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55Y1 -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55Y1
KR200490955Y1 KR2020180001431U KR20180001431U KR200490955Y1 KR 200490955 Y1 KR200490955 Y1 KR 200490955Y1 KR 2020180001431 U KR2020180001431 U KR 2020180001431U KR 20180001431 U KR20180001431 U KR 20180001431U KR 200490955 Y1 KR200490955 Y1 KR 20049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upport
cover
vehicle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22U (ko
Inventor
문병인
Original Assignee
문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인 filed Critical 문병인
Publication of KR20190001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지붕에 구비된 브라켓에 설치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리어; 캐리어의 모서리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주 지지부; 지주 지지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 및 지주에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지주 및 커버부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 시에는 손쉽게 텐트를 형성하여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 비사용 시에는 캐리어로부터 지주 및 커버부를 분리하여 차량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PREFABRICATED ROOF TEN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캠핑 용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가족 단위의 캠핑 인구가 증가하면서 텐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사용자가 수면과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서, 봉제 형성된 천막과, 지면에 설치되어 천막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프레임에 지지된 천막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텐트는 다양한 부속이 사용됨에 따라, 대체로 부피가 크고, 설치 및 철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텐트는 지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평평하고 마른 장소를 찾아야 하는 등 설치 장소에 제약이 많고, 설치 후에도 배수로를 확보해야 하는 등 후속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루프탑 텐트(roof top tent)가 개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루프탑 텐트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로 구성된 루프박스 및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연결하는 천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루프탑 텐트는 평상시에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가 닫힌 루프박스 형태로 보관되고, 사용 시에는 상부 덮개가 승강하여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연결하는 천막이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루프탑 텐트는 상부 덮개, 하부 덮개 및 천막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각 부품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부피의 축소가 불가능하고, 아울러 텐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중량의 텐트 부속을 차량의 지붕에 적재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2023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사용 시에는 손쉽게 텐트를 형성하여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 비사용 시에는 분해를 통하여 차량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캐리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지붕에 구비된 브라켓에 설치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주 지지부; 상기 지주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절곡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고,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소재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차량의 선루프와 연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 지지부는, 힌지를 통해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에는 커튼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주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망사커버; 및 상기 망사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커버의 외피는 폴리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의 내피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 지지부 사이에는, 메시 형태의 안전망이 설치되거나 끈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는 차량의 지붕에 구비된 브라켓에 설치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주 지지부; 상기 지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메시 형태의 안전망; 및 상기 안전망 내측의 캐리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자동텐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지주 및 커버부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 시에는 손쉽게 텐트를 형성하여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 비사용 시에는 캐리어로부터 지주 및 커버부를 분리하여 차량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캐리어의 부피를 최소화 하고, 나아가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 및 지주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가 평행 또는 절곡된 상태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 및 지주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가 평행 또는 절곡된 상태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캐리어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이하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라 함)는 차량(200)의 지붕에 설치되고,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 시에는 손쉽게 텐트를 형성하여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 비사용 시에는 분해를 통하여 차량(200)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는 캐리어(10)를 포함한다.
캐리어(10)는 차량(200)의 지붕에 구비된 브라켓(200a)에 설치되고, 텐트의 바닥면(10a)을 형성한다. 더 자세하게는, 캐리어(10)는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텐트의 바닥면(10a)을 형성하고, 캐리어(10)의 저면에는 차량(200)의 브라켓(200a)에 결합되는 결합수단(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0)는 외측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캐리어(10)는 가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바닥면(10a)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어(10)는 지지부(11)와, 확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는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결합수단(13)을 구비하여 차량(200)의 브라켓(200a)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11)는 외형을 형성하는 골조 형태의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바닥면(10a)을 형성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부, 그리고 플레이트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차량(200)의 브라켓(200a)에 결합되는 결합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1)는 정사각 혹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는 후술할 커버부(40)에 구비된 자성체(43)가 부착될 수 있도록 스틸 혹은 스틸소재가 부분 적용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고, 바닥면(10a)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5)는 지지부(11)의 단부에 힌지(5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도 3의 (a))되거나, 지지부(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절곡된 상태로 배치(도 3의 (b))될 수 있다. 즉, 확장부(15)는 캐리어(10)를 텐트의 역할로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펼쳐짐에 따라 바닥면(10a)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반대로 캐리어(10)를 텐트의 역할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을 통하여 내측으로 절첩됨에 따라 바닥면(10a)에 대하여 수직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15)는 서로 대향되는 지지부(11)의 단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1)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확장부(15)는 지지부(11)의 각 변에 2개 혹은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0)는 확장부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 고정수단은 지지부(11)에 설치되어 회전을 통하여 지지부(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거나, 지지부(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배치된 확장부(1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확장부 고정수단은 지지부(11)와 확장부(15)를 연결하는 링크 구조로 형성되고, 지지부(11)와 확장부(15)의 각 측면에는 확장부 고정수단이 단계별로 결합 가능한 고정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부(15)가 안정적으로 지지부(11)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캐리어(10)를 텐트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확장부(15)를 절곡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물품의 적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10)는 박스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리어(10)는 프레임부와,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스틸 혹은 스틸이 부분 적용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골조형태로 형성되어 캐리어(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는 ABS소재로 이루어진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텐트의 바닥면(10a)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0)에는 출입구(1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캐리어(10)에는 차량(200)의 선루프(sun roof, 미도시)와 연통되는 출입구(1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리어(10)에 형성된 출입구(10b)를 통하여, 차량(200)의 내부에서 텐트의 내부로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구(10b)가 형성된 부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입구(10b)를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는 지주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주 지지부(20)는 캐리어(10)의 각 모서리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후술할 지주(30)를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는, 지주 지지부(20)는 캐리어(1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지그와, 고정지그에 연결되고 내측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지주(30)의 외형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주 지지부(20)에는 내측으로 삽입된 지주(30)를 고정시키는 지주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지주 고정수단은 지주 지지부(20)와 지주(30)를 관통하여 지주(30)를 지주 지지부(20)에 고정시키는 핀 혹은 나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주 고정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 지지부(20)는 캐리어(10)가 외측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경우, 캐리어(10)의 확장부(15)에 설치되어 확장부(15)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캐리어(10)가 박스 구조로 형성될 경우, 캐리어(10)의 펜스부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주 지지부(20)는 캐리어(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주 지지부(20)는 힌지(50)를 통해 캐리어(10)의 모서리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텐트의 설치가 필요할 경우, 캐리어(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 지지부(20)를 바닥면(10a)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배치시키고, 반대로 텐트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지주 지지부(20)를 바닥면(10a)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10)에는 지주 지지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주 지지부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지주 지지부 고정수단은 지주 지지부(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지주 지지부(20)의 회전을 안내하고, 지주 지지부(20)가 바닥면(10a)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배치될 경우, 캐리어(10)에 체결되어 지주 지지부(20)를 고정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주 지지부 고정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는 지주(3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주(30)는 지주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바닥면(10a)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후술할 커버부(40)를 지지한다. 예컨대, 지주(30)는 알루미늄, 두랄루민, 카본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복수개로 분할된 스틱형 구조로 형성되어 체결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주(30)는 라디오 안테나처럼 분할된 스틱형 구조로 형성되어 각 스틱을 다른 스틱에서 출몰시킬 수 있다. 또한, 지주 지지부(20)에 삽입되는 지주(30)의 일 측과, 커버부(40)와 결합되는 지주(30)의 타 측에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나무 혹은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100)는 커버부(4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40)는 지주(30)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내측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커버부(4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버부(40)의 절개된 부위를 개폐시키는 커튼레일(4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0)의 단부에는 캐리어(10)의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커버부(40)를 캐리어(10)에 고정시키는 자성체(4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0)는 복수개의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커버부(40)는 지주(30)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망사커버(40a)와, 망사커버(40a)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수커버(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커버(40b)는 외피(40b1)와 내피(40b2)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수커버(40b)의 외피(40b1)는 방수 가능한 폴리 소재로 형성되고, 방수커버(40b)의 내피(40b2)는 보온 및 단열 가능한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환경에 따라 지주(30)에 망사커버(40a)만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망사커버(40a)와 방수커버(40b)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캐리어(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주 지지부(20) 사이에 메시(mesh) 형태의 안전망(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지지부(20)에 지주(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지주(30)에 커버부(40)가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지주(3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망(60) 내측의 평판형태의 지지부(11)에 자동텐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망(60)를 통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루프탑 텐트에서 떨어질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60) 대신에 지주 지지부(20) 사이를 끈으로 연결하여 추락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차량(200)이 짐칸의 덮개가 없는 소형 트럭의 한 형식인 픽업트럭의 경우, 캐리어(10)를 더 상세하게는 확장부(15)를 짐칸이 있는 후방으로 수평 연장(확장)하여 그 바닥면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확장부(15)를 지지부(11)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짐칸으로 연장(확정)된 캐리어 부분(확장부(15))는 차체에 고정된 받침대(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그 캐리어(10)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주 지지부(20)는 캐리어(10)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테두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지주부(20) 사이에 메시 형태의 안전망(60)이나 끈이 구비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의 효과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10), 지주(30) 및 커버부(40)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 시에는 손쉽게 텐트를 형성하여 휴식 공간을 마련하고, 비사용 시에는 캐리어(10)로부터 지주(30) 및 커버부(40)를 분리하여 차량(200)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의 지붕에 설치된 캐리어(10)를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캐리어(10)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차량(200)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10. 캐리어
10a. 바닥면 10b. 출입구
11. 지지부
13. 결합수단
15. 확장부
20. 지주 지지부
30. 지주
40. 커버부
40a. 망사커버
40b. 방수커버
40b1. 방수커버의 외피 40b2. 방수커버의 내피
41. 커튼레일
43. 자성체
50. 힌지
60. 안전망
70. 사다리
80. 받침대
200. 차량
200a. 브라켓

Claims (9)

  1. 차량의 지붕에 구비된 브라켓에 설치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주 지지부;
    상기 지주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캐리어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고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소재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단부에는 캐리어의 프레임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주 지지부 사이에 추락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시 형태의 안전망이 설치되거나 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주는 각 스틱을 다른 스틱에서 출몰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할된 스틱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 지지부에 삽입되는 지주의 일측과, 커버부와 결합하는 지주의 타측에 강성 보강을 위하여 완충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차량의 선루프와 연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지지부는,
    힌지를 통해 상기 캐리어의 모서리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주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망사커버; 및
    상기 망사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수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커버의 외피는 폴리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의 내피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8. 삭제
  9. 삭제
KR2020180001431U 2017-10-20 2018-04-02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KR2004909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2 2017-10-20
KR20170005422 2017-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22U KR20190001022U (ko) 2019-04-30
KR200490955Y1 true KR200490955Y1 (ko) 2020-03-02

Family

ID=6624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31U KR200490955Y1 (ko) 2017-10-20 2018-04-02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5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156B2 (ja) * 1998-05-12 2001-07-23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過共晶アルミニウム−珪素合金からシリンダライナを製造する方法
US20020144633A1 (en) * 2001-04-06 2002-10-10 Brown Phillip Charles Table tent
JP2010248788A (ja) * 2009-04-15 2010-11-04 Shinichi Okamoto 車用の日除け装置
KR200478367Y1 (ko) * 2014-05-29 2015-09-24 이미정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576U (ko) * 2007-08-14 2009-02-18 김주동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KR20150092023A (ko) 2015-03-09 2015-08-12 박순규 차량용 루프탑 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156B2 (ja) * 1998-05-12 2001-07-23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過共晶アルミニウム−珪素合金からシリンダライナを製造する方法
US20020144633A1 (en) * 2001-04-06 2002-10-10 Brown Phillip Charles Table tent
JP2010248788A (ja) * 2009-04-15 2010-11-04 Shinichi Okamoto 車用の日除け装置
KR200478367Y1 (ko) * 2014-05-29 2015-09-24 이미정 발코니가 구비된 루프 탑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22U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6689C (en) Foldable tent
US10753120B2 (en) Quick assembly tent
US7234761B1 (en) Side mounted awning assembly for recreational vehicles
KR10143695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US20170234026A1 (en) Convertible shelter systems
US6722315B2 (en) Self-storing wall-mounted pet enclosure
US11554709B2 (en) Folding enclosure
US11505108B2 (en) Vehicle mounted enclosure
US11110846B2 (en) Camper expan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487978Y1 (ko) 실내용 난방텐트
KR20190033203A (ko) 차량 고정형 텐트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KR101949166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540013B1 (ko) 차량 적재형 캠핑하우스
KR102154295B1 (ko) 차량 트렁크와 연계된 접철식 휴대용 자동 텐트
KR200466706Y1 (ko) 픽업차량 적재함의 덮개 구조
KR200490955Y1 (ko) 차량용 캐리어 겸용 루프탑 텐트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US20040232726A1 (en) Truck bed divider apparatus
KR200352156Y1 (ko) 차량용 텐트
KR20090001576U (ko)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102395547B1 (ko)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KR102326894B1 (ko) 캠핑카의 간이 욕실
KR102305742B1 (ko) 차량 탈부착형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