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27Y1 - 미싱의 루퍼 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루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27Y1
KR200477227Y1 KR2020110007616U KR20110007616U KR200477227Y1 KR 200477227 Y1 KR200477227 Y1 KR 200477227Y1 KR 2020110007616 U KR2020110007616 U KR 2020110007616U KR 20110007616 U KR20110007616 U KR 20110007616U KR 200477227 Y1 KR200477227 Y1 KR 200477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chamber
thread
blad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636U (ko
Inventor
토루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120007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6Loop takers, e.g. loopers for overedge-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2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chain-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하부 루퍼 실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 및 인출 위치를 안정화하고,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한다. 파이프가 개구하고 있는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은 루퍼 실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부 루퍼(8)의 칼날(P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루퍼 실(T3)은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상부 루퍼(7)가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걸어챌 때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에서 루퍼 칼날 실출구로부터 천으로 연장하고 있고, 루퍼 칼날 실출구는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에 천공 설치된 루퍼 칼날실 부출구(103)를 병합시킨다.

Description

미싱의 루퍼 장치{LOOPER DEVICS OF SEWING MACHINES}
본 고안은 미싱의 루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어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한 미싱의 루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미싱의 루퍼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2본침 바늘의 실의 실, 상부 루퍼의 루퍼 실, 하부 루퍼의 루퍼 실을 꿰어 휘감치기 하는 2본침 4실 휘감치기 오버락 미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미싱의 루퍼 장치에 있어, 미싱 모터(M)로부터 타이밍 벨트(MB)를 통해 핸들휠(52)과 함께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53)에는,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54)이 고정되고,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54)에는 상부 루퍼 구동 포크(55)에 장착된 캠 팔로워인 롤러(56)가 결합 되어 있다. 상부 루퍼 구동 포크(55)는 상부 루퍼 구동축(57)에 핀(58)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부 루퍼 구동축(57)에는 상부 루퍼 구동암(58a)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부 루퍼 구동암(58a)의 타단에는 상부 루퍼 장착축(59)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 루퍼 장착축(59)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벗(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부 루퍼 장착축(59)의 상단에는 상부 루퍼(50)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 루퍼(50)는,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61)를 유지하고, 핀(63)이 상부 루퍼 구동부(51)의 상부 루퍼 장착축(59)에 나사(59a)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루퍼(50)는, 루퍼 실입구로부터 루퍼 칼날 실출구(65)(도 7)까지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61)가 루퍼 홈(66)에 설치되고, 파이프(61)는 상부 루퍼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정지된 실 안내(80)와, 이에 대해서 요동하는 루퍼 실채기(82)와, 요동하는 상부 루퍼(50)의 루퍼 실입구(64a)에 의해 상부 루퍼 실채기 기능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 루퍼(50)는, 구동축(53)의 회전과 더불어,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54), 롤러(56), 상부 루퍼 구동 포크(55), 상부 루퍼 구동축(57)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루퍼 구동부(51)에 의해 바늘(11a, 11b)에 대해서 타원 운동을 한다.
또, 하부 루퍼(70)를 구동하기 위한 하부 루퍼 구동부(71)의 구성에 있어서, 구동축(53)에는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72)이 고정되고,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72)에는 하부 루퍼 구동 포크(73)에 장착된 캠 팔로워인 롤러(74)가 결합 되어 있다. 하부 루퍼 구동 포크(73)는 하부 루퍼 구동축(75)에 핀(76)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하부 루퍼 구동축(75)에는 하부 루퍼(70)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루퍼(70)는, 루퍼 실입구로부터 루퍼 칼날 실출구(66a)(도 7)까지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76a)가 루퍼 홈(76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정지된 실안내(81)와, 이에 대해 요동하는 루퍼 실채기(82)와, 요동하는 하부 루퍼(70)의 루퍼 실입구(85)에 의해 하부 루퍼 실채기 기능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루퍼(70)는, 구동축(53)의 회전과 더불어,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72), 롤러(74), 하부 루퍼 구동 포크(73), 하부 루퍼 구동축(75)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루퍼 구동부(71)에 의해 구동되고, 하부 루퍼(70)는 바늘(11a, 11b)에 대해 상부 루퍼(50)에 동기하여 요동 운동을 한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53)에 설치된 바늘 구동 편심 캠(84)으로부터 바늘(11a, 11b)을 담지하는 바늘 유지부(88)의 바늘 구동기구(87)를 구동하기 위한 바늘 구동로드(8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루퍼에 관하여, 휘감치기 미싱의 루퍼 구조는 긴 역사적 경과를 거쳐 왔으며, 휘감치기 미싱을 제조하는 각 회사는 루퍼의 형상 및 그 작동 기구에 대해 각각 독자적인 형태를 예의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다.
도 7에 이러한 루퍼 중 하부 루퍼(70)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하부 루퍼(70)는 루퍼 칼날 실출구(66a)까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76a)가 루퍼 홈(76b)에 장착되어 있다(도 6).
따라서, 하부 루퍼(70)는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가 장착되지 않은 하부 루퍼와 비교하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76a)가 개구하고 있는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부 루퍼의 칼날(P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76a)의 직경을 고려하여,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가 장착되지 않은 하부 루퍼와 비하면 비교적 큰 직경으로 천공 설치되어 있다.
또,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의 출구측 루퍼 칼날부 표면(91)에는,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으로부터 봉제되고 있는 천으로 향하는 하부 루퍼 실(T3)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92)에 얕게 깎아진 가는 안내 유도통로(9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루퍼(70)에는,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으로부터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92)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상부 루퍼(50)의 칼날(P1)이 하부 루퍼(70)에 찰과(擦過)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대향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띠 모양으로 깎아진 노치통로(9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루퍼 장치에서는, 바늘(11a, 11b)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최하점에서 상승할 때 바늘의 실을 하부 루퍼(70)의 칼날(P2)에서 걸어채고, 바늘의 실은 하부 루퍼(70)에 걸린 채로 하부 루퍼(70)가 전진하면서 상부 루퍼(50)가 최하점에서 상승하여 하부 루퍼(70)의 파이프(76a)로부터 공급되는 하부 루퍼 실(T3)을 걸어채고, 하부 루퍼 실(T3)이 걸린 상부 루퍼(50)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에 후퇴 하강할 때 상사점에서 하강하는 바늘(11a, 11b)이 상부 루퍼(50)의 파이프(61)로부터 공급되는 상부 루퍼 실을 걸어채어 천을 관통하고, 하부 루퍼(70)는 후퇴하면서 걸려 있던 바늘의 실이 하부 루퍼(70)에서 빠진 후에, 상부 루퍼(50)가 하강하면서 상부 루퍼(50)에 걸린 하부 루퍼 실(T3)이 빠짐으로써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한다(특허문헌 3, 도 7).
이 경우,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76a)의 직경을 고려하여,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가 장착되지 않은 하부 루퍼와 비교하면 비교적 큰 직경으로 천공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의 출구측 루퍼 칼날부 표면(91)에는, 루퍼 칼날실출구(66a)의 구멍(90)으로부터 봉제되는 천으로 향하는 하부 루퍼 실(T3)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92)으로 얕게 깎아진 안내 유도통로(93)가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의 출구측 루퍼 칼날부 표면(91)에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부 루퍼 실(T3)은 루퍼 칼날 실출구(66a)의 구멍(90)안에서, T3으로 표시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T3', T3"로 표시되는 위치와 같은 부위까지 변동하여, 즉 실의 「스윙 현상」을 초래한다(도 7). 따라서, 상부 루퍼(50)의 칼날(P1)이 하부 루퍼 실(T3)을 걸어채는 경로는 일정하지만, 하부 루퍼 실(T3)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92)이나 인출 위치가 불안정하여,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의 칼날(P1)이 확실하게 걸어챌 수 없어 뜀땀의 발생을 초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865470호 공보(=미국 특허 532784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35521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877829호 공보
이와 같이 상술한 하부 루퍼 구조에서는, 하부 루퍼 실의 인출 방향이나 인출 위치가 불안정하여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챌 수 없어 뜀땀의 발생을 초래하므로, 이상적이고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하기에는 불완전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 루퍼 실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 및 인출 위치를 안정화하고,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한 미싱의 루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는, 바늘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최하점에서 상승할 때 바늘의 실을 하부 루퍼의 칼날에서 걸어채고, 바늘의 실은 하부 루퍼에 걸린 채로 하부 루퍼가 전진하면서 상부 루퍼가 최하점에서 상승하여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걸어채고, 하부 루퍼 실이 걸린 상부 루퍼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에 후퇴 하강할 때 상사점에서 하강하는 바늘이 상부 루퍼의 상부 루퍼 실을 걸어채어 천을 관통하고, 하부 루퍼는 후퇴하면서 걸려 있던 바늘의 실이 하부 루퍼에서 빠진 후에, 상부 루퍼가 하강하면서 상부 루퍼에 걸린 하부 루퍼 실이 빠짐으로써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미싱의 루퍼장치에 있어서,
하부 루퍼는 루퍼 칼날 실출구까지 하부 루퍼 실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가 루퍼 홈에 장착되고,
파이프가 개구하고 있는 루퍼 칼날 실출구의 구멍은 루퍼 실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부 루퍼의 칼날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 루퍼 실은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상부 루퍼가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걸어챌 때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에서 루퍼 칼날 실출구로부터 천으로 연장하고 있고,
루퍼 칼날 실출구는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에 천공 설치된 루퍼 칼날 실 부출구를 병합시키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칼날 실출구는 원형 구멍이고, 루퍼 칼날 실 부출구는 관통공 또는 홈이다.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의하면, 하부 루퍼 실의 인출 방향 및 인출 위치를 안정화하고,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루퍼 장치를 적용한 2본침 4실 휘감치기 오버 락 미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루퍼 장치를 적용한 루퍼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루퍼 장치의 하부 루퍼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미싱의 후방향에서 본 상태, (b)는 미싱의 전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루퍼 장치의 하부 루퍼의 부분 상세 사시도로서, (a), (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미싱의 후방향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c), (d)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미싱의 후방향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루퍼 장치의 구조 및 동작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루퍼 장치에 있어서의 루퍼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루퍼 장치의 동작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루퍼 장치를 2본침 4실 휘감치기 오버 락 미싱에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락 미싱(1)은, 베드와 암을 형성하는 프레임(2)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싱 모터(M)는 프레임(2)에 장착되고, 구동축(5)은 프레임(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구동축(5)은, 미싱 모터(M)에 의해 타이밍 벨트(MB)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오버락 미싱(1)은, 구동축(5)과 동기적으로 상하운동하는 바늘 유지부(11)에 고정되고, 바늘판(3)을 관통하여 상하운동하는 바늘(11a, 11b), 이들 바늘(11a, 11b)를 구동하는 바늘 구동기구(12), 바늘판(3) 위에서 천을 누르는 천 누름기구(19), 바늘판(3)의 하부에서 바늘(11a, 11b)의 궤적과 교차하도록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는 하부 루퍼(8), 바늘판(3)의 측방에서 하부 루퍼(8)의 궤적과 교차함과 동시에 바늘판(3)의 상측에서 바늘(11a, 11b)의 궤적과 교차하도록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는 상부 루퍼(7), 천을 한땀씩 보진(步進)시키는 천 이송기구(4)로 바늘땀 형성장치(20)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는 각각 루퍼 구동기구(10)에 의해 구동된다.
바늘땀 형성장치(20)의 바늘 구동기구(12), 천 이송기구(4) 및 루퍼 구동기구(10)는 구동축(5)에 의해 구동된다. 바늘 구동기구(12), 천 이송기구(4)의 구체적 구조 및 동작은 공지(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루퍼 구동기구(10)는 상부 루퍼(7)의 상부 루퍼 구동부(14) 및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구동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루퍼(7)의 상부 루퍼 구동부(14)로서는, 소위 "피벗·슬라이드"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미싱 모터(M)로부터 타이밍 벨트(MB)를 통해 핸들휠(6)과 함께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5)에는,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21)이 고정되고,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21)에는 상부 루퍼 구동 포크(22)에 장착된 캠 팔로워인 롤러(23)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 루퍼 구동 포크(22)는 상부 루퍼 구동축(24)에 핀(25)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부 루퍼 구동축(24)에는 상부 루퍼 구동암(26)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부 루퍼 구동암(26)의 타단에는 상부 루퍼 장착축(27)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 루퍼 장착축(27)은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벗(28)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축 지지 되어 있다. 상부 루퍼 장착축(27)의 상단에는 상부 루퍼(7)가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축(5)에 설치된 바늘 구동 편심 캠(41)으로부터 바늘 구동기구(12)를 구동하기 위한 바늘 구동 로드(42)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루퍼(7)의 루퍼 장착암(30)으로부터 연장하는 핀(31)으로 상부 루퍼(7)는 상부 루퍼 구동부(14)의 상부 루퍼 장착축(27) 상단의 취부공에 나사(27a)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 루퍼(7)는, 루퍼 칼날(P1)을 가지고, 루퍼 실 도입구(9b)로부터 루퍼 칼날 실출구(35)(도 5)까지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37)의 일부가 루퍼 홈(36)에 끼워져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 루퍼(7)는, 구동축(5)의 회전과 더불어, 상부 루퍼 구동 경사 캠(21), 상부 루퍼 구동 포크(22), 롤러(23), 상부 루퍼 구동축(24), 상부 루퍼 구동암(26), 상부 루퍼 장착축(27)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루퍼 구동부(14)에 의해 구동되고, 상부 루퍼 구동암(26)에 장착된 상부 루퍼 장착축(27)이 피벗(28)의 피벗이동 구멍을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피벗(28)을 운동 기점으로서 상부 루퍼(7)가 바늘(11a, 11b)에 대해서 타원 운동을 한다.
또한, 정지된 실안내(9a)와, 이것에 대해서 요동하는 루퍼 실채기(9)와, 요동하는 상부 루퍼(7)의 루퍼 실 도입구(9b)에 의해 상부 루퍼 실(T2)(도 5)의 실 당김을 포함하는 상부 루퍼 실채기 기능이 실행된다.
한편, 하부 루퍼(8)를 구동하기 위한 하부 루퍼 구동부(16)의 구성에 있어서, 구동축(5)에는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43)이 고정되고,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43)에는 하부 루퍼 구동 포크(44)에 장착된 캠 팔로워인 롤러(45)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 루퍼 구동 포크(44)는 하부 루퍼 구동축(46)에 핀(47)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하부 루퍼 구동축(46)에는 하부 루퍼(8)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루퍼(8)는 하부 루퍼 구동부(16)의 하부 루퍼 구동축(46)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루퍼(8)는, 루퍼 칼날(P2)을 가지고, 루퍼 실 도입구(13b)로부터 루퍼 칼날 실출구(50)(도 3 내지 도 5)까지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48)의 일부가 루퍼 홈(8a)에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루퍼(8)는, 구동축(5)의 회전에 수반해, 하부 루퍼 구동 경사 캠(43), 하부 루퍼 구동 포크(44), 롤러(45), 하부 루퍼 구동축(46)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루퍼 구동부(16)에 의해 구동되고, 하부 루퍼(8)는 바늘(11a, 11b)에 대해서 상부 루퍼(7)에 동기하여 요동 운동을 한다.
또한, 정지된 실안내(13a)와, 이에 대해서 요동하는 루퍼 실채기(9)와, 요동하는 하부 루퍼(8)의 루퍼 실 도입구(13b)에 의해 하부 루퍼 실(T3)(도 5)의 실 당김을 포함하는 하부 루퍼 실채기 기능이 실행된다.
상부 루퍼(7)의 파이프(37) 및 하부 루퍼(8)의 파이프(48)에 각각 루퍼 실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체적 구조 및 동작은 공지(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싱의 루퍼 장치 자체에 대해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루퍼(8)는 루퍼 칼날 실출구(100)까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48)가 루퍼 홈(8a)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루퍼(8)는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48)가 장착되지 않은 하부 루퍼와 비교하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은, 하부 루퍼 실(T3)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48)의 직경을 고려하여,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48)가 장착되지 않은 하부 루퍼와 비교하면 비교적 큰 직경으로 천공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48)가 개구하고 있는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은 루퍼 실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부 루퍼의 칼날(P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이 하부 루퍼의 칼날(P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루퍼 실을 통과할 때에, 파이프(48)안을 공기 반송되어 온 하부 루퍼 실(T3)이 루퍼 칼날 실출구(100)로부터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나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있어서, 하부 루퍼 실(T3)은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상부 루퍼(7)가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실(T3)을 걸어챌 때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에서 루퍼 칼날 실출구(100)로부터 천으로 연장하고 있다. 하부 루퍼 실(T3)은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상부 루퍼(7)가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실(T3)을 걸어챌 때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은 하부 루퍼 실(T3)이 직접 천에 소정의 텐션으로 연결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일반적으로, 하부 루퍼 실(T3)은 직접 또는 상부 루퍼(7)을 통해 연속한 바늘땀을 형성하고, 봉제하기 위해서 천에 소정의 텐션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칼날 실출구(100)는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에 천공 설치된 루퍼 칼날 실 부출구(103)를 병합시키는 것이다. 여기에, 병합이란 루퍼 칼날 실출구(100)와 루퍼 칼날 실 부출구(103)가 합쳐져 하나의 출구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칼날 실출구(100)는 원형 구멍(104)으로 형성되고, 루퍼 칼날 실 부출구(100)는 일 실시예(도 4a 및 도 4b)에서는 관통공(105)에 형성되고, 다른 실시예(도 4c 및 도 4d)에서는 홈(106)에 형성된다.
또, 하부 루퍼(8)에는,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으로부터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상부 루퍼(7)의 칼날(P1)이 하부 루퍼(8)에 찰과(擦過)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대향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띠 모양으로 깎아진 노치통로(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미싱의 루퍼 장치에 의하면, 바늘(11a, 11b)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최하점에서 상승할 때 바늘의 실을 하부 루퍼(8)의 칼날(P2)에서 걸어채고, 바늘의 실은 하부 루퍼(8)에 걸린 채로, 하부 루퍼(8)가 전진하면서 상부 루퍼(7)가 최하점에서 상승하여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실(T3)을 칼날(P1)에서 걸어채고, 하부 루퍼 실(T3)이 걸린 상부 루퍼(7)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에 후퇴 하강할 때 상사점에서 하강하는 바늘(11a, 11b)이 상부 루퍼(7)의 상부 루퍼 실(T2)을 걸어채어 천을 관통해, 하부 루퍼(8)는 후퇴하면서 걸려 있던 바늘의 실이 하부 루퍼(8)에서 빠진 후에, 상부 루퍼(7)가 하강하면서 상부 루퍼(7)에 걸린 하부 루퍼 실(T3)이 빠짐으로써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휘감치기 바늘땀 자체의 형성 방법은 공지이다(특허문헌 3, 도 19 내지 도 22).
이 경우, 상술한 상부 루퍼(7)가 그 칼날(P1)에서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실(T3)을 걸어채는 단계에 있어서, 하부 루퍼 실(T3)은, 하부 루퍼(8)가 전진 이동하고, 하부 루퍼 실(T3)이 직접 천에 소정의 텐션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루퍼 칼날 실출구(100)의 구멍(101)으로부터 루퍼 칼날 실 부출구(103)에 강제로 유도되어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으로 연장하여 천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루퍼 실(T3)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102)이나 인출 위치가 안정화되어, 하부 루퍼(8)의 하부 루퍼 실(T3)을 상부 루퍼(7)의 칼날(P1)이 확실하게 걸어챌 수 있어 뜀땀의 발생은 완전히 회피된다.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하부 루퍼 실이 루퍼 칼날 실출구의 구멍 내에서, 실의 스윙 현상을 일으키고, 하부 루퍼 실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이나 인출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어,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의 칼날이 확실하게 걸어챌 수 없어 뜀땀의 발생을 초래한다고 하는 결점이 해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루퍼 장치에 의하면, 하부 루퍼 실의 인출 방향 및 인출 위치를 안정화하고,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루퍼 장치는 2본침 4실 휘감치기 오버 락 미싱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이 루퍼 장치는 1본침 3실 휘감치기 오버 락 미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미싱의 루퍼 장치는, 하부 루퍼 실의 인출 방향 및 인출 위치를 안정화하고, 미싱의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상부 루퍼가 확실하게 걸어채 뜀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미려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가압 기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실을 통과하는 루퍼를 필수로 하는 휘감치기 미싱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7: 상부 루퍼
8: 하부 루퍼
8a: 루퍼 홈
11a, 11b: 바늘
T2: 상부 루퍼 실
T3: 하부 루퍼 실
P1: 상부 루퍼의 칼날
P2: 하부 루퍼의 칼날
48: 파이프
100: 루퍼 칼날 실출구
101: 루퍼 칼날 실출구의 구멍
102: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
103: 루퍼 칼날 실 부출구
104: 원형 구멍
105: 관통공
106: 홈

Claims (2)

  1. 바늘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고 최하점에서 상승할 때 바늘의 실을 하부 루퍼의 칼날에서 걸어채고, 상기 바늘의 실은 상기 하부 루퍼에 걸린 채로 상기 하부 루퍼가 전진하면서 상부 루퍼가 최하점에서 상승하여 상기 하부 루퍼의 하부 루퍼 실을 걸어채고, 상기 하부 루퍼 실이 걸린 상기 상부 루퍼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에 후퇴 하강할 때 상사점에서 하강하는 상기 바늘이 상기 상부 루퍼의 상부 루퍼 실을 걸어채어 천을 관통하고, 상기 하부 루퍼는 후퇴하면서 걸려 있던 바늘의 실이 상기 하부 루퍼에서 빠진 후에, 상기 상부 루퍼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루퍼에 걸린 상기 하부 루퍼 실이 빠짐으로써 휘감치기 바늘땀을 형성하는 미싱의 루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루퍼는 루퍼 칼날 실출구까지 상기 하부 루퍼 실의 루퍼 실 통과를 위한 파이프가 루퍼 홈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가 개구하고 있는 상기 루퍼 칼날 실출구의 구멍은 상기 루퍼 실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상기 하부 루퍼의 칼날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루퍼 실은 바늘땀을 형성할 때에 상기 상부 루퍼가 상기 하부 루퍼의 상기 하부 루퍼 실을 걸어챌 때의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에서 상기 루퍼 칼날 실출구로부터 상기 천으로 연장하고 있고,
    상기 루퍼 칼날 실출구는 상기 하부 루퍼 실 인출 방향에 천공 설치된 루퍼 칼날실 부출구를 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루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 칼날 실출구는 원형 구멍이고, 상기 루퍼 칼날실 부출구는 관통공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루퍼 장치.

KR2020110007616U 2011-04-27 2011-08-23 미싱의 루퍼 장치 KR2004772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1-002376 2011-04-27
JP2011002376U JP3169016U (ja) 2011-04-27 2011-04-27 ミシンのルー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36U KR20120007636U (ko) 2012-11-06
KR200477227Y1 true KR200477227Y1 (ko) 2015-05-19

Family

ID=4646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16U KR200477227Y1 (ko) 2011-04-27 2011-08-23 미싱의 루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69016U (ko)
KR (1) KR200477227Y1 (ko)
CN (1) CN202347259U (ko)
TW (1) TWM423704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5214B2 (ja) * 1993-03-26 2002-12-09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3320192A (ja) * 2002-05-01 2003-11-11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のルーパ機構
JP2004121311A (ja) * 2002-09-30 2004-04-22 Juki Corp ルーパ糸通し装置
JP4309441B2 (ja) * 2007-07-17 2009-08-0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5214B2 (ja) * 1993-03-26 2002-12-09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3320192A (ja) * 2002-05-01 2003-11-11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ミシンのルーパ機構
JP2004121311A (ja) * 2002-09-30 2004-04-22 Juki Corp ルーパ糸通し装置
JP4309441B2 (ja) * 2007-07-17 2009-08-0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9016U (ja) 2011-07-07
TWM423704U (en) 2012-03-01
KR20120007636U (ko) 2012-11-06
CN202347259U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071A (ko) 재봉기
JP6530197B2 (ja) ミシン
JP2017099875A (ja) 短い目標−シーム突出と共にシーム−開始上糸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構成グループ
US8752491B2 (en) Sewing machine
CN112703283B (zh) 能够缝制线材的缝纫机及线切割装置
KR200477227Y1 (ko) 미싱의 루퍼 장치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JP3872487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WO2005071153A1 (ja)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JP2003326059A (ja) 針送りミシン
JP2008086561A (ja) 刺繍ミシン及び平テープの千鳥縫付け方法
JPH08246323A (ja) 刺繍素材の縫い付け方法
KR200477617Y1 (ko) 미싱의 루퍼 장치
JP2010227374A (ja) ミシン
JP7142493B2 (ja) ミシン
KR200474551Y1 (ko) 미싱의 루퍼 장치
JP2009011595A (ja) ミシン
JP5089122B2 (ja) ミシンの全回転釜
KR20210052476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의 박음질 시작을 제어하는 방법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TW202323621A (zh) 縫紉機之旋梭構造及縫紉機
TW202323619A (zh) 縫紉機及按壓裝置
WO2023053506A1 (ja) ミシンの針板構造及びミシン
TW202323622A (zh) 縫紉機之控制裝置及設定裝置、以及縫紉機
JP3168246U (ja) ミシンのルー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