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83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837A
KR20040079837A KR1020040005222A KR20040005222A KR20040079837A KR 20040079837 A KR20040079837 A KR 20040079837A KR 1020040005222 A KR1020040005222 A KR 1020040005222A KR 20040005222 A KR20040005222 A KR 20040005222A KR 20040079837 A KR20040079837 A KR 2004007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metal tube
glass tub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꾸찌요시떼루
아라까와겐이찌
와까따베다께시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연성 냉매를 이용한 냉장고에 있어서, 저렴한 구조이고, 증발기로부터 적하되는 제상수가 접촉해도 파손의 우려가 없어 가연성 냉매의 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냉장고(2)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7)와, 증발기(7)의 근방에 설치한 제상 히터(13)를 구비한다. 제상 히터(13)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14)과, 히터선(14)을 수납한 내부 유리관(15)과, 내부 유리관(15)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이중관이 되도록 형성한 외부 금속관(16)을 갖는다. 외부 금속관(16)의 표면 온도가 히터선(14)의 발열시에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연성 냉매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을 구비한 냉장고에 적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 내를 통과하는 냉매가 증발기 표면에 접촉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하고, 이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냉기로서 순환 팬에 의해 고 내로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발기가 증발기 주변의 공기 중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고 내를 냉각할 때에, 운전 중에 증발기의 표면에 착상한다. 그로 인해, 증발기의 하방에 제상용 유리관 히터를 구비하고, 제상용 유리관 히터의 복사열에 의해 증발기에 부착되어 있는 서리를 녹여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냉매에는 HFC계 냉매가 사용되어 왔지만, HFC계 냉매가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가 되므로, 지구 온난화 계수가 낮은 탄화수소계 냉매가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탄화수소계 냉매는 가연성 냉매이다.
탄화수소계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가연성 냉매가 고 내로 누설되면, 고 내가 밀폐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가연성 냉매가 제상용 유리관 히터의 주변 또는 고 내에 저장되기 쉽고, 제상용 유리관 히터의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로 상승한 경우에는, 누설된 가연성 냉매가 인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257831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리관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 미만이 되도록 다중 유리관 구조로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이용되는 제상용 유리관 히터는 양단부가 밀폐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이 된 원통형 유리관과, 이 유리관 내에 조립된 히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히터 양단부가 유리관용 캡으로 밀폐된 원통형의 다중 유리관 내에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이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5783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증발기의 제상시에, 증발기로부터 적하되는 제상수가 가열된 제상용 유리관 히터로 접촉한 경우에, 유리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상용 유리관 히터의 상방에 제상수 접촉 방지용 금속제 지붕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지붕을 설치하는 구조는 지붕을 부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고비용이 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구조이고, 증발기로부터 적하되는 제상수가 접촉해도 파손의 우려가 없고, 가연성 냉매의 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과 유리점은 이하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냉장고에 이용하는 제상 히터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제상 히터의 단부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4는 도2의 제상 히터에 이용하는 금속관용 캡의 구조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고
3 : 냉장실 도어
4 : 야채실 도어
5 : 냉동실 도어
6 : 압축기
7 : 증발기
8 : 냉각용 팬
9 : 전동 댐퍼
10 : 냉장실
11 : 야채실
12 : 냉동실
13 : 제상 히터
14 : 히터선
15 : 내부 유리관
16 : 외부 금속관
17 : 유리관용 캡
18 : 제어부
19 : 금속관용 캡
20 : 배수 홈
21 : 리브
22 : 지붕부
23a : 볼록부
23b : 오목부
24a : 보유 지지면
24b : 밀봉면
25 : 테이퍼부
26 : 공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근방에 설치한 제상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상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수납한 내부 유리관과,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이중관이 되도록 형성한 외부 금속관을 갖고, 상기 외부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가로로 길게 설치한 제상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상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수납한 내부 유리관과, 상기 내부 유리관 내를 밀폐하는 유리관용 캡과,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이중관이 되도록 형성한 외부 금속관과, 상기 외부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와 상기 내부 유리관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외부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 열절연성의 금속관용 캡을 갖고, 상기 외부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추가되는 그 밖의 구성은 이하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냉장고(2)는 냉장고 본체(1) 및 도어(3 내지 5)에 의해 식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고 내)(10 내지 11)을 구성하고 있다. 저장실(10 내지 12)은, 통상 도어(3 내지 5)가 폐쇄되어 밀폐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각 저장실(10 내지 12)은 냉기 통로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1)는 외부 상자, 단열재 및 내부 상자로 이루어져 있다. 냉장고 본체(1)의 전방면에는 냉장실 도어(3), 야채실 도어(4), 냉동실 도어(5)가 부착되고, 냉장실(10), 야채실(11), 냉동실(12)이 형성되어 있다.
냉장고(2)는 고 내를 냉각하기 위해, 냉동 사이클, 냉각용 팬(8) 및 전동 댐퍼(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6), 응축기(도시하지 않음), 감압 장치(도시하지 않음), 증발기(7) 등을 배관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내에 밀봉되는 냉매로서는, 누설되어도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R290(프로판)이나 R600a(이소부탄) 등의 탄화수소계 냉매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탄화수소계 냉매는 가연성 냉매이다. 압축기(61)는 냉장고 본체(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7)는 플레이트 핀 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고, 고 내[구체적으로는 냉동실(12)의 배면부에 형성된 증발기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팬(8)은 증발기(7)에서 냉각된 냉기를 각 저장실(10 내지 12)에 순환하도록 증발기(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용 팬(8)은 블레이드와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댐퍼(9)는 증발기(7)로부터의 냉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냉기 통로의 도중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7)의 근방에는 제상 히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상 히터(13)는 증발기(7)에 착상한 서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증발기(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상 히터(13)는 증발기(7)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가로로 길게 설치되고, 제상 히터(13)와 증발기(7) 사이에는 지붕 등의 차폐물이 개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냉장고의 제상은 냉동 사이클의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제상 히터(13)에 통전함으로써, 제상 히터(13)로부터의 방사열로 증발기(7)에 부착한 서리를 가열하여 용융함으로써 행해진다. 제상 히터(13)는 제어부(18) 및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통전이 온, 오프 제어된다.
다음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제상 히터(13)의 구체적 구성에 관련지어 더 설명한다.
제상 히터(13)는 히터선(14)과, 내부 유리관(15)과, 실리콘 고무제의 유리관용 캡(17)과, 외부 금속관(19)과, 세라믹제의 금속관용 캡(19)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히터선(14)은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 유리관(15) 내에 수납되어 있다. 유리관용 캡(17)은 내부 유리관(15) 내를 밀폐하는 동시에, 히터선(14)의 내부 유리관(15)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유리관(15) 내는 진공화되어 있다. 외부 금속관(16)은 내부 유리관(15)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내부 유리관(15)으로 이중관을 형성하고 있다. 금속관용 캡(19)은 외부 금속관(16)의 단부 개구부와 유리관용 캡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외부 금속관(16)과 내부 유리관(15)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리관용 캡(17) 및 금속관용 캡(19)은 내부 유리관(15) 및 외부 금속관(16)의 양단부에 대략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금속관(16)은 열효율 및 열전도율이 양호한 알루미늄관으로 형성되어있다. 이에 의해, 제상 히터(13)의 경량화 및 제상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은 철(비중 7.87)이나 동(비중 8.93) 등의 금속 재료에 비해 비중 2.71과 약 3분의 1로 경량이다. 또한, 열전도성에 있어서도 철의 약 3배(알루미늄 : 180 ㎉/mㆍhrㆍ℃, 철 : 47 ㎉ㆍmㆍhrㆍ℃)로 양호하고, 제상 히터(13)의 외관으로 함으로써 제상 히터(13)의 표면 온도를 균일화할 수 있어 제상 시간의 단축 및 에너지 절약으로 연결된다. 또는,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는 치밀하고 안정된 산화피막을 생성하여 이 피막이 부식을 방지하므로, 증발기(7)로부터 적하되는 제상수 등의 접촉에 의한 적녹이 생기는 일이 없어 유리관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알루미늄은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상 히터(13)의 제작이 가능하다.
내부 유리관(15) 및 외부 금속관(16)의 표면 온도가 히터선(14)의 발열시에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히터선(14)의 발열 온도나 각 요소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동 사이클 내의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었다고 해도 제상 히터(13)에 의해 가연성 냉매에 인화되는 일 없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서, 제상 히터(13)의 단부의 구체적 구조에 관련지어 설명한다. 도3은 도2의 제상 히터(13)의 단부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고, 도4는 금속부 캡(19)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4의 (a)는 금속관 캡(19)의 정면 외관도, 도4의 (b)는 금속관 캡(19)의 측면 외관도, 도4의 (c)는 금속관 캡(19)의 측면 단면도이다.
금속관용 캡(1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열전도성이 좋은 외부 금속관(16)으로부터의 열 및 내부 유리관(15)을 통한 열에 의해 유리관용 캡(17)이 가열되어 과도하게 온도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금속관용 캡(19)은 증발기(7)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수율이 작은 것이 필요한 동시에, 내부 유리관(15) 및 외부 금속관(16)으로부터 유리관용 캡(17)에의 방열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작은 것(환언하면, 열절연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또는 증발기(7)의 냉각 및 히터선(14)의 가열의 단속에 의한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열팽창계수가 작고 또한 내열충격성에 강한 것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관용 캡(19)으로서 애자를 이용함으로써,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냉장고(2)에서는 증발기(7) 및 제상 히터(13)에 의해 냉열 및 가열 운전이 반복되므로 외부 금속관(16)과 내부 유리관(15) 사이의 공간에 공기 중의 수분 및 고무 캡(17) 부근에 부착한 물방울이 관 내에 흡입되고, 내부에 저장되어버려 내부 유리관(15)의 파손 등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관용 캡(19)의 하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20)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 금속관(16)과 내부 유리관(15) 사이에 수분이 흡입되었다고 해도 배수 홈(20)으로부터 물이 발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내부 공간에 저장되어 내부 유리관(15)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배수 홈(20)은 금속관용 캡(19)과 외부 금속관(16)의 접촉면의 최하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유리관(15)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수분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 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금속관용 캡(19)의 측단부의 내주에 복수의 리브(21)가 설치되고, 내부 유리관(15)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금속관용 캡(19)과 내부 유리관(15)의 접촉면이 작아져 유리관용 캡(17)에의 열전달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리브(21)는 4개로 형성되어 약 45도의 각도를 갖고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21) 사이에는 하부 공간(30)이 형성되어 금속관용 캡(19)의 내부에 침입한 물의 배수 홈(30)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금속관용 캡(19) 내로 진입하고 물이 배수 홈(30)으로부터 배출되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관용 캡(19)은 그 측면을 유리관용 캡(17)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이 접촉부의 상방을 덮도록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지붕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7)로부터 제상시에 떨어지는 제상수가 유리관용 캡(17)과 애자 캡(19) 사이로부터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붕부(22)는 그 상면을 원형 등의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제상수가 상면에 잔류되지 않고 하방으로 용이하게 흘러 내려가도록 되어 있다.
유리관용 캡(17)의 외주에 끼워 맞추는 복수의 돌출부(22, 23)가 금속관용 캡(19)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부 돌출부(22)는 지붕부와 공용되어 있다. 하부 돌출부(23)의 상면(23a)은 외측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령 유리관용 캡(17)과 애자 캡(19) 사이로 제상수가 진입해도 상면 경사면(23a)에 의해 제상수가 외부로 나오기 쉬운 구조가 되어 유리관용 캡(17)과 애자 캡(19)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23)는 동일 원주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돌출부(23)와 지붕부(22)는,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금속관용 캡(19)을 수평으로 작업 및 가공할 수 있으므로 성형 작업성 및 소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왜곡 및 파손이 없는 금속관용 캡(19)을 제작할 수 있다.
유리관용 캡(17)의 외주로 돌출시켜 형성한 볼록부(23c)와 금속관용 캡(19)의 내주에 오목하게 하여 형성한 오목부(23b)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리관용 캡(17)과 금속관용 캡(19)이 끼워 맞추어졌을 때, 금속관용 캡(19)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21)의 외주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보호관 보유 지지 통부(28)가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외부 금속관(16)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보호관 보유 지지 통부(28)에 의한 외부 금속관(16)과의 보유 지지면(24a)은 제상 히터(13)의 길이 방향에 길게 설치되어 있다. 또는, 보호관 보유 지지 통부(28)의 중앙측 내주에 내부 유리관(15)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부(29)의 밀봉면(24b)도 제상 히터(13)의 길이 방향에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관용 캡(19)과 외부 금속관(16)의 보유 지지면 및 금속관용 캡(19)과 내부 유리관(15)과의 밀봉면을 길게 한 것에 의해, 외부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된 가연성 냉매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관용 캡(19)은 내부 유리관(15) 및 외부 알루미늄관(16)의 삽입구에 테이퍼(25)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관의 삽입이 쉬워 삽입시에 있어서의 금속관용 캡(1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의 보유 지지에 있어서, 외부 금속관(16)의 측단부의 측방에 공간(26)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은 외부 금속관(16)의 단부와 금속관용 캡(19)의 벽면과의 사이의 간극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외부 금속관(16)이 열팽창하고 변형하여 단부가 신장하는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금속관(16)이 히터선(14)에 의한 가열 및 증발기(7)에 의한 냉각으로 열팽창 및 열수축해도 그것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내부 유리관(15) 및 외부 금속관(15)을 구비한 이중관 구조로 하는 동시에, 제상 히터(13)의 표면 온도가 가연성 냉매가 발화되지 않는 온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사태가 생겨도 제상 히터(13)의 표면에서 가연성 냉매의 발화 온도에 이르지 않는다. 이 발화 온도는 냉장고 내부, 특히 증발기 주위의 공기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가연성 가스의 발화점 온도 20 ℃보다 낮은 온도로 할 수 있는 것을 해명하였다.
또한, 금속관용 캡(19) 외부 금속관(16)을 사용함으로써, 증발기(7)로부터 떨어지는 제상수에 의한 내부 유리관(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유리관 파손 방지용인 별개의 부재의 지붕을 삭제할 수 있어, 저비용에서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외부 금속관(16)을 사용함으로써, 제상 히터(13)의표면 온도가 균일화되어 효율이 양호한 제상이 가능하고, 제상 시간의 단축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상 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 절약으로도 연결된다.
또는, 세라믹제의 금속관용 캡(19)을 사용함으로써, 유리관용 캡(17)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리관용 캡(17)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금속관용 캡(19)에 고무 캡 보호용 지붕부(22)나 리브(23)를 설치함으로써, 또한 금속관용 캡(19)의 하부에 배수 홈(30)을 마련함으로써 유리관용 캡(17)측으로부터의 제상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가령 물이 침입해도 배수 홈(30)으로부터 토출되므로 내부 유리관(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금속관(16)과 금속관용 캡(19) 및 내부 유리관(15)과의 접촉면을 각각 길게 함으로써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어도 그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인화에는 이르지 않는다. 가령, 내부 유리관(15)과 외부 금속관(16) 사이에 가연성 냉매가 침입해 와도 작은 공간의 속이고, 산소량도 제한되므로 인화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한, 직경이 다른 복수의 유리관(15)을 이용한 다중관 구조로 해도 좋다. 제상 히터(13)는, 예를 들어 외부 금속관에 메쉬 금속관이나 메쉬 스테인레스관 등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구조이고, 증발기로부터 적하되는 제상수가 접촉해도 파손의 우려가 없어 가연성 냉매의 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근방에 설치한 제상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상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수납한 내부 유리관과,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이중관이 되도록 구비되는 외부 금속관을 갖고,
    상기 외부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구성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유리관에 강화 유리를 이용하는 동시에, 외부 금속관에 알루미늄관을 이용한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와 상기 내부 유리관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외부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 금속관용 캡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관용 캡으로서 열절연성의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냉장고.
  4.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바로 아래에 대향하여 가로로 길게 설치한 제상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상 히터는 금속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히터선과, 상기 히터선을 수납한 내부 유리관과, 상기 내부 유리관 내를 밀폐하는 유리관용 캡과,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부를 덮어 그 사이에 공간을 갖고 이중관이 되도록 구비되는 외부 금속관과, 상기 외부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와 상기 내부 유리관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외부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 열절연성의 금속관용 캡을 갖고,
    상기 외부 금속관의 표면 온도가 상기 히터선의 발열시에 상기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구성한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리관과 상기 외부 금속관으로 형성한 공간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을 상기 금속관용 캡의 하부에 마련한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단부의 내주에 복수의 리브를 설치하여 상기 내부 유리관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리브의 외주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보호관 보유 지지 통부를 형성하여 그 외주부에 상기 외부 금속관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보호관 보유 지지부의 중앙측 내주에 상기 내부 유리관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로 침입한 물의 배수 홈으로 한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면을 상기 유리관용 캡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이 접촉부의 상방을 덮도록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지붕부를 형성한 냉장고.
  8. 제4항에 있어서, 열절연성의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면을 실리콘 고무제의 상기 유리관용 캡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소결용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소결용 리브의 상면을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 냉장고.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주를 상기 유리관용 캡의 내주에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 금속관의 내주를 상기 금속관용 캡의 외주에 보유 지지하고, 상기 각각의 보유 지지면을 제상 히터의 길이 방향에 길게 설치한 냉장고.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용 캡의 외주로 돌출시켜 형성한 볼록부와 상기 금속관용 캡의 내주에 오목하게 하여 구성되는 오목부를 끼워 맞춘 냉장고.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용 캡의 보유 지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금속관의 측단부의 측방에 공간을 구비한 냉장고.
  12. 상기 외부 금속관의 단부 개구부와 상기 유리관용 캡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외부 금속관과 상기 유리관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 금속관용 캡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관용 캡으로서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관용 캡의 내주에 상기 내부 유리관의 외주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외부 금속관의 내주를 상기 금속관용 캡의 외주에 보유 지지하고, 상기 금속관용 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결용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부와 상기 소결용 리브의 외주를 동일 원주면이 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KR1020040005222A 2003-03-07 2004-01-28 냉장고 KR20040079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1030A JP2004271014A (ja) 2003-03-07 2003-03-07 冷蔵庫
JPJP-P-2003-00061030 2003-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837A true KR20040079837A (ko) 2004-09-16

Family

ID=3312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222A KR20040079837A (ko) 2003-03-07 2004-01-28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71014A (ko)
KR (1) KR20040079837A (ko)
CN (1) CN1527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26B1 (ko) * 2004-10-12 2007-04-1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9608B (zh) * 2007-11-22 2012-07-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CN106231704A (zh) * 2016-08-19 2016-12-14 安徽省宁国市天成电气有限公司 一种空气加热装置
CN107101258A (zh) * 2017-06-15 2017-08-29 中创杰能(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光电供热技术
CN107062369A (zh) * 2017-06-15 2017-08-18 中创杰能(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光电供热装置
CN112469951B (zh) * 2019-01-31 2022-04-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除霜加热器和具有除霜加热器的冷藏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26B1 (ko) * 2004-10-12 2007-04-1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71014A (ja) 2004-09-30
CN1527013A (zh)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276B1 (ko) 냉장고 및 서리 제거용 히이터
JP2008116126A (ja) 冷蔵庫
KR100659649B1 (ko) 냉장고
KR20040079837A (ko) 냉장고
KR20040007207A (ko) 가정용 냉장고의 제상히터
JP2004190959A (ja) 冷蔵庫
JP4547798B2 (ja) 冷蔵庫
JP4111247B2 (ja) 冷蔵庫の除霜用ヒータの設置方法
JP4120181B2 (ja) 加熱用ヒータの設置方法
JP2005226865A (ja) 冷蔵庫
JP4332485B2 (ja) 冷蔵庫
JP2006010152A (ja) 冷蔵庫
JP2006010151A (ja) 冷蔵庫
KR20050016027A (ko) 냉장고
JP3482406B2 (ja) 冷凍冷蔵庫
JP2006112640A (ja) 冷蔵庫
KR101031132B1 (ko) 냉장고
JP3482405B2 (ja) 冷蔵庫
KR100592671B1 (ko) 냉장고
KR100340055B1 (ko) 제상기능이 향상된 냉장고
KR100546675B1 (ko) 직냉식 냉장고의 방열구조
KR100288263B1 (ko) 냉장고의제상장치
JP4945600B2 (ja) 冷蔵庫
JP2002195735A (ja) 除霜ヒーター及び冷蔵庫
JP3964443B2 (ja) 蒸発器の除霜手段及びこの除霜手段を備えた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