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547B1 -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547B1
KR102395547B1 KR1020210134154A KR20210134154A KR102395547B1 KR 102395547 B1 KR102395547 B1 KR 102395547B1 KR 1020210134154 A KR1020210134154 A KR 1020210134154A KR 20210134154 A KR20210134154 A KR 20210134154A KR 102395547 B1 KR102395547 B1 KR 10239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vehicle
tent
pop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김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21013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팝업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차량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홀이 마련된 하부 어댑터, 일측부는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며 타측부에는 팝업 텐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홀이 마련된 상부 어댑터 및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어댑터를 보강하는 어댑터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POP UP TENTS ADAP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팝업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 설치하여 수면과 휴식을 취할 뿐만 아니라, 비·바람과 햇빛으로부터 피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텐트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텐트는 절첩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절첩 텐트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봉제 형성된 천막과 이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 프레임을 연결하여 펼친 상태에서 각 요소에 천막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하게 되고, 프레임과 천막을 분리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을 분리하여 절첩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텐트를 펼치거나 접는 작업이 간편하긴 하나, 텐트를 펼치기 위한 장소나 공간의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야외에서 텐트를 펼치기 위한 평평한 공간이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소 평평하다 하더라도 울퉁불퉁한 지면과 돌출된 자갈 등에 의해 매우 큰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텐트의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절첩 텐트가 제공되었으나, 이 경우 텐트의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사람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쉽게 처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천막의 바닥이 처지면서 양측에 펼쳐진 프레임이 들썩거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은 절첩 텐트는 바닥의 지지력이 취약하여 2인 이상이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해 양측으로 펼쳐진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요동하는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승합차나 승용차에 텐트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기존 승합차, 승용차에 팝업 텐트를 장착하는 방법에는 차량내에 기본으로 설치 되어있는 루프랙 위에 텐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텐트 탈부착이 용이하기는 하나 외부에서만 텐트에 진입할 수 있어 이용자는 기상상황에 따라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내측 높이가 높은 하이 루프 차량은 텐트를 장착하고 싶어도 장착할 수 없다. 예컨데 카니발 하이루프 차량의 경우 차실의 내측 높이는 높지만 루프랙이 없고, 임의로 루프랙을 설치한 뒤 그 위에 텐트를 장착하면 차량의 전고가 너무 높아져서 차량 안전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하 주차장의 진입이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차량에 침상을 설치하려면 차량 안쪽의 시트를 제거하여 가구를 장착하거나, 시트 평탄화 작업을 거쳐 매트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 밖에 없다.
나아가 기존 승합차나 승용차의 천정을 절개하여 팝업 텐트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차량에 직접 붙어있는 형상, 루프 랙 위에 텐트를 설치하지 않은 차량) 차체의 디자인에 따라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실제 침상에 취침할 수 있는 인원은 약 1.5명 정도로 2인 이상의 이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구조이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66162호(주식회사 유니캠프) 2021. 06. 1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팝업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차량 내부에서 텐트 진입이 가능하며, 하이루프 차량의 이점인 차실 내측 높이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는,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차량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홀이 마련된 하부 어댑터, 일측부는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며 타측부에는 팝업 텐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홀이 마련된 상부 어댑터 및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어댑터를 보강하는 어댑터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제1 홀의 주변인 상기 하부 어댑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하부 어댑터의 상면 중 상기 제1홀을 사이에 두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부 어댑터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바,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2 바 및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3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상, 하부 어댑터를 차량의 루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결합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냉난방 통로를 형성하는 원통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부 어댑터에 마련된 제1 홀과 상부 어댑터에 마련된 제2 홀을 통해 차량의 내부에서 팝업 텐트로 편리하게 진입할 수 있다. 천정을 절개한 차량은 물론 썬루프 타입의 차량에서도 차량 내부에서 팝업 텐트로 진입할 수 있고, 썬루프 타입의 차량은 어뎁터와 팝업 텐트를 취향에 맞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절개형으로 어뎁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하이루프 차량의 이점인 차실 내측 높이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실내 전고는 대폭 확장되면서도 차량 자체의 전고는 크게 높아지지 않아 지하주차장 출입은 자유롭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어댑터와 어댑터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댑터 보강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가 차량에 장착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어댑터와 어댑터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댑터 보강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가 차량에 장착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는,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는 하부 어댑터(100)와, 일측부는 하부 어댑터(100)에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팝업 텐트(10)가 결합되는 상부 어댑터(200)와, 하부 어댑터(100)에 결합되어 하부 어댑터(100)를 보강하는 어댑터 보강부(300)를 구비한다.
하부 어댑터(100)는, 하부 어댑터(100)와 상부 어댑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볼트(미도시)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차량 루프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어댑터(200)와 별개로 하부 어댑터(100) 자체만 차량 루프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하부 어댑터(100)가 전자의 방식으로 차량 루프에 결합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어댑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와, 제1 바디(110)에 마련되며 상부 어댑터(20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벽(120)과, 제1 바디(110)의 후방부에 마련되는 배수 블록(130)과, 제1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어댑터 보강부(300)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블록(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어댑터(100)의 제1 바디(110)는, 후술할 제2 바디(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210)와 제1 바디(110)의 상면에 배치된 결합블록(350)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제2 바디(210)와 함께 차량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110)의 중앙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111)은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서 팝업 텐트(1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하부 어댑터(100)의 제1 돌출벽(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 어댑터(200)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부 어댑터(200)에 마련된 제2 돌출벽(230)과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는 제1 돌출벽(120)과 제2 돌출벽(230)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하부 어댑터(100)와 상부 어댑터(20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어댑터(100)의 배수 블록(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블록(1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수홀(131)이 마련되며, 상부 어댑터(200)에도 제1 배수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배수홀(21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제1 배수홀(131)과 제2 배수홀(212)이 서로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배수홀을 형성하고 배수 블록(130)의 저면 방향으로 배수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우천시 등의 상황에서 상부 어댑터(200)의 제2 홀(211) 주변의 제2 바디(210)의 상면에 고이는 물이 배수홀 및 배수 경로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어댑터(100)의 복수의 지지 블록(140)은, 제1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어댑터 보강부(300)의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을 지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블록(140)은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 네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블록(140)은 제1 바디(110)의 성형 시 제1 바디(1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어댑터(1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어댑터(200)는 하부 어댑터(1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어댑터(200), 결합블록(130) 및 하부 어댑터(100)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하부 어댑터(100)와 함께 차량 루프에 결할될 수 있다. 또는 상부 어댑터(200)는 끼움 결합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도 하부 어댑터(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어댑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10)와, 제2 바디(210)에 마련되며 팝업 텐트(10)가 안착되는 단차홈(220)과, 제2 바디(210)에 마련되며 하부 어댑터(10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돌출벽(120)과 맞물리는 제2 돌출벽(230)을 포함한다.
상, 하부 어댑터(100,200)가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차량 루프에 결합되는 일례의 구조는, 상부 어댑터(200)의 제2 바디(210)에서 어댑터 보강부(300)의 결합블록(350)에 마련된 블록홀(35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제1 바디(100), 결합블록(350) 및 제2 바디(210) 모두를 관통하여 이들을 차량 루프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제2 바디(210) 상에 배치되는 팝업 텐트(10)를 제2 바디(210) 상에 결합시키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 하부 어댑터(100,200) 및 팝업 텐트(10) 모두의 차량에 대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고 또한 제작의 편의성도 제고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210)의 중앙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홀(211)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출입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어댑터(200)의 단차홈(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10)의 상면부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을 함몰시켜 마련될 수 있으며, 단차홈(220) 면에 팝업 텐트(10)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된다.
상부 어댑터(200)의 제2 돌출벽(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어댑터(100)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벽(120)과 맞물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부 어댑터(2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하부 어댑터(100) 또는 상, 하부 어댑터(100,200),또는 상, 하부 어댑터(100,200) 및 팝업 텐트(10) 모두를 차량 루프에 결합시키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루프랙 설치용으로 차체에 기 설치된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어댑터 보강부(300)는, 하부 어댑터(100)의 상면 중에서 제1 홀(111) 주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어댑터 보강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어댑터(100)의 내측 상면부에 결합되며, 차량 루프상에 설치된 상, 하부 어댑터(100,200) 및 팝업 텐트(10)에 대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어댑터 보강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어댑터(100)의 상면 중 제1홀(111)을 사이에 두는 가장자리에서 하부 어댑터(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과,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바(320)와, 한 쌍의 제1 바(3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2 바(330)와, 한 쌍의 제1 바(3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3 바(340)와,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고정되는 복수의 결합블록(350)을 포함한다.
어댑터 보강부(300)의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의 가장자리에서 제1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은 제1 바디(110)의 상면부에 마련된 지지 블록(14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어댑터(100)는 차량 루프 상에서 설치되는 위치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을 이룰 수도 있는데, 하부 어댑터(10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제1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 블록(140)의 돌출 높이의 설계, 그리고 여기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의해, 하부 어댑터(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어댑터(200)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받는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프레임(311)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프레임(311)에 대응되는 상, 하부 어댑터(100,200)의 위치에 원통형 프레임(311)의 내부 홀에 대응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311)이 내부 홀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 하부 어댑터(100,200)의 홀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냉, 난방 공기가 팝업 텐트(1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거나 또는 원통형 프레임(311)은 냉, 난방 공기를 팝업 텐트(10) 내부로 전달시키는 튜브 부재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어댑터 보강부(300)의 한 쌍의 제1 바(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면서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 상에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된 채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바(320)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면부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보강부(300)의 제2 바(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전방 상면부와 한 쌍의 제1 바(320)의 단부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330)는 보강 베이스프레임(310) 및 제1 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보강부(300)의 제3 바(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의 후방 상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바(340)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바(320,330,340)는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면이 대체로 동일 수평면을 이룰 수 있고, 이들의 상면에 의해 상부 어댑터(200)의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어댑터 보강부(300)의 결합블록(350)은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고정되어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관통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블록(35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홀(351)이 마련되고,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블록홀(351)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블록(350)은 예컨대 4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강 베이스프레임(31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상부 어댑터(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팝업 텐트(10)의 바닥 영역 중 일부를 제공하는 제1 보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부(400)는 팝업 텐트(10)에 한쪽으로만 무게가 가해질 경우 집중되는 부하를 견디기 위해 보강하는 것이며 팝업 텐트(10)의 내부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부(400)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상부 어댑터(200)의 상면에서 제1 보강부(4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보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보강부(500)는 목재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강부(500)는 팝업 텐트(10) 실내의 바닥이 되며, 제2 보강부(500)에 팝업 텐트(10) 실내 공간과 차량 내부 공간이 통하도록 개폐될 수 있는 미니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보강부(500)는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어 편의에 따라 제2 보강부(500) 전체가 상향 회동하면서 오픈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텐트(10)를 장착하고 나면 차량의 형상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기존의 다른 차량들과는 달리 차량의 형상이 모자를 쓴 듯한 형태(장구모양)를 띄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텐트(1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100,200) 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루프 상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텐트(10)의 상측 커버가 상향 회동되면서 텐트의 실내 공간이 확보되고, 사용자는 썬루프 구조의 차량에서는 썬루프를 통해, 또는 차량 루프를 절개하여 어댑터(100,200) 및 팝업 텐트(10)를 설치한 구조에서는 제2 보강부(500)에 형성될 수 있는 미니 도어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팝업 텐트(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부 어댑터 110 : 제1 바디
111 : 제1 홀 120 : 제1 돌출벽
130 : 배수 블록 131 : 제1 배수홀
140 : 지지 블록 200 : 상부 어댑터
210 : 제2 바디 211 : 제2 홀
212 : 제2 배수홀 220 : 단차홈
230 : 제2 돌출벽 300 : 어댑터 보강부
310 : 보강 베이스 프레임 311 : 냉난방 통로
320 : 제1 바 330 : 제2 바
340 : 제3 바 350 : 결합블록
351 : 블록홀 400 : 제1 보강부
500 : 제2 보강부 10 : 팝업 텐트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차량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홀이 마련된 하부 어댑터;
    일측부는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며 타측부에는 팝업 텐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홀이 마련된 상부 어댑터; 및
    상기 하부 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어댑터를 보강하는 어댑터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제1 홀의 주변이면서 상기 하부 어댑터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하부 어댑터의 상면 중 상기 제1 홀을 사이에 두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부 어댑터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바;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2 바; 및
    상기 한 쌍의 제1 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저면부가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의 상면부에 지지되는 제3 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상, 하부 어댑터를 차량의 루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냉난방 통로를 형성하는 원통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5. 삭제
KR1020210134154A 2021-10-08 2021-10-08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KR10239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54A KR102395547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54A KR102395547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547B1 true KR102395547B1 (ko) 2022-05-06

Family

ID=8158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54A KR102395547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0148A1 (en) * 2022-09-03 2024-03-07 Burke Richard M Vehicle rooftop tent and accessory mount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KR102108495B1 (ko) *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KR102266162B1 (ko) 2019-12-31 2021-06-17 주식회사 유니캠프 차량용 팝업루프 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KR102108495B1 (ko) * 2019-06-07 2020-05-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자동차 적재실용 하드탑
KR102266162B1 (ko) 2019-12-31 2021-06-17 주식회사 유니캠프 차량용 팝업루프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0148A1 (en) * 2022-09-03 2024-03-07 Burke Richard M Vehicle rooftop tent and accessory mou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95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US8001987B2 (en) Support system for shelters
US8522806B2 (en) Outdoor canopy
KR102172333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US5226689A (en) Collapsible portable tent apparatus for tailgate-type vehicles
US8979157B2 (en) Removable enclosure for rear of vehicle
KR102395547B1 (ko) 차량용 팝업 텐트 어댑터
US11530551B2 (en) Expandable tent with adjustable height and internal volume
US20020163221A1 (en) Shelter attachment for trucks
US4222604A (en) Caravan or campervan construction
KR102334479B1 (ko) 확장형 루프탑 텐트
KR101215137B1 (ko) 복합 지주구조를 갖춘 파라솔
KR200373213Y1 (ko) 차량용 텐트
US4471793A (en) Combination collapsible tent and foldable storage case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200352156Y1 (ko) 차량용 텐트
KR102178194B1 (ko) 다목적 모듈형 텐트
KR20220001075A (ko) 차량용 차박텐트
KR102023364B1 (ko)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20200002445U (ko) 픽업 트럭용 폴딩텐트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CN218150155U (zh) 一种自动车顶帐篷
CN215443415U (zh) 一种车载露营装置
KR200167440Y1 (ko) 에어텐트
KR200300950Y1 (ko) 절첩식 평상 마루 및 천막과 이들을 이용한 조립식 방갈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