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934B1 - 차량용 네비게이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네비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934B1
KR101799934B1 KR1020160046676A KR20160046676A KR101799934B1 KR 101799934 B1 KR101799934 B1 KR 101799934B1 KR 1020160046676 A KR1020160046676 A KR 1020160046676A KR 20160046676 A KR20160046676 A KR 20160046676A KR 101799934 B1 KR101799934 B1 KR 10179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ain body
sensor
vehicl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702A (ko
Inventor
문명일
Original Assignee
문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일 filed Critical 문명일
Publication of KR2017001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B60K2350/10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 systems provided with artificial illumination device, e.g. IR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로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시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네비게이션은,
대시보드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쟁반형상의 외형을 갖추며, 내부에 메인보드를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드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조사(照射)하는 엘씨디와; 상기 엘씨디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엘씨디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시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네비게이션{A NAVIGATION DEVICE FOR THE VEHICLE}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씨디(LCD)에서 조사(照射)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이 반사부재에서 반사되는 화상을 운전자가 보기 쉽도록 비춰주는 화상표시부재를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하지 않을 때에는 절첩식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와 연동할 수 있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5년 08월 06일 10-2015-0111230호 및 2015년 11월 06일 10-2015-0155449호로 출원된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대한 국내 우선권주장 출원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특정장소에 설치하여 도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에 대해서는 여러방식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비게이션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네비게이션(NV)은, 차량의 대시보드(DB)의 중앙부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엘씨디 화면(LW)의 특정장소를 터치하여 목적지를 입력한 후, 도로 안내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네비게이션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선보다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하지 못함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 안내를 받는 용도 이외에 라디오를 청취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차량 내부의 공간만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네비게이션 엘시디 화면을 직접 터치하는 과정에서 화면 또는 터치부의 손상으로 이어지며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엘시디 화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야기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05112(2014년 01월 15일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안내를 받는 용도 이외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여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다용도 네비게이션을 널리 공급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시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예방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비게이션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네비게이션은,
대시보드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쟁반형상의 외형을 갖추며, 내부에 메인보드를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드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조사(照射)하는 엘씨디와;
상기 엘씨디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엘씨디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에 장착부를 갖춘 바닥판과, 상기 메인보드와 엘씨디를 보호하도록 상기 바닥판 상면에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엘씨디를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엘씨디 보호케이스와, 상기 엘씨디 보호케이스 일측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단부 상측에 힌지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반사부재가 구비된 반사부재 힌지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엘씨디 보호케이스의 양측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화상표시부재의 하측단을 고정하는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은,
운전자의 손동작에 의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부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전화 수신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통화 수락/거절 동작을 인식하는 제1, 2 센서;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문자 또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그 문자 또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된 상태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인식하는 제3, 4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는, 상기 제1, 2 센서 동작시 상기 제3, 4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3, 4 센서의 작동시 제1, 2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센서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의 본체에는 외부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의하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 안내를 받는 용도 이외에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다용도 네비게이션을 널리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시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에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적외선센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절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전개한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활용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제스쳐 동작도(좌우방향)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제스쳐 동작도(상하방향)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10)(이하,??네비게이션??이라 칭한다)은 본체(100)와 엘씨디(200)와 반사부재(300)와 화상표시부재(400)로 대별된다.
본체(100)는 바닥판(110)과 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110)은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대시보드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면에 장착부(미도시)를 갖추는데, 이 장착부는 고무판 또는 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대시보드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0)은 도시한 바와 같은 외형을 갖추고, 상기한 바닥판(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와 요홈(133)과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와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로 이루어진다.
엘씨디 보호케이스(131)는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본체(100)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엘씨디(2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비된다.
이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의 양측과 그에 대향하는 힌지브라켓(132)에 대칭형으로 힌지홀(131a)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의 힌지돌기(137a)와의 힌지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측면으로는 개구부(137b)가 형성되어 엘씨디(200) 화면의 조사(照射)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의 일측, 즉, 개구부(137b)가 구비된 일측 길이방향으로 요홈(133)이 구비된다.
이 요홈(133)은 후술하는 작용에서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와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가 절첩되며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 요홈(133)의 선단부위에 힌지홀(133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에 마련된 힌지돌기(135a)와의 힌지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요홈(133)의 선단부위에 반사부재 힌지장치(135)가 구비되는데, 이 반사부재 힌지장치(135)는 판평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면, 즉, 상술한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의 개구부(137b)에 대향하는 면에는 반사부재(3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돌기(135a)가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요홈(133) 선단에 마련된 힌지홀(133a)과 힌지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에 대향하는 타단, 즉, 상술한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의 양측에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가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는 하단 양측에 힌지돌기(137a)가 마련되어 엘씨디 보호케이스(131)의 양측과 그에 대향하는 힌지브라켓(132)에 대칭형으로 마련된 힌지홀(131a)에 힌지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이 힌지돌기(137a)의 상측으로 화상표시부재 고정부(137b)가 마련되어 화상표시부재(40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힌지홀(131a)(133a)들과 힌지돌기(135a)(137a)들은 일 실시예일 뿐, 힌지홀이 형성된 부분에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힌지돌기가 형성된 부분에 힌지홀이 형성되어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부재 힌지장치(135)와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137)에 각각 반사부재(300)와 화상표시부재(400)가 구비된다.
반사부재(300)는 상술한 엘씨디(200)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유리를 사용해도 되고, 폴리싱(Polishing)된 스테인레스 판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화상표시부재(400)는 반사부재(300)를 통해 반사된 화상을 크게 확대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수지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블루투스 모듈(도면에 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이 블루투스 모듈은 외부에 존재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10)은 적외선센서부(50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센서부(500)는 본체(100)의 하우징(130)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메뉴가 전환되는 것이 아니고, 손동작에 의한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여 운전 중 정보제공 및 모드변환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부(500)는 제1, 2, 3, 4 센서가 마름모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센서가 본체에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3, 4 센서는 제1, 2 센서 설치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 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전화 수신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통화 수락/거절 동작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3, 4 센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문자 또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그 문자 또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된 상태에 대한 움직임 동작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문자 또는 SNS 관련 정보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는 다수개의 센서들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이 센서 제어부는 상기 제1, 2 센서가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3, 4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반대로 제3, 4 센서가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경우, 제1, 2 센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에는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본체 또는 본체와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하여 상기 네비게이션은 블랙박스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되어 있는 화상표시부재(400)는 반사부재(300)를 순차적으로 회동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부재(400)와 반사부재(300)가 각 힌지장치(135)(137)에 의해 전개된 상태로 준비한 후, 전원버튼(15)을 통해 전원을 연결한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또는 손의 제스쳐 동작에 의해 운전 중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네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 주행하면서, 전화가 올 경우, 상기한 적외선 센서(500)에 손동작으로 제스쳐를 취하면 문자메시지 또는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모드가 변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10)에 의하면,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네비게이션(10)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였으며, 도로 안내를 받는 용도 이외에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다용도 네비게이션을 널리 공급하였다.
또한,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의 수명을 연장하였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시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엘씨디 화면의 오염 및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차량용 네비게이션 100 : 본체
101 : 메인보드 110 : 바닥판
130 : 하우징 131 : 엘씨디 보호케이스
133 : 요홈 135 : 반사부재 힌지장치
137 : 화상표시부재 힌지장치 200 : 엘씨디
300 : 반사부재 400 : 화상표시부재
500 : 적외선센서

Claims (9)

  1. 대시보드 상면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쟁반형상의 외형을 갖추며, 내부에 메인보드를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보드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조사(照射)하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엘씨디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엘씨디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재와;
    운전자의 손동작에 의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적외선센서부와,
    상기 메인보드에 탑재되고 상기 적외선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그 상부면에 상기 반사부재를 절첩하여 수납하는 요홈, 및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엘씨디를 덮고 상기 요홈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LCD 보호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재는 상기 LCD 보호케이스의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LCD 보호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요홈에 수납되는 상기 반사부재를 덮는 위치까지 회동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부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메인보드에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화 수신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통화 수락 또는 거절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손동작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문자 또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문자 또는 SNS 관련 정보의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상하 스크롤에 대한 상기 운전자의 손동작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3 센서 및 제4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들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활성화와 상기 제3 센서 및 상기 제4 센서의 활성화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에 장착부를 갖춘 바닥판과, 상기 메인보드와 엘씨디를 보호하도록 상기 바닥판 상면에 구비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KR1020160046676A 2015-08-06 2016-04-18 차량용 네비게이션 KR101799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1230 2015-08-06
KR1020150111230 2015-08-06
KR1020150155449 2015-11-06
KR20150155449 2015-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02A KR20170017702A (ko) 2017-02-15
KR101799934B1 true KR101799934B1 (ko) 2017-11-22

Family

ID=5811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676A KR101799934B1 (ko) 2015-08-06 2016-04-18 차량용 네비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483B (zh) * 2019-04-16 2024-03-15 安庆师范大学 地下车库导航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1237A (ja) * 2013-03-07 2013-07-04 Fujitsu Ten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1585A1 (de) 2012-07-04 2014-01-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es während eines Ausroll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1237A (ja) * 2013-03-07 2013-07-04 Fujitsu Ten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02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63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773441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ell phone control signal in front of a driver
JP5977443B2 (ja) 虚像表示装置
KR102411046B1 (ko) 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402143B2 (en) Image projection medium and display projection system using same
JP4872332B2 (ja) 移動体用防眩装置
US20060103590A1 (en) Augme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s
US10247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hicular communications
US2017005256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80093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ular user interface under driving circumstance
JP201406970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6224919A (ja) 車両用虚像表示装置
KR101799934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2066230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2742B1 (ko) 무선충전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투영장치
CN206327259U (zh) 一种车载后视镜
KR101904604B1 (ko) 차량용 영상 장치
KR101822741B1 (ko) 차량용 영상 투영장치
KR10141901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7438692B (zh) 一种门体及门体的控制方法
KR20170124220A (ko) 투명 lcd 스크린을 구비한 차량용 영상 장치
CN113085739B (zh) 车载显示装置及车载收纳盒
JP2011156893A (ja) 表示装置、および、ミラーシステム
JP201808690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