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70B1 -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70B1
KR101471370B1 KR1020130064448A KR20130064448A KR101471370B1 KR 101471370 B1 KR101471370 B1 KR 101471370B1 KR 1020130064448 A KR1020130064448 A KR 1020130064448A KR 20130064448 A KR20130064448 A KR 20130064448A KR 101471370 B1 KR101471370 B1 KR 10147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forklift
driver
bluetooth communic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김시범
임우택
Original Assignee
김진우
김시범
임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김시범, 임우택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3006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전면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지게차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으로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과;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와;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 으로 구성하므로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고자 할 때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촬영수단을 분리하여 화물이 담겨진 화물 또는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에 탈부착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작동시켜 촬영수단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영상표시수단을 통해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는 영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지게차의 전방 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주행할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게차를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포터블 타입으로 제공되는 촬영수단을 운전자가 필요할 때 화물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촬영수단이 비에 젖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 for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전면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지게차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으로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과;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와;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 으로 구성하므로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고자 할 때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촬영수단을 분리하여 화물이 담겨진 화물 또는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에 탈부착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작동시켜 촬영수단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영상표시수단을 통해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는 영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지게차의 전방 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주행할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게차를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포터블 타입으로 제공되는 촬영수단을 운전자가 필요할 때 화물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촬영수단이 비에 젖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내에서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게차(1)의 전방에 마스트레일(2)이 설치된다.
그리고, 마스트레일(2)에는 상기 마스트레일(2)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캐리지(3)가 조립되며, 이 캐리지(3)에 하물을 받치는 한쌍의 포크(4)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포크(4)를 이용하여 다량의 화물이 적재된 받침대에 삽입한 후 들어올려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다시 적재하는 등, 많은 양의 화물을 옮기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게차는 포크(4)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고자 할때 화물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되어 안전하게 화물을 이송할 수 없는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포크(4)로 화물을 들어올리게되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물이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되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운전자가 지게차를 운전할 경우 앞에 지나가는 사람을 치거나 이동경로상에 놓여있는 적재물을 건들게되어 안전운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의 전면에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지게차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으로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과;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와; 지게차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 으로 구성하므로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고자 할 때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촬영수단을 분리하여 화물이 담겨진 화물 또는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에 탈부착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작동시켜 촬영수단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영상표시수단을 통해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는 영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지게차의 전방 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주행할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게차를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포터블 타입으로 제공되는 촬영수단을 운전자가 필요할 때 화물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촬영수단이 비에 젖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41)의 전면에 설치되어 지게차(1)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30)에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10)과;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10)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20)와;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10)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고자 할 때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촬영수단을 분리하여 화물이 담겨진 화물 또는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에 탈부착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작동시켜 촬영수단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운전석에 설치된 영상표시수단을 통해 출력됨에 따라 운전자는 영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지게차의 전방 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게 원하는 목적지로 주행할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게차를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으며, 포터블 타입으로 제공되는 촬영수단을 운전자가 필요할 때 화물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촬영수단이 비에 젖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지게차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전방 모니터링 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촬영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6 과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촬영수단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41)의 전면에 설치되어 지게차(1)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30)에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10)과;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10)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20)와;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10)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수단(10)은,
밧데리(13)가 내장되어 있는 포터블케이스(11)와,
카메라(17)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12)와,
포터블케이스(11)의 일면에 탄력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화물파레트(41)를 이루는 수평대(42)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14)과,
클립(14)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금속재의 화물파레트에 부착되는 자석(15)과,
포터블케이스(1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플렉시블관(16)과,
플렉시블관(16)의 끝단에 설치되고, 밧데리(13)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여 지게차(1)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17)로 구성하고,
포터블케이스(11) 내부에는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영상표시수단(30)에 전송하는 제 1 블루투스 통신부(18)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20)는
촬영수단(10)의 포터블케이스(11)가 안착되기 위한 거치홈(21)이 상부에 구비되고, 거치홈(21)의 바닥부에는 포터블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된 밧데리(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23)가 형성되며, 거치대(20)의 일측에는 지게차(1)의 시거잭단자에 끼워져 연결되기 위한 시거잭(2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표시수단(30)은,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LCD(34)로 이루어지고,
LCD(34) 내부에는 제 1 블루투스통신부(18)와 교신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블루투스 통신부(31)와,
제 2 블루투스 통신부(31)로 부터 영산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32)와,
영상수신부(3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LCD(34)를 통해 화면출력하는 영상출력부(3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부호 40 은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대를 나타내고, 받침대(40)의 상부에는 화물이 담겨지는 화물파레트(41)가 적재된다.
화물파레트(41)는 수평대(42)와 수직대(43)를 직교하도록 결합시켜 화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수평대(42)와 수직대(43)는 나무판넬, 또는 철망, 수지판넬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루는 거치대(20)는 지게차(1)의 대쉬보드 부분에 설치되고, 영상표시수단(30)을 이루는 LCD(34)는 운전석의 전면유리 상단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LCD(34)로 출력되는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포크(4)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리지 않고 지게차(1)를 주행할때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촬영수단(10)의 포터블케이스(11)를 거치대(20)의 거치홈(21)에 거치시켜 거치홈(21)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23)를 통해 포터블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된 밧데리(13)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한다.
한편, 도 6 과 같이 화물이 화물파레트(41)에 담겨지고, 화물파레트(41)가 받침대(40)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포크(4)를 받침대(40)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하여 들어올리게되면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화물파레트(41)에 담겨진 화물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정상적으로 주행할 수 없게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촬영수단(10)의 포터블케이스(11)를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41)에 설치한다.
즉, 거치대(20)에 거치되어 있는 포터블케이스(11)를 들어 화물파레트(41)로 이동시킨 후 포터블케이스(11)의 일면에 탄력적으로 형성된 클립(14)을 도 6 과 같이 화물파레트(41)를 이루는 수평대(42)에 끼워고정시키고, 이후 스위치(12)를 작동시켜 카메라(17)가 작동하도록 하면서 플렉시블관(16)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카메라(17)가 지게차(1)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물파레트(41)의 수평대(42)와 수직대(43)가 합성수지 또는 나무재로 이루어져 있을때에는 클립(14)을 이용하여 포터블케이스(11)를 화물파레트(41)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만약 수평대(42)와 수직대(43)가 금속재로 이루어졌다면 클립(14)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있는 자석(15)을 이용하여 포터블케이스(11)를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물파레트(41)의 전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포터블케이스(11)를 화물파레트(41)의 전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스위치(12)를 조작하여 밧데리(13) 전원이 카메라(17)로 공급되도록 작동시키면, 카메라(17)가 동작하여 지게차(1) 전방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제 1 블루투스통신부(18)로 출력하며, 제 1 블루투스통신부(18)는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을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영상표시수단(30)의 제 2 블루투스 통신부(31)로 무선 전송한다.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된 영상표시수단(30)의 제 2 블루투스통신부(31)는 제 1 블루투스통신부(18)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수신부(32)로 출력하고, 영상수신부(32)는 제 2 블루투스통신부(3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영상출력부(33)로 출력하며, 영상출력부(33)는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LCD(34)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지게차 운전자는 화물에 의해 전방 시야가 완전히 가려진 상태에서도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되어 LCD(34)를 통해 화면 출력되는 지게차 전방 영상을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면 운전자는 다시 촬영수단(10)을 화물 파레트(41)로 부터 분리하여 거치대(20)에 거치시킨 후 화물을 원하는 장소에 내려놓게된다.
1: 지게차, 2: 마스트레일,
3: 캐리지, 4: 포크,
10: 촬영수단, 11: 포터블 케이스,
12: 스위치, 14: 클립,
15: 자석, 16: 플렉시블관,
17: 카메라, 18: 제 1 블루트스 통신부,
20: 거치대, 21: 거치홈,
22: 시거잭, 23: 단자,
30: 영상표시수단, 31: 제 2 블루투스 통신부,
32: 영상수신부, 33: 영상출력부,
34: LCD, 40: 받침대,
41: 화물 파레트, 42: 수평대,
43: 수직대,

Claims (3)

  1. 화물이 담겨진 화물파레트(41)의 전면에 설치되어 지게차(1) 주행경로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표시수단(30)에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촬영수단(10)과;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평상시 촬영수단(10)이 거치되었을때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20)와;
    지게차(1)의 운전석에 설치되고 촬영수단(10)으로 부터 전송된 전방 영상을 화면출력하는 영상표시수단(30);으로 구성하며,
    촬영수단(10)은, 밧데리(13)가 내장되어 있는 포터블케이스(11)와,
    카메라(17)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12)와,
    포터블케이스(11)의 일면에 탄력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화물파레트(41)를 이루는 수평대(42)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14)과,
    클립(14)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금속재의 화물파레트에 부착되는 자석(15)과,
    포터블케이스(1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플렉시블관(16)과,
    플렉시블관(16)의 끝단에 설치되고, 밧데리(13)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여 지게차(1)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17)로 구성하고,
    포터블케이스(11) 내부에는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영상표시수단(30)에 전송하는 제 1 블루투스 통신부(18)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는
    촬영수단(10)의 포터블케이스(11)가 안착되기 위한 거치홈(21)이 상부에 구비되고, 거치홈(21)의 바닥부에는 포터블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된 밧데리(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23)가 형성되며, 거치대(20)의 일측에는 지게차(1)의 시거잭단자에 끼워져 연결되기 위한 시거잭(22)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영상표시수단(30)은,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LCD(34)로 이루어지고,
    LCD(34) 내부에는 제 1 블루투스통신부(18)와 교신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블루투스 통신부(31)와,
    제 2 블루투스 통신부(31)로 부터 영산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32)와,
    영상수신부(3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LCD(34)를 통해 화면출력하는 영상출력부(3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1020130064448A 2013-06-05 2013-06-05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10147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448A KR101471370B1 (ko) 2013-06-05 2013-06-05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448A KR101471370B1 (ko) 2013-06-05 2013-06-05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370B1 true KR101471370B1 (ko) 2014-12-10

Family

ID=5267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448A KR101471370B1 (ko) 2013-06-05 2013-06-05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24U (ko) * 2017-11-28 2019-06-05 노병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30A (ko) * 2002-04-01 2003-10-10 여태순 자동차용 사방 주시 시스템
KR20050058892A (ko) * 2003-12-13 2005-06-17 김영철 자동차용 촬영장치
KR20100075812A (ko) * 2010-06-15 2010-07-05 김종선 지게차 포크에 설치하는 영상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30A (ko) * 2002-04-01 2003-10-10 여태순 자동차용 사방 주시 시스템
KR20050058892A (ko) * 2003-12-13 2005-06-17 김영철 자동차용 촬영장치
KR20100075812A (ko) * 2010-06-15 2010-07-05 김종선 지게차 포크에 설치하는 영상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24U (ko) * 2017-11-28 2019-06-05 노병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0489512Y1 (ko) * 2017-11-28 2019-06-28 노병수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9509B2 (ja)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システム及びこの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USRE37215E1 (en) Fork level indicator for lift trucks
JP2011156895A (ja) ミラー装置、および、ミラーシステム
CN102689858A (zh) 一种物料搬运车的桅杆和集成显示机构
EP2075542A3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of the same
US20150258937A1 (en) Vehicle with blind spot monitor device
KR101471370B1 (ko) 지게차용 전방 모니터링 장치
JP2014167552A (ja) 車両用映像表示システム
KR20160001358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JP2003246597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カメラシステム
JP4829387B1 (ja) 端末保持装置及び制御方法
FR2974574A1 (fr) Chariot de manutention muni d'un dispositif d'affichage
JP2006240873A (ja) フォークモニタリング装置
CN105022167A (zh) 一种双模式抬头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5247844B (zh) 交通工具用音频装置
CN210464451U (zh) 一种检测叉车门架倾角角度变化量设备
JP201325297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フォークリフト用カメラシステムにおける電源電力の制御方法
US10391942B2 (en) Electronic mirror apparatus
JP2019175379A (ja) 通信制御装置、移動体、及び、通信システム
CN205022456U (zh) 一种防追尾图像投影显示安全系统
JP7081505B2 (ja) パレット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3252969A (ja) フォークリフト用撮像信号送信装置およびフォークリフト用撮像信号送信装置における電源電力の制御方法
KR101799934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JP2017088317A (ja) 産業車両の管理システム
KR20110087085A (ko) 카메라 영상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