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17Y1 - 변압기 철심 - Google Patents

변압기 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17Y1
KR200488717Y1 KR2020170003854U KR20170003854U KR200488717Y1 KR 200488717 Y1 KR200488717 Y1 KR 200488717Y1 KR 2020170003854 U KR2020170003854 U KR 2020170003854U KR 20170003854 U KR20170003854 U KR 20170003854U KR 200488717 Y1 KR200488717 Y1 KR 200488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eel plate
trapezoid
orthogona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286U (ko
Inventor
배찬식
신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기전
신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기전, 신강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기전
Priority to KR2020170003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1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블록이 결합된 변압기 철심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은, 상기 변압기 철심 상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상기 변압기 철심 하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측면 기둥, 상기 제2 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2 측면 기둥 및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사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며,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중앙 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철심{TRANSFORMER CORE}
본 고안은 변압기 철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블록 및 이들을 조립한 변압기 철심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Transformer)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변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철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권선, 절연을 위한 부싱과 절연유 및 본체를 이루는 외함과 커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철심은 자기 회로를 구성하여 1차 측에 인가된 전압이 2차 측에 다른 전압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철심은 절연 피막이 입혀져 있는 규소강대에서 낱장철판을 특정한 형으로 찍어내고, 이 철판을 조립한 후 성층함으로써 생산된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따른 변압기 철심 생산 방법의 경우, 규소 강판을 일일이 삽입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정형화된 형태를 갖는 철심을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조립분해가 용이한 새로운 변압기 철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이 발생된 경우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규소강판을 조립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변압기 철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은, 상기 변압기 철심 상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상기 변압기 철심 하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측면 기둥, 상기 제2 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2 측면 기둥 및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사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며,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중앙 기둥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강판에서 절단된 부분이 상기 제1 강판의 아래쪽 꼭지점과 접촉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강판의 절단된 부분의 반대쪽 모서리는 상기 제2 강판의 한쪽이 절단된 길이만큼 상기 제1 강판의 모서리와 어긋나게 적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기둥을 구성하는 육각형의 강판은, 육각형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변과 제2 변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육각형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3 변과 제4 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호 마주보는 제1 변과 제3 변 및 제2 변과 제4 변의 길이가 동일하며, 상기 육각형 강판의 양단 내각은 90˚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기둥은, 상기 육각형 강판이 좌우방향을 바꿔가며 교번하여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육각형의 강판이 적층됨에 따라 형성된 요철의 깊이는 상기 제2 강판이 절단된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변압기 코어에 따르면, 강판을 하나씩 삽입하여 조립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철심을 구성하는 블록에 결함이 발생되었을 때,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압기 유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을 구성하는 블록 및 기둥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블록 및 하단 블록을 구성하는 강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강판과 제2 강판을 교번하여 적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과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기둥의 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기둥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 기둥과 블록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중앙 기둥와 상단 블록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단 블록과 측면 기둥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을 구성하는 블록 및 기둥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철심(100)은 제1 상단 블록(110), 제2 상단 블록(120), 제1 하단 블록(130), 제2 하단 블록(140), 제1 측면 기둥(150), 제2 측면 기둥(160) 및 중앙 기둥(170)을 포함한다.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은 변압기 철심(100)의 상부를 형성하고,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은 변압기 철심(100)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때,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과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은 x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과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은 복수의 강판이 너비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교번하여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너비 방향은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을 구성하는 강판의 폭, 즉,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과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의 구체적인 적층 구조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블록 및 하단 블록을 구성하는 강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란 상단 블록 및 하단 블록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적층되는 강판은 정사다리꼴인 제1 강판(210)과 정사다리꼴의 단부가 절단된 제2 강판(220) 두 형태이다. 여기에서 정사다리꼴이란 두 밑각이 서로 같은 사다리꼴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강판(220)은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을 기준으로 정사다리꼴의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d) 만큼 이격된 부분이 정사다리꼴의 높이(h) 방향으로 절단된 형태이다.
이후,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을 교번하여 적층함으로써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과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을 제작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강판과 제2 강판을 교번하여 적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을 적층할 때, 제2 강판(220)에서 절단된 부분이 제1 강판(210)의 아래쪽 꼭지점과 접촉하도록 적층한다. 제2 강판(220)의 절단된 부분이 제1 강판(210)의 아래쪽 꼭지점과 접촉하도록 적층하면,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반대쪽 모서리가 절단된 길이인 d만큼 어긋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1 상단 블록(110) 및 제2 상단 블록(120)과 제1 하단 블록(130) 및 제2 하단 블록(14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과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의 사시도이다.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을 교번하여 적층하면 양쪽에 요철(凹凸) 모양이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된 다른 블록을 삽입하면 변압기 철심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요철의 깊이는 제2 강판(220)의 아래쪽 꼭지점을 절단한 길이인 d가 될 것이다.
한편, 변압기 철심의 중앙 기둥(170)도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제작하는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기둥의 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기둥(170)은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중앙 기둥(170)을 형성하는 육각형의 강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중앙 기둥(170)을 구성하는 육각형 강판의 양단 내각은 90˚일 수 있따.
육각형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변(171)과 제2 변(172)의 길이가 상이하고, 육각형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3 변(175)의 길이와 제4 변(176)의 길이도 상이하되 마주보는 변의 길이는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도에 도시된 강판에서 제1 변(171)과 마주보는 변은 제4 변(176)이고, 제2 변(172)의 길이와 제3 변(175)이며, 제5 변(173)과 마주보는 변은 제6 변(174)이 된다.
따라서, 제1 변(171)의 길이는 제4 변(176)의 길이와 동일하고, 제2 변(172)의 길이는 제3 변(175)의 길이와 동일하며 제5 변(173)의 길이는 제6 변(174)의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판이 형성되는 이유는, 강판을 x축 방향으로 적층시켰을 때 강판과 강판 사이에 홈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좌우방향을 바꿔가며 도 5에 도시된 강판을 x축 방향으로 적층시켜 나가면 상단 블록들(110, 120) 및 하단 블록들(130, 140)을 결합할 수 있는 요철이 육각형의 강판 사이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기둥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기둥(1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좌우방향을 바꿔가며 z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중앙 기둥(170)을 측면에서 봤을 때, 요철(凹凸)이 생성되도록 하여 요철이 생성된 상단 블록들(110, 120) 및 하단 블록들(130, 14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 기둥(170)의 일단에는 좌·우 측에서 상단 블록(110, 120) 또는 하단 블록(130, 140)들에 생성된 요철이 결합될 수 있도록 "V"자 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육각형의 강판이 좌우방향이 바꿔가며 적층됨에 따라 형성된 요철의 깊이 d는 상단 블록들(110, 120) 및 하단 블록들(130, 140)을 구성하는 제2 강판(220)의 일단이 절단된 길이 d와 동일하다.
즉,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이 적층됨에 따라 생성된 요철의 깊이 d와 동일하다.
이는 중앙 기둥(170)과 블록들(110, 120, 130, 140)이 결합될 때 이격되는 틈이 발생됨에 따라 자속의 흐름이 끊기는 형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중앙 기둥(170)과 결합되는 블록들(110, 120, 130, 140)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 기둥과 블록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210) 위에 제2 강판(220)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강판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블록들(110, 120, 130, 140)은 복수개의 제1 강판(210)과 복수개의 제2 강판(220)이 교번하여 적층되어 제작될 수 있다.
제1 강판(210)이 놓인 상태에서 중앙 기둥(170)을 구성하는 육각형의 강판 모서리(710)가 제1 강판(210)의 모서리(720)에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제1 강판(210) 위에는 정사다리꼴의 밑변 일단이 절단된 형태의 제2 강판(220)이 적층된다. 제2 강판(220)의 측면 모서리는 제1 강판(210)의 측면 모서리(720)보다 d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다.
중앙 기둥(170)의 경우, 복수의 육각형 강판이 너비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교번하여 적층되어 있는바, 위에 적층된 육각형 강판의 모서리가 아래에 놓인 육각형 강판의 모서리(720)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강판(220)의 측면 모서리와 상부에 적층된 육각형 강판의 모서리가 접촉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중앙 기둥(170)과 블록들(110, 120, 130, 140)을 조립하면 접촉면의 이격없이 변압기 코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중앙 기둥와 상단 블록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통해 중앙 기둥(170)에 생성된 요철과 상단 블록(110, 120)에 생성된 요철을 결합하면 연결 부위에 빈 공간 없이 변압기 코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상단 블록과 측면 기둥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2 상단 블록(120)과 제2 측면 기둥(160)도 도 7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상단 블록(120)의 경우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을 교번하여 적층하면 양 측면에 요철이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측면 기둥(160)도 길이만 다르고 형상이 동일한 제1 강판(210)과 제2 강판(220)을 교번하여 적층하여 제작되는바, 양 측면에 요철이 생성된다.
제2 상단 블록(120) 및 제2 측면 기둥(160)의 양단에 생성된 요철을 상호 결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위에 빈 공간이 생성됨 없이 변압기 코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판을 하나씩 삽입하여 조립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철심을 구성하는 블록에 결함이 발생되었을 때,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압기 유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복수 개의 블록이 결합된 변압기 철심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철심 상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상기 변압기 철심 하단에 배치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제1 강판과 상기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된 형상의 제2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상기 제1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1 측면 기둥;
    상기 제2 상단 블록 및 상기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정사다리꼴 형상의 강판과 정사다리꼴의 한쪽 아래 꼭지점에서 상기 정사다리꼴 밑변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정사다리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된 형상의 강판이 교번하여 적층된 제2 측면 기둥; 및
    상기 제1 상단 블록 및 제2 상단 블록 사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단 블록 및 제2 하단 블록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며,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중앙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강판의 측면 모서리 전부가 상기 중앙 기둥에 포함된 육각형의 강판 모서리 전부와 접촉되는 변압기 철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판에서 절단된 부분이 상기 제1 강판의 아래쪽 꼭지점과 접촉하도록 적층되는 변압기 철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판의 절단된 부분의 반대쪽 모서리는 상기 제2 강판의 한쪽이 절단된 길이만큼 상기 제1 강판의 모서리와 어긋나게 적층되는 변압기 철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기둥을 구성하는 육각형의 강판은,
    육각형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변과 제2 변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육각형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3 변과 제4 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호 마주보는 제1 변과 제3 변 및 제2 변과 제4 변의 길이가 동일하며,
    상기 육각형 강판의 양단 내각은 90˚인 변압기 철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기둥은,
    상기 육각형 강판이 좌우방향을 바꿔가며 교번하여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육각형의 강판이 적층됨에 따라 형성된 요철의 깊이는 상기 제2 강판이 절단된 길이와 동일한 변압기 철심.
KR2020170003854U 2017-07-24 2017-07-24 변압기 철심 KR200488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54U KR200488717Y1 (ko) 2017-07-24 2017-07-24 변압기 철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54U KR200488717Y1 (ko) 2017-07-24 2017-07-24 변압기 철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86U KR20190000286U (ko) 2019-02-01
KR200488717Y1 true KR200488717Y1 (ko) 2019-03-11

Family

ID=6536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54U KR200488717Y1 (ko) 2017-07-24 2017-07-24 변압기 철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69B1 (ko) 2022-05-10 2022-10-27 원현식 다열 구조를 가지는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KR102544947B1 (ko) 2023-02-09 2023-06-16 원현식 분류기능을 가진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KR102544944B1 (ko) 2022-12-15 2023-06-16 원현식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81B1 (ko) * 2023-04-12 2023-09-07 유충일 변압기용 철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1002A (ja) * 2007-02-27 2008-09-11 Kyuhen Co Ltd 変圧器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で用いる治具
JP2014078638A (ja) 2012-10-11 2014-05-01 Takaoka Kasei Kogyo Kk モールド変圧器及びモールド変圧器に用いる鉄心の組み立て方法
JP2015192031A (ja) 2014-03-28 2015-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変圧器用鉄心
KR101688840B1 (ko) 2015-08-04 2017-01-02 신강섭 변압기 철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1002A (ja) * 2007-02-27 2008-09-11 Kyuhen Co Ltd 変圧器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で用いる治具
JP2014078638A (ja) 2012-10-11 2014-05-01 Takaoka Kasei Kogyo Kk モールド変圧器及びモールド変圧器に用いる鉄心の組み立て方法
JP2015192031A (ja) 2014-03-28 2015-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変圧器用鉄心
KR101688840B1 (ko) 2015-08-04 2017-01-02 신강섭 변압기 철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69B1 (ko) 2022-05-10 2022-10-27 원현식 다열 구조를 가지는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KR102544944B1 (ko) 2022-12-15 2023-06-16 원현식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KR102544947B1 (ko) 2023-02-09 2023-06-16 원현식 분류기능을 가진 변압기 철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86U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17Y1 (ko) 변압기 철심
CN106067367B (zh) 变压器铁心
US7199696B2 (en) Transformer having a stacked core with a split leg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70352466A1 (en) Laminated Iron Core Structure and Transformer Including the Same
JP4387857B2 (ja)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7884B1 (ko) 변압기
JP5127728B2 (ja) 変圧器
WO2020071512A1 (ja) 巻鉄心及び変圧器
WO2010143710A1 (ja) 額縁形鉄心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688840B1 (ko) 변압기 철심
TW201814743A (zh) 磁芯片及磁芯
JP2012109296A (ja) コイル装置
KR101715664B1 (ko) 변압기의 철심
JP5659025B2 (ja) 電磁誘導器の製造方法
JP5787635B2 (ja) 静止誘導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430115B2 (ja) 積鉄心静止誘導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3260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JP6877266B2 (ja) 変圧器
JP2005203445A (ja) 変圧器
JP7337589B2 (ja) 積鉄心静止誘導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72211A (ja) 静止誘導機器用積層鉄心
JP2015125941A (ja) 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78207A (ja) 積鉄心、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5454164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用ロータコアとその製造方法
JPS6155906A (ja) 大容量変圧器鉄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