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67Y1 -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 Google Patents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67Y1
KR200478367Y1 KR2020140004087U KR20140004087U KR200478367Y1 KR 200478367 Y1 KR200478367 Y1 KR 200478367Y1 KR 2020140004087 U KR2020140004087 U KR 2020140004087U KR 20140004087 U KR20140004087 U KR 20140004087U KR 200478367 Y1 KR200478367 Y1 KR 200478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ent
balcony
stage pa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이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정 filed Critical 이미정
Priority to KR2020140004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단 판넬과 2단 판넬 사이의 탑 텐트 내부의 제1 공간과 2단 판넬 하부의 어넥스 내부의 제2 공간으로 형성되고, 제2 공간을 통해서만 출입이 제한된 된 루프 탑 텐트에 탑 텐트와 통할 수 있는 발코니식 제3 공간을 창출하여 출입이 자유롭고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따른 비상탈출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 캐리어 위에 구비되는 1단 판넬의 일측에 2단 판넬이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1단 판넬 위에 포개진 2단 판넬을 펼치는 것으로 1단 판넬 및 2단 판넬 위에 탑 텐트가 설치되어 탑 텐트 내부의 제1 공간을 형성하며, 2단 판넬의 하부측으로 어넥스를 설치하여 어넥스 내부의 제2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탑 텐트의 일측으로 발코니를 더 형성하고, 탑 텐트에 발코니 출입구를 형성하며, 발코니는 상기 1단 판넬의 일측에 연결된 2단 판넬의 반대쪽 1단 판넬의 타측에 3단 판넬을 1단 판넬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1단 판넬 및 2단 판넬 상에 설치된 탑 텐트에 의한 제1 공간 및 2단 판넬의 하부측 어넥스에 의한 제2 공간과 함께 발코니에 의한 제3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Roop top tent with veranda}
본 고안은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단 판넬과 2단 판넬 사이의 탑 텐트 내부의 제1 공간과 2단 판넬 하부의 어넥스 내부의 제2 공간으로 형성되고, 제2 공간을 통해서만 출입이 제한된 된 루프 탑 텐트에 탑 텐트와 통할 수 있는 발코니식 제3 공간을 창출하여 출입이 자유롭고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따른 비상탈출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에 관한 것이다.
루프 탑 텐트(roof top tent)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 지붕 위에 설치하는 텐트이다. 밀림이나 오지 여행시 야생동물들로부터 피해 잠을 자기 위해 만들어진 텐트로 아프리카나 미주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텐트이다.
루프 탑 텐트(130)는 차량(100)의 루프 캐리어(100a)의 바로 위에 구비되는 1단 판넬(110)의 좌측으로 2단 판넬(120)이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1단 판넬(110) 위에 포개지된 2단 판넬(120)을 펼치는 것으로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위에 탑 텐트(130)가 설치되어 탑 텐트(130) 내부의 제1 공간(130a)을 형성하며, 2단 판넬(120)의 하부측으로 어넥스(140)를 설치하여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루프 탑 텐트(130)는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통해 설치된 사다리(6)를 이용해 탑 텐트(130) 내부의 제1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루프 탑 텐트(130)는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통해서만 탑 텐트(130)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의 불편함이 따르고,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서 상기 제2 공간(130b)을 통해 출입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속수무책으로 탑 텐트(130) 안에 갇힐 수 밖에 없어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단 판넬과 2단 판넬 사이의 탑 텐트 내부의 제1 공간과 2단 판넬 하부의 어넥스 내부의 제2 공간으로 형성되고, 제2 공간을 통해서만 출입이 제한된 된 루프 탑 텐트에 탑 텐트와 통할 수 있는 발코니식 제3 공간을 창출하여 출입이 자유롭고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따른 비상탈출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의 한 형태는, 차량의 루프 캐리어 위에 구비되는 1단 판넬의 일측에 2단 판넬이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1단 판넬 위에 포개진 2단 판넬을 펼치는 것으로 1단 판넬 및 2단 판넬 위에 탑 텐트가 설치되어 탑 텐트 내부의 제1 공간을 형성하며, 2단 판넬의 하부측으로 어넥스를 설치하여 어넥스 내부의 제2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탑 텐트의 일측으로 발코니를 더 형성하고, 탑 텐트에 발코니 출입구를 형성하며, 발코니는 상기 1단 판넬의 일측에 연결된 2단 판넬의 반대쪽 1단 판넬의 타측에 3단 판넬을 1단 판넬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1단 판넬 및 2단 판넬 상에 설치된 탑 텐트에 의한 제1 공간 및 2단 판넬의 하부측 어넥스에 의한 제2 공간과 함께 발코니에 의한 제3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코니는, 상기 3단 판넬의 측면을 따라 좌우측에 난간이 구비되고, 지지대에 의해 3단 판넬의 하부가 지지되며, 난간의 사이로 사다리가 설치되며, 상기 난간은 내측 수직대와 외측 수직대 및 중간 수직대의 사이를 횡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횡봉의 양단은 내측 수직대와 외측 수직대 각각의 상단부, 및 외측 수직대와 중간 수직대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횡봉이 분리된 상태에서 내측 수직대와 외측 수직대는 힌지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하부 지지봉의 사이를 조여 고정하거나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구로 연결하고, 상부 지지봉의 상단부는 힌지에 의해 발코니의 3단 판넬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 지지봉을 상부 지지봉의 외측으로 밀어 지지대의 전체를 길이를 줄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다리는 상단부가 3단 판넬의 하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안테나 식으로 각 단을 포개어 길이를 줄이거나 다시 펼쳐 늘릴 수 있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수직대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삼각 형태를 이루어 서로 만나는 상단 꼭지점을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1단 판넬과 3단 판넬의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의 상기 힌지축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외측 수직대는, 상기 힌지에 의해 3단 판넬 상에 결합되고, 펼쳤을 때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횡봉을 분리한 상태에서 접힐 수 있도록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에 의해 3단 판넬 상에 지지되며; 상기 중간 수직대는 일측 고정편은 3단 판넬 상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편은 중간 수직대에 고정되며 힌지핀에 의해 서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절첩부재에 의해 3단 판넬 상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지지편A 및 지지편B의 사이를 중심핀으로 서로 연결하고, 중심핀의 반대쪽 지지편A은 외측 수직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중심핀의 반대쪽 지지편B는 3단 판넬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하나의 링크편으로 형성되어 링크편의 상단부는 외측 수직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3단 판넬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위에 구비된 1단 판넬에 2단 판넬을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탄 텐트의 설치에 의한 제1 공간과 탑 텐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어넥스에 의한 제2 공간과 함께 어넥스의 반대쪽으로 발코니에 의한 제3 공간을 창출하고 탑 텐트와 연이어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텐트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공간은 물론 제3 공간을 통해서도 출입이 자유로워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따른 비상탈출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의 안정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탑텐트와 어넥스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난간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3단 판넬을 1단 판넬에 연결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철거 상태를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루프 탑 텐트(130)는 통상에서와 같이 차량(100)의 루프 캐리어(100a)의 바로 위에 구비되는 1단 판넬(110)의 좌측으로 2단 판넬(120)이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1단 판넬(110) 위에 포개지된 2단 판넬(120)을 펼치는 것으로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위에 탑 텐트(130)가 설치되어 탑 텐트(130) 내부의 제1 공간(130a)을 형성하며, 2단 판넬(120)의 하부측으로 어넥스(140)를 설치하여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루프 탑 텐트(130)는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통해 설치된 사다리(6)를 이용해 탑 텐트(130) 내부의 제1 공간(130a)을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 탑 텐트(130)에 있어,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텐트(130)의 일측으로 발코니(1)를 더 형성하여 것에 특징이 있고, 탑 텐트(130)는 발코니(1) 측으로 발코니 출입구(2)가 형성되어 발코니(1) 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발코니(1)는 탑 텐트(130)를 접은 후 그 위에 함께 접어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판넬(110)의 일측에 연결된 2단 판넬(120)의 반대쪽 1단 판넬(110)의 타측에 3단 판넬(3)을 1단 판넬(110)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상에 설치된 탑 텐트(130)에 의한 제1 공간(130a) 및 2단 판넬(120)의 하부측 어넥스(140)에 의한 제2 공간(130b)과 함께 발코니(1)에 의한 제3 공간(3a)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의 사진을 참고로 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고안을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루프 캐리어(100a) 상에 펼쳐진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위에 탑 텐트(130)가 펼쳐져 설치되고, 1단 판넬(110)의 일측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된 2단 판넬(120)의 반대쪽 1단 판넬(110)의 타측 3단 판넬(3)이 역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펼친 상태의 발코니(1)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발코니(1)는 측면을 따라 좌우측에 난간(4)이 구비되고, 지지대(5)에 의해 3단 판넬(3)의 하부가 지지되며, 난간(4)의 사이로 사다리(6)가 설치되어 사다리(6)를 통해 발코니(1)로 올라가거나 내려 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발코니(1)에 대향되는 탑 텐트(130)의 측면에 발코니 출입구(2)가 형성되어 발코니 출입구(2)를 통해 탑 텐트(130)와 발코니(1)의 사이를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난간(4)은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및 중간 수직대(43)의 사이를 횡봉(44)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횡봉(44)의 양단은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각각의 상단부, 및 외측 수직대(42)와 중간 수직대(43)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횡봉(44)이 분리된 상태에서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는 힌지(H)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대(5)는 상.하부 지지봉(5a)(5b)의 사이를 조여 고정하거나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구(5c)로 연결하고 상부 지지봉(5a)의 상단부는 힌지(H)에 의해 발코니(1)의 3단 판넬(3)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 지지봉(5b)을 상부 지지봉(5a)의 외측으로 밀어 지지대(5)의 전체를 길이를 줄인 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다리(6) 역시 상단부는 3단 판넬(3)의 하부에 힌지(H)로 결합되고 안테나 식으로 각 단을 포개어 길이를 줄이거나 다시 펼쳐 늘릴 수 있는 통상의 사다리를 적용한 것이다.
상기 외측 수직대(4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결합되고, 펼쳤을 때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횡봉(44)을 분리한 상태에서 접힐 수 있도록 제1 링크부재(7) 및 제2 링크부재(8)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링크부재(7)는 지지편A(71) 및 지지편B(72)의 사이를 중심핀(73)으로 서로 연결하고, 중심핀(73)의 반대쪽 지지편A(71)은 외측 수직대(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중심핀(73)의 반대쪽 지지편B(72)는 3단 판넬(3)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또한 제2 링크부재(8)는 하나의 링크편(8a)으로 형성되어 링크편(8a)의 상단부는 외측 수직대(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3단 판넬(3)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횡봉(44)의 양단부는 링결합구(44a)로 되어 볼트(44b)의 체결에 의해서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및 중간 수직대(43)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되나, 이에 국한됨이 없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중간 수직대(43)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고정편(91)은 3단 판넬(3) 상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편(92)은 중간 수직대(43)에 고정되며 힌지핀(93)에 의해 서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절첩부재(9)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1단 판넬(110)과 3단 판넬(3)의 사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삼각 형태를 이루어 서로 만나는 상단 꼭지점을 힌지축(11)으로 연결한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10a)에 의해 서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 수직대(4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10a) 사이의 힌지축(11) 상에 함께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판넬(110) 위에 2단 판넬(120)을 접고 포갠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2단 판넬(120) 위에 3단 판넬(3)을 접고 포개어 루프 탑 텐트(130) 전체를 접어 철수 및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도 4a는 횡봉(44)을 먼저 분리한 후 각각의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및 중간 수직대(43), 그리고 사다리(6)도 접어 3단 판넬(3)과 함께 접혀진 2단 판넬(120) 위에 얹혀지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지지대(5)는 분리되었으나, 실제 지지대(5) 역시 고정구(5c)를 풀어 길이를 줄인 후 접어 3단 판넬(3)과 함께 2단 판넬(120) 위에 얹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위에 구비된 1단 판넬에 2단 판넬을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탄 텐트의 설치에 의한 제1 공간과 탑 텐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어넥스에 의한 제2 공간과 함께 어넥스의 반대쪽으로 발코니에 의한 제3 공간을 창출하고 탑 텐트와 연이어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텐트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공간은 물론 제3 공간을 통해서도 출입이 자유로워 화재나 기타 위기 상황에 따른 비상탈출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의 안정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발코니 2: 발코니 출입구
3: 3단 판넬 3a: 제3 공간
4: 난간
41: 내측 수직대 42: 외측 수직대
43: 중간 수직대 44: 횡봉
44a: 링결합구 44b: 볼트
H: 힌지
5: 지지대 5a,5b: 상.하부 지지봉
5c: 고정구 6: 사다리
7: 제1 링크부재
71: 지지편A 72: 지지편B
73: 중심핀 74: 수직절곡편
8: 제2 링크부재 8a: 링크편
9: 절첩부재
91: 일측 고정편 92: 타측 고정편
93: 힌지핀
10,10a: 고정브라켓트 11: 힌지축

Claims (5)

  1. 차량(100)의 루프 캐리어(100a) 위에 구비되는 1단 판넬(110)의 일측에 2단 판넬(120)이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1단 판넬(110) 위에 포개진 2단 판넬(120)을 펼치는 것으로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위에 탑 텐트(130)가 설치되어 탑 텐트(130) 내부의 제1 공간(130a)을 형성하며, 2단 판넬(120)의 하부측으로 어넥스(140)를 설치하여 어넥스(140) 내부의 제2 공간(130b)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탑 텐트(130)의 일측으로 발코니(1)를 더 형성하고, 탑 텐트(130)에 발코니 출입구(2)를 형성하며, 발코니(1)는 상기 1단 판넬(110)의 일측에 연결된 2단 판넬(120)의 반대쪽 1단 판넬(110)의 타측에 3단 판넬(3)을 1단 판넬(110)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1단 판넬(110) 및 2단 판넬(120) 상에 설치된 탑 텐트(130)에 의한 제1 공간(130a) 및 2단 판넬(120)의 하부측 어넥스(140)에 의한 제2 공간(130b)과 함께 발코니(1)에 의한 제3 공간(3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1)는,
    상기 3단 판넬(3)의 측면을 따라 좌우측에 난간(4)이 구비되고, 지지대(5)에 의해 3단 판넬(3)의 하부가 지지되며, 난간(4)의 사이로 사다리(6)가 설치되며, 상기 난간(4)은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및 중간 수직대(43)의 사이를 횡봉(44)으로 연결하고, 상기 횡봉(44)의 양단은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 각각의 상단부, 및 외측 수직대(42)와 중간 수직대(43)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횡봉(44)이 분리된 상태에서 내측 수직대(41)와 외측 수직대(42)는 힌지(H)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는,
    상.하부 지지봉(5a)(5b)의 사이를 조여 고정하거나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구(5c)로 연결하고, 상부 지지봉(5a)의 상단부는 힌지(H)에 의해 발코니(1)의 3단 판넬(3)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 지지봉(5b)을 상부 지지봉(5a)의 외측으로 밀어 지지대(5)의 전체를 길이를 줄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다리(6)는 상단부가 3단 판넬(3)의 하부에 힌지(H)로 결합되고 안테나 식으로 각 단을 포개어 길이를 줄이거나 다시 펼쳐 늘릴 수 있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직대(41)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삼각 형태를 이루어 서로 만나는 상단 꼭지점을 힌지축(11)으로 결합되어 1단 판넬(110)과 3단 판넬(3)의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10)(10a)의 상기 힌지축(11)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외측 수직대(42)는, 상기 힌지(H)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결합되고, 펼쳤을 때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횡봉(44)을 분리한 상태에서 접힐 수 있도록 제1 링크부재(7) 및 제2 링크부재(8)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지지되며;
    상기 중간 수직대(43)는 일측 고정편(91)은 3단 판넬(3) 상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편(92)은 중간 수직대(43)에 고정되며 힌지핀(93)에 의해 서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절첩부재(9)에 의해 3단 판넬(3) 상에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7)는, 지지편A(71) 및 지지편B(72)의 사이를 중심핀(73)으로 서로 연결하고, 중심핀(73)의 반대쪽 지지편A(71)은 외측 수직대(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중심핀(73)의 반대쪽 지지편B(72)는 3단 판넬(3)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8)는, 하나의 링크편(8a)으로 형성되어 링크편(8a)의 상단부는 외측 수직대(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3단 판넬(3) 상에 구비된 수직절곡편(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KR2020140004087U 2014-05-29 2014-05-29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KR200478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87U KR200478367Y1 (ko) 2014-05-29 2014-05-29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87U KR200478367Y1 (ko) 2014-05-29 2014-05-29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67Y1 true KR200478367Y1 (ko) 2015-09-24

Family

ID=5434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87U KR200478367Y1 (ko) 2014-05-29 2014-05-29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22U (ko) * 2017-10-20 2019-04-30 문병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KR102375421B1 (ko) 2020-11-25 2022-03-16 박수정 차량용 루프랙 데크
CN114475449A (zh) * 2021-12-31 2022-05-13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在可折叠行李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99B1 (ko) 2009-03-04 2009-10-06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99B1 (ko) 2009-03-04 2009-10-06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22U (ko) * 2017-10-20 2019-04-30 문병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KR200490955Y1 (ko) * 2017-10-20 2020-03-02 문병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KR102375421B1 (ko) 2020-11-25 2022-03-16 박수정 차량용 루프랙 데크
CN114475449A (zh) * 2021-12-31 2022-05-13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在可折叠行李架
CN114475449B (zh) * 2021-12-31 2024-01-09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载可折叠行李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367Y1 (ko)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WO2002068779A1 (fr) Tente pliable pourvue d'avancees
US10378201B2 (en) Collapsible modular building
US20110114417A1 (en) Lattice support structure with evacuation means
KR101403306B1 (ko) 코너 브레이스
JP4996916B2 (ja) 金網パネルおよび手摺の取付け方法
CN106437483A (zh) 一种可折叠收藏的登顶挂梯及包含该登顶挂梯的车辆
KR101495568B1 (ko)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JP4170940B2 (ja) 可搬式作業台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JPS585801Y2 (ja) 仮設用通路または階段の手摺
KR20100128206A (ko) 자동 절첩식 대형 텐트
JP4522491B1 (ja) 折畳式簡易建物
KR200417517Y1 (ko) 공간절약형 접철식 고정 사다리
JP2003247338A (ja) 作業台
US20150184349A1 (en) Mobile bridge and method for erecting a bridge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CN213898820U (zh) 一种移动破碎站折叠楼梯结构
JP3064328U (ja) 工事用簡易組立足場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JP6276073B2 (ja)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JP5182014B2 (ja) 手摺付き足場
CN218581120U (zh) 一种可收缩建筑脚手架
KR102294749B1 (ko)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적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