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699B1 -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 Google Patents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699B1
KR100919699B1 KR1020090018550A KR20090018550A KR100919699B1 KR 100919699 B1 KR100919699 B1 KR 100919699B1 KR 1020090018550 A KR1020090018550 A KR 1020090018550A KR 20090018550 A KR20090018550 A KR 20090018550A KR 100919699 B1 KR100919699 B1 KR 10091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main body
terrace
plate
container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filed Critical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Priority to KR102009001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컨테이너 하우스 중 접철이 가능한 테라스가 구비되어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목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컨테이너 하우스에 있어서, 바닥판, 측면판 및 상면판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하단 양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의 양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동판의 내측면에 접철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뒤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가동판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가동판이 힌지결합된 양측의 측면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측면난간; 및 양측으로 분할되고 접철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확장된 뒤 양측의 측면난간이 본체의 양측 측면판에 체결된 후 상기 측면난간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는 정면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테라스가 컨테이너 하우스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 인해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 테라스, 가동판, 난간, 체결나사, 경사부재, 지지바, 랙

Description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CONTAINER HOUSE INCLUDED TERRACE}
본원 발명은 주거공간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하우스 중 접철이 가능한 테라스가 구비되어 테라스를 신속하게 설치 및 철거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 및 운반이 가능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는 기성품화 된 일종의 가건물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종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해 제작하던 가건물과는 다른 것으로 종래 건축물에 비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곳에서 다른 사용처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뒤 화물차를 통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즉, 통상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폭은 3~4미터 정도로 제한되고 길이는 10~12미터 정도까지만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만들어지고 화물차로 설치지점까지 운반되는 특징 때문에 일정한 모델을 미리 만들어 놓고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소규모의 건축물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나 한시적으로 사용할 목적의 건축물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미리 만들어진 컨테이너 하우스를 구매 또는 임대하여 희망하는 곳에 설치한 후 사용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컨테이너 하우스는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를 주로 사용하는 건축현장에서는 사무실과 숙소를 신속하게 설치해야 함은 물론, 공사가 완료된 뒤 다른 현장으로 이동해서 동일한 규모의 사무실과 숙소를 다시 건축해 사용해야만 하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 컨테이너 하우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운반 시 도로를 사용함으로 인해 도로의 폭과 화물차의 길이에 따른 크기의 제약이 있는 컨테이너 하우스는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층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한편, 계단과 같은 주변 시설물을 분리시켜 제작하고 설치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사용예로는 관광지에서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임시 숙박시설 및 공사로 인해 공사 완료시까지 임시로 거주해야 하는 입주민의 숙소 및 학교의 기숙사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외관과 내부 인테리어를 일반 주거용 건물과 유사한 정도로 고급스럽게 만든 컨테이너 하우스가 제작되고 있고,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종래 획일적인 컨테이너 하우스와는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일반적인 숙박시설로 손색이 없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 제작되는 컨테이너 하우스는 일반 건축물과도 조화를 잘 이루므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테라스가 추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컨테이너 하우스에 테라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테라스를 별도로 제작하여 운반한 뒤 설치현장에서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결합해야만 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물차를 이용해 도로로 운반해야만 하는 컨테이너 하우스는 폭이 3~4미터로 제한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하우스에 테라스를 설치하는 것은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러나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분리시켜 제작하는 경우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치시킬 때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연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과 설치되어 사용되던 컨테이너 하우스를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도 설치 시와 동일하게 컨테이너 하우스로부터 테라스를 분리시킨 뒤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각각 운반해야만 하므로 운반비가 증가되는 것은 물론, 다시금 설치하고자 할 때에도 처음 설치 시와 동일하게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연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하우스의 본체로부터 일측의 측벽을 회동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측벽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본체와 수평방향으로 회동된 측벽은 처짐을 방지하는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측벽이 처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측벽의 끝단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와 본체에 비해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측벽의 양측을 연결선만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펼쳐진 측벽에 일정 규 모 이상의 사람이 올라가는 경우 연결선이 끊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측벽의 끝단에 지면과 연결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지지부재를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와, 테라스로부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난간도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테이너 하우스에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는 테라스를 구비시킴으로 테라스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를 제공하되, 상기 테라스가 컨테이너 하우스의 본체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여 사용 중 진동이 발생되거나 끝단에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상기 테라스가 컨테이너 하우스의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 시에 테라스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원 발명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컨테이너 하우스에 있어서, 바닥판, 측면판 및 상면판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하단 양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의 양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동판의 내측면에 접철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뒤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가동판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가동판이 힌지결합된 양측의 측면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측면난간; 및 양측으로 분할되고 접철 가능하게 힌 지결합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확장된 뒤 양측의 측면난간이 본체의 양측 측면판에 체결된 후 상기 측면난간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는 정면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판은 양측의 측면판과 힌지결합된 부분의 내측 모서리가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으로부터 본체의 바닥판과 접하는 거리와 동일한 반지름의 호로 구성되고, 외측 모서리는 상기 바닥판의 단부와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판의 양측에 힌지결합된 측면난간은 격자모양의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의 내부를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외부틀과 수직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판의 양측에 힌지결합된 측면난간은 상기 가동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뒤 상기 본체의 측면판과 체결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판에는 상기 바닥판과 접하는 수직면의 양측에 절개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형상의 지지부재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판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지지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측면에 랙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바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테라스가 컨테이너 하우스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 인해 컨테이너 하우스와 테라스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가 용이함으로 신속하게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철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라스가 컨테이너 하우스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인해 테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이 발생될 확률이 높은 테라스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이동되기 위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단면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본체로부터 가동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가동판으로부터 측면난간이 직립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정면난간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정면난간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지지바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바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복층으로 적층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1: 이하, 컨테이너 하우스라 함)는 기존의 컨테이너 하우스와 같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본체(100)와 본체(100)로부터 회동되어 접철되거나 확장되는 테라스(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판(110), 측면판(120) 및 상면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는 거주 또는 업무를 볼 수 있는 각종 시설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정면과 배면에는 선택적으로 테라스(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테라스(10)는 정면과 배면 중 일측에만 설치되거나 정면과 배면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라스(10)는 정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본체(100)는 상기 테라스(10)가 구비된 정면에는 별도의 전면판(150)이 구비되고 전면판(150)의 측면에는 테라스(10)로 통하는 도어(151)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150)과 도어(151)는 이동시에는 테라스(10)의 내부에서 보호 되므로 유리와 같은 재료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테라스(10)는 가동판(200), 측면난간(300) 및 정면난간(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가동판(200)은 일측 단부 즉, 본체(100)에 접철되었을 때의 하단부의 양측이 상기 본체(100)의 양측 측면판(120)의 정면 하단의 양측에 회전축(2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횐전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거나 반대로 회전되어 본체(100)에 접철된다.
상기 측면난간(300)은 일측 단부 즉, 직립되었을 경우의 하측 단부가 상기 가동판(200)의 양측 단부에 힌지(301)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301)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동판(200)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가동판(200)의 표면에 접철된다. 이러한 측면난간(300)은 테라스(10)의 측면으로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판(200)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뒤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고 본체(100)의 양측 측면판(120)에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정면난간(400)은 양측으로 분할되는 것으로서, 양측의 정면난간(400)은 힌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40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철되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정면난간(400)이 접철되게 구비되는 것은 이동 시 상기 힌지(401)를 중심으로 접철되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즉, 정면난간(400)은 이동 시에는 접철되어 보관 및 운반성을 높이고, 설치 시에는 힌지(401)를 중심으로 곧게 펼친 다음 양측 단부를 이미 설치된 양측의 측면난간(300)에 체결시킴으로 그 설치를 완료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의 각 구성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한편,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는 운반 중에는 화물차의 짐칸에 실려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측면에 가동판(200)이 접철되며, 상기 본체(100)에 가동판(200)이 접철되면 종래 사용되던 일반적인 컨테이너와 동일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일반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화물차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차에 실려 이동된 컨테이너 하우스(1)는 지면(2)에 설치될 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2)을 평탄하게 한 후 설치하거나 바닥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수평 고임재(3)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 유지되게 본체(100)가 지면에 설치되면 본체(100)로부터 가동판(200)을 회동시켜 확장시킨다. 가동판(200)의 하단부는 본체(100)의 양측 측면판(120)에 회전축(201)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을 이룰 때까지 상기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에서 가동판(200)은 원활히 회동되는 한편 수평 이하로는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의 내측 모서리(210)는 상기 회전축(201)과 동일한 중심이며 상기 회전축(201)과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접하는 거리(D)와 동일한 반지름(r)의 호로 구성된다. 또한, 외측 모서리(220)는 상기 바닥판(110)의 단부와 접하는 면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가동판(200)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된 뒤에는 바닥 판(110)의 전면과 외측 모서리(220)에 접하는 수직면(221)이 서로 대면되게 되므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된 가동판(200)은 외측 모서리(220)의 수직면(221)과 본체(100)의 바닥판(110)이 대면되는 것만으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가동판(200)의 단부에 사람이 위치하게 되면 처짐이 발생하는 한편, 탄성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하우스(1)를 복층으로 적층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추락사고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동판(200)에 처짐 및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난간(300)과 정면난간(400)을 설치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난간(300)은 가동판(200)의 양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301)로 결합된 것으로서, 가동판(20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설치되면 가동판(200)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회동되어 설치된다.
상기 측면난간(30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측면난간(300)은 외부틀(310)과 상기 외부틀(310)의 내부를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수직부재(320)로 구성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상기 외부틀(310)과 수직부재(320)에 의해 생성된 내부 공간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재(330)가 구비되며, 외부틀(310)과 수직부재(320) 및 경사부재(33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트러스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가동판(200)으로부터 회동되어 본체(100)의 측면판(120)과 접하게 되는 외부틀(310)의 표면에는 나사공(31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판(120)에도 상기 외부틀(310)의 나사공(311)과 접하는 곳에 나사공(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난간(300)이 수직으로 세워진 뒤에는 상기 외부틀(310)과 측면판(120)에 형성된 나사공(311,121)에 체결나사(340)를 삽입시켜 고정시킴으로 측면난간(300)이 본체(100)의 측면판(120)에 견고하게 체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측면판(120)은 외부틀(310)과 수직부재(320)에 의해 테라스(10)에서 외부로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틀(310)과 수직부재(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부재(330)는 상기 외부틀(310)과 수직부재(3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측면난간(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동판(200)에 처짐 및 진동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가동판(200)이 수평으로 회동된 뒤 가동판(200)으로부터 측면난간(300)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측면난간(300)과 본체(100)의 측면판(120)이 체결나사(34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된 뒤에는 양측 측면난간(300)의 사이에는 정면난간(400)이 설치된다.
상기 정면난간(400)은 상기 측면난간(300)과 같이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양측의 측면난간(300)과 결합됨으로 인해 가동판(200)이 정면의 좌우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면난간(400)은 사각형 형상의 외부틀(410)과 상기 외부틀(410)을 분할하는 수직부재(420) 및 상기 외부틀(410)과 수직부재(4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재(4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면난간(400)은 상기 외부틀(410)과 수직부재(420) 및 경사부재(430)가 트러스 구조를 형성함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이 일부분에 집중되어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아 가동판(200)이 정면의 좌우로 비틀리면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정면난간(400)의 외부틀(410)에는 관통되게 나사공(412)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난간(400)의 외부틀(410)과 접하는 측면난간(300)의 외부틀(310)에는 상기 정면난간(400)의 외부틀(410)에 형성된 나사공(412)과 대면되는 나사공(312)이 형성되고, 정면난간(400)과 측면난간(300)의 결합은 상기 정면난간(400)의 외부틀(410)과 측면난간(300)의 외부틀(310)에 형성된 나사공(412,312)에 체결나사(44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가동판(200)이 확장되고 가동판(200)으로부터 측면난간(300)이 수직으로 직립되어 본체(100)의 측면판(120)에 체결된 뒤 측면난간(300)의 사이에 정면난간(400)이 설치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는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컨테이너 하우스(1)는 가동판(200)의 형상의 특성상 자체적으로 가동판(200)이 수평 이하로 회동되는 것이 불가능하여 쉽게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 또한, 측면난간(300)과 정면난간(400)이 가동판(20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과 처짐과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러나 외부에서 예상하지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져 본체(100)와 가동판(200)을 연결하는 회전축(201)과 측면난간(300)과 본체(100)를 연결하는 체결나사(340)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가동판(200)이 추락하거나 일부분이 본체(100)로부터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처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에는 본체(100)와 가동판(200)을 연결하는 지지바(500)가 양측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바(500)는 본체(100)의 바닥판(110)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서, 바닥판(110)에서 돌출되어 가동판(20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30)에 삽입된다. 이러한 지지바(500)는 가동판(200)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되어 가동판(200)의 일측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가동판(2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지지바(500)는 중량물이므로 유압실린더와 같은 장비를 사용해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유압실린더와 그 외의 구성품을 구비시키는 경우 컨테이너 하우스(1)를 제작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저렴하면서도 지지바(500)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바닥판(110)에는 핸들(530)을 사용해 회전시킬 수 있는 피니언(520)이 구비되고, 지지바(500)의 측면에는 상기 피니언(520)과 치합되는 랙(51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520)에 의해 작동되는 지지바(500)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것보다는 다소 느리게 구동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저렴한 비용으로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소하여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적으며, 고장 시에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핸들(530)은 지지바(500)의 이동이 끝난 뒤에는 피니언(520)으로부터 분리되어 따로 보관된다.
상기에서 가동판(200)의 삽입홈(230) 내부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삽입홈(230)과 동일한 홈이 형성된 지지부재(2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1)는 지지바(500)가 가동판(200)의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지지바(500)를 지지해 준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는 단층 및 복층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의 컨테이너 하우스(1)를 확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층으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지면에서 완성 가동판(200) 및 측면난간(300)과 정면난간(400)을 모두 설치한 뒤 적층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장의 환경에 맞게 인부들의 작업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1)는 숲과 강변에 위치한 관광지에 자연 친화적으로 단층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학교나 도시에서는 임시로 설치되는 기숙사 및 임시 주거시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이동되기 위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단면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본체로부터 가동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가동판으로부터 측면난간이 직립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정면난간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정면난간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지지바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바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가 복층으로 적층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10: 테라스
100: 본체 110: 바닥판
120: 측면판 130: 상면판
200: 가동판 210: 내측 모서리
220: 수직 모서리 221: 수직면
230: 삽입홈 231: 지지부재
300: 측면난간 310: 외부틀
320: 수직부재 330: 경사부재
400: 정면난간 410: 외부틀
420: 수직부재 430: 경사부재
500: 지지바 510: 랙
520: 피니언 530: 핸들

Claims (6)

  1. 바닥판, 측면판 및 상면판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하단 양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의 양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동판의 내측면에 접철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뒤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가동판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가동판이 힌지결합된 양측의 측면판의 단부에 고정되는 측면난간 및 양측으로 분할되고 접철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동판이 본체로부터 확장된 뒤 양측의 측면난간이 본체의 양측 측면판에 체결된 후 상기 측면난간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는 정면난간으로 구성된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에 있어서.
    양측의 측면판과 힌지결합된 부분의 내측 모서리가 상기 힌지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으로부터 본체의 바닥판과 접하는 거리와 동일한 반지름의 호로 구성되고, 외측 모서리는 상기 바닥판의 단부와 접하는 수직면이 구비된 가동판;
    격자모양의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의 내부를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외부틀과 수직부재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대각선으로 연결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뒤 상기 본체의 측면판에 체결나사로 결합되는 측면난간;
    상기 가동판의 상기 바닥판과 접하는 수직면의 양측에 절개되게 구성되면 내부에는 상기 절개된 부위와 동일한 형상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삽입홈; 및
    본체의 바닥판에 구비된 피니언에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바닥판의 내부에서 상기 가동판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18550A 2009-03-04 2009-03-04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KR10091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50A KR100919699B1 (ko) 2009-03-04 2009-03-04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50A KR100919699B1 (ko) 2009-03-04 2009-03-04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699B1 true KR100919699B1 (ko) 2009-10-06

Family

ID=4157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550A KR100919699B1 (ko) 2009-03-04 2009-03-04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6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3279A (zh) * 2015-01-07 2015-04-29 樊航 一种伸缩露台
KR200478367Y1 (ko) 2014-05-29 2015-09-24 이미정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KR101775418B1 (ko) * 2016-07-15 2017-09-06 이호준 방범창이 구비되는 이동식 건축물
CN108661181A (zh) * 2017-12-07 2018-10-16 扬州通利冷藏集装箱有限公司 一种集装箱
CN109281496A (zh) * 2018-10-16 2019-01-29 齐齐哈尔箱聚活动房屋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框架式结构a字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74Y1 (ko) * 1982-01-23 1983-12-08 김준철 베란다 난간의 절첩장치
US5984396A (en) * 1997-04-11 1999-11-16 Applied Power, Inc. Drop room flat floor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expandable room section
JP2007154644A (ja) * 2005-11-11 2007-06-21 Kaneko Unyu Kk 建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674Y1 (ko) * 1982-01-23 1983-12-08 김준철 베란다 난간의 절첩장치
US5984396A (en) * 1997-04-11 1999-11-16 Applied Power, Inc. Drop room flat floor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expandable room section
JP2007154644A (ja) * 2005-11-11 2007-06-21 Kaneko Unyu Kk 建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67Y1 (ko) 2014-05-29 2015-09-24 이미정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CN104563279A (zh) * 2015-01-07 2015-04-29 樊航 一种伸缩露台
KR101775418B1 (ko) * 2016-07-15 2017-09-06 이호준 방범창이 구비되는 이동식 건축물
CN108661181A (zh) * 2017-12-07 2018-10-16 扬州通利冷藏集装箱有限公司 一种集装箱
CN109281496A (zh) * 2018-10-16 2019-01-29 齐齐哈尔箱聚活动房屋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户外框架式结构a字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699B1 (ko)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US8997406B2 (en) Modular living unit
US7707780B2 (en) System for assembling a load-bearing support structure, and structure assembled with such a system
CN1690323B (zh) 一种建筑物构造
US20130305628A1 (en) Dual-side unfoldable building modules
JP2019097622A (ja) ユニット家具
MX2023002154A (es) Sistema y método de inmueble modular plegable.
Bruneau et al. Preliminary report on steel building damage from the Darfield earthquake of September 4, 2010
KR102488092B1 (ko) 수평 및 수직 동시 확장형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7009668B1 (ja) ユニット家具
KR100723342B1 (ko) 공동주택용 확장용 창문틀 구조
JP6936410B1 (ja) ユニット家具
JP2021166816A (ja) ユニット家具
GB2290567A (en) Rapid on-site assembly portable building
CN213477195U (zh) 一种双层折叠箱式房
KR200187693Y1 (ko) 조립식 가설대
US20110185645A1 (en) Mobile building
WO2014037691A1 (en) Expandable building assembly
GB2427880A (en) Telescopic conservatory
JP5552556B1 (ja) 支柱の立設装置及びフレーム構造体
JP6916354B2 (ja) ユニット家具
JP3794398B2 (ja) 建築物用パネル収納体、建築物の壁面構造およびその壁面工法
JP7101154B2 (ja) スキップ床の支持構造及び施工方法
US20220274519A1 (en) Foldable roof for movable habitation
US20240141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deploying modular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