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0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027A
KR20050016027A KR1020040059470A KR20040059470A KR20050016027A KR 20050016027 A KR20050016027 A KR 20050016027A KR 1020040059470 A KR1020040059470 A KR 1020040059470A KR 20040059470 A KR20040059470 A KR 20040059470A KR 20050016027 A KR20050016027 A KR 2005001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lass tube
tube
heater
met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꾸찌요시떼루
아라까와겐이찌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6Protection, e.g. overheat cutoff, hot plate indic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연성 냉매를 이용한 냉장고에 있어서, 내관을 유리관으로 하고 외관을 금속관으로 한 서리 제거용 히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된 서리 제거용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이며,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내부에 배치한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배치된 금속관을 갖고,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관은 세라믹제 금속관용 캡에 의해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구조를 도9 및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부호 31은 냉장고 본체로, 이 냉장고 본체(31)는 내부에 냉동실(32) 및 냉장실(33)을 갖고 있다. 부호 34는 냉동실(32)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동실 도어이고, 35는 냉장실 도어이다. 부호 36은 냉동실 배면부에 형성된 냉각실(37) 내에 설치된 증발기로, 이 증발기(36)는 압축기 및 응축기 등과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한다.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36) 내를 통과하는 냉매가 증발기(36) 표면에 접촉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하고, 이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냉기로서 순환 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36)가 증발기(36) 주변의 공기 중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동실(32) 및 냉장실(33) 내를 냉각할 때에, 운전 중에 증발기(36)의 표면에 서리 부착된다. 그로 인해, 증발기(36)의 하방에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38)를 구비하여,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38)의 복사열에 의해 증발기(36)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녹여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냉매로는 HFC계 냉매가 사용되어 왔지만, HFC계 냉매가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가 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은 탄화수소계 냉매가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탄화수소계 냉매는 가연성 냉매이다.
탄화수소계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가연성 냉매가 고내로 누설되면, 고내가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가연성 냉매가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38)의 주변 또는 냉동실(32) 및 냉장실(33) 내에 저장되기 쉽고,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38)의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400 ℃ 내지 500 ℃)로 상승한 경우에는 누설된 가연성 냉매가 인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로서, 유리관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 미만이 되도록 다중 유리관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38)는 양단부가 밀폐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으로 된 원통형 유리관(39)과, 이 유리관 내에 조립된 히터선(40)과 상기 원통형 유리관(39)을 덮는 외부 유리관(41)과, 상기 원통형 유리관(39)과 외부 유리관(41) 단부를 밀폐 밀봉하는 유리관용 캡(4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양단부가 유리관용 캡(42)으로 밀폐된 원통형의 다중 유리관 내에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40)이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57831호 공보
가연성 냉매를 사용하는 냉장고의 서리 제거용 히터는 만일의 사고를 고려하여 2중의 유리관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2중의 유리관이었던 경우 외측의 유리관에 깨짐 등의 손상이 있으면, 1중의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제습용 히터로 바뀌지 않아 가연성 냉매 대응의 제습용 히터로 되지 않았다. 즉, 2중의 유리관 히터인 경우 제조원으로부터 냉장고 어셈블리 메이커까지 동안의 운반 화물 취급시에 충격으로 유리 손상의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냉장고 메이커에 있어서도 운반 및 조립 등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 또한 충격으로 상기 유리관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물론, 냉장고의 서비스시 서비스맨이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의 주위의 부품 탈착시에 상기 유리관에 주위의 부품 혹은 공구류를 부딪혀 깨짐 등의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
그로 인해, 2중관의 외측관을 금속관으로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내관을 유리관으로 하고 외관을 금속관으로 한 서리 제거용 히터를 상정한 경우에는 다양한 과제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금속관은 유리관과 달리 열전도성이 좋아, 유리관과 금속관을 고무재의 캡으로 고정한 경우에는 고무재의 내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신뢰성이 있는 서리 제거용 히터를 탑재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된 서리 제거용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이며, 서리 제거용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히터선을 내부에 배치한 유리관과, 유리관의 외주에 배치된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를 덮어 유리관과 금속관을 이격하여 설치시키는 열절연성을 갖는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된 서리 제거용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이며,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내부에 배치한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배치된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를 덮어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관을 이격하여 설치시키는 열절연성을 갖는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관으로부터의 열 및 유리관을 통과한 열에 의해 캡이 녹는 일 없이 캡을 거쳐서 열이 외부로 전달되어 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은 상기 유리관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금속관용 캡은 상기 유리관을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부와, 상기 금속관의 내주와 접촉시켜 상기 금속관을 부착하는 접촉부와, 단부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리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금속관용 캡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유리관을 고무제 유리관용 캡으로 밀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관과 고무제 유리관용 캡 사이에 열절연성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리관용 캡으로의 열전도를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의 상방에는 서리 제거시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금속관으로 낙하하는 물을 차단하는 지붕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증발기로부터의 서리 제거수가 서리 제거용 히터에 닿아 증발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서리 제거용 히터의 금속관에 서리 제거수가 닿음으로써 금속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금속제이고 상기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리브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가열된 지붕에 서리 제거수가 닿아 지붕이 변형되는 것을 리브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단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착 다리를 상기 지붕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부착 다리에는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의 일단부를 지지 가능한 판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용 히터를 지붕과 일체적으로 설치한 부착 다리나 판형 부재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5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의 홈통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리에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를 적재하고, 상기 지붕의 상기 부착 다리의 하단부는 상기 홈통과 접촉하거나 또는 미소한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용 히터의 열에 의해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다리가 열에 의해 녹은 경우라도, 신속하게 지붕의 부착 다리로 서리 제거용 히터를 지지함으로써 서리 제거용 히터가 직접 홈통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통에 알루미늄 판을 배치하고 상기 알루미늄 판의 상방에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지붕의 부착 다리가 홈통 상의 알루미늄 판에 접촉해도, 서리 제거용 히터의 열이 부착 다리로부터 직접 합성 수지로 형성된 홈통에 전달되지 않고 알루미늄 판을 거쳐서 전달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온도 상승으로 되지 않아 수지제 홈통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붕의 부착 다리 하단부가 홈통과 근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판 상에 발생된 서리도 쉽게 녹으므로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내에 배치된 상기 히터선의 코일 개시부를 상기 유리관용 캡의 측단부로부터 40 ㎜ 이상 떨어진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히터선의 발열시에 금속관용 캡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이 히터선이 발열하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용 캡과 상기 유리관용 캡을 요철의 조합에 의해 끼워 맞춤시키고, 상기 유리관용 캡에 상기 금속관용 캡의 외주를 덮는 덮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증발기로부터 서리 제거시에 흘러 내리는 서리 제거수가 유리관용 캡과 금속관용 캡 사이로부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일단부와 상기 금속관용 캡과의 접촉부에 서리 제거시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튀지 않도록 상기 금속관용 캡에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 내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상기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을 이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사태가 발생해도 서리 제거 히터의 표면에서 가연성 냉매의 발화가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냉장고(2)는, 냉장고 본체(1) 및 도어(3 내지 5)에 의해 식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고내)(10 내지 12)을 구성하고 있다. 저장실(10 내지 12)은, 통상 도어(3 내지 5)가 폐쇄되어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각 저장실(10 내지 12)은 냉기 통로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는 외부 상자(101), 단열재(103) 및 내부 상자(102)로 이루어져 있다. 냉장고 본체(1)의 전방면에는 냉장실 도어(3), 야채실 도어(4), 냉동실 도어(5)가 부착되고, 냉장실(10), 야채실(11), 냉동실(12)이 형성되어 있다.
냉장고(2)는 고내를 냉각하기 위해 냉동 사이클, 냉각용 팬(8) 및 전동 댐퍼(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6), 응축기(도시하지 않음), 감압 장치(도시하지 않음), 증발기(7) 등을 배관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내에 봉입되는 냉매로서는, 누설되어도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R290(프로판)이나 R600a(이소부탄) 등의 탄화수소계 냉매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탄화수소계 냉매는 가연성 냉매이다. 압축기(6)는 냉장고 본체(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10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7)는 플레이트 핀 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고, 고내[구체적으로는 냉동실(12)의 배면부에 형성된 증발기 설치용 덕트 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팬(8)은 증발기(7)에서 냉각된 냉기가 각 저장실(10 내지 12)을 순환하도록 증발기(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용 팬(8)은 블레이드와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댐퍼(9)는 증발기(7)로부터의 냉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냉기 통로의 도중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7)의 근방에는 서리 제거용 히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증발기(7)에 부착된 서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증발기(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증발기(7)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가로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서리 제거는, 냉동 사이클의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서리 제거용 히터(13)에 통전함으로써, 서리 제거용 히터(13)로부터의 방사열로 증발기(7)에 부착된 서리를 가열하여 융해함으로써 행해진다.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제어부(18) 및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통전이 온/오프 제어된다.
다음에,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구체적 구성에 관련하여 다시 설명한다.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히터선(14)과, 내관인 유리관(15)과, 실리콘 고무제인 유리관용 캡(17)과, 외관인 금속관(16)과 세라믹제로 열절연성을 갖는 금속관용 캡(19)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히터선(14)은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져 있고, 유리관(15) 내에 수납되어 있다. 유리관용 캡(17)은 유리관(15) 내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히터선(14)으로 이어지는 리드선(14c)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리관(16)은 유리관(15)의 외부를 덮어 유리관(15) 사이에 공간을 갖고, 2중관을 형성하고 있다. 금속관용 캡(19)은 금속관(16)의 단부 개구부와 유리관용 캡(17)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금속관(16)과 유리관(15)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고 또한 공간 치수를 결정하도록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유리관용 캡(17) 및 금속관용 캡(19)은 유리관(15) 및 금속관(16)의 양단부에 거의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관(16)은 유리관(15)보다 짧게 제작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금속관(16)의 일예로서, 열효율 및 열전도율이 좋은 압출 성형 등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관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알루미늄 관으로 함으로써,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경량화 및 서리 제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은 철(비중 7.87) 및 구리(비중 8.93) 등의 금속 재료와 비교하여 비중 2.71로 약 3분의 1로 경량이다. 또한, 열전도성에 있어서도 철의 약 3배(알루미늄 : 180 kcal/m·hr·t, 철 : 47 kcal/m·hr·t)로 양호하며, 서리 제거 히터(13)의 외관으로 함으로써 서리 제거 히터(13)의 표면 온도를 균일화할 수 있어,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 및 에너지 절약으로 이어진다. 또한,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는 치밀하고 안정된 산화 피막을 생성하고, 이 피막이 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에 증발기(7)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 등의 접촉에 의한 녹의 발생을 억제하여, 유리관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알루미늄은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이 가능하고, 저비용의 서리 제거 히터(13)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금속관(16)의 표면 온도가 히터선(14)의 발열 시에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동 사이클 내의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었다고 해도 서리 제거 히터(13)에 의해 가연성 냉매에 인화되는 일이 없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서리 제거용 히터(13) 단부의 구체적 구조에 관련하여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금속관용 캡(1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관(16)으로부터의 열 및 유리관(15)을 통과한 열에 의해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이 가열되어 과도하게 온도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7)와 증발기(7)의 하방에 배치된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구비한 냉장고이며,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14)과, 히터선(14)을 내부에 배치한 유리관(15)과, 유리관(15)의 외주에 배치된 금속관(16)을 갖고, 유리관(15)과 금속관(16)은 세라믹제 금속관용 캡(19)에 의해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관(16)으로부터의 열 및 유리관(15)을 통과한 열에 의해 캡(17, 19)이 녹는 일 없이, 캡을 거쳐서 열이 외부로 전달되어 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속관(16)은 유리관(15)보다 짧게 형성되고, 금속관용 캡(19)은 유리관(15)을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부(33)와, 금속관(16)의 내주와 접촉시켜 금속관(16)을 부착하는 접촉부(32)와, 단부에 돌출부(27)를 갖고, 돌출부(27)에는 유리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금속관용 캡(19)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유리관(15)을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으로 밀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금속관용 캡(19)은 증발기(7)의 바로 아래 근방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수율이 작은 것이 필요한 동시에, 유리관(15) 및 금속관(16)으로부터 유리관용 캡(17)으로의 열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작은 것(환언하면, 열절연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증발기(7)의 냉각 및 히터선(14)의 가열의 단속에 의한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열팽창 계수가 작고 또한 내열 충격성이 강한 것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관용 캡(19)으로서 인슐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이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냉장고(2)에서는 증발기(7) 및 서리 제거용 히터(13)에 의해 냉열/가열 운전이 반복되기 때문에, 금속관(16)과 유리관(15) 사이의 공간에 공기 중의 수분 및 고무 캡(17) 부근에 부착된 물방울이 관 내로 흡입되어 내부에 저장되어 버려, 유리관(15)의 파손 등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관용 캡(19)의 하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20)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금속관(16)과 유리관(15) 사이로 수분이 흡입되었다고 해도, 배수 홈(20)으로부터 물이 빠져 나오도록 되어 있으므로, 내부 공간에 저장되어 유리관(15)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배수 홈(20)은 금속관용 캡(19)과 금속관(16)의 접촉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관(15)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수분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 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금속관용 캡(19)은 그 측면을 유리관용 캡(17)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유리관용 캡(17)에 설치된 덮개부(17a)가 금속관용 캡(19)의 측단부에 오버랩되고, 증발기(7)로부터 서리 제거시에 흘러내리는 서리 제거수가 유리관용 캡(17)과 금속관용 캡(19) 사이로부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속관용 캡(19)과 유리관용 캡(17)을 요철의 조합에 의해 끼워 맞춤시키고, 유리관용 캡(17)에 금속관용 캡(19)의 일부 또는 전부의 외주를 덮는 덮개부(17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증발기(7)로부터 서리 제거시에 흘러내리는 서리 제거수가 유리관용 캡(17)과 금속관용 캡(19) 사이로부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용 캡(17)에는 금속관용 캡(19)에 설치된 오목부(23)에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돌출부(22)가 설치되어, 위치 결정 및 금속관용 캡의 회전을 방지한다.
금속관용 캡(19)의 다른 쪽 측부에는, 유리관(15) 및 금속관(1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2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관의 삽입이 쉬워, 삽입시에 있어서의 금속관용 캡(1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의 보유 지지에 있어서, 금속관(16)의 측 단부에 공간(26)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26)은 금속관(16)의 단부와 금속관용 캡(19)의 벽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26)은 금속관(16)이 열팽창에 의해 변형되어 단부가 신장되는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금속관(16)이 히터선(14)에 의한 가열 및 증발기(7)에 의한 냉각으로 열팽창 및 열수축되어도 그를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도4 및 도5에 있어서 히터선(14)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히터선의 코일 개시부(14a)는,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관용 캡(19)으로부터 30 ㎜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히터선(14)의 발열시 금속관용 캡(19)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이, 상기 히터선(14)이 발열하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치수로 하기 위함이다.
즉, 앞의 코일 개시부(14a)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으로부터 보면 40 ㎜ 이상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리관(15) 내에 배치된 히터선(14)의 코일 개시부(14a)를 유리관용 캡(17)의 측단부로부터 40 ㎜ 이상 떨어진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히터선의 발열시에 금속관용 캡(19)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17)이 히터선이 발열하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코일 개시부(14a)는 정확히 증발기(7)의 측단부 연장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상기 히터선(14a)이 발열하는 열을 필요로 하는 곳은 증발기(7)의 핀부(7a)이며, 이 부분에 부착된 서리를 융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히터선(14)은 코일 개시부(14a)를 이 증발기(7)의 핀부(7a)로부터라 하고 있다. 물론 핀부(7a)의 외측에 닿는 U자 굽힘 파이프부(7b)[증발기(7)를 통해 들어가는 공기]에도 다소의 서리는 부착되지만 이 부분에 부착되는 서리의 양은 한정된다.
이로 인해, 서리 제거용 히터(13)가 발열하는 열의 일부가 여기서 회전하면 U자 굽힘 파이프부(7b)의 서리 제거는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코일 개시부(14a)는 증발기(7)[핀부(7a)]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코일 개시부(14a)를 경계로 히터선(14)의 직선부(14b), 금속관용 캡(19), 유리관용 캡(17)의 선단부(17b)까지의 거리가 거의 증발기(7)의 굽힘 파이프부(7b)에 상당하고 있다.
부호 30은 금속제 지붕으로,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이로 인해, 열전도성이 좋고 증발기에도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지붕(30)은, 이에 의해 서리 제거용 히터(13) 발열시 증발기(7)에 부착된 서리가 서리 제거수가 되어 증발기(7)로부터 적하하여, 서리 제거용 히터(13)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서리 제거수가 서리 제거용 히터(13)에 닿아 증발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16)에 닿음으로써 금속관이 상방으로 볼록한 활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붕(30)은, 이 변형을 방지하는 면에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지붕(30)은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의 충돌부 및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의 충돌부 및 금속관용 캡(19)과 유리관용 캡(17)의 맞춤부로부터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16) 내 등으로 들어가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상방에는 서리 제거시에 증발기(7)로부터 금속관(16)으로 낙하하는 물을 차단하는 지붕(3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증발기(7)로부터의 서리 제거수가 서리 제거용 히터(13)에 닿아 증발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금속관(16)에 서리 제거수가 닿음으로써 금속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부호 28은 서리 제거수를 고 밖으로 배출할 때 일시적으로 받는 통이다. 이 통(28)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앞의 서리 제거수용 히터(13)를 부착하는 다리(28a) 등을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유리관용 캡(17)의 부분을 다리(28a)가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유리관(15) 및 금속관(16)을 구비한 2중관 구조로 하는 동시에, 서리 제거 히터(13)의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되지 않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사태가 발생되어도 서리 제거 히터(13)의 표면에서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에 이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속관(16)의 표면 온도가 히터선(14)의 발열시에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금속관(16)과 유리관(15)을 이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사태가 발생되어도, 서리 제거 히터의 표면에서 가연성 냉매의 발화가 발생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관용 캡(19)에 금속관(16)을 부착함으로써 유리관(15)의 파손시에도 유리관이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관(16)을 사용함으로써 서리 제거 히터(13)의 표면 온도가 균일화되고, 효율이 좋은 서리 제거가 가능해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또한,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 절약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세라믹제 금속관용 캡(19)을 사용함으로써 유리관용 고무 캡(17)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리관용 캡(17)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관용 캡(19)의 하부에 배수 홈(20)을 마련함으로써 유리관용 캡(17)측으로의 서리 제거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가령 물이 침입해도 배수 홈(20)으로부터 토출되기 때문에 유리관(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금속관용 캡(19)과 금속관(16)의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에 있어서 부호 19는 내부가 비어 있는 리브형 금속관용 캡이다. 이 금속관용 캡(19)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금속관(1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9a)를 갖고 있다. 이 삽입부(19a)의 길이(L1)에 의해,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 금속관(16) 내로 가연성 냉매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이 삽입부(19a)의 두께에 의해 금속관(16)과 유리관(15) 사이에 생긴 공간은 결정된다. 이로 인해, 이 삽입부(19a)의 두께는 금속관(16)의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온도 미만이 되는 두께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 삽입부(19a)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홈(20)부를 이용하여 금속관(16)측에 설치한 단차 압박부(16a)를 위치시킴으로써 금속관(16) 내로 들어간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금속관용 캡(19)과 금속관(16)의 회전 방지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퍼(25)를 삽입부(19a)의 선단부에 마련해 둠으로써, 금속관(16) 및 유리관(1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도7은 증발기(7)와 서리 제거용 히터(13) 사이에 설치된 지붕(30)을 도시한다. 이 지붕(3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관용 캡(17)에 부착 다리(30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관(16)에 서리 제거수가 직접 닿아 증발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가열된 금속관에 서리 제거수가 직접 닿아, 금속관(1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금속관(16)에 서리 제거수가 서리 제거 때마다 닿으면, 그 닿는 부분은 순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금속관(16)이 수축된다.
이 결과, 상기 금속관(16)은 상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지붕(30)은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물론 이 지붕(30)은, 증발기(7)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16) 및 유리관(15) 내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한다.
지붕(30)은 금속제(알루미늄)이며, 지붕(30)의 길이 방향에는 리브(3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열된 지붕에 서리 제거수가 닿아 변형되는 것을 리브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부호 30b는 부착 다리(30b)에 둘러싸인 부착 구멍을 나타낸다. 이 공간(30a)은 앞서 설명한 유리관용 캡(17)의 외형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다. 부호 30c는 홈통(28)에 설치한 다리(28a)(도4)가 서리 제거용 히터(13)가 발열하는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부착 다리(30a)와 함께 방지하는 판형 부재이다.
이 판형 부재(30c)는 지붕(30)을 유리관용 캡(17)에 부착할 때 90도로 절곡해 두고, 부착 후 원래의 위치(도면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장고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사용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각종 상정 시험이 설계 단계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 중에는 사용자가 100V와 200V를 잘못하여 냉장고를 운전시켰을 때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는 시험 항목이 있다.
상기 설명한 금속관(16)을 구비한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경우, 다음 현상이 상정되는데,
(1) 금속관(16)의 상부가 녹아 일부에 구멍이 뚫린다.
(2) 유리관용 캡(17)이 열에 의해 손상된다.
(3)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지지하는 홈통(28)측의 다리(28a)가 열에 의해 손상된다.
등이다. 이 중, 금속관(16)의 천정이 녹아 일부에 구멍이 뚫리는 점에 대해서는, 구멍이 뚫힌 후에는 금속관(16) 내의 공기가 그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되기 때문에 그 이후의 치명적 사고로는 발전하지 않지만, 유리관용 캡(17)이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홈통(28)측의 다리(28a)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점에 대해서는, 그 이후 치명적인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는 이 점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즉, 유리관용 캡(17)의 온도 상승 대책으로서는, 금속제(알루미늄제) 지붕(30)의 부착 다리(30a)를 유리관용 캡(17)에 부착하고, 이 부착 다리(30a)는 물론 지붕(30)을 방열판으로서 덮도록 한 것이다.
또한, 홈통(28)측의 다리(28a)의 열손상에 대해서는, 상기 다리(28a)를 부착 다리(30a)와 판형 부재(30c)로 서리 제거용 히터(13)측으로부터 오는 열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200V 통전 대책으로서는, 냉장고측으로서는 증발기(7) 등에 온도 퓨즈 등을 부착해 두어, 위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전원을 차단하는 구성은 취하고 있지만, 상기 예는 위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동안의 대책으로서 필요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한 홈통(28)측에 접착되는 알루미늄 판(21)(알루미늄 테이프를 포함함)을 상기 지붕(30)의 부착 다리(30a) 하단부에 위치시켜 두는 점이다.
즉,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지지하는 다리(28a)가 열에 의해 손상되어 홈통측으로 서리 제거용 히터(13)가 내려왔을 때에도,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13)는 앞의 부착 다리(30a) 및 판형 부재(30c)에 의해 홈통(28) 상에 보유 지지된다. 이 때, 부착 다리(30a)의 열이 홈통(28)측으로 전달되게 되지만, 알루미늄 판(21)이 있음으로써 국부적인 온도 상승이 되지 않아 수지제 홈통(28)은 손상되지 않고, 치명적인 사고로는 발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붕(30)의 단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착 다리(30a)를 지붕(30)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부착 다리(30a)에는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일단부를 지지 가능한 판형 부재(30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지붕(30)과 일체적으로 설치한 부착 다리(30a)나 판형 부재(30c)에 의해 지지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합성 수지제의 홈통(28)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리(28a)에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적재하고, 지붕(30)의 부착 다리(30a)의 하단부는 홈통(28)과 접촉하거나 또는 미소한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용 히터의 열에 의해 합성 수지로 형성된 다리(28a)가 열에 의해 녹은 경우라도, 신속하게 지붕(30)의 부착 다리(30a)로 서리 제거용 히터를 지지함으로써, 서리 제거용 히터가 직접 홈통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소한 간극」이라 함은, 지붕의 부착 다리로 서리 제거용 히터를 지지해도 하방의 홈통이 히터의 열에 의해 녹지 않을 정도의 거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홈통(28)에 알루미늄 판(21)을 배치하고, 알루미늄 판(21)의 상방에 서리 제거용 히터(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지붕(30)의 부착 다리(30a)가 홈통 상의 알루미늄 판(21)에 접촉해도, 서리 제거용 히터(13)의 열이 부착 다리(30a)로부터 직접 합성 수지로 형성된 홈통(28)으로 전달되지 않고 알루미늄 판(21)을 거쳐서 전달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온도 상승이 되지 않고, 수지제 홈통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붕의 부착 다리 하단부가 홈통과 근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판(21) 상에 발생된 서리도 용이하게 녹일 수 있으므로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있어서 부착 다리(30a) 대향부에 부분적인 보조 알루미늄 판(29)을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특히 홈통(28)의 배수구(도시하지 않음)부를 가열하기 위해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알루미늄 판(21)을 연장하여, 부착 다리(30a) 대향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에 도8에 있어서, 도8에 도시한 것은 금속관용 캡에 플랜지부(19b)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이 플랜지부(19b)는 서리 제거수가 공간(26)으로부터 삽입부(19a)를 통해 금속관(16) 내에 서리 제거수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플랜지부(19b)는 금속관용 캡(19)과 동시에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속관(16)의 일단부와 금속관용 캡(19)의 접촉부(32)에 서리 제거시에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튀지 않도록 금속관용 캡(19)에 플랜지부(19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이 구성에 의해,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 내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금속관과 유리관의 위치 결정에 열절연성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관용 캡을 설치하였으므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관용 캡의 고무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무제 유리관용 캡은 성형성도 좋고, 또한 유리관과의 밀봉 구조도 좋은 데다가 비용도 저렴한 것이다.
이와 함께 2중의 유리관 히터의 다른 하나의 과제였던 제조시 혹은 조립 시의 손상 및 만일의 사고시의 유리관 비산이라 하는 과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을 금속관용 캡의 중공부에 삽입하고, 단부를 금속관용 캡으로부터 돌출시켜 그 돌출부에 유리관용 캡을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관보다 짧게 형성된 금속관을 금속관용 캡에 부착하고, 또한 상기 유리관 내에 배치된 히터선의 코일 개시부를 상기 유리관용 캡의 측단부와 40 ㎜ 이상 떨어진 것이므로, 고무제 유리관용 캡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일은 없고, 밀봉 구조가 좋은 유리관용 캡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효율이 좋은 서리 제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관용 캡과 유리관용 캡을 요철 등의 조합에 의해 결합시키는 동시에, 유리관용 캡에 금속관용 캡 측단부를 덮는 덮개부를 설치한 것이므로, 양 캡의 위치 결정이 확실해지는 것은 물론, 양자의 결합부로부터 서리 제거수가 관 내로 들어가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관용 캡과 금속관과의 접촉부를 증발기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관용 캡에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이므로, 증발기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가 금속관 내로 들어가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용 캡에 지붕의 다리을 부착하는 동시에 그 다리를 홈통 가까이까지 연장시키고, 그 다리 선단부에 대응하는 홈통부에 알루미늄 판 등을 설치한 것이므로, 만일 사용자가 잘못하여 200V의 콘센트에 냉장고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서리 제거용 히터를 지지하는 다리(28a)가 손상되어도 서리 제거용 히터는 쓰러지는 일 없이 상기 부착 다리(30a)에 지지되어 홈통(28) 상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큰 사고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을 유리관으로 하고 외관을 금속관으로 한 서리 제거용 히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주요부 확대도.
도3은 도2의 서리 제거용 히터의 단면 확대도.
도4는 도1의 서리 제거용 히터 부착부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설명도.
도5는 도4 중의 서리 제거용 히터의 부분 단면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금속관 고정용 금속 캡의 설명도.
도7은 도4에 도시한 지붕의 주요부 경사도.
도8은 금속관용 캡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냉장고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서리 제거용 히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고
3 : 냉장실 도어
4 : 야채실 도어
5 : 냉동실 도어
6 : 압축기
7 : 증발기
7a : 핀부
7b : U자 굽힘 파이프부
8 : 냉각용 팬
9 : 전동 댐퍼
10 : 냉장실
11 : 야채실
12 : 냉동실
13 : 서리 제거용 히터
14 : 히터선
14a : 코일 개시부
14b : 직선부
14c : 리드선
15 : 유리관
16 : 금속관
16a : 단차 압박부
17 : 유리관용 캡
17a : 덮개부
17b : 선단부
18 : 제어부
19 : 금속관용 캡
19a : 삽입부
19b : 플랜지부
20 : 배수구
21 : 알루미늄 판
22 : 볼록부
23 : 오목부
24a : 보유 지지면
24b : 밀봉면
25 : 테이퍼
26 : 공간
27 : 돌출부
28 : 홈통
28a : 다리
29 : 보조 알루미늄
30 : 지붕
30a : 부착 다리
30b : 부착 구멍
30c : 판형 부재
31 : 리브
32 : 접촉부
33 : 중공부
101 : 외부 상자
102 : 내부 상자
103 : 단열재
104 : 기계실

Claims (11)

  1.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된 서리 제거용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이며,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내부에 배치한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배치된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를 덮어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관을 이격하여 설치시키는 열절연성을 갖는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은 상기 유리관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유리관을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공부와, 상기 금속관의 내주와 접촉시켜 상기 금속관을 부착하는 접촉부와, 단부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리관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무제 유리관용 캡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의 상방에는 서리 제거시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금속관으로 낙하하는 물을 차단하는 지붕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금속제이고 상기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리브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단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착 다리를 상기 지붕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부착 다리에는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의 일단부를 지지 가능한 판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의 홈통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리에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를 적재하고, 상기 지붕의 상기 부착 다리의 하단부는 상기 홈통과 접촉하거나 또는 미소한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에 알루미늄 판을 배치하고 상기 알루미늄 판의 상방에 상기 서리 제거용 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내에 배치된 상기 히터선의 코일 개시부를 상기 유리관용 캡의 측단부로부터 40 ㎜ 이상 떨어진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유리관용 캡을 요철의 조합에 의해 끼워 맞춤시키고, 상기 유리관용 캡에 상기 캡의 외주를 덮는 덮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일단부와 상기 캡과의 접촉부에, 서리 제거시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튀지 않도록 상기 캡에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상기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을 이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59470A 2003-08-04 2004-07-29 냉장고 KR20050016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5605A JP2005055004A (ja) 2003-08-04 2003-08-04 冷蔵庫
JPJP-P-2003-00205605 2003-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27A true KR20050016027A (ko) 2005-02-21

Family

ID=3436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470A KR20050016027A (ko) 2003-08-04 2004-07-2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055004A (ko)
KR (1) KR20050016027A (ko)
CN (1) CN15806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4464B2 (ja) * 2019-11-11 2023-11-07 アクア株式会社 霜取り装置及び霜取り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111473590B (zh) * 2020-04-23 2021-11-0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密封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55004A (ja) 2005-03-03
CN1580676A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276B1 (ko) 냉장고 및 서리 제거용 히이터
KR100600185B1 (ko) 냉장고
KR100659649B1 (ko) 냉장고
KR20050016027A (ko) 냉장고
KR20040079837A (ko) 냉장고
JPH0854172A (ja) 冷蔵庫
KR100761183B1 (ko) 냉장고
JP3552715B1 (ja) 除霜ヒーター
JP2003139463A (ja) 冷蔵庫の除霜ヒーター構成
WO2004074751A1 (ja) 除霜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4030A (ja) 冷蔵庫
JP3482406B2 (ja) 冷凍冷蔵庫
WO2021213348A1 (zh) 冰箱
KR100288263B1 (ko) 냉장고의제상장치
JP2006010151A (ja) 冷蔵庫
KR940002912Y1 (ko) 냉장고
JP2006010152A (ja) 冷蔵庫
KR200220618Y1 (ko) 냉장고의 제상히터커버
KR100593630B1 (ko) 냉장고의 집수부 구조
JP2022104680A (ja) 冷蔵庫
JP2006078094A (ja) 冷蔵庫
US20190107318A1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JP2002206849A (ja) 冷蔵庫
JP2006078093A (ja) 冷蔵庫
JP200602303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