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09Y1 -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09Y1
KR200481509Y1 KR2020120007007U KR20120007007U KR200481509Y1 KR 200481509 Y1 KR200481509 Y1 KR 200481509Y1 KR 2020120007007 U KR2020120007007 U KR 2020120007007U KR 20120007007 U KR20120007007 U KR 20120007007U KR 200481509 Y1 KR200481509 Y1 KR 20048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creen
original image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05U (ko
Inventor
주 홍 왕
유 팅 시
우 지 시에
쳉 난 호
Original Assignee
아카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카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120007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0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복수의 광각 카메라(10),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을 구비하고,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을 설치하고, 설치 과정에서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및 보정을 행하고,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에는 그 설치 시간 및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의해 적합한 화면의 크기와 비율을 조정하여 출력하고, 자동차 제조업체 전용의 디스플레이(50)에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주위 환경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ADAPTIVE AROUND-VIEW MONITORING DEVICE}
본 고안은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감 영상 합성 유닛의 미세 조정 보정 회로의 설계를 통해서, 설치 과정에서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및 보정을 행하여,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할 때 설치 시간과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영상의 미세 조정, 보정을 일과작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승용차, SUV, 트럭 등의 각 차종, 또는 차량에 적용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은 일진월보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차량이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차량에 장착한 발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운행 관리 센터가 운행중인 차량의 위치나 상황을 관리하는 시스템인 AVM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운전 중 차량 외부의 상황 파악을 도와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광각 카메라의 설치시에는 다양한 차종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그 광각 렌즈가 촬영하는 화면을 조정해야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최적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 촬영 각도를 미세 조정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설치 및 미세 조정시에도 보정 또는 화면의 미세 조정을 위해 오랜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의 설치시에는 동체 내의 각 하드웨어의 금형의 공차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설치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 파라미터를 보정해야 한다. 이 과정은 장치의 설치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설치하는 모든 차량에서 이 과정을 반복 실시해야 한다. 즉,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의 설치 효율이 매우 낮다.
이 밖에, 종래의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에서는 설치 후에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차체의 진동, 운전 습관, 4개의 타이어압의 차이 등이 원인이 되어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서 각 방향을 향하는 광각 렌즈가 동일 평면에 있지 않거나 고도가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이 비대칭이 되거나 표시 각도에 오차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보정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로써,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정확하고 오류가 없는 실시간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차량의 주위 환경의 영상을 충실히 기록하여 필요 시 조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의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로 미세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설치시 시간 및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정확한 주행 보조 영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일과작업의 일환으로 영상 미세 조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보다 정확한 주행을 확보할 수 있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복수의 광각 카메라, 부감 영상 합성 유닛,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부감 영상 합성 유닛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을 설치하고, 설치 과정에서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및 보정을 행하고,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에는 그 설치 시간과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해져 설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미세 조정 보정 회로에 의해 조정하고 수정한 부감 영상을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전송하고,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의해 자동차 제조업체 전용의 디스플레이에 대응시켜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 및 비율을 조정하여 출력하고,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은 다른 화면 비율, 또는 화면의 비대칭성에 적응시키는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각도 오차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본 고안 전체의 기능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연결 접속되고,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의 오리지널 영상을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전송하고,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은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의 오리지널 영상 및 부감 영상 합성 유닛의 부감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전송하고,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확한 주위 환경의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전체적인 편리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네 번째 과제는, 미세 조정 보정 회로의 설치에 의해 정기적 또는 특정한 상황 하에서 영상 미세 조정 및 보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각 차종의 디스플레이 규격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 비대칭이 발생하거나, 표시 각도에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상황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확한 주위 환경의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의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복수의 광각 카메라, 부감 영상 합성 유닛,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는 차량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여 차량 주위의 오리지널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와 연결 접속되고, 오리지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는 상기 부감 영상 합성 유닛에 연결 접속되고, 상기 부감 영상 합성 유닛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 부감 영상 대응 유닛, 미세 조정 보정 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을 불러오고,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을 거쳐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부감 영상으로 전환하고, 부감 화면에 대응시키며, 상기 미세 조정 보정 회로를 거쳐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의 부감 영상에 대해서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보정, 검증 등의 공정을 행하여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전송함으로써 적합한 화면의 크기와 비율을 조정하여 출력하고, 각 차종의 디스플레이 화면 규격에 적합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부감 영상 합성 유닛의 미세 조정 보정 회로의 설계를 통해서, 설치 과정에서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및 보정을 행하고,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에 설치 시간과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영상의 미세 조정 및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승용차, SUV, 트럭 등의 각 차종 또는 차량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모식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복수의 광각 카메라(10),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을 구비한다. 복수의 광각 카메라(10)는 차량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 주위의 오리지널 영상(101)을 촬영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복수의 광각 카메라(10)에 연결 접속되어 오리지널 영상(101)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각 카메라(10)는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에 연결 접속된다.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를 설치한다.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을 통해서 복수의 광각 카메라(10)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101)을 불러오고,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에 전송한다.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을 거쳐 오리지널 영상(101)을 부감 영상(24)으로 전환하고, 부감 화면에 대응시킨다. 또한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를 거쳐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의 부감 영상(24)에 대해서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보정, 검증 등의 공정을 실시하고,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의 출력의 크기 및 비율을 조정하여 각 차종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적합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연결 접속되고,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101)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전송되고, 화면에 적합한 크기와 비율의 출력이 조정된다. 또한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은 디스플레이(50)에 연결 접속된다. 이로써, 영상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을 통해서 출력 화면의 크기와 비율이 조정된 후, 운전자의 판단과 참고용으로 제공된다. 또한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메모리(31)에 연결 접속된다. 메모리(31)는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이다. 또한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32)에 연결 접속됨에 따라 불러오기 및 읽기를 행할 수 있다.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32)는 USB, 고속 시리얼 버스(IEEE-1394),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인터페이스,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또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중 어느 하나이다.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은 RAM(RAM)으로, 오리지널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RAM(RAM)은 다이나믹 RAM(DRAM) 또는 스태틱 RAM(SRAM) 중 어느 하나이다. 디스플레이(50)는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시스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의 실시 방법은 차량 전방의 마크의 위치에, 후방의 넘버 플레이트의 위치에, 좌우 양측의 백미러 하부에 각각 광각 카메라(10)를 설치하거나, 또는 차량의 다른 위치에 광각 카메라(10)를 설치한다. 단일 광각 카메라(10)의 촬영 각도 범위는 180~190도이며, 이 각도로 차량 주위의 오리지널 영상(101)을 촬영하고, 이로써 차량 주위 360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광각 카메라(10)는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과 연결 접속되고(도 1 참조), 이로써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광각 카메라(10)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101)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과 연결 접속됨으로써,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101)은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으로 전송된다.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메모리(31)를 연결 접속하고, 메모리(31)는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장치이다.
이로써, 각 광각 카메라(10)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101)은 메모리(31)에 저장되고,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은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32)를 설치한다.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32)는 USB, 고속 시리얼 버스(IEEE-1394),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인터페이스,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또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중 어느 하나이다.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32)를 통해서 메모리(31) 내의 오리지널 영상(101)을 읽고, 불러오고,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실을 검증하기 위한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 내의 오리지널 영상(101)은 수정, 편집을 거치지 않은 오리지널 영상이기 때문에 경찰 또는 조사기관의 분석, 판단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고 원인을 분명히 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광각 카메라(10)는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에 연결 접속된다.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도 1 참조)를 설치한다.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을 통해서 복수의 광각 카메라(10)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101)을 불러와서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은 RAM(RAM)으로, 오리지널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RAM(RAM)은 다이나믹 RAM(DRAM) 또는 스태틱 RAM(SRAM) 중 어느 하나이다.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21)은 오리지널 영상(101)을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에 전송하고,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은 오리지널 영상(101)을 부감 영상(24)으로 전환하며, 부감 화면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부감 영상 대응 유닛(22)의 부감 영상(24)에는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를 거쳐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보정, 검증 등의 공정이 실시된다. 그 후, 부감 영상(24)을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에 의해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에는 그 설치 시간과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해져 설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은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101), 및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의 부감 영상(24)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은 디스플레이(50)에 연결 접속되고,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 및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의 부감 영상(24)을 동시에 디스플레이(50)로 전송(도 2 참조)한다.
또한 디스플레이(50)는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 및 부감 영상 합성 유닛(20)의 부감 영상(24)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판단 및 참고를 위해서, 실시간으로 정확한 주위 환경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다른 차량 또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알 수 있어 주행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30)의 오리지널 영상(101)은 핸들의 좌측 회전 또는 우측 회전, 또는 기어가 후진 기어로 되어 있는지 등의 주행 상태에 따라 최적의 위치의 광각 카메라(10)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오리지널 영상(101)을 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부감 영상(24)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각 카메라(10)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101)을 볼 수도 있어, 운전자는 신속하게 명석한 화면을 보고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조정 보정 회로(23)에 의해 신속하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부감 영상(24)을 미세 조정 및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 그 설치 시간 및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부감 영상(24)을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전송할 때에는 부감 영상(24)을 자동으로 미세 조정 및 보정하여 디스플레이(50)에 적합한 화면으로 만든다.
또한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의해 자동차 제조업체 전용의 디스플레이(50)에 대응시켜 최적의 화면 크기 및 비율로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은 실시간으로 다른 화면 비율 또는 화면의 비대칭성에 적응시키는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0)의 각도 오차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주위 환경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이하의 장점을 갖는다.
1. 다른 동형의 차종에 설치시 그 설치 시간과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해져 본 고안의 설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2.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에 의해 자동차 제조업체 전용의 디스플레이(50)에 대응시켜, 적당한 화면의 크기 및 비율로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40)은 실시간으로 다른 화면 비율 또는 화면의 비대칭성에 적응시키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의 본 고안의 명칭과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의 설명에 이용된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정신에 의거하는 등가 응용 또는 부품(구조)의 전환, 치환, 수량의 증감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실용 신안 등록의 요건인 신규성을 구비하고, 종래의 동일 종류의 제품에 비해 충분한 진보성을 가지며, 실용성이 높고, 사회의 요구에 부합되어 산업상의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
10: 광각 카메라
20: 부감 영상 합성 유닛
21: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
22: 부감 영상 대응 유닛
23: 미세 조정 보정 회로
24: 부감 영상
30: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
31: 메모리
32: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
40: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
50: 디스플레이
101: 오리지널 영상

Claims (6)

  1.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은 복수의 광각 카메라, 부감 영상 합성 유닛,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는 차량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여 차량 주위의 오리지널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와 연결 접속되고, 오리지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는 상기 부감 영상 합성 유닛에 연결 접속되고,
    상기 부감 영상 합성 유닛 내에는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 부감 영상 대응 유닛, 미세 조정 보정 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광각 카메라가 촬영한 오리지널 영상을 불러오고,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에 전송하며,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을 거쳐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부감 영상으로 전환하고, 부감 화면에 대응시키며,
    상기 미세 조정 보정 회로를 거쳐 상기 부감 영상 대응 유닛의 부감 영상에 대해서 각 항 오차 파라미터의 불러오기, 보정, 검증의 공정을 행하여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전송하고,
    이로써, 적합한 화면의 크기와 비율을 조정하여 출력하고, 각 차종의 디스플레이 화면 규격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또한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연결 접속되고, 이로써 오리지널 영상을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에 전송하고, 화면에 적합한 크기 및 비율로 실시간으로서 출력되고, 운전자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오리지널 영상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은 또한 디스플레이에 연결 접속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시스템으로, 영상은 상기 화면 적정화 처리 유닛을 통해서 출력 화면의 크기 및 비율이 조정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되어 운전자의 판단과 참고용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또한 메모리에 연결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 인코딩/디코딩 유닛은 또한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에 연결 접속됨으로써 불러오기, 읽기를 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 포트는 USB, 고속 시리얼 버스(IEEE-1394), 인터페이스(IDE,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또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영상 픽업 유닛은 RAM(RAM)로, 오리지널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RAM(RAM)는 다이나믹 RAM(DRAM) 또는 스태틱 RAM(SRA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KR2020120007007U 2012-08-06 2012-08-06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KR20048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07U KR200481509Y1 (ko) 2012-08-06 2012-08-06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07U KR200481509Y1 (ko) 2012-08-06 2012-08-06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5U KR20140001005U (ko) 2014-02-14
KR200481509Y1 true KR200481509Y1 (ko) 2016-10-10

Family

ID=5244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07U KR200481509Y1 (ko) 2012-08-06 2012-08-06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107B (zh) * 2019-10-16 2021-06-2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流媒体后视镜切换控制方法、流媒体后视镜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497A (ja) 2005-09-27 2007-04-12 Clarion Co Ltd 車両周囲表示システム
JP2009227197A (ja) 2008-03-25 2009-10-08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用異常検出装置
JP2011087308A (ja) 2010-11-25 2011-04-28 Aisin Seiki Co Ltd 車載カメラの校正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497A (ja) 2005-09-27 2007-04-12 Clarion Co Ltd 車両周囲表示システム
JP2009227197A (ja) 2008-03-25 2009-10-08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用異常検出装置
JP2011087308A (ja) 2010-11-25 2011-04-28 Aisin Seiki Co Ltd 車載カメラの校正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5U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4583B2 (en) Adaptive around-view monitoring device
CN109413415B (zh) 一种摄像头控制器测试系统及测试方法
EP3588001B1 (en)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an optical sensor mounted on board of a vehicle
US2010017978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ng vehicle vision systems
JP5249259B2 (ja) 車両搭載用撮影記録装置
CN212305474U (zh) 一种大型车辆全景影像拼接系统及汽车
CN112738382B (zh) 一种车辆车头与车身全景环视图像拼接方法
CN103895573A (zh) 汽车泊车辅助系统及方法
US11611712B2 (en) Method consisting in using at least one vehicle camera to check whether certain elements of the vehicle are in a safe condition before starting off
KR200481509Y1 (ko) 적성 주행 보조 감시 녹화 시스템
US113770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obile bod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213948406U (zh) 车辆驾驶辅助系统、车载无人飞行器和车载主机
JP5195776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3178291U (ja) 適性走行補助監視録画システム
JP2012075007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JP2009213063A (ja) 監視装置
JP2011008459A (ja) 車載カメラ装置
CN104008530A (zh) 一种图像合成标定方法
JP2021150957A (ja) 間接視システムの検証方法
JP2006160192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2020150306A (ja) 表示制御装置
CN204681482U (zh) 一种单镜头全景行车记录仪系统
KR20150071738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영상 기록 방법
US20150291096A1 (en) Driving recorder capable of assisting in correcting shooting posture and correction method of the same
WO2023238422A1 (ja) バックモニタシステム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