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988A -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988A
KR20050013988A KR10-2004-7002896A KR20047002896A KR20050013988A KR 20050013988 A KR20050013988 A KR 20050013988A KR 20047002896 A KR20047002896 A KR 20047002896A KR 20050013988 A KR20050013988 A KR 2005001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retardation film
oriented
follow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찌야마아끼히꼬
오노유헤이
이께다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6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halo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플루오렌환을 갖고, 유리전이점온도가 165℃ 이상인 특정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 90℃, 500시간 열처리한 후의 열수축률이 0.1% 이하이고, 그리고 파장 450㎚ 에서의 필름면내 위상차 R(450) 대 파장 550㎚ 에서의 필름면내 위상차 R(550) 의 비가 1 ~ 1.06 사이에 있는 일축 내지 이축 배향 필름. 이 필름은 수직배향방식 등의 고품위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액연 문제를 거의 해결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POLYCARBONATE ALIGNMENT FILM AND PHASE DIFFERENCE FILM}
위상차 필름은 액정표시장치의 STN (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 방식 등에 사용되고, 색보상, 시야각확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색보상용의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아모르퍼스폴리올레핀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시야각 확대용의 위상차 필름 재료로서는 상기 서술한 재료에 추가하여 고분자액정, 디스코틱 액정 등도 사용되고 있다.
전압 오프 상태에서 기판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액정이 배향되는 수직배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그 높은 콘트라스트, 넓은 시야각 때문에 이미 모니터나 텔레비젼 등에서의 이용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넓은 시야각을 얻기 위해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1997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international symposium digest of technical papers 의 845 ~ 848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비스페놀A 를 출발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호모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이미 상기 서술한 STN 방식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특히 수직배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STN 방식 보다도 더욱 고품위인 점에서 종래의 STN 방식에서 사용되었던 폴리카보네이트 재료를 사용한 위상차 필름에서는 충분한 표시품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폴리카보네이트 호모중합체를 사용한 위상차 필름을 편광 필름과 접합시키는 공정에서의 응력, 이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편광필름과 액정표시장치를 접합시키는 공정에서의 응력 혹은 고온하 또는 고온다습하의 내구시험시에 발생되는 편광필름의 수축응력 등에 의해, 이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수치나 광학축의 변화가 발생되고,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특히 전면 흑색표시일 때의 화면에 휘도편차를 일으켜 표시품위를 열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휘도편차가 출현하는 장소는 액정표시장치의 모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의 4변의 둘레가장자리변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하 본 특허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액연(額緣) 현상이라고 하고, 이 문제를 액연 문제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위상차 필름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가 흡수율이 높은 등의 이유로 분자배향의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특히 면내에서 고배향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동일한 이유로 면내에서 이방성의 편차를 억제하기도 곤란하다. 또 노르보르넨 골격 등의 환상 골격을 갖는 폴리올레핀에서는, 일반적으로 광탄성 상수는 낮지만 고유 복굴절도 작은 점에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필요한 위상차를 얻기 위해서는 고배율의 연신을 필요로 한다. 또 높은 유리전이점을 얻기 위해 노르보르넨 골격 등의 부피가 큰 분자구조를 채용한 결과, 내충격성, 핸들링성, 연신성이 부족하고, 필름이 균열되기 쉽고 또한 파단이 많은 등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나 생산성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향족계 폴리카보네이트 중, 방향환 2개가 어느 종류의 결합기를 통해 결합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비스페놀) 을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적절한 유연성이 부여되고 높은 유리전이점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STN 모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스페놀A 골격을 가진 호모중합체에서는, 핸들링성이나 연신성에 문제는 없지만, 상기 서술한 액연 문제가 있고, 고품위가 요구되는 수직배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것은 곤란하다.
폴리카보네이트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또 이를 위상차 필름에 적용한 예도 많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4666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82624호에는 비스페놀A 골격 이외의 디히드록시 성분을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지방족계와 방향족계의 둘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는, 광탄성 상수가 낮지만 유리전이점 온도가 낮고 또 생산성이 나쁘다는 이유에서 위상차 필름용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지 않다. 액연 현상의 원인의 하나는, 편광판의 수축에 의해 발생된 응력이, 위상차 필름에 점착층을 통해 전파되고,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가 변화됨으로써 일어난다. 따라서 광탄성 상수가 보다 낮은 위상차 필름이 응력에 대한 위상차 변화가 작아지므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한편 방향족계 폴리카보네이트는 생산성도 좋고, 또 방향환이 있는 것에 의해 유리전이점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광탄성 상수가 비교적 크다는 문제가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광탄성 상수를 낮추는 시도도 이미 실행되고 있고, 몇개의 호모중합체, 공중합체의 제안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에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 방향환의 존재에 의해, 상기 서술한 노르보르넨 골격 등의 부피가 큰 관능기를 가진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시판되는 광학필름 정도로 광탄성 상수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폴리카보네이트는 핸들링의 양호함이나 성형성 면에서 상기 폴레올레핀보다도 우수하지만, 특히 높은 유리전이점 온도를 실현한 상태에서 광탄성 상수를 낮추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5398호에는, 하기 식 (a)
여기에서 R1~ R4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페닐기, 탄소수 1 ~ 3의 알킬기로 표시되는 구성단위 및 하기 식 (b)
여기에서 W 는 단결합, 알킬리덴기, 시클로알킬리덴기, 페닐치환 알킬리덴기, 술폰기, 술파이드기 또는 옥사이드기이고, R5와 R6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페닐기,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고 그리고 m 과 n 은 1 ~ 4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로 이루어지고, 구성단위 (b) 의 함유량이 41 ~ 95몰%인 고굴절률, 저복굴절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 동 공보의 실시예에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과 비스페놀A 를, 전자:후자의 몰비 85/15 (실시예 1), 75/25 (실시예 2) 및 50/50 (실시예 3) 으로 사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파우더) 를, 염화메틸렌에 용해하여 필름을 얻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의 일축 또는 이축연신 필름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그리고 또 이들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대해서도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8232호에는, 하기 식 (c)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몰% 이상 함유하고, 유리전이온도가 160℃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고, 80℃ 에서 500시간 열처리한 후의 열수축률이 0.07% 이하이고, 초미소경도계로 측정한 경도가 16㎏/㎟ 이상이고, 두께가 10 ~ 200㎛이고 그리고 파장 550㎚ 에서의 위상차 (R(550)) 가 식 ┃R(550)┃ ≤20㎚ 을 만족하는 광학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 실시예 7 에는, 하기 식
으로 표시되는 비스페놀 화합물 30몰%와 비스페놀A 70몰%를 사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캐스트필름을 얻어, 이것을 196℃ 에서 1.5배로 일축연신하여 R(550) 이 5.0㎚인 광학 필름을 얻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그 용도로서의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한 수직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일례의 단면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한 수직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예의 단면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한 수직배향형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예의 단면개략도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의 재료인 고분자는 플루오렌환을 가진 특정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즉, 하기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폴리카보네이트를 구성하는 반복단위 전체의 30 ~ 60몰%, 바람직하게는 30몰%를 초과하고 60몰% 이하를 차지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여기에서 상기 식 (I) 에 있어서, R1~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기 및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O-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기이다. 이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와 같은 알킬기, 페닐기와 같은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R1과 R3의 한쪽이 수소원자이고, 다른 한쪽이 메틸기이고 그리고 R6과 R8의한쪽이 수소원자이고, 다른 한쪽이 메틸기인 것이 취급성 등이 우수하다.
X 는 하기 식
으로 표시되는 기 (플루오렌성분) 이다. R30, R31은 각각 독립하여 할로겐원자 또는 메틸기와 같은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다. n 및 m 은 0 ~ 4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 재료로서는 상기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식 (II)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식 (I) 및 (II) 의 합계에 의거하여 상기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35 ~ 60몰%를 차지한다.
상기 식 (II) 에 있어서, R9~ R1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및 탄소수 1 ~ 22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기이고, Y 는 하기 식의 각각으로 표시되는 기 :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기이다. 여기에서 Y 중의 R17~ R19, R21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 아릴기와 같은 탄소수 1 ~ 22의 탄화수소기이고, R20및 R23은 알킬기, 아릴기와 같은 탄소수 1 ~ 20의 탄화수소기이고, 또 Ar1~ 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와 같은 탄소수 6 ~ 10의 아릴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식 (III)
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전체반복단위의 45 ~ 55몰%와, 하기 식 (IV)
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전체반복단위의 55 ~ 45몰%를 차지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상기 식 (III) 에서 R24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4와 R25의 모두가 메틸기이다.
상기 식 (IV) 에서 R26과 R27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공중합체이거나 폴리머 혼합물 (블렌드체, 블렌드 폴리머) 이어도 된다. 2종류 이상의 공중합체의 조합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호모폴리머끼리 혹은 호모폴리머와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식 (I) 의 반복단위가 60몰%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위상차 파장분산특성을 나타내는 하기 식 (1) 을 만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30몰% 미만에서는, 하기 식 (1) 을 만족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점온도도 165℃ 이상인 것을 얻는 것도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액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리전이점온도가 165℃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또한 광탄성 상수는 낮은 것이 액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바람직하지만, 유리전이점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역시 액연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실온에서의 광탄성 상수가 약 10 ×10-8㎠/N 이하로 낮은 수치이더라도, 액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필름은, 동일한 실온에서의 광탄성 상수가 약 30 ×10-8㎠/N 이상인 것도 있지만, 그래도 액연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식 (I) 의 반복단위를 갖고 있어도, 유리전이점온도가 165℃ 이상이 아니면 액연 현상이 문제가 되는 일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몰비는 공중합체, 블렌드 폴리머에 관계없이, 고분자를 구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벌크 전체에서, 예를 들면 핵자기공명 (NMR) 장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공중합체 및/또는 블렌드 폴리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포스겐의 중축합에 의한 방법, 용융중축합법, 고상중합법 등에 의해 적합하게 제조된다. 블렌드의 경우에는, 상용성 블렌드가 바람직하지만, 완전히 상용되지 않아도 성분간의 굴절률을 맞추면 성분간의 광산란을 억제하여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전이점온도가 16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의 특성이 본 발명의 목적, 즉 액연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인자인 이유는 명확하게는 알 수 없다. 또 액연 현상의 원인도 명확하게는 알 수 없는 점이 많지만, 적어도 응력에 의한 위상차 필름의 광학이방성의 발현이 한 요인인 것으로 생각되고,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고분자 재료의 분자쇄의 운동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온도 및 제조공정에서 액정표시장치상의 위상차 필름에 관련되는 온도는, 실온을 중심으로 ±50℃ 정도이기 때문에, 이 장치사용 및 공정온도와 유리전이점온도가 떨어져 있을수록, 실온부근에서의 분자운동성이 낮아져 액연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자운동성이란 고분자의 크리프 현상 등의 거시적인 분자운동도 포함된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의 원인의 하나는,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재료의 분자운동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그 재료의 분자량도 어느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을 나타내는 극한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4 ~ 1.1㎗/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g 이다. 액연 현상을 일으키는 고분자의 분자운동성의 관점에서는 극한점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높으면 필름의 성형성 등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고분자 중합공정에서의 점도상승에 의한 양산성 저하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상기 범위내에 극한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일축 배향 필름 및 이축 배향 필름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이것를 부여하는 미연신 필름을 연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연신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용융압출법, 용용캐스트법 등이 이용되나, 막두께 편차, 외관 등의 관점에서 용액 캐스트법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용액 캐스트법에서의 용제로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옥소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축연신은 세로, 가로연신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폭 자유 일축연신, 폭 고정 일축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축연신은 축차이축, 동시이축연신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축차이축연신은 세로연신후 가로연신을 실행하거나, 또 가로연신후 세로연신을 실행해도 된다.
필름중에는 연신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공지된 가소제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 지방족 이염기에스테르, 글리세린 유도체, 글리콜 유도체 등을 함유해도 된다. 연신시에는, 상기 서술한 필름 막형성시에 사용한 유기용제를 필름 중에 잔류시켜 연신해도 된다. 이 유기용제의 양으로서는 배향 필름 구성재료에 대해 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90℃ 에서 500시간 열처리한 후의 열수축률이 0.1%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열수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에 있어서의 분자운동의 결과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열수축률이 큰 필름의 경우, 필름 단체이더라도 위상차가 장기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 필름 자신의 치수변화는, 점착층을 통해 접해 있는 유리나 다른 광학 필름 사이에서의 응력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위상차 변화를 야기하고, 액연 현상의 발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검토한 결과, 상기 서술한 다른 액연 현상을 억제하는 인자에 추가하여 90℃ 500시간 열처리한 후의 열수축률이 0.1% 이하이면, 액연 현상은 더욱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상차 필름에 가해지는 실제의 사용환경에서의 온도는, 특히액정 텔레비젼이나 액정 모니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백라이트로부터의 열을 고려해도 최대 80℃ 정도를 고려해 두면 문제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90℃ 에서의 정의는 실제사용환경에서의 최고온도로 추정되는 80℃ 에 대해, 10℃ 의 마진을 고려하여 설정한 것이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면내에서 열수축률을 측정하는 방향에 따라 수치가 다르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하는데, 필름면내에서 가장 굴절률이 큰 지상축방향의 열수축률로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열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이다.
또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비정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일반적으로 무배향의 경우보다도 배향시킨 필름이 열수축이 큰 경향이 있다. 열수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재료나 제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서술한 특정의 폴리카보네이트는, 배향시킨 후 열처리함으로써, 열수축이 작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은 특필할만한 점이다.
또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또한 하기 식 (1)
1 ≤R(450)/R(550) ≤1.06 …(1)
여기에서 R(450) 및 R(550) 은 각각 파장 450㎚ 및 550㎚ 에서의 이 필름면내 위상차이다,
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전압 오프시인 흑 표시시에서 액정이 대략 수직으로 배향되기 때문에, 이것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양호한 시야각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일축 배향 필름에서는, 하기 식 (2) 및 (3):
R(550) 〉K(550) …(2)
R(550) 〉20㎚ …(3)
여기에서 R(550) 의 정의는 상기 식 (1) 과 동일하고 그리고 K(550) 는 파장 550㎚ 에서의 하기 식 (4)
K = [(nx+ny)/2-nz] ×d …(4)
여기에서 nx, ny및 nz는 각각 필름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그리고 d 는 필름의 두께 (㎚) 이다,
로 정의되는 수치 (㎚) 인 것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필름에서는, 하기 식 (2')
R(550) ≤K(550) …(2')
여기에서 R(550) 및 K(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및 상기 식 (3) 을 만족시키거나, 혹은 상기 식 (2') 와 하기 식 (3') 및 (5)
R(550) ≤20㎚ …(3')
K(550) ≥50㎚ …(5)
여기에서 R(550) 및 K(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 및 (3) 을 만족하는 이축 배향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식 (1) 대신에 하기 식 (1')
1 ≤R(450)/R(550) ≤1.05 …(1')
여기에서 R(450) 및 R(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 배향 필름은, 위상차 필름으로서, 수직배향모드에서의 액정셀층 및 편광판의 광학보상을 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축 배향 필름은, 하기 식 (6), (7), (8) 및 (9) 를 동시에 만족하는 다른 위상차 필름과, 적어도 각각 1장씩, 바람직하게는 각 1장씩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광학보상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축 배향 필름은, 수직배향모드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필름의 시야각 보상을 주로 실행하고, 한편 하기 식 (6), (7), (8) 및 (9) 를 동시에 만족하는 다른 위상차 필름은 액정셀의 광학보상을 주로 실행한다.
1 ≤R(450)/R(550) ≤1.06 …(6)
R(550) ≤K(550) …(7)
R(550) ≤20㎚ …(8)
K(550) ≥50㎚ …(9)
여기에서 R(450), R(550) 및 K(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또 상기 특정을 갖는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필름은 하기 식 (10)
R(550) = 2 ×K(550) …(10)
의 특성을 갖는 일축이방성의 다른 위상차 필름과 수직배향모드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확대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 파장분산특성도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광학보상의 관점에서 중요한 항목이지만,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액정의 파장분산과의 매칭 및 편광필름의 시야각 보상의 관점에서, 상기 식 (1) 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
1.01 ≤R(450)/R(550) ≤1.05 …(1")
를 만족한다. 특히 원편광을 발생하는 원편광 필름을 사용한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식 (1) 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편광을 발생하는 원편광 필름이란,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45°또는 135°부근에 설정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STN 방식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R(450)/R(550) 이 상기 식 (1) 로 규정되는 것보다도 큰 것 (1.06 보다 큼) 이 바람직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수직배향방식에서는 상기 식 (1)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축 배향 필름 및 이축 배향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일축연신 또는 이축연신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연신후에 열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열수축률을 줄여 효과적으로 열수축률 0.1% 이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연신후의 열처리조건으로서는, 배향 필름의 유리전이점온도의 -50℃ ~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위상차 필름에서는 어느 정도 크기의 위상차 수치가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연신에 의해 이루어진 배향구조는 열처리에 의해 통상 완화되어 위상차값이 감소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를 억제하기 위해, 연신배율을 그대로 혹은 약간 줄인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이 연신배율을 줄이는 정도는 직전의 연신배율의 0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처리시간으로서는 열처리온도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1 ~ 200초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의 열처리에는, 예를 들면 연속의 가로연신이면, 연신공정중의 마지막에 연신배율을 줄여 열처리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 액연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90℃ 500시간 열처리한 후의 R(550) 의 변화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이 평가에서는 배향 필름은 단체에서의 물성변화이지만, 이 수치가 크면 역시 액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을 위한 미연신 필름은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열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배향 필름 중의 잔류용매량은 0.9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이하이다.
배향 필름의 고분자재료의 흡수률은 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다. 흡수률이 높은 고분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습열시험에서 액연 현상이 현저하게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필름 폭방향에 대해 평행방향으로 필름면내의 지상축이 존재하고 있는 롤형상의 형태로 할 수 있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수직 또는 평행하게 하여 점착층을 통해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요오드를 사용한 편광필름은, 연속 세로일축연신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롤의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투과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 편광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롤투롤 방식으로 점착층을 통해 접합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면 매우 생산성이 좋아진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롤형상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필름의 폭방향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헤이즈값은 3%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 전체광선투과률은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향 필름 중에는 추가로 페닐살리실산, 2-히드록시벤조페논,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자외선흡수제나, 색을 변경하기 위한 블루잉제,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의 막두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 내지 4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은 「시트」, 「판」으로 불리는 어느 것이나 포함하는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위상차 필름에는 일반적으로 비스듬한 곳으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해서는, 정면입사광과 비교하여 다른 위상차값을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고분자재료의 삼차원 굴절률이란 nx, ny, nz로 표시되고, 각각의 정의는,
nx: 위상차 필름면내에서의 주연신방향의 굴절률
ny: 위상차 필름면내에서의 주연신방향에 직교하는 방위의 굴절률
nz: 위상차 필름표면의 법선방향의 굴절률
로 한다. 여기에서 주연신방향이란 일축연신의 경우에는 연신방향, 이축연신의 경우에는 보다 배향도가 오르도록 연신된 방향을 의미하고, 화학구조적으로는 고분자 주쇄의 주배향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면내의 굴절률 최대방위를 nx방위 (지상축) 라고 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상차값 (R) 은 nx, ny, 필름막두께 d(㎚) 를 사용하여 R = (nx-ny) ×d(㎚) 으로 표현된다.
이 삼차원 굴절률은, 위상차 필름에 편광을 입사하여 얻어지는 출사광의 편광상태를 해석하는 수법인 편광해석법에 의해 측정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이방성을 굴절률 타원체로 간주하여 공지된 굴절률 타원체의 식에 의해 구하는 방법에 의해 이 삼차원 굴절률을 구한다. 이 삼차원 굴절률은 사용하는 광원의 파장의존성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광원파장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광학보상 필름으로 보상된 벤드 배향 셀, 수직배향 셀, 인플레인 스위칭 모드셀, 트위스트 네마틱 셀, 콜레스테릭 모드셀 등 모든 액정셀에 대해 광학보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프로젝터 등 중에서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축 배향 필름은,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광학보상의 관점에서 하기 식 (11)
40㎚ ≤R(550) ≤300㎚ …(11)
을 만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2)
50㎚ ≤R(550) ≤200㎚ …(1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일축 배향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하기 식 (13)
R(550) = 2 ×K(550) …(13)
을 만족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광학특성의 관점에서 유효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들 특성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은, 액정셀을 광학보상하는 다른 위상차 필름과 조합하여,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주로 편광필름의 광학보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식 (2), (11), (12) 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은 편광 필름의 경사 입사시에서의 축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필름은,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하기 식 (14), (15),
0㎚ ≤R(550) ≤10㎚ …(14)
60㎚ ≤K(550) ≤400㎚ …(15)
를 만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6), (17)
0㎚ ≤R(550) ≤5㎚ …(16)
70㎚ ≤K(550) ≤300㎚ …(17)
을 동시에 만족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광학보상의 관점에서 유효하다.
다음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배향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구체예를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광학보상필름으로서 일축 배향 필름 (2) 과 이축 배향 필름 (4) 을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중, 1 은 편광판, 2 는 일축 배향 필름, 3 은 수직 배향 액정셀, 4 는 이축 배향 필름, 5 는 편광판 그리고 6 은 백라이트이다. 도 1 의 1 은 관측자측의 편광판이지만, 일축 배향 필름은 대략 편광판의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 (1 또는 5)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편광판 (1)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일축 배향 필름 (2) 으로서는,
R(550) 〉K(550) (2)
R(550) 〉20㎚ (3)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또한 하기 식 (11) :
40㎚ ≤R(550) ≤300㎚ …(11)
을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또한 하기 식 (12) :
50㎚ ≤R(550) ≤200㎚ …(12)
를 만족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12) 또한 하기 식 (13) :
R(550) ≥2 ×K(550) …(13)
을 만족한다.
도 1 의 이축 배향 필름 (4) 은 주로 수직배향된 액정층의 광학보상필름으로서 기능하므로,
R(550) ≤K(550)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3'), (5) :
R(550) ≤20㎚ …(3')
K(550) ≥50㎚ …(5)
를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3'-1) 과 (5-1) :
R(550) ≤5㎚ …(3'-1)
K(550) ≥90㎚ …(5-1)
을 만족한다.
또한 이축 배향 필름 (4) 으로서는 도 1 의 위치에서 2장 이상의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는 이축 배향 필름을 2장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2 중, 7 은 편광판, 8 은 이축 배향 필름, 9 는 수직 배향 액정셀, 10 은 이축 배향 필름, 11 은 편광판 그리고 12 는 백라이트이다. 도면중 8, 10 은 동일 특성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액정층, 편광판의 시야각 보상을 이 2장으로 실행하는 것이 특징이고, 상기 식 (2')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과 하기 식 (3) :
R(550) 〉20㎚ (3)
을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와 하기 식 (18), (19) :
20㎚〈 R(550) ≤300㎚ …(18)
30㎚ ≤K(550) ≤500㎚ …(19)
를 만족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 와 하기 식 (20), (21) :
20㎚〈 R(550) ≤150㎚ …(20)
30㎚ ≤K(550) ≤300㎚ …(21)
을 동시에 만족한다.
도 3 은 이축 배향 필름을 1장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3 중 13 은 편광판, 14 는 수직 배향 액정셀, 15 는 이축 배향 필름, 16 은 편광판 그리고 17 은 백라이트이다. 액정층과 편광판의 시야각보상을 1장의 필름으로 실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한 이축 배향 필름의 특성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도 2 의 필름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액정표시장치 중에, 복수장 사용해도 되고, 또 다른 위상차 필름,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아모르퍼스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이나, 고분자 액정을 기판에 도포한 것, 디스코틱 액정을 배향경화시킨 것 등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이들 조합은 액정표시장치 중에서, 혹은 편광필름과 조합하여 실행해도 된다.
이들을 만족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을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함으로써, 시야각특성이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플라스마디스플레이, 전계발광소자, CRT 등의 발광소자나 전기영동소자, 프로젝터의 광학엔진, 광픽업, 촬상소자, 광연산소자, 광기록재생장치, 광기록재생매체 등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수직배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구해지는, 각종 광학적 이방성을 가진 위상차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필름의 면적이 크므로 상기 액연 문제의 해결이 더욱 곤란해지는, 표시면적이 15인치 이상의 대형 액정표시장치, 특히 수직배향방식의 대형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여, 액연 문제를 거의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시야각특성을 가져올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
(A) 하기 식 (I)
여기에서 R1~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기 및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O-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그리고 X 는 하기 식 (1)-1
로 표시되는 기이고, R30및 R31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고, 그리고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0 ~ 4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이 폴리머 및 폴리머 혼합물은 상기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각각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의 전체 반복단위의 30 ~ 60몰% 함유하고 그리고 165℃ 이상의 유리전이점온도를 갖고,
(B) 90℃ 에서 500시간 무하중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0.1% 이하이고 그리고
(C) 하기 식 (1)
1 ≤R(450)/R(550) ≤1.06 …(1)
여기에서 R(450) 및 R(550) 은 각각 파장 450㎚ 및 550㎚ 에서의 이 필름면내 위상차이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내지 이축 배향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둘째, 본 발명의 상기 일축 내지 이축 배향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핸들링이나 연신성형성의 점에서, 상기 노르보르넨 골격 등의 부피가 큰 관능기를 가진 시클로폴리올레핀보다도 우수한 특성을 가진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직배향방식과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재료의 분자구조 및 위상차 필름의 물성에 착안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상기 액연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로서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상수 이외의 제어인자가 중요한 것임을 발견하고 그리고 더욱 연구를 진행한 결과, 어느 정도 광탄성 상수가 높아도 몇개의 다른 인자, 예를 들면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구조, 유리전이온도, 열수축률 등을 제어함으로써, 액연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수직배향방식과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가법)
본 명세서중에 기재된 제료특성치 등은 이하의 평가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1) 위상차값 (R = Δnㆍd(㎚)), K값의 측정
복굴절 (Δn) 과 막두께 (d) 의 곱인 위상차 R값 및 Nz 는, 분광 엘립소미터인 니뽕분광(주) 제조의 상품명 『M150』에 의해 측정하였다. R값은 입사광선과 필름표면이 직교하는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또 K값 (㎚) 은 입사광선과 필름표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각 각도에서의 위상차값을 측정하고, 공지된 굴절률 타원체의 식으로 커브피팅함으로써 삼차원 굴절률인 nx, ny, nz을 구하고, 하기 식 (4) 에 대입함으로써 구하였다.
K = ((nx+ny)/2-nz) * d (4)
(nx, ny, nz및 d 의 정의는 상기와 동일함)
(2) 흡수율의 측정
건조시킨 필름의 상태에서 막두께를 130 ±50㎛로 한 것 이외에는 JIS K 7209 에 기재된 『플라스틱의 흡수률 및 비등흡수률 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는 50㎜ 정방형이고, 수온 25℃, 24시간 샘플을 침수시킨 후, 중량변화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이다.
(3) 고분자의 유리전이점온도 (Tg) 의 측정
TA Instruments사 제조의 『DSC2920 Modulated DSC』에 의해 측정하였다. 필름성형후가 아니라 수지중합후, 플레이크스 또는 칩의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4) 필름 막두께 측정
안리츠사 제조의 전자마이크로로 측정하였다.
(5) 고분자 공중합비의 측정
닛뽕덴시사 제조의 『JNM-alpha600』의 프로톤 NMR 에 의해 측정하였다. 특히 비스페놀A 와 비스크레졸플루오렌의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용매로서 중벤젠을 사용하고, 각각의 메틸기의 프로톤 강도비로부터 산출하였다.
(6) 열수축률의 측정
필름의 지상축방향으로 평행하게 150㎜, 그것에 직각인 방향을 10㎜로 한 직사각형상 샘플을 3장 잘라냈다. 그리고 3개의 샘플에 대해 150㎜ 의 길이방향으로, 열수축률 측정을 위한 표점을, 100㎜ 의 간격으로 형성하였다. 이들 샘플을 90℃의 고온조에서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500시간 열처리하고, 실온에 꺼내 24시간 냉각시킨 후, 표점간격을 측정하였다. 치수의 측정은 실온에서 23℃ 에서 판독 현미경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열수축률은 하기 식 (22) 에 의해 구하고, 상기 서술한 3 샘플의 평균값을 열수축률로 하였다.
열수축률 (%) =
┃(처리전의 치수)-(처리후의 치수))/(처리전의 치수)┃ ×100
(7) 위상차 필름 중의 잔류용매의 측정
위상차 필름 약 5g 을 채취하여, 230℃ 의 열풍건조기로 1시간 건조시킨 전후의 중량변화률로부터 구하였다.
(8) 고분자의 극한점도의 측정
우베로데 점도관을 사용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중 20℃ 에서 극한점도를 구하였다.
(9) 액연 현상의 관찰
편광 필름으로서는 시판되는 (주)산리츠사 제조의 HLC2-5618 을 사용하여, 편광필름 (0°)/위상차 필름 (0°)/유리/편광필름 (90°) 의 구성을 점착층을 통해 접합시켜 테스트 샘플로 하였다. 또한 ()내의 각도는, 편광필름은 투과축을, 위상차 필름은 지상축의 면내접합각도를 나타낸다. 이 테스트샘플을 위상차 필름측을 상측으로 하여 백라이트상에 배치하고, 광누설을 관측함으로써 액연 현상을 암실에서 관찰하였다. 크기는 291㎜ ×362㎜이다. 테스트 샘플은 접합한 후, 50℃ 에서 15분간 가압하에서 열처리하였다. 그 후 실온으로 되돌려 24시간 후에 온도 23℃의 환경하에서 테스트 샘플을 관측하였다. 이 관측을 초기평가로 한다. 그리고 또한 60℃ 의 고온조에 테스트 샘플을 투입하고, 500시간후에 꺼내 다시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실온 23℃의 환경하에서 액연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 500시간 후의 관측을 500시간 후 평가라 한다. 액연 현상의 관측은 이 초기와 500 시간 후에 실시하는데,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부터 편광 필름이 직교되어 있으므로 액연 현상이 나오지 않는 양호한 것은 전면 흑표시가 되는데, 액연 현상이 강하게 나오는 것은, 테스트 샘플의 네 모서리에 광누설이 발생한다. 미놀타(주) 제조의 휘도계 LS110 을 사용하여, 샘플을 연직방향으로부터 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점은 네 모서리로부터 약 2㎝ 인 점을 측정하고, 이 4점의 평균을 4 모서리 휘도로 하였다. 또 중앙을 1점 측정하여, 이것을 중앙휘도로 하였다. 또한 약 20룩스의 조도환경하에서 육안으로 보아 500시간 후의 액연 현상을 관측하고, 액연 현상이 보이는 것을 NG, 관측곤란한 것을 OK 로 표에서는 기록하였다.
(10) R(550) 변화
측정파장 550㎚ 에서의 위상차값 R(550) 의 90℃ 500시간 후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1 에서 ┃(초기치)-(500시간후)┃의 값으로 표현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모노머 구조를 이하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이온교환수를 넣고, 이것에 상기 구조를 가진 모노머 [A] 와 [D] 를 표 1 의 몰비로 용해시키고, 소량의 하이드로술파이트를 첨가하였다. 다음에 이것에 염화메틸렌을 첨가하고, 20℃ 에서 포스겐을 약 60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또한 p-tert-부틸페놀을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30℃ 에서 약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종료후 유기상을 분취하여,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표 1 의 모노머 투입량비와 대략 동일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고형분농도 18중량%의 도핑 용액을 제작하였다. 이 도핑 용액으로부터 캐스트 필름을 제작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잔류용매량은 0.9 중량% 이었다. 또한 이 필름을 온도 220℃ 에서 가로일축연신기로 1.35배로 연신한 후,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33 배로 줄여 온도 222℃ 에서 열처리를 7초간 실시하고, 일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가로일축연신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직교방향 (주연신방향) 에 있다.
또한 이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이 위상차 필름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액연 시험에 있어서, 롤형상의 편광필름과 롤형상의 이 위상차 필름의 접합을, 편광필름의 투과축 (길이방향과 직교방향) 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롤투롤로 점착층을 통해 접합시켰다. 이 접합품의 액연 시험도 실시하였으나, 상기 결과와 동일하게 액연 현상은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다음으로 이 일축 배향 필름을 시판하는 수직배향모드를 이용한 액정모니터인 후지쓰(주) 제조의 VL-151VA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위상차 필름이 액정셀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각각 1장씩 사용되고 있다.관측측에 대해 액정셀의 표측에 위상차 필름을 떼어내고, 대신에 상기 서술한 일축 배향 필름을 편광필름의 투과축 (편광축) 과 일축 배향 필름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하여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필름과 액정셀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이 시판품의 액정셀의 이측의 위상차 필름도 떼어내고, 상기 서술한 미연신 필름을 온도 212℃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7배로 연신한 후, 온도 220℃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2배로 연신한 이축 배향 필름 (R(550=3.2㎚, K(550)=192.3㎚) 을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이 일축 배향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접합하고, 점착층을 통해 액정셀과 접합시켰다. 또한 편광필름과 액정셀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 육안으로 보아 시야각을 확인한 결과, 이 시판품에 비하여 보다 시야각이 넓어지고, 특히 시야각의 컬러 시프트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표 1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투입량비와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막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20℃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4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세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39배로 줄여 온도 221℃ 에서 열처리를 8초간 실시하고, 일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일축 배향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이 일축 배향 필름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표 1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투입량비와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33℃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2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세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줄이지 않고 온도 24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여, 일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일축 배향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이 일축 배향 필름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표 1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1 과는 건조조건을 변경하여 막형성하고, 미연신필름의 잔류용매량을 3중량%로 하였다. 이 필름을 온도 200℃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하고, 일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일축 배향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이 일축 배향 필름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고, 또 네모서리에서의 내구성시험후의 휘도변화가 큰 것으로, 목적하는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표 1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의 온도 156℃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세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29배로 줄여 온도 17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일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일축 배향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이 일축 배향 필름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었다. 초기에서도 중앙과 네모서리의 휘도차가 크고, 내구성시험후에는 그 휘도차가 보다 커져, 목적하는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모노머1구조(삽입량 몰%) [A](50) [B](55) [C](53) [A](50) [A](100)
모노머2구조(삽입량 몰%) [D](50) [D](45) [D](47) [D](50)
열수축률(%) 0.05 0.06 0.06 0.20 0.09
유리전이점온도(℃) 210 211 230 210 156
R(450)(㎚) 112.9 148.2 99.4 115.9 322.5
R(550)(㎚) 109.6 145.3 96.5 112.5 298.6
R(450)/R(550) 1.03 1.02 1.03 1.03 1.08
K(550)(㎚) 54.6 72.7 48.3 56.2 149.3
연신후 막두께(㎛) 75 70 67 87 76
잔류용매량(%) 0.3 0.4 0.4 1.2 0.1
흡수률(중량%) 0.2 0.2 0.2 0.2 0.2
극한점도(㎗/g) 0.78 0.92 0.65 0.78 0.78
R(550)변화 0.6 1.2 1.0 3.6 2.9
초기평가(cd/㎡) 500시간후 평가(cd/㎡) 육안평가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실시예1 0.35 0.33 0.36 0.34 OK
실시예1 0.37 0.34 0.38 0.35 OK
실시예3 0.36 0.34 0.38 0.35 OK
비교예1 0.35 0.32 0.50 0.33 NG
비교예2 0.46 0.35 0.71 0.37 NG
실시예 4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이온교환수를 넣고, 이것에 상기 구조를 가진 모노머 [A] 와 [D] 를 표 3 의 몰비로 용해시키고, 소량의 하이드로술파이트를 첨가하였다. 다음에 이것에 염화메틸렌을 첨가하고, 20℃ 에서 포스겐을 약 60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또한 p-tert-부틸페놀을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30℃ 에서 약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종료후 유기상을 분취하여,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표 3 의 모노머 투입량비와 대략 동일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고형분농도 18중량%의 도핑 용액을 제작하였다. 이 도핑 용액으로부터 캐스트 필름을 제작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잔류용매량은 0.8 중량% 이었다. 또한 이 필름을 온도 212℃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4배로 연신한 후, 온도 225℃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2.0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95 배로 줄여 온도 225℃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가로일축연신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직교방향 (주연신방향) 에 있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액연 시험에 있어서, 롤형상의 편광필름과 롤형상의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접합을, 편광필름의 투과축 (길이방향과 직교방향) 과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롤투롤로 점착층을 통해 접합시켰다. 이 접합품의 액연 시험도 실시하였으나, 상기 결과와 동일하게 액연 현상은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다음으로 이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시판하는 수직배향모드를 이용한 액정모니터인 후지쓰(주) 제조의 VL-151VA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위상차 필름이 액정셀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각각 1장씩 사용되고 있다. 이 위상차 필름을 상기 서술한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하여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필름과 액정셀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 육안으로 보아 시야각을 확인한 결과, 보다 시야각이 넓어지고, 특히 시야각의 컬러 시프트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표 3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너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14℃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한 후, 온도 227℃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2.0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95배로 줄여 온도 227℃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표 3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너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33℃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한 후, 온도 240℃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2.0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줄이지 않고 온도 245℃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표 3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동하였다.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169℃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6배로 연신한 후, 온도 170℃ 에서 가로일축텐터연신기로 2.2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2.15배로 줄여 온도 171℃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여,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니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가로일축연신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직교방향 (주연신방향) 에 있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액연 시험시에 롤형상의 편광필름과 롤형상의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접합을, 편광필름의 투과축 (길이방향과 직교방향) 과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점착층을 통해 접합시켰다. 이 접합품의 액연 시험도 실시하였으나, 상기 결과와 동일하게 액연 현상은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다음으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시판되는 수직배향모드를 이용한 액정모니터인 후지쓰(주) 제조의 VL-151VA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위상차 필름이 액정셀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각각 1장씩 사용되고있다. 이 위상차 필름을 상기 서술한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하여 관측자측의 편광판에만 접합하고, 이면측은 평광판만의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편광필름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 육안으로 보아 시야각을 확인한 결과, 보다 시야각이 넓어지고, 특히 시야각의 컬러 시프트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
표 3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와는 건조조건을 변경하여 막형성하고, 미연신필름의 잔류용매량을 3중량%로 하였다. 이 필름을 온도 200℃ 에사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한 후, 온도 210℃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2.0배로 연신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고, 또 네모서리에서의 내구시험후의 휘도변화가 큰 것으로, 목적하는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
표 3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156℃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한 후, 온도 172℃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7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65배로 줄여 온도 17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여,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었다. 초기에서도 중앙과 네모서리의 휘도차가 크고, 내구시험후에는 그 휘도차는 보다 커져, 목적하는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3 비교예4
모노머1구조(삽입량몰%) [A](50) [B](55) [C](53) [E](50) [A](50) [A](100)
모노머2구조(삽입량몰%) [D](50) [D](45) [D](47) [D](50) [D](50)
열수축률(%) 0.07 0.08 0.07 0.08 0.20 0.09
유리전이점온도(℃) 210 211 230 170 210 156
R(450)(㎚) 42.4 33.2 21.9 53.6 39.8 43.7
R(550)(㎚) 41.3 32.5 21.3 53.1 38.6 40.5
R(450)/R(550) 1.03 1.02 1.03 1.01 1.03 1.08
K(550)(㎚) 135.9 128.1 120.6 227.5 100.5 99.6
연신후 막두께(㎛) 62 69 65 40 63 76
잔류메틸클로량(%) 0.3 0.5 0.3 0.2 1.2 0.1
흡수률(중량%) 0.2 0.2 0.2 0.2 0.2 0.2
극한점도(㎗/g) 0.77 0.91 0.66 0.71 0.77 0.78
R(550)변화 1.9 1.6 2.1 2.2 3.9 2.9
초기평가(cd/㎡) 500시간후 평가(cd/㎡) 육안평가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실시예4 0.34 0.33 0.36 0.33 OK
실시예5 0.36 0.34 0.38 0.34 OK
실시예6 0.37 0.36 0.39 0.35 OK
실시예7 0.35 0.33 0.38 0.34 OK
비교예3 0.34 0.31 0.49 0.33 NG
비교예4 0.43 0.35 0.68 0.39 NG
실시예 8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이온교환수를 넣고, 이것에 상기 구조를 가진 모노머 [A] 와 [D] 를 표 5 의 몰비로 용해시키고, 소량의 하이드로술파이트를 첨가하였다. 다음에 이것에 염화메틸렌을 첨가하고, 20℃ 에서 포스겐을 약 60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또한 p-tert-부틸페놀을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30℃ 에서 약 3시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종료후 유기상을 분취하여,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표 6 의 모노머 투입량비와 대략 동일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고형분농도 18중량%의 도핑 용액을 제작하였다. 이 도핑 용액으로부터 캐스트 필름을 제작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의 잔류용매량은 0.9 중량% 이었다. 또한 이 필름을 온도 212℃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한 후, 온도 220℃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42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40 배로 줄여 온도 22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이축 배향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가로일축연신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직교방향 (주연신방향) 에 있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액연 시험에 있어서, 롤형상의 편광필름과 롤형상의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접합을, 편광필름의 투과축 (길이방향과 직교방향) 과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롤투롤로 점착층을 통해 접합시켰다. 이 접합품의 액연 시험도 실시하였으나, 상기 결과와 동일하게 액연 현상은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다음으로 이 이축 배향 위상차필름을 시판하는 수직배향모드를 이용한 액정모니터인 후지쓰(주) 제조의 VL-151VA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위상차 필름이 액정셀을 사이에 끼워 상하로 각각 1장씩 사용되고 있다. 관측측에 대해 액정셀의 이측의 위상차 필름을 떼어내고, 대신에 상기 서술한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평행하게 하여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필름과 액정셀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이 시판품의 액정셀의 표측의 위상차 필름도 떼어내고, 상기 서술한 미연신 필름을 온도 212℃ 에서 배울 1.2배로 세로일축연신한 위상차 필름 (R(550)=105㎚, K(550)=52㎚) 을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이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접합하고, 점착층을 통해 액정셀과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필름과 액정셀의 접합각도는, 시판품의 상태와 동일하게 하였다.육안으로 보아 시야각을 확인한 결과, 이 시판품에 비해 보다 시야각이 넓어지고, 특히 시야각의 컬러 시프트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표 5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14℃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2배로 연신한 후, 온도 221℃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21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2배로 줄여 온도 221℃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여,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표 5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233℃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2배로 연신한 후, 온도 238℃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21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줄이지 않고 온도 24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여,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 레벨임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
표 5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8 과는 건조조건을 변경하여 막형성하고, 미연신 필름의 잔류용매량을 3중량%로 하였다. 이 필름을 온도 200℃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2배로 연신한 후, 온도 210℃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3배로 연신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고, 또 네모서리에서의 내구성시험후의 휘도변화가 큰 것으로, 목적하는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6
표 5 에 기재된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호모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호모중합체의 조성비는 모노머 삽입량과 대략 동일하였다.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막형성한 후, 이 필름을 온도 156℃ 에서 세로일축연신기로 1.1배로 연신한 후, 온도 172℃ 에서 가로일축텐터 연신기로 1.13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로일축연신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배율을 1.11배로 줄여 온도 170℃ 에서 열처리를 10초간 실시하고,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평가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의 액연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이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연 현상은 육안으로도 확인되었다. 초기에서도 중앙과 네모서리의 휘도차가 크고, 내구성시험후에는 휘도차는 보다 커져, 목적하는 이축 배향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5 비교예6
모노머1구조(삽입량몰%) [A](50) [B](55) [C](53) [A](50) [A](100)
모노머2구조(삽입량몰%) [D](50) [D](45) [D](47) [D](50)
열수축률(%) 0.06 0.08 0.07 0.21 0.09
유리전이점온도(℃) 210 211 230 210 156
R(450)(㎚) 3.19 1.55 6.14 4.39 13.29
R(550)(㎚) 3.10 1.52 5.96 4.26 12.31
R(450)/R(550) 1.03 1.02 1.03 1.03 1.08
K(550)(㎚) 210.9 95.8 112.6 132.8 135.4
연신후 막두께(㎛) 80 71 69 85 79
잔류메틸클로량(%) 0.3 0.5 0.4 1.2 0.1
흡수률(중량%) 0.2 0.2 0.2 0.2 0.2
극한점도(㎗/g) 0.78 0.92 0.65 0.78 0.78
R(550)변화 0.7 1.3 0.9 3.7 2.9
초기평가(cd/㎡) 500시간후 평가(cd/㎡) 육안평가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네모서리 휘도 중앙 휘도
실시예8 0.35 0.33 0.36 0.34 OK
실시예9 0.37 0.34 0.38 0.34 OK
실시예10 0.36 0.35 0.38 0.36 OK
비교예5 0.35 0.31 0.51 0.32 NG
비교예6 0.46 0.35 0.69 0.38 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분자에 특정 구조를 가진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고, 또한 특정 물성을 부여한 일축 또는 이축 배향 필름으로 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진 성형성이나 내충격성, 파단이 적은 등의 이점을 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장치, 특히 수직배향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시각특성 등이 우수하고, 문제가 되는 액연 현상도 거의 볼 수 없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 위상차 필름을 액정표시장치에 편광필름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의 적고 액연 문제가 해결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A) 하기 식 (I)
    여기에서 R1~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기 및 탄소수 1 ~ 6의 탄화수소-O-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그리고 X 는 하기 식 (1)-1
    로 표시되는 기이고, R30및 R31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 ~ 3의 알킬기이고, 그리고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0 ~ 4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이 폴리머 및 폴리머 혼합물은 상기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각각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의 전체 반복단위의 30 ~ 60몰% 함유하고 그리고 165℃ 이상의 유리전이점온도를 갖고,
    (B) 90℃ 에서 500시간 무하중하에서 열처리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0.1% 이하이고 그리고
    (C) 하기 식 (1)
    1 ≤R(450)/R(550) ≤1.06 …(1)
    여기에서 R(450) 및 R(550) 은 각각 파장 450㎚ 및 550㎚ 에서의 이 필름면 내 위상차이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내지 이축 배향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식 (I)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전체반복단위의 30몰%를 초과하는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일축 배향 필름으로, 하기 식 (2) 및 (3) :
    R(550) 〉K(550) …(2)
    R(550) 〉20㎚ …(3)
    여기에서 R(550) 의 정의는 상기 식 (1) 과 동일하고 그리고 K(550) 은 파장 550㎚ 에서의 하기 식 (4)
    K = [(nx+ny)/2-nz] ×d …(4)
    여기에서 nx, ny및 nz는 각각 필름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
    이고 그리고 d 는 필름의 두께 (㎚) 이다,
    로 정의되는 수치 (㎚) 이다,
    을 또한 동시에 만족하는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필름으로, 하기 식 (2')
    R(550) ≤K(550) …(2')
    여기에서 R(550) 및 K(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고, 및 상기 식 (3) 을 또한 동시에 만족하는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1 ≤R(450)/R(550) ≤1.05 …(1')
    여기에서 R(450) 및 R(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을 만족하는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필름으로, 상기 식 (2'), 하기 식 (3') 및 하기 식 (5)
    R(550) ≤20㎚ …(3')
    K(550) ≥50㎚ …(5)
    여기에서 R(550) 및 K(550) 의 정의는 상기 식과 동일하다,
    을 또한 동시에 만족하는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의 유리전이점온도가 200℃ 이상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인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및 편광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편광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필름면내의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편광필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적층편광필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직배향모드인 액정표시장치.
KR10-2004-7002896A 2002-06-27 2003-03-28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 KR20050013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7960 2002-06-27
JP2002187960 2002-06-27
JPJP-P-2002-00217992 2002-07-26
JP2002217993 2002-07-26
JP2002217992 2002-07-26
JPJP-P-2002-00217993 2002-07-26
PCT/JP2003/003990 WO2004003606A1 (ja) 2002-06-27 2003-03-28 ポリカーボネート系配向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988A true KR20050013988A (ko) 2005-02-05

Family

ID=3000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896A KR20050013988A (ko) 2002-06-27 2003-03-28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23451B2 (ko)
EP (1) EP1517163A4 (ko)
KR (1) KR20050013988A (ko)
CN (1) CN1564951A (ko)
CA (1) CA2459177A1 (ko)
TW (1) TW200400216A (ko)
WO (1) WO20040036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125A (ko) * 2012-10-10 2015-06-24 제온 코포레이션 공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고분자 배향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4904C (zh) * 2005-03-17 2008-03-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光学部件和投影仪
US20060226561A1 (en) * 2005-04-08 2006-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t setting optical films
US20070091229A1 (en) * 2005-06-09 2007-04-26 Jang Soo J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US7541074B2 (en) * 2005-08-17 2009-06-02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optical compensatory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JPWO2007043385A1 (ja) * 2005-10-12 2009-04-1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垂直配向型液晶表示装置
JP4741961B2 (ja) * 2006-02-28 2011-08-10 帝人株式会社 積層偏光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501783B1 (ko) * 2006-08-18 2015-03-11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필름
JP2008063536A (ja) * 2006-09-11 2008-03-21 Fujifilm Corp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KR100970837B1 (ko) * 2007-02-20 201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렌계 수지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네가티브형 감광성수지 조성물
JP5319966B2 (ja) * 2007-06-25 2013-10-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1808804B (zh) * 2007-09-26 2013-02-13 日本瑞翁株式会社 拉伸膜的制造方法、拉伸膜、偏振片、及液晶显示装置
US8846180B2 (en) 2008-11-07 2014-09-30 Teijin Chemicals, Ltd. Retardation film
JP2013076981A (ja) * 2011-09-14 2013-04-25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076982A (ja) * 2011-09-14 2013-04-25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091894B (zh) * 2013-01-18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和液晶面板
WO2015040931A1 (ja) * 2013-09-20 2015-03-26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ポリ(メタ)アクリルイミド系樹脂層を含む透明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80540B1 (ko) 2015-02-16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158353A1 (ja) * 2015-03-31 2016-10-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延伸フィルム
JP6935229B2 (ja) * 2017-05-16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円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WO2020085309A1 (ja) * 2018-10-26 2021-09-24 東洋紡株式会社 液晶化合物配向層転写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142B2 (ja) 1992-07-07 2001-07-11 帝人化成株式会社 高屈折率低複屈折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JP3349173B2 (ja) 1992-09-04 2002-11-20 出光興産株式会社 位相差補償フィルム
JP3732531B2 (ja) 1993-08-11 2006-01-05 帝人株式会社 液晶デイスプレー用基板
JP3325698B2 (ja) 1994-03-08 2002-09-17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位相差フィルム
EP1045261B1 (en) * 1998-10-30 2005-02-02 Teijin Limited Phase difference film and optical device using it
JP2000162419A (ja) 1998-11-26 2000-06-16 Toyobo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US6638582B1 (en) * 1999-07-29 2003-10-28 Teijin Limited Phase difference film, phase difference film composi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1318232A (ja) * 2000-02-28 2001-11-16 Teijin Ltd 光学フィルム
JP2001318233A (ja) 2000-02-28 2001-11-16 Teijin Ltd 位相差フィルム
TW518589B (en) * 2000-03-29 2003-01-21 Teijin Ltd Projecting film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TW533323B (en) 2000-04-24 2003-05-21 Teijin Ltd Process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CN1228674C (zh) * 2001-10-09 2005-11-23 帝人株式会社 液晶显示元件和其中所用相位差膜的使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125A (ko) * 2012-10-10 2015-06-24 제온 코포레이션 공중합체, 광학 이방체 및 고분자 배향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4951A (zh) 2005-01-12
EP1517163A4 (en) 2006-06-14
US7223451B2 (en) 2007-05-29
US20050163943A1 (en) 2005-07-28
CA2459177A1 (en) 2004-01-08
WO2004003606A1 (ja) 2004-01-08
EP1517163A1 (en) 2005-03-23
TW200400216A (en) 200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869B1 (ko) 액정표시소자 및 이에 사용하는 위상차 필름의 사용
EP1045261B1 (en) Phase difference film and optical device using it
CN1791832B (zh) 液晶显示器用补偿膜
KR20050013988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배향 필름 및 위상차 필름
KR100474495B1 (ko)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 복합체 및 그것을 사용한액정표시장치
US20050286001A1 (en) Multilayer optical compensat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cess
JP2004037837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2002221622A (ja) 広視野角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4387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フィルム
JP383628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積層位相差フィルム
JP2004082714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二軸配向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2004062023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200632325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フィルム
JP4080200B2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309617A (ja) ロール状位相差フィルム
JP200407034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配向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200407034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配向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2005077963A (ja) 位相差フィルム
JP2007171756A (ja) 位相差フィルム
JP494439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フィルム
JP2012037899A (ja) 黒表示時における液晶表示装置の光漏れ抑制方法
JP200515668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配向フィルム
CN117741852A (zh) 光学膜、偏光片及显示装置
JP2006251645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負の略1軸性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