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096A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096A
KR20050013096A KR10-2004-7005409A KR20047005409A KR20050013096A KR 20050013096 A KR20050013096 A KR 20050013096A KR 20047005409 A KR20047005409 A KR 20047005409A KR 20050013096 A KR20050013096 A KR 2005001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ear
rotating body
driv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497B1 (ko
Inventor
에자와고조
이나타마사히로
사지요시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8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and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수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로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외주부의 일부에 기어를 가지며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하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수는 상기 회전체의 키러와 맞물려,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K DEVICE}
현재, 여러 가지 디스크 형태의 데이터 기록 매체가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광 비임을 이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것으로는 CD, DVD, DVD-RAM 등이 있고, 자기를 이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것으로는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광 비임 및 자기를 이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MO나 MD 등도 보급되어 있다.
이들 디스크 형태 데이터 기록 매체중, DVD-RAM이나 MO등의 데이터 기록 매체는 데이터 기록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일례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53264 호 공보는 도 10에 나타내는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100)는 기록 및/또는 재생 가능한 디스크(102)를 수납하는카트리지 본체(101)와, 셔터(103)를 구비한다. 디스크(102)를 처킹하여, 기록ㆍ재생 헤드가 디스크(102)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101A)가 카트리지 본체(101)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고, 셔터(103)는 개구(101A)로부터 노출된 디스크(102)를 보호한다. 이 때문에, 셔터(103)는 평평한 바닥부를 갖는 "U"자 형상을 갖고 있다. 셔터(103)는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본체(101)에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서, 화살표 P와 반대의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셔터(10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셔터(103)가 개구(101A)를 덮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대응한 디스크 장치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103)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오프너(104)가 구비되어 있다.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해서, 디스크(102)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디스크 장치에 장전하는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화살표 Q의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 때, 셔터(103)의 노치부(103A)에 셔터 오프너(104)의 돌기(104A)가 결합한다. 디스크 카트리지(100)가 더 삽입되면, 셔터 오프너(104)가 회전 중심(104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셔터 오프너(104)에 결합한 셔터(103)가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크 카트리지(1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셔터(103)도 화살표 P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개구(101A)로부터 디스크(102)가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내는 디스크 카트리지(100)에 있어서, 셔터(103)는 바닥부가 평평한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셔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도한 가공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셔터(103)가 안정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높은 가공 정밀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부품으로서의 셔터(103)에 있어서 이러한 비용이 상승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00) 전체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상술한 셔터의 구조는 디스크 카트리지(100)를 얇게 하는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작은 기록 매체를 선호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셔터(103)의 구조상, 카트리지 본체(101)와 셔터(10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내로 먼지가 침입할 가능성이 있어, 침입한 먼지가 기록 및/또는 재생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전시에 셔터(103)가 개방 동작을 하기 때문에, 디스크(103)가 디스크 장치에 장전되어 있는 동안, 개구(101A)로부터 디스크(100)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에 먼지가 부착되어, 디스크(102)에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50143 호 공보(및 대응 미국 특허 제 6,590,858 호)는 평판상의 복수의 셔터를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01), 셔터(202, 203) 및 회전체(204)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본체는 상체 및 하체로 구성되지만, 도 11에는 상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카트리지 본체(201)는 디스크를 처킹하여, 기록ㆍ재생용 헤드가 디스크(205)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201C)를 갖고 있고, 처킹 또는 헤드의 액세스가 불필요할 때, 개구(201C)는 셔터(202, 203)에 의해 폐쇄된다. 셔터(202, 203)는 회전체(204)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체(204)에 의해 개폐된다. 회전체(204)는 수납되는 디스크(205)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체(204)에는 셔터(202) 및 셔터(203)가 개구(201C)를 완전히 해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개구(201C)와 일치하는 위치에 개구(201C)와 거의 같은 형상을 갖는 개구(204G)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201)에는 링크 지지축(201A) 및 링크 지지축(201B)이 부가되어 있고, 셔터(202)에 설치된 링크 기구(202B) 및 셔터(203)에 설치된 링크 기구(203B)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또한, 셔터(202)에 설치된 회전 구멍(202A) 및 셔터(203)에 설치된 회전 구멍(203A)이 회전체(204)에 설치된 회전 지지축(204A) 및 회전 지지축(204B)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셔터(202) 및 셔터(203)가 회전체(20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있어서의 회전체(204)와, 셔터(202, 203)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체(204)를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지지축(204A) 및 제 2 회전 지지축(204B)이 각각 화살표 T1 방향 및 화살표 U1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구멍(202A) 및 회전 구멍(203A)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링크 기구(202B) 및 링크 기구(203B)는 링크 지지축(201A) 및 링크 지지축(201B)을 따라 각각 화살표 T2 방향 및 화살표 U2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회전체(204)를 화살표 S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02) 및 셔터(203)가 개방 동작을 시작한다. 회전체(204)의 회전이 진행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02, 20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개구(201C)와 개구(204G)가 거의 일치하여,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205)를 처킹하거나, 기록ㆍ재생용 헤드(도시하지 않음)가 디스크에 액세스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셔터를 닫아, 개구(201C)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회전체(204)를 화살표 S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동작의 역동작을 회전체(204) 및 셔터(202, 203)에 실행하게 한다.
이러한 셔터의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확실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 장치내에서, 상술한 동작을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실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을 유지 부재(211L, 211R)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50148 호 공보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내에서 회전체(20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회전체(204)에 설치된 제 1 절결부(204D), 기어부(204E) 및 제 2 절결부(204F)와, 도 15에 도시된 셔터 구동 수단(250)을 이용한다. 셔터 구동 수단(250)은 제 1 볼록부(251), 래크부(rack)(252) 및 제 1 볼록부(253)를 구비하며, 셔터 구동 수단(250)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제 1 볼록부(251), 래크부(252) 및 제 2 볼록부(253)가 각각 제 1 절결부(204D), 기어부(204E) 및 제 2 절결부(204F)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회전체(204)가 회전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봉 형태의 구동 수단(250)을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에 근접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 측면 근방에 구동 수단(25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유지 부재(211R)를 설치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거나, 구동 수단(250)과 회전체(204)의 결합을 확실히 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를 개폐하는 타입의 구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하며, 공간 절약 또한 간편한 구성을 가지며,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수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외주부의 일부에 설치된 기어를 갖고 있고,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하다. 디스크 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가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디스크의 대략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헤드 및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는 셔터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와 맞물려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치차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회전체는 상기 기어가 끼워지도록 상기 외주부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결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레버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여 요동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동 레버를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대치차와, 상기 대치차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대치차와 동기하여 회전하는 소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소치차와 맞물리는 전단 치차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단 치차의 피치 원 직경은 상기 회전체의 기어 이의 피치 원 직경보다도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와 맞물리지 않는 부분에 이의 결손부를 갖는 간헐 치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장치는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상기 셔터를 폐쇄하도록 상기 셔터 구동 기구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 치차,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를 일체로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도록 유지하며, 상기 디스크의 대략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단 치차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내치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캠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캠 기구에 결합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설치된 상기 본체의 측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대략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갖는 횡방향 섀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횡방향 섀시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섀시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섀시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돌기 및 돌기와 결합하는 캠 기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횡방향 섀시가 승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설치된 돌기이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등이 카트리지형의 수납체에 수납된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 및/또는 데이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을 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및 모터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디스크 장치의 셔터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셔터 구동 기구 및 셔터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셔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셔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
도 6은 셔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
도 7은 셔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
도 8은 셔터 구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
도 9는 셔터 구동 기구의 다른 예를 게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를 개폐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평면도,
도 14는 도 1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평면도,
도 15는 도 11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구동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크장치(51)의 주요부중,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장치(51)는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수납된 디스크(205)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디스크(205)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스크 장치(51)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적합하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본체(201)와, 셔터(202, 203)와, 회전체(204)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201)는 디스크(205)를 수납하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201)에는 데이터를 기록 및/재생하는 헤드가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201C)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201)는 셔터(202, 203)에 의해서, 외부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셔터(202, 203)와 회전체(204)는 결합되어 있고, 디스크(205)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204)가 회전함으로써 셔터(202, 203)가 개폐 동작을 한다. 회전체(20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회전체의 일부는 카트리지 본체(201)의 측면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회전 부재의 외주부에는 기어(204E)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204)가 끼워지도록, 외주부에 제 1 절결부(204D) 및 제 2 절결부(204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적합한 디스크 장치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가 적합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가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에 셔터가 설치되고,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의 개폐를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체의 외주부에는 적어도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제 1 절결부 및 제 2 절결부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03/0410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셔터의 개폐에 회전 부재를 이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기어, 제 1 절결부 및 제 2 절결부를 설치한 것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적합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장치(51)는 스핀들 모터(52)와,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헤드(53)와, 유지부(58)와, 횡방향 섀시(54)를 구비한다.
유지부(58)는 디스크(20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00)를 디스크 장치(51)내의 소정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위치에 있어서 디스크(205)는 스핀들 모터(52)에 탑재되어, 회전 가능해진다. 유지부(58)는 전형적으로는 디스크 트레이 등이며, 트레이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를 디스크 장치의 밖으로 배출하고,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크 장치내로 디스크 카트리지를 인입한다. 도 1에서는 다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해서, 디스크 트레이의 구체적 형상은 나타내지 않는다. 디스크 장치(51)는 이른바 슬로트 인(slot in) 구조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를 로드/언로드(load/unload)하는 기구가 유지부(58)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탑재한다.
스핀들 모터(52) 및 헤드(53)는 횡방향 섀시(54)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핀들 모터(52)는 횡방향 섀시(54)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고, 디스크(205)를 탑재하여 회전시킨다. 한편, 헤드(53)는 횡방향 섀시(54)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55a, 55b)에 의해서, 가이드(55a, 55b)가 신장하는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가이드(55a, 55b)는 스핀들 모터(52)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신장하는 한 방향과 대략 평행해 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핀들 모터(52)에 탑재된 디스크(205)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횡방향 섀시(54)의 헤드가 끼워지는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는 결합 핀(54a, 54b) 및 결합 핀(54c, 54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횡방향 섀시(54)는 화살표 C 및 D의 방향에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이동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디스크 장치(51)는 구동 플레이트(56R, 56L)를 더 구비한다.
구동 플레이트(56R) 및 구동 플레이트(56L)에는 캠 기구(57a, 57B) 및 캠 기구(57c, 57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결합 핀(54a, 54b) 및 결합 핀(54c, 54d)이 이들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각 캠 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A 또는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신장하여, 구동 플레이트(56R 또는 56L)에 있어서 다른 높이에 설치된 선단부(i) 및 종단부(f)와, 이들을 접속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구동 플레이트(56R, 56L)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 기구(57a, 57B) 및 캠 기구(57c, 57d)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 핀(54a, 54b) 및 결합 핀(54c, 54d)이 캠 기구내에서 캠 기구의 형상에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동반하여, 횡방향 섀시(54)가 화살표 D에서 나타내는 방향으로 하강한다. 결합 핀(54a, 54b) 및 결합 핀(54c, 54d)이 캠 기구(57a, 57B) 및 캠기구(57c, 57d)의 단부에 도달하면, 횡방향 섀시(54)가 완전히 하강한다. 이 때, 구동 플레이트(56R, 56L)는 파선(56R', 56L')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횡방향 섀시(54)도 파선(54')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한편, 파선(56R', 56L')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는 구동 플레이트(56R, 56L)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선(54')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던 횡방향 섀시(54)는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구동 플레이트(56R, 56L)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되돌아가면, 횡방향 섀시(54)의 상승도 완료되어,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되돌아간다.
횡방향 섀시(54)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디스크(205)가 스핀들 모터(52)에 탑재된다.
또한, 헤드(53)는 디스크(205)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것들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설치된 셔터를 우선 개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디스크 장치(51)는 이하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셔터 구동 기구를 갖춘다. 또한, 셔터 구동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핀(60)이 구동 플레이트(56L)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플레이트(56L)의 이동에 동반하여, 구동 핀(60)은 Q로 나타낸 구간을 이동한다.
도 2는 셔터 구동 기구(61)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셔터 구동 기구(61)는 베이스(2)와, 홀더(3)와, 제 1 레버부(7A)와, 제 2 레버부(7B)와, 구동치차(6)와, 전단 치차(8)를 포함한다.
구동 치차(6)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에 설치된 기어(204E)와 맞물려, 회전체(204)의 회전에 기여한다. 구동 치차(6)는 기어(204E)와 맞물리는 이에 의해서 구성되는 대치차(6A)와, 구동력을 받기 위한 소치차(6B)를 갖고 있다.
전단 치차(8)는 내치 치차이고, 베이스(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베이스(2)와 일체로 이동한다. 대치차(6A) 및 소치차(6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6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대치차(6A)는 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손부(6E)를 갖는 간헐 치차이다. 소치차(6B)는 베이스(2)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는 전단 치차(8)와 맞물린다.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구동 레버(7)를 구성하고 있고, 구멍(7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구동 레버(7)에는 보스(7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는 각각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에 설치된 제 1 절결부(204D) 및 제 2 절결부(204F)와 결합한다. 제 1 절결부 및 제 2 절결부중 하나만이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은 경우에는 셔터 구동 기구(61)도 대응하는 레버부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홀더(3)는 일면에 설치된 제 1 핀(3A) 및 제 2 핀(3B)과, 다른 면에 설치된 축(3D)과, 구동 기구(3E)를 포함한다. 축(3D)에는 구동 레버(7)의 구멍(7D) 및 구동 치차(6)의 구멍(6D)이 삽입되어 있고, 홀더(3)는 구동 레버(7) 및 구동 치차(6)를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3)는 2개의 제 1 핀(3A)과 하나의 제 2 핀(3B)을 갖는다.
베이스(2)에는 홀더(3)의 제 1 핀(3A)이 결합하는 제 1 가이드 기구(2A)와,구동 레버(7)의 보스(7C)가 결합하는 캠 기구(2C)와, 홀더(3)의 제 2 핀(3B)이 결합하는 제 2 가이드 기구(2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는 원호상 궤적을 갖고 있고, 그 중심은 셔터 구동 기구(61)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를 개폐하기 위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근접하고 있을 때, 회전체(204)의 중심과 대략 일치한다.
구동 레버(7) 및 구동 치차(6)를 유지하는 홀더(3)는 베이스(2)의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에 따라 제 1 핀(3A) 및 제 2 핀(3B)이 이동함으로써 요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요동 운동은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를 규정하고 있는 원호상 궤적의 중심, 즉 셔터 구동 기구(61)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를 개폐하기 위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에 근접하고 있을 때,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의 중심을 축으로 한다. 이 때, 구동 치차(6)의 소치차(6B)는 전단 치차(8)와 맞물리기 때문에, 홀더(3)의 요동에 따라, 구동 치차(6)가 회전한다. 또한, 구동 레버(7)의 보스(7C)가 캠 기구(2C)에 따라 이동한다. 이 때문에, 구동 레버(7)의 회전 각도는 캠 기구(2C)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규정된다.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의 개폐 동작중, 제 1 레버부(7A), 구동 치차(6) 및 제 2 레버부(7B)중의 주로 하나가 회전체(204)와 결합하여, 회전체(204)가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다른 2개는 주로 회전체(204)와 결합하지 않도록 캠 기구(2C)가 조정되며, 구동 치차(6)에 결손부(6E)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3)의 요동 운동은 홀더(3)의 구동구(3E)에 결합하는 구동 핀(60)에 의해서 실시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56R, 56L)가 화살표 A 및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 핀(60)도 화살표 A 및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홀더(3)가 요동한다. 화살표 A 및 화살표 B의 방향은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으로서, 회전체(204)의 외주부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설치된 측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56R, 56L)는 횡방향 베이스(5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의 개폐와 스핀들 모터(52) 및 헤드(53)의 승강이 같은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셔터의 개폐와, 횡방향 베이스의 승강은 동시가 아니어도 좋지만, 디스크(205)가 스핀들 모터(52)에 탑재되어 있을 때에 셔터를 닫는 것은 할 수 없다.
또한, 베이스(2)에는 제 3 가이드 기구(2D)가 설치되어 있고, 홀더(3)와 일체로 화살표 Y1 및 Y2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디스크 장치(51)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셔터를 개폐시키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셔터 구동 기구(61)의 동작을 알기 쉽도록, 셔터 구동 기구(61) 및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만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등에 의해서 디스크 카트리지(200)가 디스크 장치(51)내에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면, 셔터 구동 기구(61)가 화살표Y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다. 셔터 구동 기구(61)의 제 1 레버부(7A)가 회전체(204)의 제 1 절결부(204D)와 결합할 때까지 셔터 구동 기구(61)는 이동한다.
이 때, 구동 치차(6)는 대치차(6)의 결손부(6E)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회전체(204)에 대향하는 회전 각도를 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 치차(6)는 회전체(204)와 접촉하지 않는다. 회전체(204)의 기어(204E)는 카트리지 본체(201)내에 수납되어 있고, 측면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 플레이트(56)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구동 핀(60)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핀(60)과 결합한 구동 기구로부터 구동 핀(60)의 구동력이 홀더(3)에 전달되면, 홀더(3)는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체(204)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시작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3)의 제 1 핀(3A) 및 제 2 핀(3B)이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를 따라 이동하여 홀더(3)가 회전한다. 이 때, 구동 레버(7)의 보스(7C)는 베이스(2)의 캠 기구(2C)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문에, 구동 레버(7)는 캠 기구(2C)에 의해 규정된 각도를 취하면서, 홀더의 축(3D)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홀더(3)의 이동에 동반하여 축(3D)도 회전체(204)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구동 레버(7)의 제 1 레버부(7A)는 회전체(204)의 제 1 절결부와 결합하면서, 회전체(204)를 화살표 L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치차(6)의 소치차(6B)는 전단 치차(8)와 맞물려 있고, 구동 치차(6)는 홀더(3)의 축(3D)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이 발생하여 회전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핀(60)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홀더(3)가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의 안내에 의해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캠 기구(2C)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제 1 레버부(7A)가 회전체(204)의 제 1 절결부(204D)와 결합하도록, 구동 레버(7)의 각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구동 레버(7)에 의해서 회전체(204)는 화살표 L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캠 기구(2C)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제 1 레버부(7A)가 회전체(204)의 제 1 절결부(204D)로부터 이간된다.
이 때, 회전체(204)의 기어(204E)가 카트리지 본체(201)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기 시작하고, 구동 치차(6)의 대치차(6A)가 기어(204E)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까지 구동 치차(6)가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후, 기어(204E)와 구동 치차(6)의 대치차(6A)가 맞물려, 구동 치차(6)의 회전력이 회전체(204)로 전달되어 회전체(204)가 회전한다. 또한, 회전체(204)와 결합한 셔터(202, 203)는 회전체(20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동하여, 개구(201C)를 개방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핀(60)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홀더(3)가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의 안내에 의해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전단 치차(8)와 구동 치차의 소치차(6B)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6)에 회전 구동력이 주어지기 때문에, 구동 치차(6)의 대치차(6A)가 기어(204E)와 맞물림에 따라, 회전체(204)는 화살표 L의 방향으로 회전을 진행하며, 구동 치차(6)는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캠 기구(2C)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제 1 레버부(7A)는 회전체(204)의 제 1 절결부(204D)로부터 이간되며, 제 2 레버부(7B)가 제 2 절결부(204F)에 접근한다. 대치차(6A)가 기어(204)의 종단에 도달할 때에는 제 2 레버부(7B)가 제 2 절결부(204F)와 결합한다.
이후, 회전체(204)의 구동은 제 2 레버부(7B)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핀(60)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홀더(3)가 제 1 가이드 기구(2A) 및 제 2 가이드 기구(2B)의 안내에 의해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이것에 동반하여, 제 2 레버부(7B)가 회전체(204)의 제 2 절결부(204F)에서 회전체(204)와 결합하여, 회전체(204)를 화살표 L의 방향으로 더 회전시킨다.
최종적으로, 회전체(204)에 결합되어 있는 셔터(202, 203)는 개구(201C)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가 되어, 셔터의 개방 동작이 완료된다. 회전체(204)에 설치된 기어(204E)는 다시 카트리지 본체(201)내에 위치하여,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셔터의 개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구동 핀(60)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레버부(7B)가 회전체(204)를 화살표 L과 역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2 레버부(7B)와 제 2 절결부(204F)는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체(204)를 화살표 L과 역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셔터(202, 203)를 폐쇄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상술과 역의 순서로 각부가 동작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구동 핀(60)이 화살표 A의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홀더(3)는 화살표 E와 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구동 치차(6)는 화살표 G와 반대의 방향에 회전한다. 또한, 회전체(204)가 화살표 L과 역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셔터가 완전히 개구(201C)를 폐쇄하여 셔터의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셔터 구동 기구(61)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구동 핀(60)은 구동 플레이트(56R, 56L)에 의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셔터의 폐쇄 동작에 동반하여, 스핀들 모터(52)를 고정하고 있는 횡방향 섀시(54)도 하강하여, 디스크(205)가 스핀들 모터(52)로부터 이간된다. 셔터의 폐쇄 동작 이후, 베이스(2)가 화살표 Y1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셔터 구동 기구(61)가 디스크 카트리지(200)의 측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이렇게 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구동 치차를 회전시켜 회전체의 기어를 구동하기 때문에, 기어를 구동하는 기구가 슬라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터를 개폐하는 구동기구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어, 셔터를 개폐하는 구동 기구나 그 구동 기구가 이동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에 기어 및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은 경우에는 구동 기구에 대응하는 레버부를 설치하여, 레버부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회전체를 회전시켜 셔터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기구 전체가 회전체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때문에, 구동 치차에 의해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관 없이, 셔터를 개폐하는 타이밍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 치차와 구동 레버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기 때문에, 구동 치차 및 구동 레버와 회전체의 상대 위치 관계가 안정된 상태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치차와 구동 레버가 일체로 요동하기 때문에, 양자의 상대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 때문에, 구동 레버와 회전체의 동작 시기를 적절히 동기 시킬 수 있어, 구동 기구가 안정적으로 회전체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치차와 전단 치차의 피치 원 직경비 및 구동 치차와 회전체의 기어의 피치 원 직경비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감속비를 최적화시킬 수 있어, 카트리지 셔터의 개폐 속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전단 치차의 피치 원 직경을 회전체의 기어의 피치 원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구동 치차의 회전수가 적어도 셔터를 확실하게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 치차를 전단 치차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구동 치차를 요동시킴에 따라, 구동 치차의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간편한 구성으로 또한 작은 공간에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레버의 회전 지지축을 구동 치차의 회전 중심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기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치차에 결손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의 기어가 형성되어있지 않은 부분과의 간섭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셔터 개폐 기구를 기어, 제 1 레버부 및 제 2 레버부를 유지하는 홀더와, 홀더를 요동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베이스로 구성함으로써 셔터의 개폐 동작을 2개의 단계로 나누어, 디스크에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할 때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기록 및/또는 재생 가능한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일없이, 카트리지 셔터를 폐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장치내에 방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카트리지 셔터를 개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수납되는 디스크의 디스크면이 디스크 장치내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먼지 등의 부착을 피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에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대한 악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셔터 개폐 기구를 횡방향 섀시를 구동하는 구동 플레이트에 의해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의 개폐 동작과, 디스크를 모터에 탑재하는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어, 셔터를 폐쇄할 때에는 확실히 디스크를 모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는 일체로 구동 레버(7)를 구성했지만,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셔터 구동 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셔터 구동 기구(61)'에 있어서, 구동 레버(7')는 축(3D)의 주위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를 포함한다.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에는 각각 보스(7C및 7E)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에는 보스(7C)와 결합하여, 제 1 레버부(7A)의 회전 각도를 규정하는 캠 기구(2C)와, 제 2 레버부(7B)의 회전 각도를 규정하는 캠 기구(2E)가 설치되어 있다. 캠 기구(2C)와 캠 기구(2E)는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쪽의 회전 각도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도 9에서는 제 1 레버부(7A) 및 제 2 레버부(7B)가 같은 축의 주위를 회전하지만, 각각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레버(7)'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20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의 전달은 제 1 레버부(7A)와 제 1 절결부(204D)의 결합, 대치차(6A)와 기어(204E)의 맞물림 및 제 2 레버부(7B)와 제 2 절결부(204F)의 결합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들 3개의 상이한 구동력 전달이 바뀔 때, 동시에 2개의 상이한 구동력 전달이 실행되면, 구동력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구동력 전달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제 1 레버(7A) 및 제 2 레버(7B)가 제 1 절결부(204D) 및 제 2 절결부(204F)에 대하여 탄성을 갖고 부세하여, 이것과 역방향으로 이탈을 설정하여 놓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치차(6), 구동 레버(7) 및 전단 치차(8)는 일체로, 화살표 Y1 또는 그 역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러나, 이들은 구동 치차(6) 및 구동 레버(7)가 회전체(204)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 및 전달할 수 없는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회전체(204)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들이 이동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트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크 카트리지를 화살표 A 및 B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크 장치내로 디스크 카트리지를 인입하였지만, 예를 들면 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디스크 카트리지를 이동시켜 디스크 장치내로 인입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치차(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구동 치차(6)가 회전체(204)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여, 전단 치차(8)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발생하였다(이른바 유성 치차 기구). 그러나, 이외의 구동계에 의해, 예컨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 치차(6)를 회전시키더라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회전체(204)에 설치된 기어(204E), 대치차(6A) 및 소치차(6B)의 모듈이나 이수 등의 치차의 수단은 구성 또는 동작 형태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체(204)의 회전 중심도 디스크 카트리지 본체내에서 유지 또는 수납되는 디스크(205)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를 개폐하는 타입의 구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하며, 공간절약 또한 간편한 구성으로, 안정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기구를 갖춘 디스크 장치가 실현된다.

Claims (18)

  1.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수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로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외주부의 일부에 설치된 기어를 갖고 있고,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합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가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디스크의 대략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셔터를 개폐시키는 셔터 구동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와 맞물려,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회전체는 상기 기어가 끼워지도록 상기 외주부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결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체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디스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여 요동하면서,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동 레버를 구성하고 있는
    디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대치차와, 상기 대치차와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대치차와 동기하여 회전하는 소치차를 포함하여,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소치차와 맞물리는 전단 치차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치차의 피치 원 직경은 상기 회전체의 기어이의 피치 원 직경보다도 큰
    디스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치차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와 맞물리지 않는 부분에 기어이의 결손부를 갖는 간헐 치차인
    디스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상기 셔터를 폐쇄하도록 상기 셔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 치차,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를 일체로 유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도록 유지하며, 상기 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치차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내치차인
    디스크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캠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레버부 및 상기 제 2 레버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캠 기구에 결합하는 돌기를 갖는
    디스크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설치된 상기 본체의 측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를 대략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갖는 횡방향 섀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횡방향 섀시에 고정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섀시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섀시 및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돌기 및 돌기와 결합하는 캠 기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횡방향 섀시가 승강하는
    디스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설치된 돌기인
    디스크 장치.
KR1020047005409A 2002-07-26 2003-07-23 디스크 장치 KR100604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7855 2002-07-26
JP2002217855 2002-07-26
PCT/JP2003/009358 WO2004012189A1 (ja) 2002-07-26 2003-07-23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096A true KR20050013096A (ko) 2005-02-02
KR100604497B1 KR100604497B1 (ko) 2006-07-24

Family

ID=3118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09A KR100604497B1 (ko) 2002-07-26 2003-07-23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3271B2 (ko)
EP (1) EP1542223A4 (ko)
JP (1) JP4283770B2 (ko)
KR (1) KR100604497B1 (ko)
CN (1) CN1275250C (ko)
WO (1) WO20040121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659A (ko) * 2013-09-16 2015-03-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회전식 버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0046A (ja) * 2001-09-21 2003-04-04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装置およびシャッタ開閉機構
JP2004310892A (ja) * 2003-04-04 2004-11-04 Sony Corp シャッタ開閉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699644B1 (ko) * 2003-04-09 2007-03-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카트리지, 데이터 저장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KR20050075124A (ko) * 2004-01-15 200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를 탑재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CN1871658A (zh) * 2004-01-30 2006-11-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清洁装置
US8051439B2 (en) * 2006-06-02 2011-11-01 Panasonic Corporation Disk device
EP2043099B1 (en) * 2006-06-02 2013-01-23 Panasonic Corporation Disk device
CN107157676B (zh) * 2017-06-06 2019-06-21 南京理工大学 一种用于电动护理床的坐便器移动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188Y2 (ko) * 1985-05-20 1991-12-06
JPH0682504B2 (ja) * 1986-04-30 1994-10-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H0462561U (ko) * 1990-10-02 1992-05-28
JPH09153264A (ja)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477138B1 (en) * 1998-04-28 2002-11-05 Lg Electronics Inc. Disc cartridge with gearing shutters and disc driver for driving the same
JPH11339424A (ja) * 1998-05-22 1999-12-1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348448A (ja) * 1999-06-08 2000-12-15 Pioneer Electronic Corp 移動体駆動装置およびピックアップ駆動装置
TW522385B (en)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US6700863B2 (en) * 2000-05-17 2004-03-02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292437C (zh) * 2001-06-29 2006-12-27 索尼公司 盒式盘、盒式盘的模制件和盒式盘内壳的制作方法
JP2003100046A (ja) * 2001-09-21 2003-04-04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装置およびシャッタ開閉機構
JP3948235B2 (ja) * 2001-10-01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03041076A1 (en) 2001-11-09 2003-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659A (ko) * 2013-09-16 2015-03-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회전식 버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40948A1 (en) 2005-10-27
JPWO2004012189A1 (ja) 2005-11-24
US7093271B2 (en) 2006-08-15
EP1542223A1 (en) 2005-06-15
JP4283770B2 (ja) 2009-06-24
CN1275250C (zh) 2006-09-13
KR100604497B1 (ko) 2006-07-24
CN1585978A (zh) 2005-02-23
EP1542223A4 (en) 2008-04-09
WO2004012189A1 (ja)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0698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604497B1 (ko) 디스크 장치
JPH11203756A (ja) 記憶媒体ローディング装置
EP0579172B1 (en) Apparatus with disc cartridge loading device
JP372680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625986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EP107498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vable body
US5617404A (en) Magneto-optic disk apparatus provided with a holder having a claw catching and bending an elastic member
JPH0512737A (ja) 記録再生装置
JPWO2004061840A1 (ja) ディスク装置
EP0944071B1 (en)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JP360709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EP1074988B1 (en) Disc changer
JP363054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703675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672706B2 (ja) ローディング装置
JP3744834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87850A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光磁気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JPH1173744A (ja)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0137936A (ja) 記録再生装置
JPH0210545A (ja) 記録再生装置
JPH0210503A (ja) 記録再生装置
JP2003083419A (ja) 動力伝達機構並び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8138272A (ja) 補助磁界取付装置
JPH08297882A (ja) ディスク演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