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398A -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398A
KR20050017398A KR1020040063716A KR20040063716A KR20050017398A KR 20050017398 A KR20050017398 A KR 20050017398A KR 1020040063716 A KR1020040063716 A KR 1020040063716A KR 20040063716 A KR20040063716 A KR 20040063716A KR 20050017398 A KR20050017398 A KR 2005001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urge
seal plate
cavity
resista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551B1 (ko
Inventor
오퍼헨리피터
오르테가프랭크
산더스카이데이빗웨슬리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1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21C17/01Inspec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21C19/207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reac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41Repairing, securing, replacing, or servicing pipe joint, valve, or t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41Repairing, securing, replacing, or servicing pipe joint, valve, or tank
    • Y10T137/0452Detecting or repairing lea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32Repairing by attaching repair preform, e.g., remaking, restoring, or patching
    • Y10T29/49734Repairing by attaching repair preform, e.g., remaking, restoring, or patching and removing damaged material
    • Y10T29/49737Metallurgically attaching pre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32Repairing by attaching repair preform, e.g., remaking, restoring, or patching
    • Y10T29/49742Metallurgically attaching pre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압 용기 피복(68)의 손상 영역(116)을 수리하기 위한 밀봉 플레이트(70)가 제공된다. 밀봉 플레이트(70)는, 제 1 면(72), 제 2 면(74) 및 상기 제 2 면에 위치된 밀봉부(76)를 포함하며, 밀봉부는 밀봉 플레이트의 외형을 규정한다. 또한, 밀봉 플레이트는, 밀봉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된 밀봉 립(78)과, 제 2 면에 위치된 공동부(82)를 포함하며, 공동부는 밀봉부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으로부터 공동부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80)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퍼지 포트는 공동부와 유체 연통한다.

Description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REACTOR VESSEL CLADDING USING A SEAL PLAT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봉 플레이트를 사용한 용기 피복 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원자로 내압 용기인 내압 용기에서는, 원자로에 사용되는 물에 의해 원자로 내압 용기의 무방비 저합금강(unprotected low-alloy steel)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과 저합금강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니켈 계통의 피복으로 장벽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피복이 손상되어 방수 장벽에 파열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리 여부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손상 영역의 피복을 국부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용접된 피복의 직접 용접 수리에는 템퍼 비드 용접 기술(temper bead welding technology)이 사용되는 것이 전형적인데, 이 기술에서는, 아래층의 열 영향부(HAZ : Heat-Affected Zone)를 연화시키는 데 필요한 용접 후속 열처리 없이도, 경화 가능 재료에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템퍼 비드 용접은, 각각의 용접 패스(weld pass)가 부착될 때마다 충분히 저속으로 제어된 냉각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건조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용기와 같은 중량부 상의 용접 수리부에 내재하는 높은 잔류 인장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연성의 HAZ 미세 구조를 형성하도록 용접 열의 공급이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으면, 작업 도중이나 복귀후 사용에서 저합금강의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전술된 균열 위험에 더하여, 특화된 템퍼 비드 용접 공정에서는, 인접한 종전 부착 비드 상에서의 중첩이 제어되도록 각각의 비드를 정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HAZ의 불림부의 과도한 연화 혹은 재경화가 없도록 불림을 정확하게 실행하기 위해서이다. 용접 공정이 원거리에서 실시될 때, 특히 원자로 용기의 내벽 작업에서처럼 접근이 매우 제한될 때, 그러한 정밀한 열 공급 제어와 비드 배치는 매우 어렵다. 추가로, 기존의 템퍼 비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간편한 습식 용접 방법(아크가 직접 물 안에 있는 경우)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습기가 있거나 습한 환경에서 저합금강에 융접(fusion welding)을 적용하게 되면 수소로 인한 균열(hydrogen-induced cracking)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압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을 수리하기 위한 밀봉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 제 2 면 및 상기 제 2 면에 위치된 밀봉부를 포함하며, 밀봉부는 밀봉 플레이트의 외형을 규정한다. 또한, 밀봉 플레이트는, 밀봉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된 밀봉 립과, 제 2 면에 위치된 공동부를 포함하며, 공동부는 밀봉부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으로부터 공동부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퍼지 포트는 공동부와 유체 연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자로가 제공된다. 원자로는, 피복에 의해 덮인 내면을 갖는 원자로 내압 용기와, 내압 용기의 내면에 부착된 밀봉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 제 2 면 및 상기 제 2 면에 위치된 밀봉부를 포함하며, 밀봉부는 밀봉 플레이트의 외형을 규정한다. 또한, 밀봉 플레이트는, 밀봉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된 밀봉 립과, 제 2 면에 위치된 공동부를 포함하며, 공동부는 밀봉부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으로부터 공동부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퍼지 포트는 공동부와 유체 연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압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을 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내압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 위에 밀봉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밀봉 플레이트는, 제 1 면과, 제 2 면과, 상기 제 2 면에 위치되어 밀봉 플레이트의 외형을 규정하는 밀봉부와, 밀봉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된 밀봉 립과, 제 2 면에 위치되어 밀봉부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 공동부와, 제 1 면으로부터 공동부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퍼지 포트는 공동부와 유체 연통한다. 또한, 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를 통해 밀봉 플레이트 공동부로부터 물을 퍼지하는 단계와, 밀봉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내압 용기 상에 부착된 피복의 손상 영역을 수리하기 위한 밀봉 플레이트가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건조를 위해 손상 영역을 퍼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손상 영역의 노출된 저합금강 또는 기타 다른 해당 재료를 물로 인한 부식 또는 응력 부식 균열을 포함하는 환경적 열화에 대항하여 영구적으로 밀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밀봉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거나, 원자로 냉각수와 같은 내압 용기 내의 상용 유체에서의 환경적 열화에 충분히 대항하는 기타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밀봉 플레이트는 필요하다면 내압 용기 표면 피복의 전체적인 윤곽과 기밀하게 정합하도록 맞춤 가공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이하에서 비등수 원자로와 관련하여 설명되나, 예를 들어 가압수형 원자로와 같은 기타 다른 유형의 원자로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비등수 원자로 내압 용기(RPV : Reactor Pressure Vessel)(10)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RPV(1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가 저부 헤드(12)에 의해 폐쇄되고, 타단부는 분리 가능한 상부 헤드(14)에 의해 폐쇄된다. 저부 헤드(12)로부터 상부 헤드(14)까지 측벽(16)이 연장된다. 상부 헤드(14)는 상부 플랜지(18)에 부착되어 있다. 원통형 형상의 코어 슈라우드(20)가 원자로 코어(22)를 둘러싸고 있다. 슈라우드(20)는 슈라우드 지지체(24)에 의해 일 단부가 지지되며, 이에 대향하는 분리 가능한 슈라우드 헤드(26)를 포함한다. 슈라우드(20)와 측벽(16) 사이에는 환형체(28)가 형성되어 있다. 슈라우드 지지체(24)와 RPV 측벽(16) 사이로는 링 형상의 배플 플레이트(30)가 연장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30)는 다수의 원형 개구부(32)를 포함하며, 각각의 원형 개구부(32)는 제트 펌프(34)를 수용한다. 제트 펌프(34)는 코어 슈라우드(20)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다. 2개의 제트 펌프(34)에는 입구측 수직관(36)이 중간 조립체(3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제트 펌프(34)는 입구측 혼합기(40)와 확산기(42)를 포함한다.
코어(22) 내부에서 열이 생성되는데, 이 코어(22)는 핵분열 재질의 연료 번들(46)을 포함한다. 코어(22)를 통해 위로 순환된 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증기로 바뀐다. 증기 분리기(48)가 물에서 증기를 분리하며, 상기 물은 재순환된다. 증기 건조기(50)가 증기에서 잔류수를 제거한다. 증기는 용기 상부 헤드(14) 근처의 증기 출구(52)를 통해 RPV(10)에서 배출된다.
코어(22)에서 생성된 열의 양은, 예를 들어 하프늄과 같은 중성자 흡수 재질의 다수의 제어봉(54)을 삽입 및 회수함으로써 조절된다. 제어봉(54)은 연료 번들(46) 내로 삽입되는 범위에서 중성자를 흡수하는데, 중성자는 흡수되지 않으면 코어(22) 내에서 열을 생성하는 연쇄 반응을 진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봉(54)은 제어봉 드라이브(CRD)(58)와 결합하는데, 이것은 코어 플레이트(64)와 연료 번들(46)에 대해 제어봉(54)을 이동시킨다. CRD(58)는 저부 헤드(12)를 통해 연장되며, 제어봉 드라이브 하우징(66) 내에 봉입된다. 제어봉 가이드 튜브(56)가 제어봉 드라이브 기구 하우징(66)으로부터 코어 플레이트(6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어봉 가이드 튜브(56)는 제어봉(54)의 삽입 및 회수 도중에 제어봉(54)의 비수직 운동을 제한한다.
RPV(10)의 내면에는 내부식성 피복(68)이 부착되어 있다. 피복(68)은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RPV(10)의 측벽(16), 상부 헤드(14) 및 저부 헤드(1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저합금강과 물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피복(68)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피복 또는 니켈계 합금 피복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플레이트(70)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밀봉 플레이트(70)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밀봉 플레이트(7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밀봉 플레이트(70)가 제 1 면(72) 및 이에 대향하는 제 2 면(74)을 포함한다. 밀봉부(76)가 제 2 면(74)에 위치되어 밀봉 플레이트(70)의 외형을 규정한다. 밀봉 립(78)이 밀봉부(76)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밀봉 립(78)은 밀봉 플레이트(70)의 제 2 면(74)과 이것이 부착되는 기존 피복면 사이의 최대 정합 간극을 축소시키는 탄성 시일 또는 변형 가능한 립이다. 이러한 간극의 축소는, 수중 환경에서 용접시 밀봉 플레이트의 배변으로부터 물을 완전히 퍼지하는 능력을 개선시키고, 또한 중요한 루트 패스(root pass)의 용접 도중에 산화를 방지하고 습기를 배제시키기 위한 비활성 가스 유동의 공급 능력을 개선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립(78)은 "버터(butter)" 층과 같이 사전 위치되어 가공된 용접 필러 재료(weld filler material)로 형성되며, 변형 실시예에서는 밀봉 플레이트 재료로부터 일체적으로 가공된다. 밀봉 립(78) 내의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79)은 밀봉 립(78)에서의 국부화된 스프링 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밀봉 립(78)이 불규칙 표면과 같은 모양이 될 수 있게 한다.
밀봉 플레이트(70)의 제 1 면(72)에는, 밀봉 플레이트(70) 제 2 면(74)의 공동부(82)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지 구멍 또는 포트(80)(2개가 도시되어 있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82)는 밀봉부(76)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다.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밀봉 플레이트(70)를 내압 용기(10)에 부착시킬 때, 퍼지 포트(80)에 의해 조정 가능 횡 유동(adjustable cross-flow)이 허용된다. 또한, 용접 완료 후에는 퍼지 포트(80)를 통해 밀봉 플레이트(70)의 압력 시험이 실시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퍼지 포트(80)는, 공동부(82)로부터의 포집 액체 배수 및 함수 가스 배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밀봉 플레이트(70)에 부착된 후 내압 용기(10)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퍼지 포트(80)는, 용접 중에 과도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용접 루트(weld root)의 배면에 비활성 가스 유동을 공급하는 데도 사용된다. 공동부(82)를 배수할 때는, 손상부 또는 피복 표면에 부착된 액적(liquid drop)을 제거하기 위해 가스 퍼지 유량(flow rate)이 비교적 높다. 루트 패스의 용접 중에는 비활성 가스 유량이 비교적 낮은데, 즉 수중 환경 실시에서 밀봉 플레이트(70) 뒤쪽 물의 재진입을 방지하기에는 충분한 정도이자, 밀봉 용접 실시에서 용해 금속을 제거 또는 과도하게 냉각시키지 않는 정도이다. 밀봉 플레이트(70) 외주 둘레의 가요성 밀봉 립(78)에 의해, 공동부(82)로부터 원활하게 퍼지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충분히 작고 균일한 간극의 존재가 보장된다.
각각의 퍼지 포트(80) 내에는 플러그(84)가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84)는 플러그(84)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된 유동 채널(86)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동 포트(88)가 플러그(84) 개방 위치(87)시 플러그 유동 채널(86)과 퍼지 포트(80) 사이에서의 유동을 연통시킨다. 플러그(84)가 폐쇄 위치(89)이면, 퍼지 포트(80)에 유동 포트(88)가 대해 개방되지 않아, 플러그 유동 채널(86)과 퍼지 포트(80) 사이에 유동 연통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퍼지 포트(80)가 밀봉된다. 폐쇄 위치(89)에서, 플러그(84)는 퍼지 포트(80) 내부의 플러그 밀봉 면(90)과 정합한다. 플러그(84)와 퍼지 포트(80) 사이의 나사 조인트(92)에 의해 플러그(84)가 개방 위치(87)와 폐쇄 위치(89)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퍼지 플레이트(70)가 제 위치에 용접되고 공동부(82)가 퍼지된 후에, 플러그(84)는 공동부(82)를 영구적으로 밀봉하도록 폐쇄 위치(89)에 고정된다. 플러그(84)는 이어서 제 위치에 택 용접(tack welding) 또는 밀봉 용접되거나, 핀 결합 또는 크림프 처리됨으로써,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헐거움이 방지된다.
또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퍼지 포트(80)에는 분리 가능한 퍼지 호스 조립체(94)가 부착된다. 퍼지 호스 조립체(94)는 퍼지 포트(80)를 비활성 가스(도시하지 않음) 공급기에 연결시키거나, 기체 및 액체 포집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연결시킨다. 퍼지 호스 조립체(94)는 퍼지 밀봉 커넥터 부재(98)에 연결된 호스(96)를 포함한다. 퍼지 밀봉 커넥터 부재(98)는 퍼지 포트(80)의 외면(100)과 나사 정합된다. 퍼지 밀봉 부재(98)는, 퍼지 포트(80)를 수용하는 크기의 밀봉 챔버(104)를 규정하는 외벽(102)을 포함한다. 외벽(102)의 내면(108)에는 밀봉 링(106)이 배치되어, 나사 조인트(110)를 통한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내압 용기(10) 피복(68)의 손상부(116)를 수리하기 위해 밀봉 플레이트(70)를 설치하기에 앞서, 피복(68)의 손상부(116) 둘레로 매끄러운 환형 표면(120)이 가공된다. 내압 용기(10)에 대한 밀봉 립(76)의 용접을 촉진시키기 위해 환형 표면(120)은 밀봉 플레이트(70)의 밀봉부(76)와 정합하는 크기와 위치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접을 촉진시키기 위해, 모따기 영역(122)이 환형 표면(120) 둘레의 피복(68)에 가공되어 있다. 피복(68)이 매끄러운 실시예에서는, 밀봉 플레이트(70)와 피복(68) 사이의 밀봉을 위한 환형 표면(120) 및/또는 모따기 영역(122)이 필요하지 않다.
공동부(82)가 손상부(116)를 봉입하고, 퍼지 포트(80)가 수직 정렬되며, 환형 표면(120) 가공 피복(118)에 밀봉부가 안착된 채로 퍼지 플레이트(70)가 손상부(116) 위로 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퍼지 포트(80)와 퍼지 호스 조립체(96)를 통해 공동부(82)로부터 물이 퍼지된다. 상부 퍼지 포트(80)를 통해 공동부(82) 내로 비활성 퍼지 가스가 유입되고, 하부 퍼지 포트(80)를 통해 포집 액체 및 함수 기체가 제거된다. 이어서 퍼지 플레이트(70)는 제 위치에 용접되며, 최초 용접 패스가 실시된다. 그러면, 퍼지 포트(80)에 압력을 가하여 퍼지 플레이트(70)의 누설 시험이 실시될 수 있다. 그 후, 최종 용접 패스가 실시되고, 최종 압력 시험이 실시된다. 퍼지 포트(80)로부터 퍼지 호스 조립체(96)가 제거되고, 공동부(82)를 영구적으로 밀봉하도록 플러그(84)가 폐쇄 위치(89)에 고정된다. 플러그(84)는 이어서 제 위치에 택 용접되거나, 핀 결합 또는 크림프 처리됨으로써,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헐거움이 방지된다.
공동부(82) 내 액체의 완전한 퍼지 또는 용접 루트 침투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다면, 루트 패스의 용접을 촉진시키기 위해 용접 플럭스를 유입시키는 데도 퍼지 포트(8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도가 개선된 용접 누설 시험을 위해 헬륨을 유입시키는 데도 퍼지 포트(8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접 루트 패스의 완료 후에, 부식 억제제 또는 기타 다른 첨가제를 공동부(82)에 유입시키는 데도 퍼지 포트(8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지 플레이트(130)가 내압 용기(10) 일부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퍼지 플레이트(130)는 전술된 퍼지 플레이트(70)와 유사하나 구조용 보스 또는 클레비스(clevis)(132)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보조적인 부하 지지 부재(secondary load-bearing member)가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구체적 실시예의 관점에서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항의 참뜻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로 내압 용기 상에 부착된 피복의 손상 영역을 수리하기 위한 개선된 밀봉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비등수 원자로 내압 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밀봉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밀봉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밀봉 플레이트에 퍼지 호스 조립체가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퍼지 호스 조립체와 퍼지 포트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자로 내압 용기 일부의 피복에 형성된 손상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지 플레이트가 도 1의 내압 용기 일부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자로 내압 용기(RPV) 16 : 측벽
54 : 제어봉 68 : 피복
70 : 밀봉 플레이트 72 : 제 1 면
74 : 제 2 면 76 : 밀봉부
78 : 밀봉 립 80 : 퍼지 포트
82 : 공동부 84 : 플러그
87 : 개방 위치 89 : 폐쇄 위치

Claims (9)

  1. 내압 용기 피복(68)의 손상 영역(116)을 수리하기 위한 밀봉 플레이트(70)에 있어서,
    제 1 면(72) 및 이에 대향하는 제 2 면(74)과,
    상기 제 2 면에 위치되고, 상기 밀봉 플레이트의 외형을 규정하는 밀봉부(76)와,
    상기 밀봉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된 밀봉 립(78)과,
    상기 제 2 면에 위치되고, 상기 밀봉부에 의해 외형이 규정되는 공동부(82)와,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공동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공동부와 각각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지 포트(80)를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퍼지 포트(80) 내에 위치되어 대응하는 퍼지 포트를 밀봉하는 크기를 갖는 플러그(84)를 더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퍼지 포트(80)에 연결된 퍼지 호스 조립체(94)를 더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퍼지 포트(80)는,
    유동 채널(86)과,
    상기 유동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포트(88)를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플러그(84)가 개방 위치(87)에 있을 때 각각의 상기 유동 포트(88)는 상기 공동부(82)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대응하는 플러그가 폐쇄 위치(89)에 있을 때 각각의 상기 유동 포트는 상기 공동부(82)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호스 조립체(94)는,
    상기 퍼지 포트(84)와 정합하는 크기의 퍼지 밀봉 부재(98)와,
    상기 퍼지 밀봉 부재에 결합되어 그와 유체 연통하는 호스(96)를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밀봉 부재(98)는,
    상기 퍼지 밀봉 포트(80)를 수납하는 크기의 밀봉 챔버(104)를 규정하는 외벽(102)과,
    상기 퍼지 밀봉 부재(98)의 상기 외벽(102)의 내면(108)에 위치된 밀봉 링(106)을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78)은 다수의 반경 방향 슬릿(79)을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된 구조용 보스(132)를 더 포함하는
    내압 용기 피복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KR1020040063716A 2003-08-15 2004-08-13 압력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KR100936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41,801 US7076017B2 (en) 2003-08-15 2003-08-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reactor vessel cladding using a seal plate
US10/641,801 2003-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98A true KR20050017398A (ko) 2005-02-22
KR100936551B1 KR100936551B1 (ko) 2010-01-13

Family

ID=3437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16A KR100936551B1 (ko) 2003-08-15 2004-08-13 압력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76017B2 (ko)
JP (1) JP4948755B2 (ko)
KR (1) KR100936551B1 (ko)
TW (1) TWI360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1191B1 (en) 2005-04-07 2011-03-08 Parker Hannifan Corporation Enclosure with fluid inducement chamber
JP2007157849A (ja) * 2005-12-01 2007-06-21 Denso Corp 積層型圧電素子の製造方法
US7754993B2 (en) * 2006-07-10 2010-07-1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oviding a dry environment for underwater repair of the reactor bottom head using a segmented caisson
US8705684B2 (en) * 2006-11-30 2014-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new process implementation for reactor bottom head
US7784135B2 (en) * 2006-12-15 2010-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 for brushing circumferential welds in restricted access areas
US9352416B2 (en) * 2009-11-03 2016-05-31 The Secretary, Department Of Atomic Energy, Govt. Of India Niobium based superconducting radio frequency(SCRF) cavities comprising niobium components joined by laser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cavities
JP5752622B2 (ja) * 2012-03-06 2015-07-22 株式会社東芝 き裂補修方法及び装置
USD751671S1 (en) * 2014-02-19 2016-03-15 Watts Water Technologies, Inc. Screen assembly
KR20160130431A (ko) 2014-03-31 2016-11-11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 재료,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용 음극 합제,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용 음극 전극,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및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048A (en) * 1975-11-07 1977-05-11 Mitsubishi Heavy Ind Ltd Underwater welding torch
DE2718238C2 (de) * 1977-04-23 1982-06-16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Ausbessern von Schadstellen an emaillierten Behältern
US4524729A (en) * 1982-11-12 1985-06-25 Combustion Engineering, Inc. Primary manway closure redundant restraint
IT1254723B (it) * 1992-03-18 1995-10-09 Snam Spa Procedimento perfezionato per gli interventi di riparazione di danni localizzati alle condotte mediante applicazione di corazze con una guaina protettiva interposta
US5600691A (en) * 1993-10-29 1997-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Noble metal doping or coating of crack interior for stress corrosion cracking protection of metals
JPH081344A (ja) * 1994-06-20 1996-01-09 Hitachi Ltd 原子炉炉内構造材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装置
US5521951A (en) * 1994-09-23 1996-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Reactor core shroud repair with tapered pins
JP3525534B2 (ja) * 1995-02-09 2004-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還元性液中での構造物補修方法及びその装置
EP0727504A3 (en) 1995-02-14 1996-10-23 Gen Electric Plasma coating process for improved adhesive properties of coatings on objects
US5852271A (en) * 1996-04-12 1998-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exclusion device for underwater thermal processing
US5793009A (en) 1996-06-20 1998-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joining metal components using broad, thin filler nozzle
US5714735A (en) 1996-06-20 1998-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components with multiple filler materials
JP2937986B1 (ja) * 1998-02-09 1999-08-23 株式会社東芝 原子力発電所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工法
JP3730399B2 (ja) * 1998-03-19 2006-01-05 株式会社東芝 原子炉内構造物表面検査装置
JP2000056070A (ja) * 1998-08-05 2000-02-25 Toshiba Corp レーザ照射装置
US6255616B1 (en) 2000-01-14 2001-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submerged processing of a work surface
JP2001242280A (ja) * 2000-02-29 2001-09-07 Hitachi Ltd 欠陥補修方法
US6345927B1 (en) 2000-03-08 2002-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Weld reinforcement
US6373019B1 (en) 2000-06-09 2002-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submerged work surface
US6417476B1 (en) 2000-06-09 2002-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submerged processing of a grooved work surface using a movable gate
JP2003170317A (ja) * 2001-12-03 2003-06-17 Toshiba Corp 放電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0134B (en) 2012-03-11
KR100936551B1 (ko) 2010-01-13
JP2005098998A (ja) 2005-04-14
US20050069077A1 (en) 2005-03-31
JP4948755B2 (ja) 2012-06-06
TW200514097A (en) 2005-04-16
US7076017B2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250B2 (ja) 溶接部の検査方法
JP6332871B2 (ja) 原子炉底部取付け型計装ノズルの補修方法
KR20080005873A (ko) 원자로 용기의 바닥 헤드 수리 방법
KR100936551B1 (ko) 압력 용기 피복의 손상 영역 수리용 밀봉 플레이트
JP7072038B2 (ja) 原子力発電所内のひび割れた溶接部を構造的に代替する装置
US4255840A (en) Method of repairing a heating element in a pressurizer
US7243959B2 (en) Reactor water isolation devices
KR20170087955A (ko) 금속부의 캐비테이션 피이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5809098A (en) Method for sealing a stub tube in a nuclear reactor
US5345484A (en) Feedwater nozzle and method of repair
US20070121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usage tooling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EP0429267B1 (en) Tube plug and method for plugging a tubular member
US5796797A (en) Method for sealing a stub tube in a nuclear reactor
JP4228065B2 (ja) 炉心差圧及び液体制御配管装置
US20170053718A1 (en) Closed vessel having a mid-wall repair
JPH07181285A (ja) 原子炉用蒸気発生器の損傷管下方部分の溶接装置及び方法
US5167907A (en) Process for plugging a tube of a straight-tube heat exchanger
US20030132272A1 (en) Welding underwater in a chamber with a flux-type backing
JP4469520B2 (ja) 原子炉内配管シール装置とその取扱具および原子炉内配管シール方法
EP0681301A1 (en) Feedwater nozzle and method of repair
JP4393011B2 (ja) 炉心スプレイ系統機器の取替方法
US20050135537A1 (en) Pressure vessel
JP3547868B2 (ja) 原子炉の点検補修装置
JP4488591B2 (ja) 炉心スプレイスパージャの保全方法
JPS6157888A (ja) 原子炉格納容器内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