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082A -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082A
KR19990004082A KR1019970028084A KR19970028084A KR19990004082A KR 19990004082 A KR19990004082 A KR 19990004082A KR 1019970028084 A KR1019970028084 A KR 1019970028084A KR 19970028084 A KR19970028084 A KR 19970028084A KR 19990004082 A KR19990004082 A KR 1999000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seat belt
sen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824B1 (ko
Inventor
박붕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82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충격 가속도 검출용 에어백G센서(14)의 검지신호를 받은 ECU(16)에서 작동명령으로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하는 에어백(AB) 시스템과 승차원의 신체를 시트(20)에 밀착시키도록 사용되는 시트벨트(SB)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20)의 시트백(21)과 시트쿠션(22)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피에조저항센서(11)(12)(13); 시트벨트(SB)의 장력조절부에 설치되어 충격가속도를 검출하도록 하는 시트벨트G센서(15); 상기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출력특성을 사전설정된 저항특성과 비교하여 사전에 입력된 사람 인식조건에 부합할 때 에어백G센서(14)와 시트벨트G센서(15)의 작동 입력에 따라 에어백구동부(17)와 시트벨트장력조절부(18)를 제어하도록 하는 ECU(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트에 착석한 승차원의 존재를 확실히 구분하고 에어백작동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에어백의 작동과 동시에 시트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에어백으로 인한 승객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트에 재치된 것에 있어서 사람과 물건의 존재를 명확하게 인식하여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에어백 작동시 시트벨트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Air Bag System)은 자동차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공기주머니)를 부풀게 하여 승차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용은 스티어링휠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수석 승객용은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의 에어백은 그 작동에 있어서 충돌시의 충격을 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거나 감지장치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은 승차원이 없어도 작동되는 것이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었고 이에 대하여 시트에 감지되는 중량을 측정하여 에어백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에 감지되는 중량을 인식하여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나름대로 효과가 있으나 에어백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데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작동으로 인하여 오히려 승객이 부상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에 사람과 물건의 존재를 명확하게 인식하여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에어백 작동시 시트벨트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차실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저항센서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에어백 SB ; 시트벨트
11, 12, 13 ; 피에조저항센서
14 ; 에어백G센서 15 ; 시트벨트G센서
16 ; ECU 17 ; 에어백구동부
18 ; 시트벨트장력조절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 가속도 검출용 에어백G센서(14)의 검지신호를 받은 ECU(16)에서 작동명령으로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하는 에어백(AB) 시스템과 승차원의 신체를 시트(20)에 밀착시키도록 사용되는 시트벨트(SB)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20)의 시트백(21)과 시트쿠션(22)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피에조저항센서(11)(12)(13); 시트벨트(SB)의 장력조절부에 설치되어 충격가속도를 검출하도록 하는 시트벨트G센서(15); 상기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출력특성을 사전설정된 저항특성과 비교하여 사전에 입력된 사람 인식조건에 부합할 때 에어백G센서(14)와 시트벨트G센서(15)의 작동 입력에 따라 에어백구동부(17)와 시트벨트장력조절부(18)를 제어하도록 하는 ECU(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설치위치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시트(20)의 시트백(21) 및 시트쿠션(2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피에조저항센서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시트백(21)에 설치된 피에조저항센서(11)는 승차원의 등이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장 넓고 고른 저항특성을 보인다. 또한 시트쿠션(22)의 후방부에 설치된 피에조저항센서(12)는 승차원의 둔부가 위치되어 가장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가장 큰 저항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시트쿠션(22)의 전방부에 설치된 피에조저항센서(13)는 승차원의 양 대퇴부가 밀착되는 부위로서 좌우 대칭적인 저항특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피에조저항센서(11)(12)(13)가 ECU(16)로 신호입력되도록 연결구성되고 또한 차량의 충돌시 충격 가속도 검출용 에어백G센서(14) 및 시트벨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G센서(15)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상기 ECU(16)는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저항특성이 사전에 저장되어 있으며 에어백구동부(17)와 시트벨트장력조절부(18)을 제어하도록 연결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피에조저항센서(11)(12)(13), 에어백G센서(14) 및 시트벨트G센서(15)의 초기화 상태에서 시트에 승차원이 착석하면 상기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출력특성이 ECU(16)에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값과 ECU(16)의 메모리로부터 사전 저장된 저항특성을 비교하여 승차원이 사람인 것이 감지되면 에어백G센서(14)와 시트벨트G센서(15)가 작동되며, 사람이 아니라면 경고수단이 작동된다.
그리고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면 에어백구동부(17)를 작동시켜 에어백의 작동이 이뤄지며, 이와 동시에 시트벨트장력조절부(18)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에어백의 작동시간에 맞춰서 에어백의 충격이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현재 시트에 놓인 것이 사람인지 물건인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가릴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필요한 에어백 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 작동시 시트벨트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하므로 탑승한 승차원에게 가해지는 에어백의 충격이 최소화하도록 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충돌시 충격 가속도 검출용 에어백G센서(14)의 검지신호를 받은 ECU(16)에서 작동명령으로 에어백을 부풀리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도록 하는 에어백(AB) 시스템과 승차원의 신체를 시트(20)에 밀착시키도록 사용되는 시트벨트(SB)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20)의 시트백(21)과 시트쿠션(22)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피에조저항센서(11)(12)(13); 시트벨트(SB)의 장력조절부에 설치되어 충격가속도를 검출하도록 하는 시트벨트G센서(15); 상기 피에조저항센서(11)(12)(13)의 출력특성을 사전설정된 저항특성과 비교하여 사전에 입력된 사람 인식조건에 부합할 때 에어백G센서(14)와 시트벨트G센서(15)의 작동 입력에 따라 에어백구동부(17)와 시트벨트장력조절부(18)를 제어하도록 하는 ECU(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1019970028084A 1997-06-27 1997-06-27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100337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084A KR100337824B1 (ko) 1997-06-27 1997-06-27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084A KR100337824B1 (ko) 1997-06-27 1997-06-27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82A true KR19990004082A (ko) 1999-01-15
KR100337824B1 KR100337824B1 (ko) 2002-09-04

Family

ID=3748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084A KR100337824B1 (ko) 1997-06-27 1997-06-27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47B1 (ko) 2016-06-16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수동 안전 장치를 통합하여 작동하는 방법
KR101771949B1 (ko) * 2016-06-27 2017-08-29 김정민 차량의 안전벨트 착용상태 외부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824B1 (ko)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US5492361A (en) Side airbag apparatus
JP2858973B2 (ja) 車両搭乗者保護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781745B2 (ja) 乗物の搭乗者拘束装置の作動を防止する装置
JP2004521014A (ja) ベルト引締力制限装置付き乗員拘束装置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KR200151151Y1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190457B1 (ko) 파열 각도에 따른 에어 백 제어 방법
KR100224246B1 (ko)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JP3484949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MXPA96006706A (es) Sistema de restriccion inflable, que incluye un detector de imagen optica
KR100210422B1 (ko) 차량의 에어백연계 시트벨트 텐션 조절장치
KR0180156B1 (ko)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KR0128075Y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9990029277U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9990026346U (ko) 팽창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백
KR19980038498A (ko) 자동차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제어방법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0137240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설치된 에어백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