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12Y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12Y1
KR940002912Y1 KR2019940000256U KR19940000256U KR940002912Y1 KR 940002912 Y1 KR940002912 Y1 KR 940002912Y1 KR 2019940000256 U KR2019940000256 U KR 2019940000256U KR 19940000256 U KR19940000256 U KR 19940000256U KR 940002912 Y1 KR940002912 Y1 KR 94000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oler
cover
defrosting
rub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찌 아베
노부요시 스에나가
스스무 야마자끼
신지 마에다
히데오 오찌아이
가즈히로 세끼구찌
후미까즈 와시미
노부히꼬 사사모또
아끼히사 히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Hitacih, Ltd.)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081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6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12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865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081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39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834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99078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50007253A external-priority patent/KR860003482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Hitacih, Ltd.),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Hitacih, Ltd.)
Priority to KR2019940000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12Y1/ko
Priority to KR2019940023642U priority patent/KR940008183Y1/ko
Priority to KR2019940023643U priority patent/KR940008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주요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통내에 설치되는 커버를 갖는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주요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X-X선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자형상 커버와 히터커버의 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서리제거용 관히터, 고무 캡 및 히터커버의 주요부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고무 캡부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고정구조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고정구조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한 냉장고의 일부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냉각기 하부에 설치되는 복사형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구조를 구비한 종래의 냉장고를 제10도 및 제11도에서 설명하면, (1)은 냉장고본체, (2), (3)은 상기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냉동실및 냉장실이다. (4)는 상기 냉동실(2)와 냉장실(3) 사이를 구획하는 중간 간막이벽이다.
(5)는 그 중간 간막이벽(4)내에 형성된 냉기통로를 나타낸다.
(6)은 냉동실(2)의 후부에 설치된 냉각기, (7)은 그 냉각기 (6)하부에 설치된 복사형 서리제거용 관히터이다. (8)은 그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양끝에 부착된 고무 캡으로서, 리이드선(도시하지 않음)의 단말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9)는 냉각기(6)과 서리제거용 관히터(7) 사이에 설치된 히터커버이다. 이 히터커버(9)는 냉각기(6)에서 떨어진 이슬이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닿아 증발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 히터커버(9)는 양끝의 부착다리(9a)를 갖고 서리제거용 관히터(7)측의 고무 캡(8)에 부착되어 있는 것 이외에, 지지다리(9b)를 갖고 상기 냉각기(6)에 걸쳐져 있다.
(10)은 냉각기(6)에서 떨어진 이슬을 받는 통이다.
이 통(1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장고본체(1)로의 발포 단열재 충전시에 설치되는 것이다. (11)은 알루미늄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체이다. 이 보호체(11)은 상기 통(10)이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의해 이상 가열되어 변형하는 것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12)는 상기 통(10)에 모아진 이슬을 냉장고밖으로 배수하기 위해 마련된 드레인이다. 또한,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7)은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냉기통로(5) (냉장실(3)으로 배출된 냉기를 냉각기(6)부로 되돌리는 통로)내에 서리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통상, 이 냉기통로(5)에 대항해서 설치되어 있다.
(13)은 냉동실(2)내를 냉각기(6)에 설치되어 있는 장소와 식품을 넣는 장소로 구획하는 간막이판이다. (14)는 팬 가이드, (15)는 냉기 강제순환용의 송풍기이다. (16)은 중간 간막이벽(4)내에 마련된 냉동실로 되돌리는 냉기통로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구조의 냉장고에 있어서, 통상의 냉각운전은 다음과 같이 해서 실행된다.
즉, 냉각기(6)에서 냉각된 냉기는 냉장고내 강제순환용의 송풍기(15)에 의해 간막이판(13), 팬 가이드(14)를 통해서 냉동실(2)로 배출되는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냉장실(3)에도 냉기통로를 통해서 배출된다.
냉동실(2), 냉장실(3)으로 각각 배출된 냉기를 각 실에서 식품을 냉각한 후, 재차 냉각기(6)부로 되돌아간다. 즉, 냉동실(2)의 냉기는 냉동실로 되돌리는 냉기통로(16)에서, 또 냉장실 냉기는 냉기통로(5)에서 각각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 운전을 반복하고 있는 동안에 냉각기(6)에는 서리가 부착한다. 이 모아진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통전하면,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주위의 냉기가 이 히터(7)에 통전하면,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주위의 냉기가 이 히터(7)에 의해 가열되어 냉각기(6)측으로 상승하고, 냉각기(6)에 부착된 서리를 녹인다. 이 과정에서 녹은 물이 냉각기(6)에서 서리 제거용 관히터(7)을 향해서 낙하한다. 그러나,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7)상부에는 히터커버(9)가 있는 것에 의해 직접 상기 이슬이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닿아 증발음을 발생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또, 이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가열시, 통(10)표면등은 알루미늄제의 보호체(11)로 덮여져 있으므로, 통(10)이 이상하게 가열되어 변형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통(10)전체를 덮는 보호체(1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냉장고로 하고 있지만, 통(10)전체를 덮는 보호체의 코스트는 매우 높게 되는 것 이외에, 냉각기(6)에 히터커버(9), 서리제거용 관히터(7)을 부착하도록 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팬 가이드(14), 간막이판(13)을 떼어 내서 냉각기(6)을 냉동실(2)측으로 끌어낸다.
냉각기(6)의 서비스시, 이 서리제거용 관히터(7)이 중간 간막이벽(4)의 A부에 닿아 냉각기(6)을 끌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알루미늄제의 보호체(11)로 덮을 수 없는 냉기통로(5)내로의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서의 열공급은 특별한 대책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서의 열공급이 너무 많으면, 냉기통로(5)를 형성하는 중간 간막이벽(4)의 단열재가 열변형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발열이 진행함에 따라서 냉각기(6)에 부착한 서리의 용해가 시작되어 히터커버(9)에 상기 이슬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9)가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바로 위에 있을 때에는 상기 히터커버(9)가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떨어지는 이슬을 차단하지만, 히터커버(9)가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때, 즉 부착다리(9a)와 원통 고무캡(8)의 걸어맞춤 상태가 붕괴되어 히터커버(9)가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바로 위에서 벗어났을때에는 상기 이슬이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직접 접촉하여 증발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10)측에 마련하는 부착다리(9a)의 지지력을 증가하는 것등에 의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었지만, 서리제거용 관히터(7)에 히터커버(9)를 부분적으로 조립한 것을 지지다리(9b)에 부착할 때, 또는 냉각기(6)의 서비스시 히터커버(9)에 이상한 힘이 가해져서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원통 고무캡(8)과 부착다리(9a)와의 걸어맞춤부에서 원통 고무캡(8)이 회전하고,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7)의 바로 위에 히터커버(9)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증발음을 방지한다는 관계를 무너뜨리는 일이 때때로 있다.
또한, 이 종류의 냉장고의 예로서는 미국특허 No. 3,394,559호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효율좋게 서리를 제거하여 냉각기의 서비스성이 양호하고, 서리제거시의 증발음을 없앨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냉각기의 하부에 서리제거용 관히터 및 냉각기와 서리제거용 관히터사이에 히터커버를 개재시키도록 한 냉장고에 있어서, 히터커버 및 서리제거용 관히터를 이슬을 받는 통측에 고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것을 제1도~제9도에 도시한 1실시예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중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것을 표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7)은 본 고안에 의한 복사형의 서리제거용 관히터이다.
이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의 양끝부에는 리이드선(도시하지 않음)의 단말을 처리하는 고무캡(18)이 마련되어 있다.
(19)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커버이다. 이 상자형상커버(19)내에 상기 복사형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의 발열부(17a)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자형상 커버(19)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단면형상을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상자형상 커버(19)는 측벽(19a)에 마련한 지지부(19b)에 의해 상기 고무캡(18)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상자형상 커버(19)의 고무캡(18)로의 고착은 히터커버(20)이 제5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측벽(19a)에 마련한 절단구멍(21)에 히터커버(20)의 다리(20a)가 끼워넣어져 측벽(19a)의 화살표방향(P1)로의 확장이 제한되었을때 완성되는 것이다.
(22)는 상기 상자형상 커버(19)의 바닥면등에 마련된 공기 취입구이다. 이 공기취입구(22)로 부터는 냉동실(2)및 냉장실(3)을 냉각한 냉기가 상기 상자형상 커버(19)와 히터커버(20)및 서리제거용 관히터(17)등으로 구성하는 가열실(23)에 공급되는 것이다.
(24)는 상자형상 커버(19)의 수직부재(19c)부 (중간 간막이벽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에 마련한 열림구멍이다. 이 열림구멍(24)는 정확하게 냉장실(3)으로 부터의 되돌아옴 통로(5)에 대향하고 있고,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을 발열시켰을때 이 통로(5)에 알맞는 열량을 공급하는 데 적합한 열림구멍으로 되어 있다.
(25)는 상기 열림구멍(24)의 상부에 마련한 가이드 부재이다. 이 가이드부재(25)는 3~10mm정도의 것이면 좋고, 수직부재(19c)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26)은 냉동실(2)로 부터의 되돌아옴 통로(16)에 대향해서 형성된 절단 창이다. 이 되돌아옴 통로(16)에 대향해서 형성된 절단 창이다. 이 되돌아옴 통로(16)에는 온도차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통로(5)에 비해서 서리가 부착되는 양이 적다. 이것을 고려해서 이 통로(16)에는 상기 통로(5)만큼 열을 공급하지 않기 위한 차양(26a)가 마련되어 있다.
(27)은 공기취입구를 겸해서 상자형상 커버(19)의 바닥면에 마련된 구멍이다. 이 구멍 및 앞서 설명한 공기 취입구(22)의 크기는 통(10)에 서리가 잔존하지 않는 열량을 통(10)으로 할 수 있어 통(10)을 변형시키지 않는 크기의 것이다.
(28)은 통(10)에 마련된 지지다리이다. 이 지지다리(28)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캡(18)을 지지다리(28)의 열림구멍 L에서 지지부(28a)에 위치시켰을때 지지다리(28)이 고무캡(18)을 통(10)상에 고정하는 것이다. (29)는 상자형상 커버(19)의 상부에 뚫려진 공기배출구로서, 서리제거시에 EVP에 부착한 서리를 녹이는 데 충분한 열림구멍 면적을 유지하고 있다.
이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의 냉장고(1)로의 조립은 상기 상자형상 커버(19)의 지지부(19b)에 의해 고무캡(18)을 지지시킨후, 히터커버(20)을 그의 상자형상 커버(19)에 조립하여 상자형상 커버(19)의 확장을 방지시켜서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부분적으로 조립된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을 본체측에 조립된 통(10)의 지지다리(28)에 고무캡(18)부를 조립하는 것이다. (30)은 위치결정용 다리이다. 이 다리(30)은 통(10)과 일체로 형성되고, 냉각기(6)의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따라서, 통(10)을 기준으로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17), 히터커버(20), 냉각기(6)이 부착되게 되므로, 3자간의 위치 어긋남은 없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냉장고에 있어서의 냉동운전은 종래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운전을 실행하지만, 서리제거시에는 냉각기(6)으로 부터의 이슬이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을 향해서 떨어지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히터커버(20)에 의해 방지되는 한편, 서리 제거용 관히터(17)에서 발열되는 열은 여분의 장소 또는 가열해서는 안될 장소에 공급되는 일은 없이 대부분이 상자형상 커버(19)와 히터커버(20)으로 만들어지는 가열실(23)내의 공기온도의 가열에 사용된다. 이것은 히터커버(20), 상자형상 커버(19)가 알루미늄등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복사형 관히터(17)로 부터 원주방향으로 조사된 열선은 필요에 따라서 뚫린 구멍등의 열림구멍부를 제외하고 가열실내에서 난반사하고, 그 결과로서 가열실내의 공기온도를 상승시키는데에 사용된다. 이 때문에, 이 부분에 대류가 발생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잇따라서 가열실 상부에 마련된 공기배출루(29)에서 냉각기측으로 공급되게 되므로, 상기 서리제거가 촉진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있어서, 냉각통로(5) 또는 통의 바닥부에는 열 제어된 것만이 공급되는 것이다.
(18)은 고무캡으로서,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의 양끝에 마련되어 있고, 이 고무캡(18)의 서리제거용 관히터측의 끝부의 대략위부 절반부분에 둑(18a)를 마련하고,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와 히터커버(20)의 부착상태에 있어서, 이 히터커버(20)의 부착다리를 통해서 고무캡(18)에 떨어진 이슬이 상기 고무캡(18)의 둑(18a)를 마련한 것에 의해서 서리제거용 관히터(17)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서리제거시에 이슬이 고온의 서리제거용 관히터(17)의 발열부분(17a)에 직접 떨어져서 큰 증발음을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둑(18a)는 상기 고무캡과 동시에 형성되고, 일반적으로는 휜(fin)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히터커버(20), 즉 서리제거용 관히터(17)에서 복사되는 열선을 차단하는 아래쪽 히터커버(19)를 채택하는 것에 의해서 서리의 부착이 적은 부분이면서 종래의 서리제거용 관히터(17)에서 복사되는 열선에 의해서 직접 가열되고 있던 냉동실의 뒤쪽 벽면이나 통부(10)으로의 열복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열변경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착하고 있던 알루미늄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히터커버(20)의 내면측으로 복사된 열선은 이 내면에서 반사하여 위쪽에 설치된 냉각기를 가열하는데 일조하는 것중의 하나로 되는 것이다.
이 원통 고무캡(18)은 통(10)에서 수직으로 마련된 지지다리(28)에 위쪽방향으로 부터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지지다리(28)은 2개의 탄성부재로 형성하며, 또한 그 삽입부의 열림구멍의 넓이를 원통 고무캡(18)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원형 고무캡(18)에 마련된 회전방지용 돌기부(18b)를 삽입부의 열림구멍 넓이의 칫수와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
실시예 2의 지지다리(28)은 지지부의 아래쪽에 회전방지용의 홈(28a)를 갖고 있으며, 지지부에 원통 고무캡(18)을 끼웠을때에 원통 고무캡(18)을 끼웠을때의 원통 고무캡(18)의 회전방지용 돌기부(18b)가 지지다리(28)의 홈에 걸어맞추어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20)은 서리 제거시에 냉각기(6)에서 떨어지는 이슬이 고온으로 된 서리제거용 관히터(17)에 접촉해서 증발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서리 제거용 관히터(17)위에 부착된 히터커버이며, 히터커버(20)이 회전하지 않도록 히터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다리(28)에 의해 원통 고무캡(18)을 끼우며, 또한 원통 고무캡(18)의 회전방지용 돌기와 히터커버(20)의 지지다리(28)의 지지부 하부의 열림구멍의 넓이의 칫수를 대략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원통 고무캡(18)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히터커버(20)이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의 냉각기(6)에 부착한 서리의 융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진행된다. 한편, 지지다리(28)과 원통 고무캡(18)과의 걸어맞춤 관계는 원통 고무캡(18)의 회전방지용 돌기(18b)가 지지다리(28)에 형성된 열림구멍, 홈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실행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원통 고무캡(18)은 지지다리(28)내에서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효율좋은 서리제거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냉각기의 서비스시에는 서리제거용 관히터에 관계없이 냉동실측으로 냉각기를 끌어낼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통측에 마련한 위치결정용 다리에 의해 냉각기의 통에 부착오차를 작게 하고 있으므로, 히터커버의 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서리제거용 관히터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공기의 상승을 저해하는 일이 적은 것이다.
종래와 같이 큰 보호체를 마련하는 일없이 통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냉기통로내를 이상가열하여 열변형시키는 일이 없는 것이다.
원통 고무캡에 둑을 마련한 것이므로, 서리제거시의 이슬방울은 히터커버의 지지다리를 통해서 고무캡으로 부터 통부(10)을 거쳐서 드레인으로 배출되므로, 서리제거시의 서리제거용 관히터로의 물방울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서리제거시의 증발음을 없앨 수가 있는 것이다.
수송시의 진동 또는 부착, 서비스시등에 의해 히터커버등이 회전하여 히터커버등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피부착제인 통측에 삽입부와 지지부를 갖는 지지다리를 2개의 탄성체로 형성하고, 또한 그 삽입부의 열림구멍의 넓이를 원통 고무캡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 고무캡에 마련한 회전방지용 돌기를 삽입부의 열림구멍의 넓이의 칫수에 대략 일치시킨 것에 의해서, 히터커버등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히터가 지지다리로 부터 부상하여 걸어맞춤관계가 해제되는 것도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지지부의 아래쪽에 회전방지용의 오목부 또는 홈을 갖는 지지다리를 통측에 마련하여 지지부에 원통 고무캡을 끼웠을때, 원통 고무캡의 회전방지용 돌기부를 지지다리측의 오목부 또는 홈에 걸어맞춘 것에 의해, 서리제거용 관히터를 냉장고에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히터커버등의 회전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냉동실, 상기 냉동실 내부에 마련된 냉각기, 상기 냉각기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서리제거용 관히터,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상기 서리가 녹는 이슬을 받는 통,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를 내장하는 상면이 개방된 금속제의 상지 형성커버,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와 상기 상자형상 커버로 가열실을 형성하는 금속제의 히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자형상 커버는 바닥면에 통의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구멍(27)및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기 취입구(22)를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냉장고 본체의 내부를 중간 간막이벽(4)로 구획해서 형성된 냉동실(4)로 구획해서 형성한 냉동실(2) 및 냉장실(3), 상기 냉동실 내부에 마련된 냉각기, 양끝부에 고무캡을 가지며, 상기 냉각기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기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를 녹이는 서리제거용 관히터, 상기 중간 간막이벽(4)의 뒤쪽 위끝에서 아래쪽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서리가 녹은 이슬을 받는 부분과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수납부를 겸하는 통, 상기 냉각기와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와의 사이의 공간및 서리제거용 관히터와 통과의 사이의 공간에 각각 위치된 금속판으로 구성된 커버, 상기 통측에서 수직방향의 위쪽방향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위쪽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고무캡의 삽입부착용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커버는 상기 고무캡을 거쳐서 상기 지지다리의 지지부에 절연 보호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냉각기, 상기 냉각기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상기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를 녹이는 서리제거용 관히터,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상기 서리가 녹은 이슬을 받는 통,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끝부를 전기 절연하는 고무캡, 상기 고무캡이 걸어맞춰져서 부착되는 지지다리, 상기 냉각기와 상기 서리제거용 관히터사이에 위치되어 서리제거용 관히터의 위쪽을 덮는 히터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커버는 상기 고무캡을 거쳐서 상기 지지다리에 부착되고, 상기 고무캡은 상기 지지다리와의 걸어맞춤 부분에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돌기부가 걸어맞춰져서 회전이 방지되는 오목부 또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40000256U 1984-10-05 1994-01-10 냉장고 KR94000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256U KR940002912Y1 (ko) 1984-10-05 1994-01-10 냉장고
KR2019940023642U KR940008183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KR2019940023643U KR940008184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208124 1984-10-05
JP59208123A JPH0718638B2 (ja) 1984-10-05 1984-10-05 冷蔵庫
JP20812484A JPS6186568A (ja) 1984-10-05 1984-10-05 冷蔵庫
JP84-208140 1984-10-05
JP59208140A JPH0613948B2 (ja) 1984-10-05 1984-10-05 冷蔵庫
JP21834584A JPS6199078A (ja) 1984-10-19 1984-10-19 冷蔵庫
JP84-218345 1984-10-19
KR1019850007253A KR860003482A (ko) 1984-10-05 1985-10-02 냉 장 고
KR2019940000256U KR940002912Y1 (ko) 1984-10-05 1994-01-10 냉장고
JP84-208123 1994-10-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53A Division KR860003482A (ko) 1984-10-05 1985-10-02 냉 장 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643U Division KR940008184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KR2019940023642U Division KR940008183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912Y1 true KR940002912Y1 (ko) 1994-05-02

Family

ID=275538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256U KR940002912Y1 (ko) 1984-10-05 1994-01-10 냉장고
KR2019940023643U KR940008184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KR2019940023642U KR940008183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643U KR940008184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KR2019940023642U KR940008183Y1 (ko) 1984-10-05 1994-09-13 냉장고(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40002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049A (ko) * 2002-12-11 2004-06-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스톱밸브의 스핀들캡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049A (ko) * 2002-12-11 2004-06-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스톱밸브의 스핀들캡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184Y1 (ko) 1994-11-29
KR940008183Y1 (ko) 1994-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3186B1 (en) Refrigerator
JP5008513B2 (ja) 冷却貯蔵庫
KR940002912Y1 (ko) 냉장고
JPH0854172A (ja) 冷蔵庫
JP3647727B2 (ja) 冷却貯蔵庫
KR200336685Y1 (ko) 제상히터를지지하는브라켓을구비한냉장고
KR910000731Y1 (ko) 냉각기의 서리제거장치
KR100588134B1 (ko) 냉장고
JPH0563713B2 (ko)
JP2635449B2 (ja) 冷凍冷蔵庫の冷却器の構造
JPS6186567A (ja) 冷蔵庫
JP4500645B2 (ja) 冷蔵庫
KR100593630B1 (ko) 냉장고의 집수부 구조
KR20050016027A (ko) 냉장고
EP3435010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evaporator
KR920004112Y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JPS6078269A (ja) 冷蔵庫
JP2005291522A (ja) 冷却貯蔵庫
JPH068712B2 (ja) 冷蔵庫
JPH068713B2 (ja) 冷蔵庫
KR100420362B1 (ko) 도어 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
JPS6189472A (ja) 冷蔵庫
KR100260726B1 (ko) 냉장고
JPS60178279A (ja) 冷蔵庫
JPH0627606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