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14Y1 -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14Y1
KR200476714Y1 KR2020130004347U KR20130004347U KR200476714Y1 KR 200476714 Y1 KR200476714 Y1 KR 200476714Y1 KR 2020130004347 U KR2020130004347 U KR 2020130004347U KR 20130004347 U KR20130004347 U KR 20130004347U KR 200476714 Y1 KR200476714 Y1 KR 200476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racket
variable
fix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79U (ko
Inventor
이재웅
장형성
Original Assignee
(주) 지에스원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에스원,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지에스원
Priority to KR2020130004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1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어 변속기를 고정하는 변속기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기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브라켓고정홀이 천공되며, U자형으로 제작되는 본체브라켓; 과 상기 본체브라켓의 브라켓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변속기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Jig for Hybrid Motor and Transmission}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를 고정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를 회전할 수 있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변속기를 분해조립을 할 경우, 일반 테이블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모터는 변속기와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모터로부터 변속기를 분해 할 경우, 전면과 후면을 분해해야하며, 전면을 분해하고 후면을 분리할 경우 변속기를 작업자가 직접 돌려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서, 작업자가 자칫 실수를 할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제조사, 차종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변속기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각 변속기의 크기에 맞는 변속기 지그를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비용 및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20-1996-0013854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변속기를 분해할 경우 탈부착이 용이하고, 변속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변속기를 고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어 변속기를 고정하는 변속기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기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브라켓고정홀이 천공되며, U자형으로 제작되는 본체브라켓;과 상기 본체브라켓의 브라켓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변속기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상기 변속기 고정부를 회전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회전핸들;과 상기 변속기 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브라켓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상기 변속기 고정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브라켓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되는 장홀과 상기 변속기가 고정되기 위해 천공되는 변속기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변브라켓 위치는 상기 본체브라켓에 상기 가변브라켓의 체결부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이동부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분해할 경우 탈부착이 용이하고, 회전부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가변브라켓을 이용하여 변속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변속기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브라켓과 가변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사시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10)는 지지프레임(100)과 변속기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 일측면에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가 고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1)과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프레임(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프레임(102)은 일측면에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가 고정된다.
또,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바퀴(130)가 위치하여, 변속기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탈거하고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기둥프레임(102) 일측면에 결합되어 변속기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는 상기 본체브라켓(210)을 회전하는 회전부(110)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모터로부터 변속기를 분해 할 경우, 전면과 후면을 분해해야하며, 전면을 분해하고 상기 회전부(110)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회전시켜 후면을 분리한다.
상기 회전부(110)는 회전핸들(111)과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기둥프레임(102)의 일측에 위치하는 브라켓고정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회전핸들(111)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핸들(111)과 상기 브라켓고정부(112)가 기어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회전부(1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상기 브라켓고정부(112)를 회전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10)는 상기 변속기고정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120)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120)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변속기고정부(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부(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브라켓(2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브라켓(22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브라켓(210)과 가변브라켓(220)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는 본체브라켓(210)과 가변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브라켓(210)은 U자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브라켓고정부(112)에 일측이 결합되고, 복수개의 브라켓고정홀(211)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 참고)
상기 가변브라켓(2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되는 장홀(221)과 변속기가 고정되기 위해 천공되는 변속기고정홀(222)을 포함한다.(도 3 참고)
즉, 상기 본체브라켓(210)의 내부에 변속기가 위치하고, 상기 가변브라켓(220)에 천공되는 상기 변속기고정홀(222)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변속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브라켓(210)과 상기 가변브라켓(22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변브라켓(220)은 상기 본체브라켓(210)에 천공되는 브라켓고정홀(211)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변속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변 브라켓(220) 위치는 상기 본체브라켓(210)에 상기 가변브라켓(220)의 체결부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변브라켓(220)과 상기 본체브라켓(210)은 고정부재(300)를 상기 가변브라켓(220)에 천공되는 장홀(221)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고정홀(211)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변브라켓(220)이 상기 본체브라켓(210)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고정부재(300)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변속기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가변브라켓(220)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300)를 완전히 조여 상기 가변브라켓(22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10)는 상기 이동부(120)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분해할 경우 탈부착이 용이하고, 상기 회전부(110)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브라켓(220)을 이용하여 변속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변속기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100 : 지지프레임
101 : 하부프레임 102 : 기둥프레임
110 : 회전부
111 : 회전핸들 112 : 브라켓고정부
120 : 이동부 130 : 바퀴
200 : 변속기고정부
210 : 본체브라켓
211 : 브라켓고정홀
220 : 가변브라켓
221 : 장홀 222 : 변속기고정홀
300 : 고정부재

Claims (5)

  1.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일측이 결합되어 변속기를 고정하는 변속기고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기고정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브라켓고정홀(211)이 천공되며, U자형으로 제작되는 본체브라켓(210);과
    상기 본체브라켓(210)의 브라켓고정홀(211)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변속기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변 브라켓(2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핸들(111)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브라켓고정부(112)로 이루어져, 상기 변속기 고정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10);
    웜기어 및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변속기고정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12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하부면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바퀴(13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브라켓(2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되는 장홀(221)과 변속기가 고정되기 위해 천공되는 변속기고정홀(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변속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변 브라켓(220) 위치는 상기 본체브라켓(210)에 상기 가변 브라켓(220)의 체결부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KR2020130004347U 2013-05-30 2013-05-30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KR200476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47U KR200476714Y1 (ko) 2013-05-30 2013-05-30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47U KR200476714Y1 (ko) 2013-05-30 2013-05-30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79U KR20140006179U (ko) 2014-12-10
KR200476714Y1 true KR200476714Y1 (ko) 2015-03-25

Family

ID=524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347U KR200476714Y1 (ko) 2013-05-30 2013-05-30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708B1 (ko) * 2015-12-22 2017-02-0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저압터빈 파워 실린더 분해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726B1 (ko) * 1995-11-24 1998-04-04 김태구 중량물 분해조립용 지그
KR20040000247A (ko) *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장착용 지그장치
KR101064592B1 (ko) * 2009-06-23 2011-09-15 송명식 트랜스미션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726B1 (ko) * 1995-11-24 1998-04-04 김태구 중량물 분해조립용 지그
KR20040000247A (ko) * 2002-06-24 2004-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장착용 지그장치
KR101064592B1 (ko) * 2009-06-23 2011-09-15 송명식 트랜스미션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79U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030Y1 (ko) 파이프 절단기
CN104227389B (zh) 一种汽车座椅调角器盘簧的自动装配装置
CN109262240B (zh) 一种新能源汽车变速箱用中间轴的齿轮装配设备
JP5123537B2 (ja) 工作機械のテーブル装置
KR200476714Y1 (ko) 하이브리드 모터와 변속기 가변 지그
KR20100010762A (ko) 타이어 탈착기
EP3154758B1 (en) Wall or floor saw
CN108406641B (zh) 应用对撑式支架的内饰支撑工装
WO2007093276A8 (de) Verstellbar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CN107000675A (zh) 安全带锁呈送器
KR20110136209A (ko) 커팅장치
DE602007003399D1 (de) Aushubvorrichtung
JP2007009644A (ja) マンホール内壁切断機の固定装置
KR20140139351A (ko) 라다 스톡 너트 체결장치
JP6508936B2 (ja) 杭打機
CN102275617B (zh) 跨骑型车辆用车灯器支承装置
US9409593B2 (en) Rack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254482B1 (ko)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826430B1 (ko) 트랙터용 eps 모듈 장착장치
JP5787421B2 (ja) 重量物用移動装置
DE112015005837B4 (de) Antrieb eines Räderfahrzeugs, insbesondere eines Fahrrads
KR102063064B1 (ko) 너트용 탭핑장치
CN111717254A (zh) 周转车
JP7134153B2 (ja) 伝動軸脱着補助具
KR101581640B1 (ko) 변속기의 분해조립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