13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09A KR20050018414A (ko) 2003-08-13 2003-08-13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414A true KR20050018414A (ko) 2005-02-23

Family

ID=3722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209A KR20050018414A (ko) 2003-08-13 2003-08-13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403B2 (en) 2021-03-12 2023-04-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seat cushion airba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403B2 (en) 2021-03-12 2023-04-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seat cushion airba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9734B1 (en) A Safety Arrangement
KR10209653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485293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32763B1 (ko) 무릎 보호 장치
JP4453480B2 (ja)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CN205131176U (zh) 乘员保护装置及汽车安全座椅
CN103057506A (zh) 一种保护汽车乘员脚部的气囊装置
KR20140136747A (ko) 사이드 에어백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JP200713722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18414A (ko)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EP2394869B1 (en) A motor vehicle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occupants
KR20050008911A (ko)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JP6488988B2 (ja) 乗員保護補助装置
KR102614158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693506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KR100794049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테더구조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9990020926U (ko) 완충 에어백
US20210155188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088293B1 (ko) 전방유리 에어백을 갖춘 차량 안전 시스템
KR19990004082A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9990026346U (ko) 팽창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백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