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875A - 차량용 계기 패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계기 패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875A
KR20050016875A KR10-2004-7018160A KR20047018160A KR20050016875A KR 20050016875 A KR20050016875 A KR 20050016875A KR 20047018160 A KR20047018160 A KR 20047018160A KR 20050016875 A KR20050016875 A KR 2005001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catch
airbag
catch portion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268B1 (ko
Inventor
다오카요시후미
Original Assignee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07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using gas or liquid as energy 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2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the lid being fixed on the bag, or forming part of the bag wall, or the bag itself being used as wall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했을 때,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을 받아들여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계기 패널 구조이다.
합성 수지제의 계기 패널(2)의 하부에,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 가능한 캐치 부분(7)을 구비하고,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하면, 캐치 부분(7)을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시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13, 14)을 구비한다.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의 흡수 부재(8)를 캐치 부분(7)의 이면에 부착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계기 패널{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승용차, 상용차, 버스 등의 차량에 있어서, 시트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차체에 큰 충격이 작용했을 때,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을 받아들여(캐치; catch)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계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면, 전방으로의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탑승자의 허리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탑승자의 상반신이 전방으로 넘어지려고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탑승자의 전방에 배치된 에어백이 탑승자의 상반신을 받아들이는 경우,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만 탑승자의 상반신이 에어백에 접근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상반신이 전방으로 넘어지기 시작하면 탑승자의 상반신이 그 만큼 빠르게 에어백에 도달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 탑승자의 상반신의 전방으로의 넘어짐 스트로크가 작게 되어, 에어백은 전술한 작게 된 탑승자의 상반신의 전방으로의 넘어짐 스트로크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해야 하므로,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충격 흡수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억제함으로써, 탑승자의 상반신의 전방으로의 넘어짐 스트로크가 작게 되는 않는 상태에서, 에어백이 탑승자의 상반신을 받아들이도록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제 1l-l392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계기 패널의 하부의 내측에 하부 에어백을 배치하여, 하부 에어백을 팽창 시킴으로써, 계기 패널의 일부를 분리시켜 후방의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이로써, 분리한 계기 패널의 일부에 의해, 탑승자의 허리부 부근이 받아들여져,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억제된다.
이 종래의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기 패널의 일부를 분리시켜 후방의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경우,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에 연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억제한다는 점에 더하여,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계기 패널의 일부에 받아들여졌을 때,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억제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 경우,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계기 패널의 일부에 받아들여졌을 때, 계기 패널의 일부가 변형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흡수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 계기 패널은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계기 패널의 일부에 받아들여졌을 때, 계기 패널의 일부가 직선적으로 꺾여지거나 하는 일이 있어(상기 일본국 특개평 제11-139233호 공보의 도 6참조),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억제한다는 점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및 계기 패널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패널부, 캐치(catch)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 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들이, 도 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에어백이 팽창하여,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패드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6은 이들이, 도 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에어백이 팽창하여,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8은 이들이, 도 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에어백이 팽창하여,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구멍의 부근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표면부의 부근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및 계기 패널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들이,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에어백이 팽창하여,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0은 이들이, 도 1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부 에어백이 팽창하여,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핸들 및 캐치 부분의 부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흡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패널부, 캐치 부분, 흡수 부재, 하부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 패널에 있어서,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했을 때,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을 받아들여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1 특징적 구성은, 합성 수지제의 계기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한 캐치(catch) 부분, 및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하면, 상기 캐치 부분을 상기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시켜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의 흡수 부재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하고,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이동 수단에 의해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여,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지므로,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상반신의 전방으로의 넘어짐 스트로크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의 상반신을 유효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의 흡수 부재를 캐치 부분의 이면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지면, 캐치 부분과 동시에 흡수 부재가 소성변형한다. 이로써, 주로 흡수 부재가 소성변형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고,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적절히 흡수된다.
또한, 흡수 부재가 캐치 부분의 이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어, 흡수 부재가 캐치 부분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계기 패널의 내측의 고정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지지부재에 흡수 부재를 지지시킬 필요가 없고, 비록 지지부재를 구비하더라도, 소규모의 지지 부재로 족하다. 따라서,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인접하는 상기 표면부에 걸쳐 접속되어 있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부재의 상기 표면부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에 접촉하고, 상기 흡수 부재의 상기 절곡부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흡수 부재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져, 캐치 부분이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려고 하면, 흡수 부재의 표면부 및 절곡부에 있어서, 흡수 부재의 인접하는 표면부가 서로 떨어지거나 접근하면서, 흡수 부재의 절곡부가 굽혀지거나 연장되거나 하여, 흡수 부재가 소성변형하여 간다. 따라서, 복수개의 절곡부를 흡수 부재에 구비함으로써, 단순한 1매의 평판형의 흡수 부재에 비해, 흡수 부재가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오목 형상으로 소성변형하기 쉬워져,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보다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 흡수 부재가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이므로, 흡수 부재의 절곡부의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흡수 부재의 절곡부의 곡선 강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 상태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이한 종류의 계기 패널이나 각종의 차량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흡수 부재의 절곡부의 형상의 설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흡수 부재의 절곡부를 어느 정도의 반경으로 굽힐 것인지, 흡수 부재의 인접하는 표면부의 소정 간격을 어느 정도로 설정할 것인지, 흡수 부재의 절곡부의 길이, 즉 흡수 부재의 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어느 정도로 설정할 것인지 등이 있다.
또한, 흡수 부재의 표면부가 캐치 부분의 이면에 접촉하여 부착되어 있어, 흡수 부재의 절곡부가 캐치 부분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는 정도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흡수 부재의 배치를 위해 차지하는 스페이스는 크게 되지 않기 때문에, 캐치 부분의 부근의 소형화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캐치 부분이 상기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의 시트 쪽으로 이동할 때, 소정 위치를 넘는 상기 캐치 부분의 후방의 시트 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동 수단에 의해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하여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경우에, 캐치 부분이 후방의 시트 측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질 때에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크게 되는 사태를 피하여, 적절히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3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의 외주부에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치 부분이 상기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상기 계기 패널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동 수단에 의해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해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경우, 절곡되어 있던 흡수 부재의 접속부가 연장됨으로써,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의 후방의 시트 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것으로서, 이 후에 흡수 부재의 접속부가 연장될 수 없는 상태로 됨으로써, 소정 위치를 넘은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의 후방의 시트 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흡수 부재의 외주부의 일부분을 연장시켜 접속부로 하도록 구성하면, 흡수 부재와 다른 부재를 준비하여, 이 다른 부재를 흡수 부재와 계기 패널에 걸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구조의 간소화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1 내지 제4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의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캐치 부분은 복수개의 작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의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해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경우, 캐치 부분이 복수개의 작은 부분으로 분리하면, 캐치 부분이 흡수 부재의 소성변형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생기기 어렵게 되므로,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되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가 상기 캐치 부분의 이면 쪽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에 의해 에아백이 팽창함으로써,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밀려,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해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이 때, 팽창한 에어백에 의해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의 전체가 대략 균등하게 밀려 지지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졌을 때,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는 치우침 없는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이 생기거나 부분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운 부분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적게 되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보다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7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6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팽창함으로써, 상기 캐치 부분이 상기 계기 패널으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의 시트 쪽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계기 패널과 캐치 부분의 사이로부터, 상기 에어백이 바깥쪽으로 전개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합성 수지제의 계기 패널의 하부에,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한 캐치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 캐치 부분의 면적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계기 패널의 시트 측의 부분에 캐치 부분을 구비하는 경우, 스티어링 핸들의 베이스부의 존재에 의해, 캐치 부분의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없다. 그래서, 에어백을 조금 크게 구성하여, 계기 패널과 캐치 부분의 사이로부터, 에어백이 바깥쪽으로 전개하도록 구성하면, 예를 들면 캐치 부분에 의해 탑승자의 한쪽의 무릎부 부근 밖에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 바깥쪽으로 전개한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 다른 쪽의 무릎부 부근이 받아들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면 에어백을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 이외의 부분으로 향해 전개시켜,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 이외의 부분을 에어백으로 받아들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 및 무릎부 부근 이외의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6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블로우 성형(blow forming)된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포대를 봉합해 에어백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생산 코스트의 저감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6 내지 제8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의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와 에어백 사이에 패드 부재를 배치한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6 내지 제8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의 특징적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함으로써,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밀려, 캐치 부분이 계기 패널로부터 분리하여 후방의 시트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경우, 에어백에 대해서 패드 부재의 경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를 대략 평면 형상인 채로, 즉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지 않고, 후방의 시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에 의해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을 적절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탑승자의 무릎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또, 캐치 부분 및 흡수 부재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만으로는,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패드 부재에 의해서도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적절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발명의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시트(1)의 전방에 계기 패널(2) 및 스티어링 핸들(3)이 배치되고, 스티어링 핸들(3)의 내부에 에어백(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합성 수지제의 계기 패널(2)에 있어서 스티어링 핸들(3)의 아래 쪽에, 합성 수지제의 하부 패널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패널부(5)의 이면에 복수개의 홈(6)이 세로 방향 및 옆쪽으로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최외측의 홈(6)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캐치 부분(7)이, 하부 패널부(5)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패널부(5)의 이면의 외주 부분 및 캐치 부분(7)의 이면에는, 다수의 볼록부(5a, 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복합 강화형이나 섬유강화형 등의 합성 수지)의 판재에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흡수 부재(8)가 구성되어 있다. 흡수 부재(8)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표면부(9)가 소정 간격 B를 두고어 전후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인접하는 표면부(9)에 걸쳐 접속되는 절곡부(10)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 부재(8)(표면부(9)의 외주부에는 접속부(22)가 일체로 구비되어, 절곡부(10)와 마찬가지로 접속부(22)가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져 있어 접속부(22)에 평판형의 플랜지부(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표면부(9) 및 플랜지부(1l)에는, 작은 직사각형의 개구(9a, 1l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패널부(5)의 볼록부(5a)를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의 개구(1la)에 삽입하고, 캐치 부분(7)의 볼록부(7a)를 흡수 부재(8)의 표면부(9)의 개구(9a)에 삽입하여, 흡수 부재(8)의 표면부(9) 및 플랜지부(11)를 하부 패널부(5) 및 캐치 부분(7)의 이면에 접촉시켜, 하부 패널부(5)의 볼록부(5a) 및 캐치 부분(7)의 볼록부(7a)를 가열하여 눌러 잡는 것에 의해, 하부 패널부(5) 및 캐치 부분(7)의 이면에 흡수 부재(8)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및 접속부(22)는, 하부 패널부(5)의 홈(6)에 대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및 접속부(22)는, 하부 패널부(5) 및 캐치 부분(7)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판재를 상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지지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에어백(13)이, 이 지지부재(12)에 부착되고, 하부 에어백(13)의 내부에 인플레이터(14)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에어백(13)은, 블로우 성형(blow-molding)된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며, 접어져 지지 부재(12)에 부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4)는, 외주부에 다수의 분사구(14a)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점화기 및 인핸서가 설치되고,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2)의 외주부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계기 패널(2)의 내측에 배치된 브래킷(15)에, 지지부재(12)의 플랜지부(12a) 및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l1)가, 볼트(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차체에 구비된 충돌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충돌을 검출하면, 인플레이터(14)에서 점화기에 의해 인핸서가 착화되어, 인핸서의 연소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고, 가스 발생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분사구(14a)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하부 에어백(13)의 주변부로부터 하부 에어백(13)의 중앙부로 향해 가스가 유입하고,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측(도 2의 지면 우측)으로 누른다.
이와 같은 하부 에어백(13)의 팽창에 의해, 도 1의 (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및 접속부(22)가 소성변형하여 연장되어, 흡수 부재(8)의 표면부(9)가 서로 이탈하면서, 흡수 부재(8)의 전체가 대략 평면 모양인 채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이 때, 하부 패널부(5)에서는, 홈(6)이 파단하여 캐치 부분(7)이 복수개의 작은 부분으로 분리되어, 캐치 부분(7)이 흡수 부재(8)과 함께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또, 이와 동시에,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3)에 구비된 에어백(4)이 팽창한다.
도 l(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에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받아들여져,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경우,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닿음으로써,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는 그 무릎부 A의 부근을 따라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이 때 주로 흡수 부재(8),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이 소성변형하고, 하부 에어백(13)이 변형함으로써,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흡수된다.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는, 볼트(16)에 의해 브래킷(1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수 부재(8)가 소정 위치를 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캐치 부분(7)은 흡수 부재(8)에 부착되어 있다. 즉, 여기서는, 캐치 부분(7)은, 볼록부(7a)를 가열하여 눌러 잡음으로써 흡수 부재(8)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후방의 시트(1) 쪽으로 튀어 나오는 일은 없다.
[발명의 제2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재 등의 패드 부재(17)를, 흡수 부재(8)와 하부 에어백(13) 사이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때, 패드 부재(17)는, 소정의 두께를 구비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5로부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쪽으로 누름으로써,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및 접속부(22)가 소성변형하여 연장되어 흡수 부재(8)의 표면부(9)가 서로 떨어지면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경우에도, 패드 부재(17)에 의해 흡수 부재(8)의 전체가 대략 평면 형상으로 유지되게 된다.
[발명의 제3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신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 패널(2)의 내측에 배치된 브래킷(15)에, 지지부재(12)의 플랜지부(12a) 및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l1)가 볼트(16)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도 7에서는, 브래킷(15)에 지지부재(12)의 플랜지부(12a)만 볼트(16)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도 2 및 도 3참조)를 폐지하고, 브래킷(15)과 흡수 부재(8)에 걸쳐 와이어(18)를 접속하고 있다. 이 때, 와이어(18)는 조금 느슨해지고 있다. 홈(6)에 대하여는, 최외측의 홈(6a)을, 내측의 홈(6b)보다 깊게 함으로써 파단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2 및 도 3과 같다. 또, 도 7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드 부재(17)를, 흡수 부재(8)와 하부 에어백(13) 사이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차체에 구비된 충돌 센서가 충돌을 검출하면, 인플레이터(14)에 있어서 점화기에 의해 인핸서가 착화되어, 인핸서의 연소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고, 가스 발생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분사구(14a)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하부 에어백(13)의 주변부로부터 하부 에어백(13)의 중앙부로 향해 가스가 유입하고,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드(1) 쪽으로 누른다. 이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외측의 홈(6a)이 파단하고,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가 너무 연장되지 않으며, 내측의 홈(6b)이 그다지 파단하지 않은 상태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에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받아들여지면, 홈(6b)이 각각 꺾여져,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도록 캐치 부분(7)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에 따라, 흡수 부재(8)의 인접하는 표면부(9)가 서로 떨어지거나 접근하면서,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가 굽혀지거나 연장되거나 하여, 캐치 부분(7)과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흡수 부재(8)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이 흡수된다.
또, 브래킷(l5)과 흡수 부재(8)에 걸쳐 와이어(13)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흡수 부재(8)가 소정 위치를 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캐치 부분(7)은 흡수 부재(8)에 부착되어 있다. 즉, 여기서는, 캐치 부분(7)은, 볼록부(7a)를 가열하여 눌러 잡음으로써 흡수 부재(8)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후방의 시트(1) 쪽으로 튀어 나오는 일은 없다.
[발명의 제4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의 4개의 표면부(9)의 사이의 부분에, 작은 둥근 구멍(19)이나 사각형 구멍(20), 십자형 구멍(21)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로써 구멍(19, 20, 21)에 의해,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의 소성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하부 에어백(13)의 팽창에 의한 흡수 부재(8)의 변형시의 응답성을 높일 수가 있다.
[발명의 제5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 부재(8)의 표면부(9)를 직사각형이 아니고,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하거나,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발명의 제6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신하여,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3,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복수개의 표면부(9), 특히 중앙 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표면부(9)를 접속하는 폭이 좁은 복수개의 평면 형상 접속부(23), 외주 측에 있어서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인접하는 표면부(9)에 걸쳐 접속되는 폭이 좁은 복수개의 절곡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표면부(9)의 외주부에는, 폭이 좁은 복수개의 접속부(2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이 접속부(22)는, 절곡부(l0)와 마찬가지로 접속부(22)가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져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22)에 평판형의 플랜지부(1l)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표면부(9) 및 플랜지부(11)에는, 작은 직사각형의 개구(9a, 1l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접속부(22)의 길이는,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 부재(8)의 접속부(22)가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양은, 흡수 부재(8)의 절곡부(l0)가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양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하변부, 및 오른쪽 및 왼쪽의 횡변부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가 구비되어 있지만, 흡수 부재(8)의 상변부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13,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평판형 접속부(23), 절곡부(10) 및 접속부(22)는, 하부 패널부(5)의 홈(6)에 대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홈(6)에 있어서 최외측의 홈(6a){흡수 부재(8)의 접속부(22)에 대향하는 홈(6a)}을, 내측의 홈(6b){흡수 부재(8)의 평판형 접속부(23) 및 절곡부(10)에 대향하는 홈(6b)}보다 깊게 함으로써 파단하기 쉽게 하고 있다. 패드 부재(17)(도 5참조)를, 흡수 부재(8)와 하부 에어백(13)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하부 에어백(13)은,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부 에어백(13)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패널부(5)의 볼록부(5a)를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의 개구(1la)에 삽입하고, 또한 지지부재(12)의 플랜지부(12a)의 개구에 삽입하여, 하부 패널부(5)의 볼록부(5a)를 가열하여 눌러 잡음으로써, 하부 패널부(5)의 이면에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와 지지부재(12)의 플랜지부(12a)가 함께 부착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차체에 구비된 충돌 센서가 충돌을 검출하면, 인플레이터(14)에 있어서 점화기에 의해 인핸서가 착화되어, 인핸서의 연소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고, 가스 발생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분사구(l4a)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하부 에어백(13)의 주변부에서 하부 에어백(13)의 중앙부로 향해 가스가 유입하고,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쪽으로 누른다. 이로써,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외측의 홈(6a)이 파단하여 흡수 부재(8)의 절곡부(10) 및 접속부(22)가 신장되고, 내측의 홈(6b)이 그다지 파단하지 않는 상태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 패널(2)에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소정 위치를 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흡수 부재(8) 및 캐치 부분(7)의 하변부 수준에 오른쪽 및 왼쪽의 횡변부 접속부(22)가 존재하지만, 흡수 부재(8) 및 캐치 부분(7)의 상변부에는 접속부(22)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쪽으로 누름에 따라서, 계기 패널(2)과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 사이에 틈새가 생겨 거기에서 하부 에어백(13)이 윗쪽으로 전개한다.
이로써,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에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받아들여지면, 홈(6b)이 각각 꺾여져,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캐치 부분(7)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따라서, 캐치 부분(7)과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흡수 부재(8)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 이외의 부분이나,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가 캐치 부분(7)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난 때의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가, 윗쪽으로 팽창한 하부 에어백(13)의 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발명의 제7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신하여 도 17,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7,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패널부(5)의 이면에는, 1개의 홈(6)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 측에는 홈(6)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하부 패널부(5)에는, 1개의 직사각형의 캐치 부분(7)이 형성되어 있다.
또, 흡수 부재(8)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하나의 표면부(9)를 구비하고, 표면부(9)의 외주부에 폭이 좁은 복수개의 접속부(22)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접속부(22)가 표면부(9)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꺾여지고 있고, 접속부(22)에 평판형의 플랜지부(1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 표면부(9) 및 플랜지부(11)에는, 작은 직사각형의 개구(9a, 1l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수 부재(8)의 하변부, 및 오른쪽 및 왼쪽의 횡변부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가 구비되어 있지만, 흡수 부재(8)의 상변부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l7,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접속부(22)는, 하부 패널부(5)의 홈(6)에 대해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패드 부재(17)(도 5참조)를, 흡수 부재(8)와 하부 에어백(13)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하부 에어백(13)은,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부 에어백(13)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2, 도 3에 도시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도 14, 도 15에 도시한 상기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와 같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차체에 구비된 충돌 센서가 충돌을 검출하면, 인플레이터(14)에 있어서 점화기에 의해 인핸서가 착화되어, 인핸서의 연소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고, 가스 발생제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분사구(l4a)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하부 에어백(1, 3)의 주변부에서 하부 에어백(13)의 중앙부로 향해 가스가 유입하고,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쪽으로 누른다. 이로써,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이 파단하여 흡수 부재(8)의 접속부(22)가 신장되어,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면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한다. 여기에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캐치 부분(7)에 홈(6)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 패널(2)에 흡수 부재(8)의 플랜지부(1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소정 위치를 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흡수 부재(8) 및 캐치 부분(7)의 하변부 및 오른쪽 및 왼쪽의 횡변부에는 접속부(22)가 존재하지만, 흡수 부재(8) 및 캐치 부분(7)의 상변부에는 접속부(22)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l) 쪽으로 누름에 따라서, 계기 패널(2)과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 사이에 틈새가 생겨 거기에서 하부 에어백(13)이 윗쪽으로 전개한다.
이로써,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에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받아들여지면,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캐치 부분(7)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따라서, 캐치 부분(7)과 마찬가지로,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에 적합하게 되도록 흡수 부재(8)의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 이외의 부분이나,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가 캐치 부분(7)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난 때의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가, 윗쪽으로 팽창한 하부 에어백(13)의 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발명의 제8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6 실시예 및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 패널(2)의 운전자의 시트(1) 측의 부분에 스티어링 핸들(3)의 베이스부(3a)의 오른쪽에, 캐치 부분(7)을 배치한 경우, 흡수 부재(8)의 위 및 아래, 및 오른쪽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지만, 흡수 부재(8)의 왼쪽에는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하부 에어백(13)이 팽창하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에어백(13)이 흡수 부재(8)를 후방의 시트(1) 쪽으로 누름에 따라서, 계기 패널(2)과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 사이에 틈새가 생겨 거기에서 하부 에어백(13)이 좌측 방향으로 전개한다. 이로써,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1)의 좌석부(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에 탑승자의 오른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받아들여져, 탑승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 이외의 부분이나 탑승자의 왼쪽의 무릎부 A의 부근이, 좌측 방향으로 팽창한 하부 에어백(13)의 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전술한 도 21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하부 에어백(13)이 좌측 방향으로 전개하는데 더하여 윗쪽으로도 전개하도록, 예를 들면 정면에서 볼 때 역 L자 모양으로 전개하도록 구성하고, 윗쪽으로 전개한 하부 에어백(13)에 의해, 키 실린더(24)를 덮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9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있어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부재(8)의 위 및 아래, 및 오른쪽 및 왼쪽에 플랜지부(11) 및 접속부(22)를 구비하고, 하부 에어백(13)을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부 에어백(13)과 같은 크기로 구성해도 된다.
이로써, 하부 에어백(l3)이 팽창하면, 이 하부 에어백(13)에 의해,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면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지만, 하부 에어백(13)은 윗쪽이나 횡방향으로 전개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캐치 부분(7) 및 흡수 부재(8)가 대략 평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캐치 부분(7)에 홈(6)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명의 제10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패널부(5) 및 캐치 부분(7)의 볼록부(5a, 7a)를 폐지하고, 흡수 부재(8)의 표면부(9) 및 플랜지부(11)의 개구(9a, 1la)를 폐지하여, 접착제에 의해 흡수 부재(8)의 표면부(9) 및 플랜지부(11)를 하부 패널부(5) 및 캐치 부분(7)의 이면에 접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 패널(2)과 하부 패널부(5)를 별개로 구성하지 않고, 계기 패널(2)에 하부 패널부(5)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홈(6, 6a, 6b) 대신에, 미싱 눈 모양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슬릿 등에 의해, 캐치 부분(7)을 하부 패널부(5)에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트(l)(운전석)에 대해서만 아니라, 조수석(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술한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서, 포대를 봉합해 하부 에어백(13)을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 패널 구조는, 차체에 큰 충격이 작용했을 때,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을 받아들여 탑승자의 허리부가 시트의 좌석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의 상반신을 받아들일 때의 유효성을 높일 수가 있음과 동시에, 탑승자의 무릎부 부근에 작용하는 충격을 받아들일 수도 있으므로, 승용차나 상용차, 버스 등의 차량에 있어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합성 수지제의 계기 패널(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 가능한 캐치(catch) 부분(7), 및
    큰 충격이 차체에 작용하면, 상기 캐치 부분(7)을 상기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시켜 후방의 시트(1) 쪽으로 급속히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을 구비하며,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제 또는 강화 합성 수지제의 흡수 부재(8)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8)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표면부(9)와, 상기 표면부(9)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인접하는 상기 표면부(9)에 걸쳐 접속되어 있는 절곡부(10)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부재(8)의 상기 표면부(9)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에 접촉하고, 상기 흡수 부재(8)의 상기 절곡부(10)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흡수 부재(8)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캐치 부분(7)이 상기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할 때, 소정 위치를 넘는 상기 캐치 부분(7)의 후방의 시트(l) 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8)의 외주부에 접속부(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치 부분(7)이 상기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22)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상기 계기 패널(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부분(7)은 복수개의 작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에어백(l3) 및 상기 에어백(13)을 급속히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14)가 상기 캐치 부분(7)의 이면 쪽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에어백(13) 및 인플레이터(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3)이 팽창함으로써, 상기 캐치 부분(7)이 상기 계기 패널(2)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의 시트(1)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에어백(13)이 상기 계기 패널(2)과 상기 캐치 부분(7)의 사이로부터 바깥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3)이 블로우 성형(blow forming)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8)와 상기 에어백(13) 사이에 패드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패널.
KR1020047018160A 2002-05-10 2003-05-09 차량용 계기 패널 KR100646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5417 2002-05-10
JPJP-P-2002-00135417 2002-05-10
JPJP-P-2002-00249031 2002-08-28
JP2002249031A JP4011441B2 (ja) 2002-05-10 2002-08-28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PCT/JP2003/005856 WO2003095272A1 (fr) 2002-05-10 2003-05-09 Structure de tableau de bord destinee a des vehic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875A true KR20050016875A (ko) 2005-02-21
KR100646268B1 KR100646268B1 (ko) 2006-11-23

Family

ID=2942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160A KR100646268B1 (ko) 2002-05-10 2003-05-09 차량용 계기 패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67587B2 (ko)
EP (1) EP1504969B1 (ko)
JP (1) JP4011441B2 (ko)
KR (1) KR100646268B1 (ko)
CN (1) CN100363209C (ko)
AU (1) AU2003235927A1 (ko)
DE (1) DE60323966D1 (ko)
WO (1) WO20030952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416A (zh) * 2019-08-05 2021-02-05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气囊的分流装置及其制作方法、安全气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8166B1 (fr) * 2002-12-05 2006-01-06 Faurecia Ind Ensemble d'equipement comprenant une structure gonflable et des moyens de guidage de son deploiement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FR2848165B1 (fr) * 2002-12-05 2005-03-04 Faurecia Ind Ensemble d'equipement comprenant une structure gonflable et un organe frangible de fixa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DE10304197A1 (de) * 2003-01-29 2004-08-19 Sai Automotive Sal Gmbh Innenverkleidungsteil
JP4193578B2 (ja) * 2003-05-19 2008-12-10 タカタ株式会社 乗員脚部保護装置
DE102004009914A1 (de) * 2004-02-20 2005-10-06 Daimlerchrysler Ag Airbagabdeckung für einen Airbag eines Kraftfahrzeugs
JP4155261B2 (ja) * 2004-11-22 2008-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下肢保護装置
JP5020235B2 (ja) 2005-06-03 2012-09-05 サルフレックス ポリマーズ リミテッド 能動式クッション
US7980589B2 (en) * 2005-11-17 2011-07-19 Salflex Polymers Ltd. Inflatable bolster
EP1948482B1 (en) * 2005-11-17 2011-01-05 Salflex Polymers Ltd. Bolster deployment pattern
JP5276988B2 (ja) * 2005-11-23 2013-08-28 シェイプ・コープ 歩行者、乗員、車両のための可変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FR2925410B1 (fr) * 2007-12-21 2010-05-14 Faurecia Interieur Ind Planche de bord amelioree
JP4582163B2 (ja) * 2008-03-12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5956332B2 (ja) * 2009-06-24 2016-07-27 シェイプ・コープShape Corp. 複動式クラッシュローブを有するエネルギー吸収体
EP2460695B1 (en) * 2009-07-29 2013-12-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lumn-mounted knee airbag device
JP5466708B2 (ja) * 2009-10-16 2014-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US8459689B2 (en) 2009-12-24 2013-06-11 Salflex Polymers Ltd. Passenger side active knee bolster
US8491008B2 (en) 2010-05-05 2013-07-23 Salflex Polymers Ltd. Injection molded inflatable active bolster
FR2966788B1 (fr) * 2010-10-28 2012-12-21 Faurecia Interieur Ind Agencement de coussin de securite dans une planche de bord comportant un lien portant des elements surmoules
US8579325B2 (en) 2010-11-09 2013-11-12 Salflex Polymers Ltd. Active bolster
US9254808B2 (en) 2011-02-07 2016-02-09 Salflex Polymers Limited Active bolster assembly
US8596681B1 (en) 2012-05-30 2013-12-03 Nissan North America, Inc. Internal deployable vehicle panel assembly
US8783711B2 (en) * 2012-12-17 2014-07-22 Chrysler Group Llc Low mass passenger airbag design
US9637080B2 (en) * 2014-07-30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semi-rigid body contact restraint member with integral flexible expansion member
US9150180B1 (en) * 2014-08-13 2015-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protection mechanisms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US9174600B1 (en) * 2014-10-29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mpact energy absorber
KR101673690B1 (ko) * 2014-11-06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장치
US9623826B2 (en) * 2015-02-26 2017-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mpact energy absorber
US9327672B1 (en) * 2015-03-12 2016-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bolster with bladder member hot welded to reaction plate
US9457760B1 (en) * 2015-04-14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glove box door with ventilated reaction plate
US9994138B2 (en) * 2015-12-02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with deployable plastic beam
US9663058B1 (en) * 2016-01-27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plastic knee bolster with off-centered telescoping support chamber
JP6879137B2 (ja) * 2017-09-08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19125376B4 (de) * 2019-09-20 2021-07-2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dieneingabevorrichtung und Lenkeingabevorichtung
CN111202611A (zh) * 2020-03-17 2020-05-29 南京凡多智能科技有限公司 防摔式背背佳
CN112026703B (zh) * 2020-07-31 2021-10-29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吸能器
CN113276960B (zh) * 2021-06-29 2022-03-1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尺寸副仪表板的后固定支架
KR20230063378A (ko) * 2021-11-02 202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7444A (en) 1976-05-14 1977-11-16 Honny Chem Ind Co Ltd Delustering of electrodeposit coated articles
JPS5687954A (en) 1979-12-19 1981-07-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JPH07116118B2 (ja) 1986-12-19 1995-12-13 三共株式会社 レニン阻害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類似体
US5041596A (en) 1989-07-03 1991-08-20 Akzo America Inc. Formation of glycol bisphosphate compounds
US5547614A (en) * 1989-11-14 1996-08-20 Akzo Nobel N.V. Flame retardant mixture of polybrominated diphenyl oxide and organic diphosphate
JP2844117B2 (ja) 1990-08-24 1999-01-0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複数のロール状テープの連続巻戻し装置
US5653464A (en) 1995-10-05 1997-08-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 system with self shaping airbag
EP0612837A1 (en) 1993-01-06 1994-08-31 Akzo Nobel N.V. Polyphenylene ether lubricant containing hydrocarbyl bis(dihydrocarbylphosphate) compound
WO1996011996A1 (en) 1994-10-13 1996-04-25 Akzo Nobel Nv Viscosity modification of high viscosity flame retardants
US6136997A (en) * 1994-11-01 2000-10-24 Akzo Nobel Nv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hydrocarbyl BIS(hydrocarbyl phosphate)
US5503427A (en) 1995-03-30 1996-04-02 Morton International, Inc. Energy absorption cover for passenger-side airbag module
JP3185627B2 (ja) * 1995-09-26 2001-07-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US20020049268A1 (en) 1995-12-08 2002-04-25 White Roger J. Flame retardant mold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ow
DE29702797U1 (de) * 1997-02-18 1997-06-12 Trw Repa Gmbh Knie-Rückhalteeinrichtung für Fahrzeuge
JP3716582B2 (ja) * 1997-11-11 2005-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ク装置
JP3309178B2 (ja) * 1998-01-19 2002-07-29 三光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WO2000005105A1 (de) 1998-07-20 2000-02-03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Knie-rückhalteeinrichtung für fahrzeuge
US6032978A (en) * 1998-08-07 2000-03-07 Abc Group Interior Systems Inflatable knee bolster
DE19858520C5 (de) * 1998-12-18 2004-03-04 Autoliv Development Ab Knieschutzeinrichtung mit Lastverteilkäfig
DE19900592A1 (de) 1999-01-11 2000-07-13 Takata Europ Gmbh Kniestützvorrichtung
EP1046551B1 (de) 1999-04-22 2003-06-18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Knie-Rückhaltevorrichtung
US6761375B2 (en) * 2000-04-26 2004-07-13 Sanko Gosei Kabushiki Kaisha Structure of reinforcement plate member used in automobile airbag apparatus
DE60102096T2 (de) * 2000-04-28 2004-11-25 Inoac Corp., Nagoya Reisstruktur einer Luftsackabdeckung
US6692017B2 (en) * 2000-12-25 2004-02-17 Daihatsu Motor Co., Ltd. Airbag apparatus for automobile
US6715789B2 (en) * 2001-05-21 2004-04-06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6578867B2 (en) * 2001-06-08 2003-06-17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able system for protection of lower extremities
US6860505B2 (en) * 2001-10-10 2005-03-01 Sanko Gosei Kabushiki Kaisha Airba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US6726339B2 (en) * 2002-01-09 2004-04-27 Geoffrey B. Rhoads Ring telescope system
JP3973029B2 (ja) * 2002-03-28 2007-09-05 三光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4285678B2 (ja) * 2002-08-06 2009-06-24 三光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3900051B2 (ja) * 2002-09-13 2007-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60319164T2 (de) * 2002-10-15 2008-05-21 Daikyonishikawa Corp. Luftsackdeckel für ein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416A (zh) * 2019-08-05 2021-02-05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气囊的分流装置及其制作方法、安全气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268B1 (ko) 2006-11-23
DE60323966D1 (de) 2008-11-20
US20050253369A1 (en) 2005-11-17
WO2003095272A1 (fr) 2003-11-20
EP1504969B1 (en) 2008-10-08
CN1665704A (zh) 2005-09-07
CN100363209C (zh) 2008-01-23
US7367587B2 (en) 2008-05-06
EP1504969A4 (en) 2005-11-09
JP2004026126A (ja) 2004-01-29
EP1504969A1 (en) 2005-02-09
AU2003235927A1 (en) 2003-11-11
JP4011441B2 (ja)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268B1 (ko) 차량용 계기 패널
EP1279565B1 (en) Airbag device with a knee bag
EP1283136B1 (en) Leg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occupant
EP2637901B1 (en) Active bolster
US7997614B2 (en) Airbag device
US20050230940A1 (en)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EP1652740B1 (en) Outwardly deploying air bag system
EP1479571B1 (en) Occupant leg protection apparatus
CN110682888B (zh) 行人保护气囊装置
KR101561468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7249781B2 (en) Automotive air bag device
US796732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6494483B2 (en) Airbag module
JP2002019560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3775123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1431131B1 (en) Vehicle with occupant&#39;s leg protection system
EP1481857A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KR102593658B1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US6227566B1 (en) Airbag device with inflator
US8833798B2 (en) Airbag device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JP4529325B2 (ja) 車両乗員保護装置
KR102482088B1 (ko) 에어백 쿠션
KR101003920B1 (ko) 커튼 에어백
JP5226030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