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930A -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 Google Patents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930A
KR20050012930A KR1020030051630A KR20030051630A KR20050012930A KR 20050012930 A KR20050012930 A KR 20050012930A KR 1020030051630 A KR1020030051630 A KR 1020030051630A KR 20030051630 A KR20030051630 A KR 20030051630A KR 20050012930 A KR20050012930 A KR 2005001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vertical
connection tube
horizont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831B1 (ko
Inventor
하헌식
Original Assignee
하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헌식 filed Critical 하헌식
Priority to KR10-2003-005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4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bent tubular articles using an undercut forming moul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접속기 제조방법은,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과, 상기 수직접속관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수평접속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직접속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선회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배수접속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1경사면을 갖는 수평접속관코어와, 외표면이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2경사면을 갖는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외면이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2선회내주면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2수직접속관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켜 상기 배수접속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 내로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여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제2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상기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2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와,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개방하여 사출성형된 배수접속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배수접속기 제작을 위하여 필요했던 열 고주파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배수접속기 제조과정이 단순화되며 배수접속기 제조기간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Manufacturing method of joint pipe for drain pipes and injection molding mold device thereof and joint pipe for drain pipe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어 종래에 배수접속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했던 열 고주파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는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저층 공동주택 및 일반주택에 많이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배관계통에 있어서는 원활한 배수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외부공기의 배수계통 내로의 정상적이며 계속적인 유입이 보장되어야 하는 데, 배수관로의 일부에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부위의 배수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이와 연결된 주변배수관의 기능도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배수배관의 시공에 있어서 수평배관으로부터 수직배관으로의 접속 시에는 횡빙향으로부터 유입되는배수가 수직배관에 직각으로 부딪칠 경우에 발생하는 노이즈(NOISE)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배수관용 접속관이 필요하다.
배수관용 접속관에는 배수관과는 별도의 통기관을 배수배관에 접속시켜 외부공기의 유입을 확보하는 것도 있으나 최근에는 별도의 통기관을 접속치 않고 배수관내에서 외부공기 유입에 필요한 중공부(中空部)를 확보하는 새로운 배수관용 접속관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별도의 통기배관을 접속시켜 주지 않는 대신에 배수배관의 배수유입구에 통상 "섹스티아"라고 칭하는 배수접속기를 설치하여 여기에 유입되는 배수가 와류 선회운동을 하면서 수직배관 즉 배수입하주관으로 도입되게 하는데, 이때 와류선회운동을 하면서 배수입하주관으로 도입된 배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입하주관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를 하면서 내려가게 되므로 배수관의 중심부에는 연속적인 중공부가 형성되어 외부공기 도입에 필요한 통기관의 기능을 대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접속기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배수접속기(110)는, 양단부에 수직배관(미도시)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111)과, 수직배관에 교차하는 수평배관(미도시)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113)을 가지며, 수평접속관(113)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수직접속관(111)으로 약 45°정도의 구배를 이루거나 수직접속관(111)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수직접속관(111)으로 유입되도록 수평접속관(11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113)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있는 선회내주면(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접속기(110)는 통상적으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제작되는데, 선회내주면(115)이 수평접속관(113) 또는 수직접속관(111)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113) 또는 수직접속관(111)의 반경보다 큰 거리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상 배수접속기(110)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배수접속기(110)를 일체로 사출성형 하였을 경우 선회내주면(115)의 중공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금형 내로 삽입된 코어를 사출 및 냉각이 끝난 후에 후퇴시키려고 하면 코어가, 사출성형 되어 금형 내에 있는 배수접속기(110)의 수평접속관(113) 또는 수직접속관(111)에 걸리어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유로 배수접속기(110)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없으므로, 현재 우선 금형에서 각각 하부본체(110b)와 상부본체(110a)를 성형하고, 성형된 하부본체(110b)와 상부본체(110a)를 접착부(110c)에서 상호 접촉시킨 뒤 고주파 유도코일에 의한 가열로 용융 고정시켜 배수접속기(110)를 제작하고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기 별개의 금형에서 성형한 하부본체(110b)와 상부본체(110a)의 접착부(110c)에 요홈과 돌조를 형성하고 요홈 안에 금속 환상체를 설치하고 그 외주에 배치된 고주파 유도 코일에 의해서 금속 환상체를 발열시켜 그 주위를 용융시킴으로써 하부본체(110b)와 상부본체(110a)를 접착시켜 배수접속기(110)를 제작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접속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이유로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없으므로 상부본체 및 하부본체를 서로 다른 금형에서 각각 성형한 후 상부본체 및 하부본체를 상호 접촉시킨 뒤 열 고주파 접착방식으로 접착하여 제조하여야 했으므로, 여러 벌의 금형이 필요하며 별도의 열 고주파 접착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배수접속기의 제조과정이 복잡해지고 제조기간이 길어지며제조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배수접속기 제작을 위하여 필요했던 열 고주파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배수접속기 제조과정이 단순화되며 배수접속기 제조기간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 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접속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도 3의 배수접속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장치로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하부금형에 결합하는 상부금형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접속기 11 : 수직접속관
13 : 수평접속관 15 : 선회내주면
17 : 평행수직접속관 20 : 사출금형장치
21 : 하부금형 21a, 22a : 캐비티
22 : 상부금형 23 : 수평접속관코어
23a : 제1경사면 24 : 제1수직접속관코어
24a : 제2경사면 25 : 제2수직접속관코어
26 : 선회내주면코어 26a : 제1선회내주면코어
26b : 제2선회내주면코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과, 상기 수직접속관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수평접속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직접속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선회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배수접속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1경사면을 갖는 수평접속관코어와, 외표면이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2경사면을 갖는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외면이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2선회내주면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2수직접속관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켜 상기 배수접속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 내로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여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2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상기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2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와,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개방하여 사출성형된 배수접속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접속기는, 상기 수직접속관과 나란하게 상기 수평접속관과 교차되어 연통되는 평행수직접속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평행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수직접속관코어는,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 상기 제2선회내주면코어 및 상기 제2수직접속관코어가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에 진입 및 후퇴될 때 함께 진입 및 후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배수접속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과, 상기 수직접속관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수평접속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직접속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선회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되어 상기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금형;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상기 캐비티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접속관코어 및 제2수직접속관코어; 상기 수평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상기 캐비티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접속관코어; 및 상기 선회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선회내주면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접속관코어 및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각 자유단부의 소정영역은 각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선회내주면코어는, 외표면이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에 결합되는 제1선회내주면코어와, 외표면이 상기 제1수직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수직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결합되는 제2선회내주면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접속기는, 상기 수직접속관과 나란하게 상기 수평접속관과 교차되어 연통되는 평행수직접속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평행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수직접속관코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접속기(10, 10a, 10b)는,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11)과, 수직배관에 교차하는 수평배관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13)과, 수평접속관(13)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수직접속관(11)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수직접속관(11)으로 유입되도록 수평접속관(1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13)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형성되어 있는 선회내주면(15)을 구비하는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수접속기는 수직접속관(11)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평접속관(13)과 연통된 평행수직접속관(17, 17a)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3종류의 배수접속기(10, 10a, 10b)는 후술할 제3수직접속관코어(27)를 각 배수접속기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한 금형에서 모두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만약 이보다 크기가 작은 배수접속기를 제조하고자 한다면 이에 적합한 다른 한 금형을 제조하고 이 금형에서 필요한 코어를 적절히 교체하면서 사출성형하게 되면 여러 벌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한 금형에서 여러 종류의 또 다른 배수접속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3의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2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하부금형에 결합하는 상부금형의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20)는, 하부금형(21)과, 하부금형(21)과 결합되어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21a, 22a)를 형성하는 상부금형(22)과,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의 캐비티(21a, 22a)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수직접속관코어(24) 및 제2수직접속관코어(25), 제3수직접속관코어(27), 수평접속관코어(23), 그리고 선회내주면코어(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코어들은 중공부분을 형성하는 심형(心型)에 해당하여,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의 캐비티(21a, 22a) 내로 진입 시에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과 함께 배수접속기의형상에 대응하는 공간부(미도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공간부 내에 수지들이 사출되어 냉각되면 원하는 형상을 갖는 배수접속기가 사출성형되는 것이다.
제1수직접속관코어(24) 및 제2수직접속관코어(25)는 수직접속관(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의 캐비티(21a, 22a)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수직접속관코어(27)는 평행수직접속관(17)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수직접속관코어(24)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의 캐비티(21a, 22a)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배수접속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3수직접속관코어(27)의 형상이 다소 변경되게 되나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필요는 없다. 한편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자유단부의 소정영역은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23b)을 갖는데, 사출 전과 사출 완료 후에 제1수직접속관코어(24)를 진입 및 후퇴시킬 때에 이 제2경사면(23b)을 따라 후술할 제2선회내주면코어(26b)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수평접속관코어(23)는, 수평접속관(1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의 캐비티(21a, 22a)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유단부의 소정영역은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23a)을 갖는데, 사출 전과 사출 완료 후에 수평접속관코어(23)를 진입 및 후퇴시킬 때에 이 제1경사면(23a)을 따라 후술할 제1선회내주면코어(26)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선회내주면코어(26)는, 수평접속관의 제1경사면(23a)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수평접속관코어(23)에 결합되는 제1선회내주면코어(26a)와,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제2경사면(2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1수직접속관코어(24)에 결합되는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를 구비하며, 제1선회내주면코어(26a)와 제2선회내주면코어(26b)가 직각으로 접촉하게 되면 선회내주면(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는, 외표면이 수평접속관(1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13)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13)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제1경사면(23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평접속관코어(23)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도 외표면이 수직접속관(11)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직접속관(11)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제2경사면(2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1수직접속관코어(24)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의 캐비티(21a, 22a)로 수평접속관코어(23) 및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진입이 완료되게 되면 제1선회내주면코어(26a)와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는 사출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사출 및 냉각이 끝나게 되면 금형 내에는 배수접속기가 성형되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때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의 캐비티(21a, 22a)로부터 수평접속관코어(23) 및 제1수직접속관코어(24)를 후퇴시키게 되면 제1선회내주면코어(26a)와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는, 성형되어 금형 내에 존재하는 수평접속관(13)과 수직접속관(11)의내주면에 걸린 후 수평접속관코어(23) 및 제1수직접속관코어(24)가 후퇴됨에 따라 제1경사면(23a) 및 제2경사면(2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수평접속관(13)과 수직접속관(11)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는 인출위치에 놓이게 되며 따라서 이 인출위치에서 수평접속관코어(23) 및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후퇴와 함께 수평접속관(13)과 수직접속관(11)의 내부를 통하여 후퇴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접속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21a, 22a)를 형성하도록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에, 수평접속관코어(23)와, 수평접속관코어(23)에 결합된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를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로 진입시킨다. 진입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는 사출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1수직접속관코어(24), 제1수직접속관코어(24)에 결합된 제2선회내주면코어(26b), 제1수직접속관코어(24)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2수직접속관코어(25), 제3수직접속관코어(27)를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로 진입시키는데, 진입이 완료되면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코어들의 삽입이 완료되면 금형 내에는 배수접속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과 코어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로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고 냉각하여 배수접속기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접속관코어(24), 제2선회내주면코어(26b), 제2수직접속관코어(25), 제3수직접속관코어(27)를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로부터 후퇴시키게 한다. 이 때에 제2수직접속관코어(25), 제3수직접속관코어(27)는 제2수직접속관 및 제3수직접속관 내부를 통하여 후퇴되게 되며,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는 제1수직접속관코어(24)가 후퇴됨에 따라, 금형 내에 존재하는 배수접속기의 수직접속관(11)의 내주면의 걸림에 의해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제2경사면(23b)을 따라 사출위치에서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이 인출위치에서 수직접속관(11)의 내부를 통하여 인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접속관코어(23)와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를 하부금형(21)과 상부금형(22) 내로부터 후퇴시킨다. 이 때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도 수평접속관코어(23)가 후퇴됨에 따라, 금형 내에 존재하는 수평접속관의 내주면에 걸림에 의해 수평접속관코어(23)의 제1경사면(23a)을 따라 사출위치에서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이 인출위치에서 수평접속관(13)의 내부를 통하여 인출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부금형(21) 및 상부금형(22)을 개방하여 사출성형된 배수접속기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배수접속기의 선회내주면(15)을 형성하는 제1선회내주면코어(26a) 및 제2선회내주면코어(26b) 각각이, 사출 및 냉각 후 각각 수평접속관코어(23) 및 제1수직접속관코어(24)의 후퇴에 의해 제1경사면(23a)과 제2경사면(23b)을 따라 각각 사출위치에서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코어들을 금형 내로 진입할 때 수평접속관코어(23)와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를 금형 내로 진입한 다음에 제1수직접속관코어(24), 제2선회내주면코어(26b), 제2수직접속관코어(25)를 진입하고 코어들을 금형으로부터 후퇴시킬 때 제1수직접속관코어(24), 제2선회내주면코어(26b), 제2수직접속관코어(25)를 금형으로부터 후퇴시킨 다음에 수평접속관코어(23)와 제1선회내주면코어(26a)를 금형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이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선회내주면코어(26)가 제1선회내주면코어(26a) 및 제2선회내주면코어(26b)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수평접속관코어(23) 또는 제1수직접속관코어(2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선회내주면(15)을 형성할 수 있고 사출위치와 인출위치 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면 하나의 선회내주면코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접속기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배수접속기 제작을 위하여 필요했던 열 고주파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배수접속기 제조과정이 단순화되며 배수접속기 제조기간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과, 상기 수직접속관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수평접속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직접속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선회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배수접속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결합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1경사면을 갖는 수평접속관코어와, 외표면이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키는 단계;
    자유단부의 소정 영역이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제2경사면을 갖는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외면이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결합된 제2선회내주면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2수직접속관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상기 상부금형 내의 상기 캐비티로 진입시켜 상기 배수접속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 내로 용융된 수지를 사출하여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제2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상기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2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와,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의 상기 캐비티로부터 후퇴에 의해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인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선회내주면코어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로부터 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개방하여 사출성형된 배수접속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기는, 상기 수직접속관과 나란하게 상기 수평접속관과 교차되어 연통되는 평행수직접속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평행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수직접속관코어는,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 상기 제2선회내주면코어 및 상기 제2수직접속관코어가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내에 진입 및 후퇴될 때 함께 진입 및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의 제조방법.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
  4. 양단부에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수직접속관과, 상기 수직접속관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수평접속관을 가지며, 상기 수평접속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배수가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부의 일부 둘레를 따라 상기 수직접속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선회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접속기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되어 상기 배수접속기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금형;
    상기 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상기 캐비티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접속관코어 및 제2수직접속관코어;
    상기 수평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상기 캐비티 내로 진입 및 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접속관코어; 및
    상기 선회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선회내주면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접속관코어 및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의 각 자유단부의 소정영역은 각 자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선회내주면코어는, 외표면이 상기 수평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수평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평접속관코어에 결합되는 제1선회내주면코어와, 외표면이 상기 제1수직접속관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제1수직접속관의 반경보다 큰 거리 상에 위치하는 사출위치와 제1수직접속관의 반경보다 작은 거리 상에 위치하는 인출위치 간을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에 결합되는 제2선회내주면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접속기는, 상기 수직접속관과 나란하게 상기 수평접속관과 교차되어 연통되는 평행수직접속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평행수직접속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수직접속관코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수직접속관코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
KR10-2003-0051630A 2003-07-25 2003-07-25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KR10047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30A KR100475831B1 (ko) 2003-07-25 2003-07-25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30A KR100475831B1 (ko) 2003-07-25 2003-07-25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930A true KR20050012930A (ko) 2005-02-02
KR100475831B1 KR100475831B1 (ko) 2005-03-14

Family

ID=372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630A KR100475831B1 (ko) 2003-07-25 2003-07-25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310B1 (ko) *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101698685B1 (ko) * 2015-09-10 2017-01-20 조영봉 핀홀이 극소화된 미세홀을 포함한 초정밀 주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워치 케이스의 제조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38B1 (ko) 2013-09-17 2014-01-03 (주) 한미산업 매입형 배선박스 제조용 금형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선박스 제조방법
KR101444743B1 (ko) * 2014-02-13 2014-09-29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티(t)형 이음관 성형용 금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310B1 (ko) *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101698685B1 (ko) * 2015-09-10 2017-01-20 조영봉 핀홀이 극소화된 미세홀을 포함한 초정밀 주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워치 케이스의 제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831B1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04244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 tube externe d'un injecteur
JPH09309115A (ja) コネクタ成形用金型装置
CN211440969U (zh) 一种弯曲弧度浇口进胶系统
KR100475831B1 (ko) 배수접속기 제조방법 및 배수접속기 사출금형장치와 이에의해 제조되는 배수접속기
KR100448178B1 (ko) 중공부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사출성형용 주형 및 그 방법
CN106313472A (zh) 具有冷却结构的塑料挤出模具
CN217729391U (zh) 一种电熔管件绕线用芯套及电熔管件成型结构
CN111716648B (zh) 管状元件成型模具、脱模成型工艺及管状元件
JP5543012B1 (ja) パイプ状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346740A (zh) 一种支撑冷却式挤出模具
CN211251005U (zh) 一种peek密封环成型模具
CN208529611U (zh) 注射器针筒模具
CN219405239U (zh) 一种注塑模具
CN107399068B (zh) 一种自承式空中配线引入光纤带光缆成型模具
CN219055205U (zh) 一种深孔板注塑模具
CN212764607U (zh) 一种水室的一体水管整体脱模结构
CN209079118U (zh) 一种可同时熔接双层管道电熔弯头注塑模具
CN111873306B (zh) 制作耳挂式耳机线材的方法
CN216658757U (zh) 一种高精度的热流道模装置
CN216760735U (zh) 一种高温注塑模具用隔热水套及注塑模具
KR200172891Y1 (ko) 사출금형
CN210789108U (zh) 一种用于标准件生产的成型模
CN209832474U (zh) 围绕式多浇口上下配套灯座模具
JP3803016B2 (ja) 中空成形体及び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JPH08188001A (ja) 合成樹脂製の車輪、そ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