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37Y1 -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 Google Patents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37Y1
KR200481237Y1 KR2020150000710U KR20150000710U KR200481237Y1 KR 200481237 Y1 KR200481237 Y1 KR 200481237Y1 KR 2020150000710 U KR2020150000710 U KR 2020150000710U KR 20150000710 U KR20150000710 U KR 20150000710U KR 200481237 Y1 KR200481237 Y1 KR 200481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rice
brown
transport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761U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150000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3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현미 도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현미가 정체되지 않고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도정되게 하려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하여 현미를 도정관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메인 도정날개가 형성된 가압부 사이에 원통부와 경사부로 구성된 현미 대기부의 양쪽에서 현미를 일정량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부와 경사부로 구성된 이송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개는 메인 도정날개 사이에 보조 도정날개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며, 본 고안에 의하면, 도정축의 이송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해서 현미가 가압부 및 도정관쪽으로 이송하는 중에 현미 대기부에 형성된 이송날개에 의해서 현미가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도정관속에 이송되면서 도정이 되기 때문에 도정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현미가 백미로 도정되는 중에 이송날개의 작용으로 현미가 정체되지 않기 때문에 마찰과 압력에 의해서 현미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정된 백미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Brown rice structure of the transfer of improved domestic rice milling axis dojeonggi}
본 고안은 벼의 겉껍질만 벗겨 낸 현미의 표피를 벗기는 가정용 현미 도정기에서 현미를 도정관속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도정축을 개량하여 구성된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벼에서 껍질을 벗긴 현미는 제일 바깥쪽에 과피(果皮)와 그 내측으로 종피(種皮)와, 호분층(糊粉層)으로 구성된 쌀겨층과 배(胚)와, 나머지의 대부분은 배젖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나 미생물의 해가 적으며,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가공으로 인한 손실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미는 배젖으로 이루어진 백미보다 밥맛이 못하고 소화가 잘 되지않고, 영양분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며, 또한 밥짓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선호도가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미를 도정(搗精)하여 백미를 얻을 수 있도록하기 위한 가정용 현미 도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대부분은,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와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현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이송되는 현미의 표피가 소정두께로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도정유니트와, 상기 도정유니트에서 깍이는 현미의 표피 두께를 조절하도록 분도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구성에서 현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도정관과 상호작용으로 현미의 표피를 벗겨내기 위한 이송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정축의 구성을 보면, 현미를 도정관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로 구성된 이송부와 현미 대기부와 2개의 도정날개가 형성된 가압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정축(100)의 경우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류(101)로 구성된 이송부와 2개의 도정날개(102)가 형성된 가압부 사이에 형성된 현미 대기부(103)의 2/3는 원통부이고 1/3은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미가 이송부를 구성하는 스크류에 의해서 이동하여 도정날개가 형성된 가압부로 이동하는 중에 현미 대기부에서 정체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현미가 현미 대기부에서 도정날개가 형성된 가압부 및 도정관 속으로 신속하게 진입하지 못하고 정체되면 도정효율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마찰과 압력에 의해서 현미가 미미하게 균열된 후에 도정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백미의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도정축의 구조에 많은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3-0027357호(2003.04.07.공개) 한국 공개특허 10-2012-0105172호(2012.09.25.공개) 한국 등록특허 10-0696253호(2007.03.12.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정축의 이송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해서 현미가 가압부 및 도정관쪽으로 이송하는 중에 정체되지 않고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이송시켜 도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며,
특히, 현미가 정체되는 관계로 마찰과 압력에 의해서 현미가 균열된 후에 도정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백미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을 제공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구성에서 현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도정관과 상호작용으로 현미의 표피를 벗겨내기 위한 이송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정축은, 현미를 도정관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메인 도정날개가 형성된 가압부 사이에 원통부와 경사부로 구성된 현미 대기부의 양쪽에서 현미를 일정량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부날개와 경사부날개로 구성된 이송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개는 메인 도정날개 사이에 보조 도정날개를 형성하고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 본 고안에 특징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정축의 이송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해서 현미가 가압부 및 도정관쪽으로 이송하는 중에 현미 대기부에 형성된 이송날개에 의해서 현미가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도정관속에 이송되면서 도정이 되기 때문에 도정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현미가 백미로 도정되는 중에 이송날개의 작용으로 현미가 현미 대기부에서 정체되지 않기 때문에 마찰과 압력에 의해서 현미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정된 백미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정축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정축이 분해된 도정기 본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도정축이 설치된 도정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정축이 개량된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도정축이 개량된 부분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종래 도정기에 설치된 도정축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에 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용 현미 도정기를 구성하면서 현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도정관(10)과 상호작용으로 현미의 표피를 벗겨내기 위한 이송유니트(11)를 구성하는 도정축(1)은, 현미를 도정관(10)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2')가 구비된 이송부(2)와 메인 도정날개(3')가 형성된 가압부(3) 사이에 원통부와 경사부로 구성된 현미 대기부(4)의 양쪽에서 현미를 일정량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부날개(7)와 경사부날개(8)로 구성된 이송날개(5)가 형성되며,
삭제
상기 이송날개(5)는 현미 대기부를 구성하는 원통부의 중간지점에서 시작하여 경사부 및 메인 도정날개(3') 사이에 형성된 보조 도정날개(6)와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도정기 본체, 51은 호퍼, 52는 모터, 53은 풀리, 54는 백미 배출구, 55는 쌀겨 배출구, 56은 현미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정용 현미 도정기를 구성하는 호퍼(51)에 현미(56)을 넣고 현미 도정기를 구성하는 모터(5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본 고안에 의한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이 작용을 하게 되는 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터(52)와 벨트로 연결된 풀리(53)가 도정축(1)을 회전시키고, 이렇게 도정축(1)이 회전하는 작용에 의해서 도정축(1)을 구성하는 이송부(2), 현미 대기부(4), 가압부(3)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호퍼(51)에 공급되어 있는 현미(56)는 하방으로 흘러들어가 도정축(1)을 구성하는 이송부(2)로 공급된다.
이렇게 이송부(2)로 공급된 현미는 이송부(2)에 형성된 스크류(2')의 작용으로 현미 대기부(4)로 이동하고, 다시 현미 대기부(4)를 지나 도정관(10)속으로 진입하여 도정관(10)과 가압부(3)에 형성된 메인 도정날개(3')와 보조 도정날개(6)가 상호 작용하여 현미(56)의 쌀겨를 벗겨낸다.
상기와 같이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때 현미가 이송부(2)에 형성된 스크류(2')의 작용으로 현미 대기부(4)로 오면, 현미 대기부(4)에 원통부날개(7)와 경사부날개(8)로 구성된 이송날개(5)가 현미를 밀어주는 작용을 하여 현미가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도정관 속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즉, 모터(52)와 벨트로 연결된 풀리(53)가 도정축(1)을 회전시키고 이렇게 도정축(1)이 회전하면, 도정축을 구성하는 이송부(2)에 형성된 스크류(2')가 회전하면서 현미(56)를 현미 대기부(4)쪽으로 밀어넣게 되고, 현미 대기부(4)의 양쪽에 수평부날개(7)와 경사부날개(8)로 구성된 이송날개(5)도 회전하면서 현미를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도정관(10) 속으로 이동시켜주기 때문에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중에 현미 대기부(4)에서 현미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 현미 대기부(4)에서 현미가 정체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과 압력에 의해서 현미가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현미(56)가 현미 대기부(4)에서 정체되지 않고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도정관(10) 속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작용과, 도정관(10)과 가압부(3)에 형성된 메인 도정날개(3')와 2개의 보조 도정날개(6)의 작용에 의해서 현미(56)에 살겨를 벗겨내기 때문에 도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1: 도정축 2: 이송부
3: 가압부 4: 현미 대기부
5: 이송날개 7: 수평부날개
8: 경사부날개 10: 도정관

Claims (1)

  1. 가정용 현미도정기에서 현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정관과 상호 작용으로 현미의 표피를 벗겨내기 위하여 현미를 도정관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가 구비된 이송부와 경사부로 구성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에 있어서,
    가압부에 형성된 메인 도정날개 사이에 보조 도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도정날개는 현미 대기부의 양쪽에서 현미를 일정량 균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현미 대기부를 구성하는 원통부의 중간지점에서 시작되어 경사부를 경유하는 구성으로 수평부날개와 경사부날개로 구성된 이송날개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KR2020150000710U 2015-01-30 2015-01-30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KR200481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0U KR200481237Y1 (ko) 2015-01-30 2015-01-30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0U KR200481237Y1 (ko) 2015-01-30 2015-01-30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61U KR20160002761U (ko) 2016-08-09
KR200481237Y1 true KR200481237Y1 (ko) 2016-09-01

Family

ID=5671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10U KR200481237Y1 (ko) 2015-01-30 2015-01-30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3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06Y1 (ko) * 2002-07-18 2002-11-18 최복식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57A (ko) 2001-09-28 2003-04-07 이중부 현미도정기
KR100696253B1 (ko) 2004-05-31 2007-03-20 이춘수 현미도정기
KR101224085B1 (ko) 2011-03-15 2013-02-06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가정용 도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206Y1 (ko) * 2002-07-18 2002-11-18 최복식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61U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282B1 (ko) 녹색 통곡물의 전처리 건조를 위한 회전식 건조장치
CN211385132U (zh) 一种大米脱壳装置
KR200484321Y1 (ko) 도정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CN107379053A (zh) 一种具有切刀清洁功能的切肉机
CN109590056B (zh) 留胚米加工成三段的方法和产品及用途
JP6132516B2 (ja) 米ペースト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1795861B1 (ko)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KR200481237Y1 (ko) 현미 이송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KR101862703B1 (ko) 현미 스낵 생산 시스템
CN215088860U (zh) 一种大米加工除杂送料装置
CN208928230U (zh) 一种碾米调节装置
KR200441547Y1 (ko) 제면기
KR101847564B1 (ko)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JP5313982B2 (ja) 米粉製造方法、及び米粉製造システム
KR100330299B1 (ko) 밤 껍질 제거장치
CN201131260Y (zh) 薄厚可调式刀削面机
KR101212187B1 (ko) 곡물 증숙장치
KR20140135411A (ko) 정미기능이 부가된 수동식 현미기
CN208786662U (zh) 一种蒜瓣沉石机
CN203708860U (zh) 一种新型脱粒机
CN106311379A (zh) 一种大麦脱壳系统及采用此脱壳系统的脱壳方法
CN108970677B (zh) 一种防灰尘稻谷脱壳机
CN207578485U (zh) 一种具有切刀清洁功能的切肉机
CN206880007U (zh) 一种粉条制作成型设备
CN205161812U (zh) 一种高效多单元莲子剥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