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12Y1 -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12Y1
KR200489512Y1 KR2020170006087U KR20170006087U KR200489512Y1 KR 200489512 Y1 KR200489512 Y1 KR 200489512Y1 KR 2020170006087 U KR2020170006087 U KR 2020170006087U KR 20170006087 U KR20170006087 U KR 20170006087U KR 200489512 Y1 KR200489512 Y1 KR 200489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agnet
forklift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324U (ko
Inventor
노병수
노경태
Original Assignee
노병수
노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병수, 노경태 filed Critical 노병수
Priority to KR2020170006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1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된 금속화물 전방에 카메라 몸체를 자석에 의해 부착하고, 지게차의 운전석 앞에 LCD영상출력부를 거치한 다음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금속화물 전방의 영상이 운전석에 거치한 LCD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그리고 파레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금속화물이 아닌 비철화물인 경우 파레트의 공간부에 카메라를 견고하게 부착하되 카메라 몸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각형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집한 영상을 전송하는 송신부(11), 상기 몸체(10) 외부 전방에 사물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장치(12)와, 상기 몸체 외부에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13)와 금속화물(100)에 착탈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자석(14)을 갖도록 하되 상기 자석(14)은 복수의 자석(14)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과 상기 송신부(11)와 통신하는 영상통신부(20)와, 영상수신부(21)와, LCD영상출력부(23)를 포함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 for forklift truck}
본 고안은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된 금속화물 전방에 카메라 몸체를 자석에 의해 부착하고, 지게차의 운전석 앞에 LCD영상출력부를 거치한 다음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금속화물 전방의 영상이 운전석에 거치한 LCD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그리고 파레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금속화물이 아닌 비철화물인 경우 파레트의 공간부에 카메라를 견고하게 부착하되 카메라 몸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량의 짐을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중량의 화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조립체는 마스트레일과,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를 갖추고 있으며 캐리지에는 실제 화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게차는 캐리지가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전방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우며, 작업간 또는 이동간에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상대편 작업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될 경우 후크에 인양된 작업물이 떨어지거나 부딪힘으로 인하여 종종 예상하지 못한 안전사고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해결할 양으로 특허청 등록번호 10-1471370호에 제공하고 있으나 그 설명과 도면을 보아 하나의 자석으로 수평대(42)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터블 케이스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다.
즉 자석이 중심축이 되어 포터블 케이스가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카메라가 회전하여 운전자가 원(뒤틀린 영상으로)하는 영상을 수집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된 금속화물 전방에 카메라를 자석에 의해 부착하고, 지게차의 운전석 앞에 LCD영상출력부를 거치한 다음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금속화물 전방의 영상이 운전석에 거치한 LCD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금속화물에 카메라 몸체를 부착할 경우 복수의 자석으로 부착되게 하여 안정감있게 카메라 몸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과제와
또 카메라가 부착된 카메라 몸체를 파레트의 공간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형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집한 영상을 전송하는 송신부(11), 상기 몸체(10) 외부 전방에 사물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장치와, 상기 몸체 외부에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13)와 금속화물(100)에 착탈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자석(14)을 갖도록 하되
상기 자석(14)은 복수의 자석(14)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과 상기 송신부(11)와 통신하는 영상통신부(20)와, 영상수신부(21)와, LCD영상출력부(22)를 포함한 구성이다.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된 금속화물 전방에 카메라를 자석에 의해 부착하고, 지게차의 운전석 앞에 LCD영상출력부를 거치한 다음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금속화물 전방의 영상이 운전석에 거치한 LCD영상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금속화물에 카메라 몸체를 부착할 경우 복수의 자석으로 부착되게하여 안정감 있게 카메라 몸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 카메라가 부착된 몸체를 파레트의 공간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파레트 후방에서 막대를 이용하여 카메라 몸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의 카메라몸체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의 LCD영상출력부 사진,
제 3도는 본 고안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의 또 다른 카메라몸체의 사시도,
제 4,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집한 영상을 전송하는 송신부(11), 상기 몸체(10) 외부 전방에 사물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장치(12)와, 상기 몸체 외부에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13)와 금속화물(100)에 착탈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자석(14)을 갖도록 하되
상기 자석(14)은 복수의 자석(14)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과 상기 송신부(11)와 통신하는 영상통신부(20)와, 영상수신부(21)와, LCD영상출력부(22)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기 바란다.
먼저, 카메라 몸체(1)의 자석(14)을 지게차의 포크(50)에 적재된 금속화물(100) 전방에 부착한다. 그렇게 부착하면 복수의 자석에 의해 몸체(10)가 부착되기 때문에 적재물(100)에서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한다.
만약, 하나의 자석(14)에 의해 부착되는 경우 하나의 자석이 중심축이 되어
몸체(1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영상이 뒤집어지는 상태로 보일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지게차가 전방을 향해 주행하는 경우 LCD영상출력부(22)를 바라보면서 주행하게 되므로 영상을 수집한 카메라(13)로부터 금속화물(M) 전방 영상이 출력되기 때문에 전방을 확인하면서 운전하므로 안전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0) 내부에는 배터리(B)가 내장되어 있어 그 배터리로 카메라 몸체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지게차 운전석 앞에 거치한 LCD영상출력부(22)는 지게차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송신부(11)와 영상수신부(21)의 통신은 유선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거나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LCD영상출력부(22)는 카메라(13)에서 수집한 영상을 출력하는 LCD로 이루어지고,
LCD 내부에는 블루투스 통신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송신부(11)와,
영상수신부(2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LCD를 통해 화면을 출력하는
LCD영상출력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3)로부터 수집하고 송신하는 기술과, 상기 LCD영상출력부(22)로 송신하고 수신받는 유/무선통신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7-0115665,등록번호 10-1129312,등록번호 10-1736411호에 잘 나타나 있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13)를 설치한 몸체(10)가 파레트(200)에 적재된 비철(자석에 부착되지 않는 화물)화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자석(14)에 철판(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철판은 비철금속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미도시)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파레트(200)의 상판부(201)와 하판(202) 사이 공간부(203)에 수용과 인출과 고정이 용이하도록 몸체(10) 전방에 탄성부재(30) 일측(31)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0) 타측은 몸체(10) 후방에 고정하되 중간이 상기 공간부(203) 내벽에 압박되도록 볼록부(33)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처럼 중간에 볼록부(33)를 형성하게 되면 파레트(200)에 압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203) 전방으로 수용한 몸체(10)를 공간부(203) 후방(204)에서 꺼낼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는 몸체(10)가 낙하할 경우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망(40)에 커버되는 구성이다.
이처럼 보호망(40)으로 커버함으로써 낙하할 경우 카메라(13)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파레트(200) 후방의 공간부(204)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10) 후방에 복수의 막대고리(41)와 상기 막대고리(41)에 걸려 있거나 걸 수 있는 막대(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막대(43) 선단에 갈고리(43')를 형성하여 상기 갈고리(43')가 복수의 막대고리(41)중 어느 하나의 막대고리(41)를 걸어 당기면 파레트 후방의 공간부(203)를 통해 몸체(10)가 인출되는 것이다.
그 실시예는, 지게차의 포크(50)가 화물이 적충된 파레트(200)를 들어올린 다음 파레트(200)의 앞부분의 공간부(203)에 몸체(10)를 끼워두는데 카메라(13)는 전방을 바라보도록 한다.
그 후 지게차가 전방으로 주행하여 물류창고의 벽면에 금속화물(M)의 앞부분을 밀착시켜 지면에 내려놓으면 카메라 몸체(1)가 벽면 방향에 있게되므로
카메라 몸체(1)를 꺼낼 방법이 없다.
이때 막대(43)선단을 도시한 5도의 나)와 같이 공간부(203) 후방에서 몸체(10)의 막대고리(14)를 향해 깊숙이 삽입하여 막대 선단의 갈고리(41)를 상기 막대고리(14)에 걸리게 한 다음 공간부 후방으로 꺼내면 된다.
상기 복수의 막대고리(14)를 형성한 이유는 갈고리(43')가 쉽게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복수로 형성하였다.
더 나아가 카메라 몸체(1)의 송신부(11)와, 영상통신부(20)의 통신은 통신수단은 일반적이므로 통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처리결과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유선 또는 WAP(무선 응용 프로토콜)과 같은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나 사용자의 이동 통신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의 사용자(운전자에 해당)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상데이터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원격감시 시스템의 능동적인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격감시를 원하는 관리자나 사용자가 원격지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접속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상태확인 요청을 전송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상태확인 요청에 의하여 영상을 단말기로 전송해준다.
1 : 카메라 몸체 10 : 몸체
11 : 송신부 13 : 카메라
14 : 자석
20 : 영상통신부 21 : 영상수신부
22 : 영상출력부 23 : LCD영상출력부
30 : 탄성부재 31 : 일측
40 : 보호망 41 : 막대고리
43 : 막대 43': 갈고리
50 : 포크 200: 파레트
201: 상판부 202: 하판
203: 공간부 B : 배터리

Claims (3)

  1. 사각형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집한 영상을 전송하는 송신부(11), 상기 몸체(10) 외부 전방에 사물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장치와, 상기 몸체 외부에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13)와 금속화물(100)에 착탈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자석(14)을 갖도록 하되 상기 자석(14)은 복수의 자석(14)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과 상기 송신부(11)와 통신하는 영상통신부(20)와, 영상수신부(21)와, LCD영상출력부(22)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몸체(10)는 파레트(200)의 상판부(201)와 하판(202) 사이 공간부(203)에 수용과 인출과 고정이 용이하도록 몸체(10) 전방에 탄성부재(30) 일측(31)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0) 타측은 몸체(10) 후방에 고정하되 중간이 상기 공간부(203) 내벽에 압박되도록 볼록부(33)를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는 파레트(200) 후방의 공간부(204)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10) 후방에 복수의 막대고리(41)와 상기 막대고리(41)에 걸려 있거나 걸 수 있는 막대(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0170006087U 2017-11-28 2017-11-28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048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87U KR200489512Y1 (ko) 2017-11-28 2017-11-28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087U KR200489512Y1 (ko) 2017-11-28 2017-11-28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24U KR20190001324U (ko) 2019-06-05
KR200489512Y1 true KR200489512Y1 (ko) 2019-06-28

Family

ID=6681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087U KR200489512Y1 (ko) 2017-11-28 2017-11-28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12Y1 (ko) *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57B1 (ko) * 2019-07-19 2020-01-08 주식회사 아이엔티코리아 지게차 작업사고를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75611B1 (ko) * 2021-05-26 2022-12-08 모비어스앤밸류체인(주) 이중 안전 구조를 갖는 자율 주행 지게차용 카메라 리프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70B1 (ko) * 2013-06-05 2014-12-10 김진우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92A (ko) * 2003-12-13 2005-06-17 김영철 자동차용 촬영장치
KR20100075812A (ko) * 2010-06-15 2010-07-05 김종선 지게차 포크에 설치하는 영상감시장치
KR20120005602U (ko) * 2012-07-16 2012-08-03 김태연 지게차 전방주시용 디지털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70B1 (ko) * 2013-06-05 2014-12-10 김진우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12Y1 (ko) *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24U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512Y1 (ko)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CN104507847B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101151449B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모듈형 이동로봇과 이들의 협력 제어를 통한 화물운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0761A (ko) 주변감시장치, 정보처리단말,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프로그램
US10730725B2 (en) Display apparatus for traveling cranes and synchronizing aparatus for traveling cranes
CN111194524B (zh) 用于连接的作业工具识别的无线系统和方法
KR102430256B1 (ko) 무인 타워크레인의 원격 조종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JP6087455B1 (ja) 荷役車両呼出装置、荷役車両システム、荷役車両呼出方法及び荷役車両呼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534352B2 (ja) 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通知方法
KR20180105807A (ko) 크레인 중량물 관찰 카메라장치
DE102016225687B4 (de) Robotersteuerpult mit einem zusätzlichen Halter für einen Tablet-Computer
JP2007308227A (ja) 運搬機器の安全操作装置、安全操作方法及び安全操作管理システム
US9000311B1 (en) Crane scale anti-torque and protection housing
US20180190106A1 (en) Remote control
JP5863559B2 (ja) 農業機械における圃場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11473965B2 (en) Device for moving a load and a lifting member therefor
JP6789880B2 (ja) 作業機の状態管理システム
JP2016137962A (ja) 吊り装置
JP201902647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作業部視認装置
KR102000411B1 (ko) 크레인 및 크레인의 조작 시스템
JP5791163B1 (ja) 荷役車両
JP2022043706A (ja) クレーン作業支援装置およびクレーン作業支援方法
JP6610990B2 (ja) クレーン運転補助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ン運転補助方法
KR20210025310A (ko) 건설장비 안전 대응을 위한 스마트폰과 아이오티장치용 아이에프티티티 및 통신라우터 기반 지능형 관제 모니터링시스템
JP5791164B1 (ja) 荷役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