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096A - 유리상판 곤로 - Google Patents

유리상판 곤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096A
KR20050016096A KR1020040060858A KR20040060858A KR20050016096A KR 20050016096 A KR20050016096 A KR 20050016096A KR 1020040060858 A KR1020040060858 A KR 1020040060858A KR 20040060858 A KR20040060858 A KR 20040060858A KR 20050016096 A KR20050016096 A KR 2005001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flange
flange portion
cylindrical
in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436B1 (ko
Inventor
도다히로시
이마이도시아키
스기야마나오아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유리상판 곤로의 유리제 상판(2)상에 배치하는 삼발이(9)를, 상판(2)에 형성한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하는 보호링(10)을 이용해서 회전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보호링(10)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105)를 형성한다. 내측 플랜지부(105)에, 삼발이(9)에 형성한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94)를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06)를 형성한다. 돌기(94)가 삽입부(106)에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삼발이(9)가 회전방지된다.

Description

유리상판 곤로{GLASS TOP RANGE}
본 발명은 유리제 상판을 사용하는 유리상판 곤로에 관한 것이다.
유리상판 곤로는 외관성, 청소성에서 우수하지만, 곤로본체에 형성된 가열원에 면하게 되는 열원용 개구를 유리제 상판에 형성하는 경우,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균열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유리상판 곤로에 있어서,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열원용 개구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부와, 유리상판의 상면과 하면에 대향됨과 아울러 통형상부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ㆍ하측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보호링을 장착하여, 개구 가장자리부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강판제 상판을 사용하는 통상의 곤로에서는 상판상에 얹어놓는 삼발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에 삼발이 하면의 돌기를 걸어맞춤하게 하는 걸어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있지만, 유리제 상판에서는 강도상 이와 같은 걸어맞춤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종래예에서는 보호링의 상측 플랜지부의 상면에 있어서, 삼발이의 각 삼발이돌조에 대응하는 각 1쌍의 돌출편을 삼발이돌조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하고, 각 돌출편 사이에 삼발이돌조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삽입함으로써 삼발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2-333146호 공보 (단락 0012, 0018, 도 12)
상기 종래예에서는, 각 삼발이돌조가 각 1쌍의 돌출편 사이의 직상부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로 상판상에 삼발이를 얹어놓으면, 그 후에 삼발이를 회전시키더라도 삼발이돌조가 돌출편의 외측면에 걸려서 돌출편 사이에 걸어맞춰지지 않기 때문에, 각 삼발이돌조가 각 1쌍의 돌출편 사이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미리 위상결정한 상태에서 상판상에 삼발이를 얹어놓을 필요가 있으므로, 삼발이의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삼발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삼발이의 설치작업의 용이화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리상판 곤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리제 상판을 사용하는 유리상판 곤로로서, 곤로본체에 형성된 가열원에 면하게 되는 열원용 개구를 상판에 형성하고,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열원용 개구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부와, 상판의 상면과 하면에 대향되며 통형상부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ㆍ하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보호링을 장착함과 아울러, 보호링에 상판상에 배치되는 삼발이를 회전방지하는 삼발이용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에 통형상부보다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삼발이에 형성한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삼발이의 돌기가 삽입부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위상결정하지 않고 삼발이를 얹어놓아도, 그 후에 삼발이를 회전시키면 돌기가 내측 플랜지부상에서 미끄러져 움직이고, 삽입부와 일치하는 곳에서 돌기가 삽입부에 빠지게 되어 걸어맞춰지고, 삼발이가 회전방지된다. 따라서, 삼발이를 미리 위상결정하여 상판상에 얹어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삼발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삼발이에 형성하는 돌기 및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하는 삽입부의 수를 각각 1개로 할 수도 있지만, 이것으로는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돌기를 지점으로 한 삼발이의 움직임이 허용되기 때문에 삼발이상에서 조리용기를 움직였을 때 삼발이가 덜컹거린다. 따라서, 돌기 및 삽입부의 형성개수를 각각 복수로 하여 돌기를 지점으로 한 삼발이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기 및 삽입부의 형성개수를 각각 3개 이상으로 하면, 각 돌기가 각 삽입부에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은 잘못된 설치상태에서도 삼발이가 이들 돌기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잘못된 설치상태인 것을 알아채지 못한 채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서도 삼발이돌조가 돌출편 사이에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은 잘못된 설치상태에서 삼발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잘못된 설치상태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돌기 및 삽입부의 형성개수를 각각 2개로 하면, 각 돌기가 각 삽입부에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은 잘못된 설치상태에서는, 삼발이가 상판에서 들뜬 상태로 내측 플랜지부에 2개의 돌기에 의해 2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삼발이는 불안정하게 되어 기울어지고, 이에 의해 잘못된 설치상태인 것을 명료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되어, 잘못된 설치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서는, 보호링의 상측 플랜지부의 상면에 돌출편을 돌출형성하는 관계로, 적어도 상측 플랜지부는 단조품으로 구성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코스트가 비싸진다. 또한, 상측 플랜지부를 판금제로 하고, 랜스가공에 의해 돌출편을 형성하는 것은, 랜스가공에 의해 생긴 구멍으로부터 끓어 넘친 국물이 침입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이에 비해, 보호링의 통형상부를, 상ㆍ하측 플랜지부의 일측의 플랜지부에 일체인 내측 통형상부와, 타측의 플랜지부에 일체이고 내측 통형상부에 외측에서 끼워지는 외측 통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내ㆍ외 2중 구조로 구성하고, 내측 통형상부의 단부에 내측 플랜지부를 구부려서 형성하면, 일측의 플랜지부, 내측 통형상부 및 내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프레스 성형된 판금제 부품과, 타측의 플랜지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가지는 프레스 성형된 판금제 부품의 2부품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보호링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내측 플랜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보호링으로서, 종래, 상ㆍ하 일측의 플랜지부와 내측 통형상부를 구비하는 판금제 부품과, 상ㆍ하 타측의 플랜지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구비하는 판금제 부품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것에서는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수걸어맞춤부를 타측에 형성된 암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암ㆍ수걸어맞춤부를 형성하면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끼워맞춰지게 할 때, 암ㆍ수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기까지 걸어맞춤부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에 있어서,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가 수걸어맞춤부에 눌려 지름방향으로 휘어진다. 단, 외측 통형상부와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틈은, 열원용 개구에 대한 보호링의 중심 어긋남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도록 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통형상부의 휘어짐량은 적고, 주로 내측 통형상부의 휘어짐에 의해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의 사이에 수걸어맞춤부의 돌출높이 만큼의 틈이 확보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통형상부의 단부에 내측 플랜지부를 구부려서 형성하면, 내측 통형상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끼워맞춰지게 할 때 내측 통형상부가 거의 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의 사이에 수걸어맞춤부의 돌출높이 만큼의 틈이 나지 않기 때문에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억지로 끼워맞춰지게 하면, 수걸어맞춤부가 끼워맞춤하는 도중에 눌려 찌그러지게 되어, 보호링을 구성하는 2개의 판금제 부품의 결합불량이라는 불편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외측 통형상부에 내측 플랜지부의 하면을 따르는 돌출편을 랜스가공하고, 이 돌출편을 내측 플랜지부에 고정하여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상기한 불편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돌출편을 내측 플랜지부에 코킹이나 스폿용접 등에 의해 고정해도 되지만, 내측 플랜지부에 돌출편에 대응하는 돌조편을 랜스가공하고, 돌조편을 돌출편에 코킹부착해서 돌출편을 내측 플랜지부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내측 통형상부와 외측 통형상부의 일측에 형성한 수걸어맞춤부를 타측에 형성한 암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게 하여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는 경우, 내측 통형상부와 내측 플랜지부를 분단하는 슬릿을 내측 통형상부의 걸어맞춤부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에 걸쳐서 형성하거나, 내측 플랜지부에서 내측 통형상부에 걸쳐 연장되는 슬릿을 내측 통형상부의 걸어맞춤부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의 양측에 형성해 두면, 이 둘레방향범위에서의 내측 통형상부의 휘어짐이 허용되기 때문에 상기한 불편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양 판금제 부품을 양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링의 통형상부를 상기 상ㆍ하측 플랜지부의 일측의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통형상부의 단부에 타측의 플랜지부를 결합함과 아울러, 타측의 플랜지부의 내주부분을 통형상부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시켜서, 이 연장부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판금제의 2부품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보호링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절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평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구성부품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의 전개 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평면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구성부품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의 전개 단면도,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제 5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제 6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의 절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곤로는 드롭 인 타입의 유리상판 곤로이다. 이 곤로의 곤로본체(1)는 시스템 키친의 조리대(도시생략)에 형성하는 곤로 개구에 매달려 유지되고, 조리대상에 곤로 개구를 덮도록 해서 상판(2)이 얹어놓이게 된다.
곤로본체(1)에는 가열원으로서의 좌ㆍ우 1쌍의 대형 버너(3,4)와, 후부 중앙의 소형 버너(5)와, 그릴(6)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2)은 세라믹 유리 등의 내열 유리제이고, 상판(2)의 주변을 금속제 외틀(7)로 둘러싸고 있다. 상판(2)에는 상기 각 버너(3,4,5)에 대한 총 3개의 열원용 개구(8)(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2)상에 각 열원용 개구(8)를 둘러싸도록 해서 각 삼발이(9)를 얹어놓고 있다. 또한, 좌측의 대형 버너(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버너본체(3a)의 내주에 내향의 염공(3b)을 형성한 내염식 버너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본체(3a)의 상측에는 열원용 개구(8) 내에 삽입되는 테이퍼 원뿔형상의 2차 공기용 상부 가이드(3c)가 형성되고, 또한 버너본체(3a)의 하측에도 통기구멍(3d)을 형성한 2차 공기용 하부 가이드(3e)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가이드(3e)에는 그 중앙의 오목부에 위치하게 해서 국물받이접시(3f)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주위 1개소에 점화전극(3g)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후부 중앙의 소형 버너(5)도 내염식 버너이지만, 우측의 대형 버너(4)는 냄비 바닥면 온도센서(4a)를 구비하는 외염식 버너로 구성되어 있다.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균열방지를 위한 보호링(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보호링(10)은 도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열원용 개구(8)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부(100)와, 상판(2)의 상면에 대향하는 상측 플랜지부(101)와, 상판(2)의 하면에 대향하는 하측 플랜지부(102)를 가진다. 통형상부(100)는 상측 플랜지부(101)에 일체인 내측 통형상부(100a)와 하측 플랜지부(102)에 일체인 외측 통형상부(100b)의 내ㆍ외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통형상부(100b)의 둘레방향 복수개소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랜싱돌조로 이루어지는 수걸어맞춤부(100c)를 형성함과 아울러, 내측 통형상부(100a)의 둘레방향 복수개소에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암걸어맞춤부(100d)를 형성하고, 내측 통형상부(100a)에 외측 통형상부(100b)를 외측에서 끼웠을 때, 각 암걸어맞춤부(100d)에 각 수걸어맞춤부(100c)가 걸어맞춰지게 되고, 외측 통형상부(100b)가 내측 통형상부(100a)에 부동으로 걸리게 되어 상ㆍ하측 플랜지부(101,102)가 통형상부(100)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측 플랜지부(101)와 내측 통형상부(100a)를 가지는 프레스 성형된 제 1의 판금제 부품과, 하측 플랜지부(102)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가지는 프레스 성형된 제 2의 판금제 부품의 2부품에 의해 보호링(10)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상측 플랜지부(101) 및 하측 플랜지부(102)와 상판(2)의 사이에는 상판(2)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패킹(103)을 끼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부(102)에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틀(7)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04)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연장부(104)를 외틀(7)에 맞대게 함으로써 보호링(10)이 회전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탁상식 유리상판 곤로와 같이 곤로본체의 상단에 유리제 상판을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는, 곤로본체의 상단부 내면에 연장부(104)를 맞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보호링(10)의 하측 플랜지부(102)를 다른 보호링(10)의 하측 플랜지부(102)에 연결하여 각 보호링(10)을 회전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삼발이(9)는 상판(2)에 보호링(10)을 덮도록 해서 얹어 놓는 고리형상의 삼발이틀(90)과, 삼발이틀(90)의 상면에 둘레방향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예를 들면, 6개의 삼발이돌조(91)로 구성되어 있다. 각 삼발이돌조(91)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돌출형성한 돌편부(92)를 삼발이틀(90)에 형성한 슬릿에 끼워맞춘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삼발이틀(9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삼발이틀(90)의 내주에는 상부 가이드(3c)의 상측 가장자리부 내주에 삽입되는 통형상부(93)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통형상부(93)에 의해 삼발이(9)가 지름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삼발이(9)가 열원용 개구(8)의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링(10)에, 통형상부(100)보다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105)를 형성하고, 내측 플랜지부(105)에, 삼발이(9)에 형성한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94)를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06)를 형성하고, 삽입부(106)에 돌기(94)를 삽입하여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삼발이(9)를 회전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내측 플랜지부(105)는 보호링(10)의 상기 내측 통형상부(100a)의 하단부에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내측 플랜지부(105)를 형성하기 위해 보호링(10)의 구성부품의 일부를 고가의 단조품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 업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106)를 노치로 구성하고 있지만, 내측 플랜지부(105)에 형성한 구멍이나 오목부에 의해 삽입부(106)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삼발이(9)의 소정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삼발이돌조(91,91)에, 삼발이틀(9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94,94)를 형성하고, 내측 플랜지부(105)에, 상기 양 돌기(94,94)에 대응하는 2개의 삽입부(106,106)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삼발이(9)가 2개의 돌기(94,94)에 있어서, 내측 플랜지부(105)의 2개의 삽입부(106,106)에 걸어맞춰지게 되어, 각 돌기(94)를 지점으로 하는 삼발이(9)의 움직임이 저지되기 때문에 삼발이(9)상에서 조리용기를 흔들어 움직였을 때에도 삼발이(9)가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또한 세정 등을 위해 일시 분리한 삼발이(9)를 상판(2)에 설치할 때, 각 돌기(94)가 각 삽입부(106)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삼발이(9)를 미리 위상결정하지 않아도 삼발이(9)를 임시로 설치한 상태에서 회동시키면, 각 돌기(94)가 내측 플랜지부(105)상에서 미끄러져 움직이고, 삽입부(106)와 일치된 곳에서 돌기(94)가 삽입부(106)에 빠지게 되어, 삼발이(9)가 소정의 위상에서 회전방지된다. 따라서, 삼발이(9)를 미리 위상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삼발이(9)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 돌기(94)가 대응하는 각 삽입부(106)에 걸어맞춰지지 않은 잘못된 설치상태에서는, 삼발이(9)가 상판(2)에서 들뜬 상태로 내측 플랜지부(105)에 2개의 돌기(94,94)에 있어서 2점 지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삼발이(9)는 불안정하게 되어 기울어지고, 이에 의해 잘못된 설치상태인 것을 명료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삼발이가 잘못된 설치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삼발이돌조(91)에 돌기(94)를 형성했지만, 삼발이틀과 삼발이돌조를 일체로 성형한 주물제 삼발이를 사용하는 경우는 삼발이틀의 부분에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그런데, 보호링(10)의 장착공정에 있어서,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끼워맞출 때, 수걸어맞춤부(100c)가 암걸어맞춤부(100d)에 걸어맞춰지기까지는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의 휘어짐에 의해, 양 통형상부(100a,100b)사이에 수걸어맞춤부(100c)의 돌출높이 만큼의 틈이 확보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통형상부(100a)의 단부에 내측 플랜지부(105)를 구부려서 형성하면, 내측 통형상부(100a)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끼워맞춰지게 할 때에 내측 통형상부(100a)가 거의 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통형상부(100b)가 지름방향 외측으로 크게 휠 수 있도록 외측 통형상부(100b)와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틈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측 통형상부(100b)와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틈을 넓게 설정하면, 보호링(10)이 열원용 개구(8)에 대해 크게 중심이 어긋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보호링(10)의 중심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해 외측 통형상부(100b)와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틈을 좁게 설정하면,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의 사이에 수걸어맞춤부(100c)의 돌출높이 만큼의 틈이 나지 않기 때문에,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억지로 끼워맞춰지게 하면, 수걸어맞춤부(100c)가 끼워맞춤하는 도중에 눌려 찌그러지게 되어, 보호링(10)을 구성하는 2개의 판금제 부품의 결합불량이라는 불편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통형상부(100b)에 내측 플랜지부(105)의 하면을 따르는 돌출편(100e)(도 6 참조)을 랜스가공하고, 이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에 고정해서, 보호링(10)을 구성하는 2개의 판금제 부품, 즉, 상측 플랜지부(101), 내측 통형상부(100a) 및 내측 플랜지부(105)를 가지는 판금제 부품과, 하측 플랜지부(102) 및 외측 통형상부(100b)를 가지는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외측 통형상부(100b)와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틈을 좁게 설정하여도 양 판금제 부품을 양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에 고정하는 수법으로서는,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의 내연부에 코킹부착하거나,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에 스폿용접하는 등의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플랜지부(105)에 돌출편(100e)에 대응하는 돌조편(105a)(도 7 참조)을 랜스가공하고, 돌조편(105a)을 돌출편(100e)에 코킹부착해서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100e)과 돌조편(105a)을 각각 외측 통형상부(100b)와 내측 플랜지부(105)의 둘레방향 4개소에 형성하고, 2개소의 돌조편(105a)을 둘레방향 일측으로 절곡해서 대응하는 돌출편(100e)에 코킹부착하고, 나머지 2개소의 돌조편(105a)을 둘레방향 타측으로 절곡해서 대응하는 돌출편(100e)에 코킹부착함으로써, 2개의 판금제 부품이 회전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도 외측 통형상부(100b)에 내측 플랜지부(105)의 하면을 따르는 돌출편(100e)(도 9 참조)을 랜스가공함과 아울러, 내측 플랜지부(105)에 돌출편(100e)에 대응하는 돌조편(105a)(도 10 참조)을 랜스가공하고 돌조편(105a)을 돌출편(100e)에 코킹부착해서, 돌출편(100e)을 내측 플랜지부(105)에 고정하여 보호링(10)을 구성하는 2개의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돌조편(105a)을 지름방향 외측으로 절곡해서 돌출편(100e)에 코킹부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편(100e)의 선단부에 오목부(100f)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00f)에 돌조편(105a)을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2개의 판금제 부품이 회전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2와 제 3의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플랜지부(105)에 남는 돌조편(105a)의 랜스가공에 의해 발생한 구멍(105b)에 삼발이(9)의 돌기(94)가 빠지지 않도록 돌조편(105a)의 위치, 크기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외측 통형상부(100b)에 형성한 수걸어맞춤부(100c)를 내측 통형상부(100a)에 형성한 암걸어맞춤부(100d)에 걸어맞춰지게 해서 보호링(10)을 구성하는 2개의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105)의 구부린 모서리부에, 내측 통형상부(100a)와 내측 플랜지부(105)를 분단하는 슬릿(107)을 암걸어맞춤부(100d)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 범위에 걸쳐서 형성해 두면 상기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암걸어맞춤부(100d)의 형성부분에서의 내측 통형상부(100a)의 강성이 슬릿(107)을 형성함으로써 약화되어, 내측 통형상부(100a)가 암걸어맞춤부(100d)의 형성부분에 있어서 지름방향 내측으로 휘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외측 통형상부(100b)와 열원용 개구(8)의 개구 가장자리부와의 틈을 좁게 설정하여도 내측 통형상부(100a)의 휘어짐에 의해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와의 사이에 수걸어맞춤부(100c)의 돌출높이 만큼의 틈이 용이하게 확보된다. 따라서,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끼워맞춰지게 할 때, 수걸어맞춤부(100c)가 끼워맞춤하는 도중에 눌려 찌그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105)에서 내측 통형상부(100a)에 걸쳐 연장되는 슬릿(107')을 암걸어맞춤부(100d)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의 양측에 형성한 경우에도, 내측 통형상부(100a)가 암걸어맞춤부(100d)의 형성부분에 있어서 지름방향 내측으로 휘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측 통형상부(100a)와 외측 통형상부(100b)를 끼워맞춰지게 할 때, 수걸어맞춤부(100c)가 끼워맞춤하는 도중에 눌려 찌그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측 플랜지부(101)에 내측 통형상부(100a)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 통형상부(100a)의 하단부에 내측 플랜지부(105)를 구부려서 형성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내측 통형상부(100a)를 하측 플랜지부(102)에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 통형상부(100a)의 상단부에 내측 플랜지부(105)를 구부려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제 4,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통형상부(100a)에 암걸어맞춤부(100d), 외측 통형상부(100b)에 수걸어맞춤부(100c)를 형성하였지만, 내측 통형상부(100a)에 수걸어맞춤부, 외측 통형상부(100b)에 암걸어맞춤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보호링(10)의 통형상부(100)를 내ㆍ외 2중 구조로 하지 않고, 상ㆍ하측의 플랜지부(101,102)의 일측에 통형상부(100)를 일체로 형성하고, 통형상부(100)의 단부에 타측의 플랜지부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 도 14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상측 플랜지부(101)에 통형상부(100)를 일체로 형성하고, 통형상부(100)의 하단부의 둘레방향 복수개소에 하측 플랜지부(102)에 형성한 각 관통구멍(102a)에 관통하는 결합용 돌편(108)을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돌편(108)에 형성한 랜싱돌조(109)를 하측 플랜지부(102)의 하면에 걸어맞춰지게 하여 통형상부(100)의 하단부에 하측 플랜지부(102)를 결합한다.
이 경우, 하측 플랜지부(102)의 내주부분을 통형상부(100)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부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105)를 구성한다. 그리고, 내측 플랜지부(105)에 상기한 삼발이(9)의 돌기(94)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06)를 형성함으로써 삼발이(9)를 회전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판금제의 2부품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105)를 가지는 보호링(10)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플랜지부(102)에 형성한 관통구멍(102a)에 통형상부(100)의 하단부의 결합용 돌편(108)을 삽입하여, 하측 플랜지부(102)를 통형상부(100)에 결합하였지만, 통형상부(100)의 하단부에 하측 플랜지부(102)의 내주의 내측 플랜지부(105)에 중첩되게 할 수 있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105)를 코킹이나 스폿용접에 의해 결합해도 된다.
이상, 가열원으로서 버너(3,4,5)를 사용한 유리상판 곤로에 대해 설명했지만, 히터를 가열원으로서 사용하는 전기식 유리상판 곤로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드롭 인 타입뿐만 아니라 탁상식의 유리상판 곤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상판 곤로의 유리제 상판상에 배치하는 삼발이를, 상판에 형성한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장착하는 보호링을 이용해서 회전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삼발이의 설치작업의 용이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곤로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절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평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구성부품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의 전개 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평면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보호링의 구성부품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의 전개 단면도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제 5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제 6 실시형태의 요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의 절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곤로본체 2 - 상판
3,4,5 - 버너(가열원) 8 - 열원용 개구
9 - 삼발이 94 - 돌기
10 - 보호링 100 - 통형상부
100a - 내측 통형상부 100b - 외측 통형상부
100c - 수걸어맞춤부 100d - 암걸어맞춤부
100e - 돌출편 101 - 상측 플랜지부
102 - 하측 플랜지부 105 - 내측 플랜지부
105a - 돌조편 106 - 삽입부
107,107' - 슬릿

Claims (8)

  1. 유리제 상판을 사용하는 유리상판 곤로로서, 곤로본체에 형성된 가열원에 면하게 되는 열원용 개구를 상판에 형성하고, 열원용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열원용 개구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부와, 상판의 상면과 하면에 대향되며 통형상부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ㆍ하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보호링을 장착함과 아울러, 보호링에 상판상에 배치되는 삼발이를 회전방지하는 삼발이용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에 통형상부보다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삼발이에 형성한 하측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상기 삽입부의 형성개수를 각각 2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의 상기 통형상부를, 상기 상ㆍ하측 플랜지부의 일측의 플랜지부에 일체인 내측 통형상부와, 타측의 플랜지부에 일체이고 내측 통형상부에 외측에서 끼워지는 외측 통형상부로 이루어지는 내ㆍ외 2중 구조로 구성하고, 내측 통형상부의 단부에 상기 내측 플랜지부를 구부려서 형성하여, 일측의 플랜지부와 내측 통형상부와 내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판금제 부품과, 타측의 플랜지부와 외측 통형상부를 가지는 판금제 부품의 2부품에 의해 보호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 통형상부에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하면을 따르는 돌출편을 랜스가공하고, 상기 돌출편을 내측 플랜지부에 고정해서, 상기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돌조편을 랜스가공하고, 돌조편을 돌출편에 코킹부착해서, 돌출편을 내측 플랜지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통형상부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일측에 형성한 수걸어맞춤부를 타측에 형성한 암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상기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함과 아울러, 내측 통형상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를 분단하는 슬릿을, 내측 통형상부의 걸어맞춤부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통형상부와 상기 외측 통형상부의 일측에 형성한 수걸어맞춤부를 타측에 형성한 암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게 함으로써, 상기 양 판금제 부품을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서 내측 통형상부에 걸쳐 연장되는 슬릿을, 내측 통형상부의 걸어맞춤부의 형성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둘레방향범위의 양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링의 상기 통형상부를 상기 상ㆍ하측 플랜지부의 일측의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통형상부의 단부에 타측의 플랜지부를 결합함과 아울러, 타측의 플랜지부의 내주부분을 통형상부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시켜서, 이 연장부에 의해 상기 내측 플랜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상판 곤로.
KR1020040060858A 2003-08-07 2004-08-02 유리상판 곤로 KR100570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8880 2003-08-07
JP2003288880 2003-08-07
JPJP-P-2003-00374309 2003-11-04
JP2003374309A JP4028473B2 (ja) 2003-08-07 2003-11-04 ガラストップコン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96A true KR20050016096A (ko) 2005-02-21
KR100570436B1 KR100570436B1 (ko) 2006-04-12

Family

ID=3442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58A KR100570436B1 (ko) 2003-08-07 2004-08-02 유리상판 곤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28473B2 (ko)
KR (1) KR100570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611B2 (ja) 2005-11-22 2011-02-1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4963303B2 (ja) * 2008-08-22 2012-06-27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670799B1 (ko) * 2015-03-31 2016-11-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그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28473B2 (ja) 2007-12-26
KR100570436B1 (ko) 2006-04-12
JP2005069664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9600B2 (ja) ガス炊飯器
JP4945284B2 (ja) ガスコンロ
KR100570436B1 (ko) 유리상판 곤로
JP6184797B2 (ja) 加熱調理器
JP3419647B2 (ja) 鍋底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
JP5127893B2 (ja) こんろ
JP2006105557A (ja) コンロ用操作摘み
JP3348394B2 (ja) ガラス天板用保護リング
KR100540561B1 (ko) 가스 곤로
TWI294024B (ko)
JP5798296B2 (ja) ガスこんろ
JP6125473B2 (ja) ガスコンロ
JP3891264B2 (ja) ガスコンロ
JP5234842B2 (ja) こんろ
JP5395821B2 (ja) ガス炊飯器
JP7442411B2 (ja) コンロ
JP7278880B2 (ja) コンロバーナ
JP7306621B2 (ja) 補助五徳
CN210748817U (zh) 锅具
WO2013065190A1 (ja) こんろ
CN220506800U (zh) 一种锅支架及具有该锅支架的燃烧组件
KR100513054B1 (ko) 판금제 버너
JP2006105556A (ja) ドロップイン式ガラストップコンロ
JP6076094B2 (ja) 加熱調理器
WO2013098010A1 (en) A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