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581B1 - 변압기용 철심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581B1
KR102576581B1 KR1020230048317A KR20230048317A KR102576581B1 KR 102576581 B1 KR102576581 B1 KR 102576581B1 KR 1020230048317 A KR1020230048317 A KR 1020230048317A KR 20230048317 A KR20230048317 A KR 20230048317A KR 102576581 B1 KR102576581 B1 KR 10257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pper block
pillar
lower block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일
Original Assignee
유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일 filed Critical 유충일
Priority to KR102023004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용 철심에 관한 것으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동일선상에 이웃하는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과,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과 대칭하여 위치하는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과,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1측면 기둥과, 상기 제1측면 기둥과 대칭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상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2측면 기둥과,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일측단 및 타측단이 제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 및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과 연결되는 중앙 기둥 및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제1측면 기둥, 제2측면 기둥 및 중앙 기둥에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 또는 기둥을 결속하는 요철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철심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철심{CORE OF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철심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용 철심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블록들이 견고하게 맞물려 일체화되어 이를 적층했을 때 정형화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변압기용 철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란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바꾸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압기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한쪽의 권선에 동일 주파수의 교류전기로 전압을 변환하는 유도기기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부와 한 개 이상의 철심부 및 절연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자기회로 형성을 위해서는 규소가 함유된 강판을 적층하거나 규소강판을 권선한 권철심으로 하여 철심을 형성하게 된다. 즉, 철심의 양쪽에 각각 코일을 감은 후 한쪽에는 전원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에는 검류계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철심은 전원을 연결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과 철심에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되면 자기장의 크기 또한 같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철심을 통해 자기장이 전달되어 반대편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의 세기도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되고, 반대편 코일에는 전자기유도로 유도기전력이 생기고 유도전류가 흘러 검류계의 바늘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교류전원이라면 반대편 코일에도 교류전류가 유도된다.
이러한 종래의 변압기 철심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변압기 철심은 제1상단 블록(10), 제2상단 블록(20), 제1하단 블록(30), 제2하단 블록(40), 제1측면 기둥(50), 제2측면 기둥(60) 및 중앙 기둥(70)으로 구성된다.
제1상단 블록(10) 및 제2상단 블록(20)은 변압기 철심의 상부를 형성하며, 제1하단 블록(30) 및 제2하단 블록(40)은 변압기 철심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상단 블록(10), 제2상단 블록(20), 제1하단 블록(30), 제2하단 블록(40)은 사다리꼴 형상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되며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1측면 기둥(50)은 제1상단 블록(10) 및 제1하단 블록(30)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제2측면 기둥(60)은 제2상단 블록(20) 및 제2하단 블록(40)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측면 기둥(50)과 제2측면 기둥(60)은 사다리꼴 형상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중앙 기둥(70)은 제1상단 블록(10) 및 제2상단 블록(20) 사이에 상부가 결합되고, 제1하단 블록(30) 및 제2하단 블록(40)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며 이러한 중앙 기둥(70)은 육각형의 복수의 강판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압기 철심은 제1상단 블록(10), 제2상단 블록(20), 제1하단 블록(30), 제2하단 블록(40), 제1측면 기둥(50), 제2측면 기둥(60) 및 중앙 기둥(70)으로 구분되어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맞대기하여 용접하게 되므로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용접될 때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제1상단 블록(10)과 제1측면 기둥(50)을 일체화 시키기 위해 제1상단 블록(10)과 제1측면 기둥(50)이 마주하는 부분을 용접할 때 제1상단 블록(10)과 제1측면 기둥(50)이 어긋나게 용접되면 제1상단 블록(10) 및 제1측면 기둥(50)과 연계된 다른 부분도 어긋나면서 철심의 형태가 일그러져 정형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688840 B (2016.1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압기용 철심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블록들이 견고하게 맞물려 일체화되어 이를 적층했을 때 정형화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변압기용 철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심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켜 화재의 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는 변압기용 철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동일선상에 이웃하는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과,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과 대칭하여 위치하는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과,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1측면 기둥과, 상기 제1측면 기둥과 대칭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상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2측면 기둥과,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일측단 및 타측단이 제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 및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과 연결되는 중앙 기둥 및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제1측면 기둥, 제2측면 기둥 및 중앙 기둥에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 또는 기둥을 결속하는 요철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철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 결합부는 해당 블록 또는 기둥과 이웃하여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결합부는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제1측면 기둥, 제2측면 기둥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제각기 마주하는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중앙 기둥에 각각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와 돌출부는 열장이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 기둥 및 제2측면 기둥은 제각기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 및 제2상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적층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 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 기둥의 일측단 및 타측단과 맞닿는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에 제각기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 기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형성된 함몰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적층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홀과 적층 가이드는 열장이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 가이드는 히트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 가이드의 선단과 기단은 상기 철심의 최외측에 마련된 방열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핀은 직사각의 판 형상을 갖고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핀은 상기 적층 가이드와 끝단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철심의 최외측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에 의하면, 블록들과 기둥들에 각각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되어 함몰부에 돌출부가 끼워져 결속되는 것에 의해 블록들과 기둥들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철심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파손되거나 교체가 필요한 블록들과 기둥들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철심의 조립 및 분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심이 적층될 때 철심들이 어긋나지 않도록 적층 가이드가 마련되며, 적층 가이드가 히트 파이프로 이루어져 적층된 철심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마련된 방열핀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외부로 방열할 수 있어 화재의 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용 철심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은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제1측면 기둥(150), 제2측면 기둥(160), 중앙 기둥(170) 및 상기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제1측면 기둥(150), 제2측면 기둥(160), 중앙 기둥(170)에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 또는 기둥을 결속하는 요철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제1상단 블록(11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상단 블록(110)과 이웃하여 제2상단 블록(120)이 마련되는데, 제2상단 블록(120)은 제1상단 블록(1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제1상단 블록(110)과 대칭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은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은 제1상단 블록(110) 및 제2상단 블록(120)과 동일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과 대칭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대칭하여 형성되는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 및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은 제1측면 기둥(150)과 제2측면 기둥(160)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1측면 기둥(150)의 일측단과 타측탄은 제각기 제1상단 블록(110)과 제1하단 블록(130)을 연결하게 되며, 제2측면 기둥(160)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제각기 제2상단 블록(120)과 제2하단 블록(140)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제1측면 기둥(150)과 제2측면 기둥(160)의 사이에는 중앙 기둥(170)이 위치하게 되는데, 중앙 기둥(170)은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일측단 및 타측단이 제각기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 및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제1측면 기둥(150), 제2측면 기둥(160) 및 중앙 기둥(170)은 요철 결합부(200)에 의해 결속된다.
부연하자면, 요철 결합부(200)는 이웃한 블록 또는 기둥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당 블록 또는 기둥과 상기 해당 블록 또는 기둥과 이웃하여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즉, 요철 결합부(2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제1측면 기둥(150), 제2측면 기둥(160)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10) 및 상기 함몰부(210)와 제각기 마주하는 상기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중앙 기둥(170)에 각각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0)로 구성된다.
이렇게, 요철 결합부(200)가 함몰부(210)와 돌출부(220)로 구성되면 함몰부(210)가 형성된 블록과 기둥(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제1측면 기둥, 제2측면 기둥)이 이웃한 블록과 기둥(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중앙 기둥)에 형성된 돌출부(220)가 끼워져 결속된다.
이와 같이,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제1측면 기둥(150), 제2측면 기둥(160)에 각각 함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10)와 제각기 마주하는 제1상단 블록(110), 제2상단 블록(120), 제1하단 블록(130), 제2하단 블록(140), 중앙 기둥(170)에 각각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함몰부(210)에 돌출부(220)가 끼워져 결속되는 것에 의해 블록들과 기둥들을 결속시킬 수 있어 철심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파손되거나 교체가 필요한 블록과 기둥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철심의 조립 및 분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함몰부(210)와 돌출부(220)로 구성된 요철 결합부(200)는 열장이음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요철 결합부(200)를 구성하는 함몰부(210)와 돌출부(220)는 열장이음으로 결속되는데, 열장이음은 예를 들어 도 3의 제1상단 블록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부(220)와 제1상단 블록(110)이 연결되는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0)의 끝단보다 좁게 병목의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220)가 끼워지는 제1측면 기둥(150)에 형성된 함몰부(210)가 이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함몰부(210)와 돌출부(220)가 열장이음으로 결속되면 블록과 기둥이 측방으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되어 블록과 기둥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하게 블록들과 기둥들을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들과 기둥들이 요철 결합부(200)에 의해 결속되어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의 형상을 갖는 철심은 여러 개의 철심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적층된 철심을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변압기용 철심은 적층 결합부(300)가 마련된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측면 기둥(150) 및 제2측면 기둥(160)은 제각기 제1상단 블록(110)과 제1하단 블록(130) 및 제2상단 블록(120)과 제2하단 블록(140)을 일체화시키는 적층 결합부(300)가 마련된다.
적층 결합부(300)는 제1측면 기둥(150)의 일측단 및 타측단과 맞닿는 제1상단 블록(110)과 제1하단 블록(130)에 제각기 함몰부(210)가 형성되어 제1측면 기둥(15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형성된 함몰부(210)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홀(310) 및 상기 가이드 홀(310)에 삽입되는 적층 가이드(320)로 구성된다.
이때, 적층 가이드(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의 적층 길이에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블록과 기둥이 접하여 형성된 가이드 홀(31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적층 가이드(320)가 가이드 홀(31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다수의 철심이 적층될 때 철심이 어긋나지 않고 정렬될 수 있어 철심의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 가이드(320)가 가이드 홀(310)에 삽입될 때 가이드 홀(310)과 적층 가이드(320)는 열장이음으로 결속되어 블록과 기둥이 측방으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되어 블록과 기둥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하게 블록들과 기둥들을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적층된 철심을 정렬시키는 적층 가이드(320)는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어 철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이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용 철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층 가이드(320)는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는데, 적층 가이드(320)는 선단과 기단이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는 방열핀(400)이 구비되어 히트 파이프로 구성된 적층 가이드(320)와 연결된다. 이렇게, 적층 가이드(320)가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고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방열핀(400)이 구비되어 적층 가이드(320)의 선단과 기단이 제각기 방열핀(400)과 연결되면 적층된 철심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적층 가이드(320)를 통해 방열핀(400)으로 이동하게 되어 적층된 철심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할 수 있어 화재의 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마련되는 방열핀(400)은 바람직하게 직사각의 판 형상을 갖고 방열핀(400)의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에 밀착되거나 또는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1상단 블록(110)과 제2상단 블록(120) 및 제1하단 블록(130)과 제2하단 블록(140)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방열핀(400)이 마련될 때 방열핀(400)과 적층 가이드(320)는 패스너(500)에 의해 연결되는데, 패스너(5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와 로드로 구성된 볼트로 이루어져 패스너(500)가 방열핀(400)을 관통하여 로드가 적층 가이드(320)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패스너(500)의 조임에 의해 방열핀(400)을 철심의 최외측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 가이드(320)가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며 적층 가이드(320)와 가이드 홀(310)이 열장이음되고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방열핀(400)이 마련되어 적층 가이드(320)와 방열핀(400)이 연결되면, 블록과 기둥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적층된 철심이 어긋나지 않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히트 파이프로 이루어진 적층 가이드(320)를 통해 철심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적층된 철심의 최외측에 마련된 방열핀(400)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외부로 방열할 수 있어 화재의 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10 : 제1상단 블록 120 : 제2상단 블록
130 : 제1하단 블록 140 : 제2하단 블록
150 : 제1측면 기둥 160 : 제2측면 기둥
170 : 중앙 기둥 200 : 요철 결합부
210 : 함몰부 220 : 돌출부
300 : 적층 결합부 310 : 가이드 홀
320 : 적층 가이드 400 : 방열핀
500 : 패스너

Claims (4)

  1.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동일선상에 이웃하는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과 대칭하여 위치하는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1측면 기둥;
    상기 제1측면 기둥과 대칭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상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을 연결하는 제2측면 기둥;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일측단 및 타측단이 제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 및 제1하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과 연결되는 중앙 기둥; 및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 및 중앙 기둥에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 또는 기둥을 결속하는 요철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 결합부는 해당 블록 또는 기둥과 이웃하여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요철 결합부는 상기 제1상단 블록, 제2상단 블록, 제1하단 블록, 제2하단 블록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제각기 마주하는 중앙 기둥에 각각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 기둥 및 제2측면 기둥은 제각기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 및 제2상단 블록과 제2하단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적층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 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 기둥의 일측단 및 타측단과 맞닿는 제1상단 블록과 제1하단 블록에 제각기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 기둥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형성된 함몰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적층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과 적층 가이드는 열장이음되고,
    상기 적층 가이드는 히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 가이드의 선단과 기단은
    철심의 최외측에 마련된 방열핀과 연결되고,
    상기 방열핀은 직사각의 판 형상을 갖고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상기 제1상단 블록과 제2상단 블록에 밀착되며,
    상기 방열핀은
    상기 적층 가이드와 끝단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철심의 최외측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철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48317A 2023-04-12 2023-04-12 변압기용 철심 KR10257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17A KR102576581B1 (ko) 2023-04-12 2023-04-12 변압기용 철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317A KR102576581B1 (ko) 2023-04-12 2023-04-12 변압기용 철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581B1 true KR102576581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317A KR102576581B1 (ko) 2023-04-12 2023-04-12 변압기용 철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91Y1 (ko) * 2003-03-31 2003-06-25 김정미 코어 철심
KR101688840B1 (ko) 2015-08-04 2017-01-02 신강섭 변압기 철심
KR20190000286U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한강기전 변압기 철심
KR102298557B1 (ko) * 2020-06-16 2021-09-07 주식회사 포스코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소음이 우수한 변압기용 적철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91Y1 (ko) * 2003-03-31 2003-06-25 김정미 코어 철심
KR101688840B1 (ko) 2015-08-04 2017-01-02 신강섭 변압기 철심
KR20190000286U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한강기전 변압기 철심
KR102298557B1 (ko) * 2020-06-16 2021-09-07 주식회사 포스코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소음이 우수한 변압기용 적철심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786B2 (ja) 非接触給電装置
WO2009104474A1 (ja) 受電用コイルブロック
ES2598156T3 (es) Núcleos de transformador híbrido
US9805852B2 (en) Transformer core
US9424979B2 (en) Magnetic element with multiple air gaps
KR100318670B1 (ko) 방열 리브를 가지는 고압 트랜스포머
JP2008021948A (ja) リアクトル用コア
CA2640990A1 (en) Parallel gapped ferrite core
WO2020071512A1 (ja) 巻鉄心及び変圧器
KR102576581B1 (ko) 변압기용 철심
US7236076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a variable air gap effect
KR20190000286U (ko) 변압기 철심
KR101688840B1 (ko) 변압기 철심
JP2009177019A (ja) 変圧器
US3760316A (en) Transformer core assembly
US8508324B2 (en) Radiating structure of induction device
WO2019013131A1 (ja) プレーナ型トランス及びdcdcコンバータ
JP5923908B2 (ja) リアクトル
JP2010153705A (ja) 巻線装置用コア、巻線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
KR102298557B1 (ko)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소음이 우수한 변압기용 적철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15664B1 (ko) 변압기의 철심
KR102135201B1 (ko) 변압기
JP6877266B2 (ja) 変圧器
US6570479B2 (en) Laminated transformer system and method
JPH0635453Y2 (ja) 変成器用鉄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