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407A -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407A
KR20050000407A KR10-2004-7017144A KR20047017144A KR20050000407A KR 20050000407 A KR20050000407 A KR 20050000407A KR 20047017144 A KR20047017144 A KR 20047017144A KR 20050000407 A KR20050000407 A KR 2005000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image
control operation
detector
camera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074B1 (ko
Inventor
가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5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involving internal camera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sensor, e.g. synchronising or multiplexing SSIS control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카메라의 CCD와 같은 촬상소자가 적외선 원격제어부로부터 발광되는 적외선의 광검출기를 대체한다.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기초로 적외선이 검출되는 경우, 피사체에서의 적외선의 발신위치가 검출된다. 카메라는 검출된 발신위치들이, 초점제어에서의 초점검출범위, 노출제어에서의 노출검출범위, 및 화이트밸런스 제어에서의 색평가범위로서 설정되도록 하는 작동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CAMERA APPARATUS, CAMERA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AMERA CONTROL METHOD RECORDED THEREIN}
종래에, CCD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이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CCD와 같은 촬상소자가 적외선 원격제어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는 점을 이용함으로써, CCD가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적외선용 광검출기를 대체하여 왔다(일본 특개평6-22194호 공보, [0011]-[0013] 단락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는 장치몸체에 장착되는 적외선 원격제어부에서의 수광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누릴 수 있었다.
하지만, 상술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원격제어부는 CCD에서 검출된 적외선의 존재를 기초로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단지 소정의 작동만을 실행하도록 해주므로, 그 결과 카메라 장치는 비록 광검출기의 제거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카메라 활용성은 증가시키지 못했다.
본 발명은 촬상소자가 제공되는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상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개괄적인 설명과 후술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범위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내장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테이블의 데이터내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원격제어부에 의한 촬영모드에서 DSP/CPU(3)에 따른 제어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블럭검출처리의 내용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블럭검출처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도 6은 촬영화상에서의 휘도검출 대상이 되는 블럭을 도시한다.
도 7은 영역-지정 AF 작동내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다른 영역에서 가중 AE 작동내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영역-지정 AWB 작동내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실시예에는, 피사체상을 촬영화상신호로서 출력하는 촬상소자,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에 따라 피사체에서 광신호의 발신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발신위치에 대한 응답에 따라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제어기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장치본체에 장착된 적외선 원격제어부에 대한 사용자의 원격제어조작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 뿐만이 아니라, AF(자동초점), AE(자동 노출제어), 및 AWB(자동 화이트밸런스제어)와 같은 일반적인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CCD(촬상소자)(2)와, DSP/CPU(3)를 갖는다. CCD(2)는 초점렌즈, 줌 렌즈 등(도시 안됨)이 포함된 광학시스템을 통해서 맺혀진 피사체의 광화상을 광전변환하여, 피사체의 광화상에 따른 아날로그 촬영신호를 출력한다. 광학시스템에는 촬영화상에 악영향을 끼치는 약 750㎚ 내지 950㎚ 범위의 적외선을 차단하는 청색유리 적외선 차단필터가 포함되고 있다.
DSP/CPU(3)는 JPEG 표준에 따른 화상 데이터의 압축/확장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신호처리기능들을 갖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이외에도 DSP/CPU(3)은 디지털 카메라(1)의 각 기능부들을 제어한다. DSP/CPU(3)는 CCD(2)를 구동시키는 TG(타이밍 발생기)(4)에 연결된다. CCD(2)로부터 출력된 촬영신호가 입력되는 유닛회로(CDS/AGC/AD)(5)는 TG(4)에 연결된다. 유닛회로(5)는 상관 이중샘플링에 따라서 CCD(2)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CDS회로, 노이즈가 제거된 촬영신호를 중폭하는 자동 이득제어기(AGC), 및 증폭된 촬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AD)들로 구성된다. CCD(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유닛회로(5)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그 결과적인 신호는 DSP/CPU(3)로 전송된다.
표시부(6), 키이 입력장치(7), 및 렌즈 구동부(8)들은 DSP/CPU(3)에 연결된다. 또한, DRAM(10), 내장 플래쉬 메모리(11), 및 카드 인터페이스(12)들도 어드레스 데이터 버스(9)를 통해서 DSP/CPU(3)에 연결된다. 카드 인터페이스(12)에는 카메라 본체에 정해진 카드 슬롯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13)가 연결된다(미도시).
렌즈 구동부(8)는 그들의 광축방향으로 초점렌즈와 줌렌즈를 각각 구동시키는 스텝핑 모터와, DSP/CPU(3)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의 응답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들로 구성된다. DRAM(10)은 촬영대기상태에서, CCD(2)에 의해 촬영되어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로서 역할을 하며, 또한 DSP/CPU(3)의 작업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DRAM(10)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화상데이터는 압축되어, 최종적으로 메모리 카드(13)(기록부)에 기록된다.
표시부(6)는 칼라 LCD와 이들의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촬영대기모드에서는, CCD(2)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쓰루화상으로서 화면표시하며, 재생모드에서는, 메모리 카드(13)로부터 독출되어 확장시킨 기록화상을 화면표시한다. 키이 입력장치(7)에는 셔터 키이, 전원 키이, 모드 선택 키이, 및 십자 키이 등과 같은 복수개의 조작 키이들이 포함되고, 키이 입력장치(7)는 사용자에 의한 키이 조작에 응답하여 키이 입력 신호를 DSP/CPU(3)로 출력한다. 알람부(14)는 DSP/CPU(3)의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태의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내장 플래쉬 메모리(11)에서는, DSP/CPU(3)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각종의 데이터 뿐만이 아니라, DSP/CPU(3)로 하여금 디지털 카메라(1)의 각 기능부들을 제어토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DSP/CPU(3)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경우, DSP/CPU(3)는 제 1 검출기, 제 2 검출기, 제어기, 지정부, 및 인식부로서 기능을 한다. 내장 플래쉬 메모리(11)에는, 도 2에 도시된 명령테이블(T)을 형성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명령테이블(T)은 상술된 적외선 원격제어부로부터 발신된 원격제어부신호에 포함된 특정 코드 데이터값(코드값)과, 이들에 의해 표현화된 작동명령들을 제시해 준다.
이후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1)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가 설정된 경우에서의 작동들을 설명한다.
먼저,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는 화상 촬영모드로서 이전에 정의한 복수개의 모드들 중에 하나이다.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적외선 원격제어부에서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촬영될 피사체의 영역에서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각 위치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화상이 복수 형태의 모드들(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형태)에서 선택적으로 촬영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 원격제어부는, 명령용 코드데이터의 선두위치에 온-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소정의 비트폭을 갖는 검출용 코드데이터가 부가된 신호를 발신한다. 이 경우, 후술될 블럭검출처리의 경우(도 5 참조)에서, 검출용 코드데이터 부분(도 5에 도시된 적외선 신호)의 각 비트폭은, CCD(2)의 구동주기(프레임 주기)의 길이에 두 배되는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며, 적외선 원격제어부는 상술한 청색유리 적외선 차단필터를 통과하는 약 950㎚ 내지 1,050㎚의 파장길이를 갖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이후부터는,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에서의 구체적인 작동들을, 도 3에 도시된 DSP/CPU(3)에 의한 제어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에 따라 설명한다.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가 설정되면, DSP/CPU(3)는 CCD(2)에서의 노출시간을 1/2 프레임으로 고정시키고, 소정의 구동주기(프레임 주기)로 연속적인 노출을 시작하며(단계 SA1), 그런 다음, 공정은 블럭검출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A2). 도 4는 블럭검출처리의 내용을 보여주며(단계 SA2), 도 5는 적외선 원격제어부가 검출용 코드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발신하고, 적외선 신호의 주기는 프레임 주기와 동기화되는 구간동안의 디지털 카메라(1)의 작동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이다. 블럭검출처리에서, CCD(2)는 상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 주기에서의 1/2 프레임 주기까지 노출된다(단계 SB1). CCD(2)의 노출시간은 프레임 주기의 후반부와 일치한다. 노출의 결과로서 획득된 하나의 프레임의 양에 대응하는 화상의 각 색깔별 휘도 데이터는 버퍼에 저장된다(단계 SB2). 그런 후, 화상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을 X방향과 Y방향으로 균등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검출블럭들((0,0) 내지 (7,7))로 분획되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이어진다. 이 경우에서, 상기 블럭들의 갯수와 모양은 상술된 것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선두 블럭(0,0)이 대상 블럭으로 설정되고(단계 SB3), 그런 다음, 블럭에서 소정의 휘도 또는 그보다 더 높은 휘도를 갖는 픽셀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존재하는 경우, 적외선이 점등된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B4에서 YES), 각 검출블럭에서 이전에 유지되었던 데이터코드들을 축적시키도록 데이터 코드 "1"이 DRAM(10)에서의 버퍼영역에 설정된다(단계 SB5). 만약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외선이 소등된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B4에서 NO), 데이터코드 "0"이 설정된다(단계 SB6). 상기 처리는 처리될 대상이 되는 나머지 모든 검출블럭들에서도 행해진다(단계 SB7 내지 SB9에서의 NO, 단계 SB10). 최종 검출블럭에 관련된 처리가 종료되면(단계 SB7, SB8에서의 NO, SB10에서의 YES), 처리는 단계 SB1으로 되돌아가서, CCD(2)가 다음 노출타이밍에서 노출되며, 단계 SB2이하의 처리들이 반복된다. 따라서, DRAM(10)에서 상술된 매 검출블럭들에서의 버퍼영역마다, 노출시간 횟수에 대응하는 수에 대한 응답에 따르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축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원격제어부로부터 발신된 검출용 코드데이터 신호의 비트폭은 CCD(2)의 프레임 주기보다 2배가 되는 길이로 설정된다(도 5의 적외선 신호). 그러므로, 적외선의 신호주기가 프레임 주기와 동기화되는 경우에서, 상술된 처리들이 반복되는 구간동안 각 검출블럭에서 축적된 코드 데이터는 적외선의 1 회 점등에 대하여 2 비트의 점등비트("11")로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적외선의 신호주기가 서로 동기화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코드는 적외선의 1 회 점등에 대하여 3 비트의 점등비트("111")로 된다(도 5의 데이터코드).
따라서, 상술된 처리들을 반복하는 동안에, 각각의 검출블럭에서 코드데이터를 축적하는 시점에서 상술된 비동기상태를 나타내주는 비트패턴이 검출블럭의 코드 데이터상에서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B8). 만약, 비동기패턴의 모습이 보이는 경우(단계 SB8에서의 YES), 그 시점에서 CCD(2)를 구동하는 프레임 카운터는 리셋되며, 노출 타이밍이 적외선의 신호주기와 동기되도록 그 노출 타이밍을 1/2 프레임정도 옮겨 놓는다(단계 SB11). 프레임 카운터가 리셋되는 타이밍은 프레임 카운터의 계수값이 1/2 프레임 계수값에 도달하는 "프레임 시간 - 노출시간"이다. 이후에서, 매 검출블럭에서 축적된 모든 코드데이터를 리셋시키고(단계 SB12), 처리는 단계 SB1로 되돌아 가며, 그 결과 상술된 처리들이 처음부터 다시 반복되며, 코드 데이터들은 매 검출블럭에서 새롭게 축적된다.
한편, 상술된 처리들을 반복하는 동안, 검출용 코드데이터와 일치하는 코드데이터가 임의의 검출블럭에 축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축적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B7에서의 YES), 인에이블 플래그가 그 시점의 대상이 되는 검출블럭에 설정된다(단계 SB13). 검출블럭(도 6의 실시예에서 검출블럭(3,5))은 적외선의 발신위치로서 확정된다. 그러므로, 블럭검출처리는 종료되며, 공정은 도 3에서의 주요공정절차로 복귀한다.
그 후에, CCD(2)는 주요공정절차에서 프레임 주기를 갖고 노출되며, 게다가, 블럭검출처리에서 확정된 검출블럭에 대하여 검출신호(휘도)를 확인하는 동안 코드 데이터의 획득이 시작된다(단계 SA3). 처리는 이전에 결정된 비트폭을 갖는 데이터가 획득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전에 결정된 비트폭의 데이터, 예를들어, 명령용 코드 데이터가 획득된 후에(단계 SA4에서 YES), 획득된 코드값과 일치하는 코드데이터를 명령테이블(T)에서 확인하며(단계 SA5), 또한, 일치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작동명령의 내용을 확인한다(단계 SA6). 이후에서는, 확인된 작동명령에 대한 응답에 따라 이하의 처리들이 실행된다.
확인된 작동명령이 영역-지정 AF인 경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검출처리에서 적외선의 발신위치로서 확정된 검출블럭과 그 주변 8개 블럭들을 덮는 영역(A1)은 자동초점제어의 초점영역으로서 설정된다(단계 SA7). 계속해서, 알람부(14)는 소정의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촬영시작을 알려준다. 이후, AF, AE, 및 AWB들은 각각 제어되고, 촬영이 CCD(2)에 의하여 실행되며, 촬영의 결과로서 획득된 화상데이터는 압축되어 메모리카드(13)에 저장된다(단계 SA10 내지 SA13).
단계 SA6에서 확인된 작동명령이 각 영역에 대한 가중 AE인 경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노출제어에서의 가중영역들처럼, 검출블럭과 그 주변 8개 블럭들은 8배 가중된 상위영역(A2)으로 설정되며, 그 주변 40개(최대값; 본 예시에서는, 33개) 블럭들은 4배 가중된 중간영역(A3)으로 설정되며, 나머지 블럭들은 비가중된 하위영역(A4)으로 각각 설정된다(단계 SA8). 그런 후, 단계 SA10 내지 SA13에서의 처리들은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실행된다.
단계 SA6에서 확인된 작동명령이 영역-지정 AWB인 경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검출블럭 주위에 이웃한 8개 블럭들을 둘러싸는 주변 40개(최대값, 본 예시에서는, 33개) 블럭들은 자동 화이트밸런스 제어에서의 색평가영역으로서 설정된다. 그런 후, 단계 SA10 내지 SA13에서의 처리들은 화상데이터의 저장을 실행한다.
상술된 원격-제어 화상촬영모드에서, 영역-지정 AF 모드에서의 촬영작동이사용자에 의해 적외선 원격제어부를 통해 실행된 경우, 적외선 수신위치의 주변에 위치한 주 피사체가 되는 사용자가 정확한 초점을 유지하게 되는 촬영작동은 높은 정확도의 초점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 영역에 대한 가중 AE 모드에서의 촬영작동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주변에서 정확한 노출이 성취되는 높은 정확도의 노출상태에서 촬영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영역-지정 AWB 모드에서의 촬영작동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의 주변을 제외한 지역만을 기초로 화이트밸런스가 조정되는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워지며, 그 결과 촬영작동은 사용자 옷의 색깔 등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높은 정확도의 화이트밸런스가 확보되는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용 사진검출기가 제거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활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에서, 촬영작동에,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사용에 의해 가능해지는 상술된 여러 가지 제어들(개별적인 영역들에 대한 가중 AE, 영역-지정 AF, 및 영역-지정 AWB)이 수반되는 구성을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촬영작동 이외의 다른 작동들이 광촬영화상, 즉, 피사체에서의 적외선의 발신위치에 반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가 동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동화상에 관련된 작동을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복수개의 코드데이터를 CCD(2)를 사용하여 수신받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오직 하나의 코드데이터만이 수신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적외선으로 송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상에 코드데이터를 실어나르는 것 없이, 발신원의 위치에 관한 확인 뿐만이 아니라, 오직 적외선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이 행해지며, 적외선이 수신되는 경우, 소정의 작동이 행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외선 원격제어부 이외의 것으로부터 유도된 빛(노이즈)에 의해 쉽게 영향받기 때문에, 빛 수신의 존재가 오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데이터는 본 실시예와 같이 원격제어신호상에 실어날려지도록 하며, 코드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만 소정의 작동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드데이터가 원격 제어신호상에 실어날려지는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코드데이터의 수신시에, CCD(2)의 노출타이밍이 적외선의 신호주기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양자모두를 서로 동기화시키고 코드데이터는 원격제어신호상에 실어날려지는 경우, 오검출의 발생율은 더욱 감소된다. 이것은 코드데이터의 비트폭이 특히 넓은 경우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후에서는, 상술된 본 실시예의 변형예들을 설명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적외선의 발신위치검출은, 도 6에서 도시된 블럭검출처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교적 큰 블럭에 의해 실행되었다. 하지만, 적외선의 발신위치는 단일픽셀 또는 복수의 픽셀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적외선의 발신위치는 일정기간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되어, 그 결과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일정기간이 경과된 후, 특정영역이 상기 기간동안에서 저장된 복수개의 발신위치들에서의 변화들을 기초로 설정된다. 예를들어, 복수개의 발신위치들 모두를 포함하는 구역(원, 직사각형 등)이 특정영역이 된다. 그러면,AF처리, AE처리, 및 AWB 처리를 수반한 촬영작동은 그 피사체로서 오직 상기 특정영역상에서만 실행된다. 촬영작동에서의 AF처리 등의 종류에 관하여, 이것들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술된 코드데이터들이 검출과 병행하여 축적되는 동안, 발신위치검출이 연속적으로 이행되는 구성에 의해서 획득되어 축적된 코드데이터에 대응되어 처리될 수 있다.
상술된 상기 변형예들에 따르면, AF처리 등에서의 대상영역은 촬영작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특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 활용성이 한층 향상된다.
상기의 설명과는 별도로, 후술되는 작동들이 행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적외선의 발신위치검출은 일정기간동안 연속적으로 실행되어, 그 결과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그 후에 적외선의 발신원이 되는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이동패턴이 일정기간동안에 저장된 복수개의 발신위치들에서의 변화들을 기초로 인식된다. 인식되는 이동패턴은 쉽게 인식되는 것들, 예를들어, 수직이동패턴, 수평이동패턴, 및 큰 원을 그리는 이동패턴이 될 수 있다. 인식방법은 임의의 방법으로서, 예를들어, 복수개의 발신위치들이 메모리에서의 검출픽셀단위에 대응되어 좌표계에 도시되고, 그 분포도를 통해서 패턴인식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인식되는 이동패턴과 AF처리 등에서의 촬영명령들을 나타내는 명령테이블이 저장된다. 이동패턴이 인식되면, 우선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부근이 이동되는 영역, 예를들어, 임의의 타이밍에서 발신위치주위의 중심이 되는 일정영역과 검출된 발신위치의 일부분 또는 전체, 다시 말하면, 적외선 원격제어부의 이동궤적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들이 특정영역으로서 설정된다. 그런 후, 상술된 이동패턴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반된 촬영작동이 상술된 상기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상술된 변형예들에 따르면, 예를들어, 사용자 자신을 주 피사체로 하는 AF 처리를 수반한 촬영작동은 적외선 원격제어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으며, AWB 처리를 수반한 촬영작동은 적외선 원격제어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자신과 그 주변을 색평가영역(또는 색평가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활용성은 한층 향상된다. 제 1 실시예와 비슷하듯이, 만약 특정 코드데이터가 원격제어신호상으로 실어날라지고,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작동들이 가능해지면, 원격제어신호의 오검출로 인한 오작동은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1)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이외에 무비카메라, 카메라장착된 셀룰라폰, 카메라장착된 PDA, 및 카메라장착된 개인컴퓨터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은 CCD와 CMOS 센서 등과 같은 촬상소자(이것들을 촬영화상을 획득하는데는 사용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은염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단순히 개조하거나 또는 갱신하는 경우에서도, 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동들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9)

  1. 피사체상을 획득하고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소자(2);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13);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상에서 광신호의 발신위치를 검출하는 제 1 검출기(3); 및
    상기 제 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발신위치에 응답하여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제어기(3)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발신위치의 변화들을 기초로 상기 피사체상의 임의의 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영역에 대하여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발신위치의 변화들을 기초로 상기 광신호의 발신원의 이동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부(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이동패턴을 기초로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초점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초점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초점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노출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노출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노출검출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색평가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카메라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색평가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색평가범위를 설정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신호에 의해서 전송된 특정 코드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2 검출기(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특정 코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신호에 의해서 전송된 복수개의 특정 코드데이터 중 하나를 식별하는 제 2 검출기(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검출기에 의해 식별된 상기 특정 코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신호에 의해서 전송된 복수개의 특정 코드데이터 중 하나를 식별하는 제 2 검출기(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검출기에 의해 식별된 상기 특정 코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카메라장치.
  16. 화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피사체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상에서 광신호의 발신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발신위치에 대해 응답하여 제어작동을 실행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발신위치의 변화들을 기초로 상기 피사체상의 임의의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작동은 상기 특정된 영역에 대한 제어작동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발신위치의 변화들을 기초로 상기 광신호의 발신원의 이동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작동은 상기 인식된 이동패턴을 기초로 하는 제어작동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방법.
  19.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을 획득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컴퓨터 해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수단;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화상신호를 기록하도록 하는 컴퓨터 해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수단;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화상신호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상에서 광신호의 발신위치를 검출하도록 하는 컴퓨터 해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수단;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검출된 발신위치에 대해 응답하여 제어작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해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가용매체가 포함된 제조물품.
KR1020047017144A 2002-12-27 2003-12-26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0639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832 2002-12-27
JPJP-P-2002-00378832 2002-12-27
JPJP-P-2003-00378005 2003-11-07
JP2003378005A JP4281954B2 (ja) 2002-12-27 2003-11-07 カメラ装置
PCT/JP2003/017035 WO2004062264A1 (en) 2002-12-27 2003-12-26 Camera apparatus, camera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amera control method record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407A true KR20050000407A (ko) 2005-01-03
KR100639074B1 KR100639074B1 (ko) 2006-10-30

Family

ID=3271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144A KR100639074B1 (ko) 2002-12-27 2003-12-26 카메라 장치, 카메라 제어방법, 및 카메라 제어방법이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14649B2 (ko)
EP (1) EP1488631A1 (ko)
JP (1) JP4281954B2 (ko)
KR (1) KR100639074B1 (ko)
AU (1) AU2003295244A1 (ko)
TW (1) TWI239764B (ko)
WO (1) WO20040622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12B1 (ko) * 2004-04-29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20110022668A1 (en) * 2009-07-22 2011-01-27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ticketing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653B2 (ja) * 2003-02-03 2011-08-10 辰巳電子工業株式会社 自動写真作成装置
JP2007028424A (ja) * 2005-07-20 2007-02-01 Fujifilm Holdings Corp カメラ
US8154605B2 (en) * 2006-08-30 2012-04-10 Nikon Corporation Image tracking apparatus, image tracking method and camera for improved recognition of a target object
KR20090063679A (ko) * 2007-12-14 200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5260076B2 (ja) * 2008-02-14 2013-08-14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光起電力装置および機器
TWI394063B (zh) * 2008-06-02 2013-04-21 Tlj Intertech Inc 應用影像辨識之指令輸入系統以及方法
JP5157729B2 (ja) * 2008-08-04 2013-03-06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2013046170A (ja) * 2011-08-23 2013-03-04 Lapis Semiconductor Co Ltd 指示光検出装置及び方法
JP5541430B1 (ja)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装着装置
JP5527492B1 (ja) 2013-08-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10032A (ko) * 2014-03-24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데이터 처리 전자장치 및 방법
US10721420B2 (en) 2015-06-02 2020-07-2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adaptable exposure control and light projection for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356B2 (ja) 1989-11-29 2001-11-05 コニカ株式会社 スチルビデオカメラ
US5255044A (en) * 1990-06-05 1993-10-19 Nikon Corporation Automatic exposure control apparatus with improved exposure value calculation for photographing a moving object
JPH05145822A (ja) 1991-03-26 1993-06-11 Olympus Optical Co Ltd 動体追尾装置
JPH0530414A (ja) 1991-07-23 1993-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
JP3401272B2 (ja) 1992-07-03 2003-04-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スチルビデオカメラのリモコン装置
JP3216022B2 (ja) 1992-09-14 2001-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H06148504A (ja) * 1992-10-30 1994-05-27 Nikon Corp 視線検出可能なカメラ
JP3624029B2 (ja) 1995-09-05 2005-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H0974504A (ja) 1995-09-05 1997-03-18 Canon Inc 撮像装置
JPH11168749A (ja) * 1997-09-30 1999-06-22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CN1118181C (zh) 1997-09-30 2003-08-13 株式会社理光 数字式照相机
JP2000050145A (ja) 1998-05-26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追尾装置
JP2000165850A (ja) 1998-11-25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追尾装置
US6822687B1 (en) * 1999-07-08 2004-11-23 Pentax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ing device and its laser emitting device
US6906744B1 (en) * 1999-09-28 2005-06-14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3640156B2 (ja) * 2000-02-22 2005-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指示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情報記憶媒体
JP2002152561A (ja) 2000-11-14 2002-05-24 Hisaya Hirose 電波を使用しない通信システム
US6891570B2 (en) * 2001-01-31 2005-05-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daptively deriving exposure time and frame rate from image motion
US7969472B2 (en) * 2002-03-27 2011-06-28 Xerox Corporation Automatic camera steering control and video conferenc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12B1 (ko) * 2004-04-29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20110022668A1 (en) * 2009-07-22 2011-01-27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ticketing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14649B2 (en) 2008-08-19
AU2003295244A1 (en) 2004-07-29
TW200414749A (en) 2004-08-01
WO2004062264A1 (en) 2004-07-22
US20080211933A1 (en) 2008-09-04
TWI239764B (en) 2005-09-11
JP4281954B2 (ja) 2009-06-17
JP2004222242A (ja) 2004-08-05
KR100639074B1 (ko) 2006-10-30
US20050206748A1 (en) 2005-09-22
EP1488631A1 (en)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1933A1 (en) Camera apparatus that is controllable by an optical signal picked up in an image by the camera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15440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928692B (zh) 具有多个摄像元件的照相机装置
JP2011004391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および交換レンズユニット
JP485370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003813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JP450192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61269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02138B2 (ja) 撮像装置、及び撮影方法、プログラム
US10554879B2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interchangeable lens
JP6136662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撮影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KR100716179B1 (ko) 두 대의 카메라 폰을 이용한 아웃포커싱 영상 촬영 시스템및 그 방법
JP201324240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9376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080011A (ja) 撮像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68189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6217354A (ja) デジタルカメラ、アクセサリ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491526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938269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3059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336235B1 (ko) 자동 포커싱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자세 감지방법 및 장치
JPH05120466A (ja) データ入力装置
JP2010093450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431541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JP2007124034A (ja) 被写体情報取得装置、被写体情報取得方法及び被写体情報取得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