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89Y1 - 가스조절밸브 - Google Patents

가스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89Y1
KR200476689Y1 KR2020130009946U KR20130009946U KR200476689Y1 KR 200476689 Y1 KR200476689 Y1 KR 200476689Y1 KR 2020130009946 U KR2020130009946 U KR 2020130009946U KR 20130009946 U KR20130009946 U KR 20130009946U KR 200476689 Y1 KR200476689 Y1 KR 200476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throttle
gas
shaft
thrott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동 filed Critical 이규동
Priority to KR2020130009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의한 가스조절밸브는 종래의 기술의 단점인 유량의 히스테리시스현상과 조절영점에서의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여 정밀한 가스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기술로서 상기 히스테리시스현상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토션형 스프링을 조절판에 설치하여 상시 조절판에 일정방향으로 회전토크를 인가하여 회전력 전달부품들사이의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결합틈새 (백래쉬)를 제거하여 히스테리현상을 제거하였고, 또한 조절나사로 조절영점을 조절하여 영점에서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것이 가능하므로 정밀한 유량조절밸브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히스테리시스현상을 제거하도록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조절나사를 구비하는 추가비용이 극히 저럼하여 원가절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조절밸브 {Gas control valve}
본 고안은 각종 가스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에 관한것으로 전기적인 유량조절신호에 의해 일정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전달하는 조절샤프트와, 상기 조절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며 가스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일방향의 회전토크를 인가하여 유량의 히스테리시스를 제거하는 기술과, 유량조절영점을 조절하는 조절나사가 구비되어 대량생산시 발생되는 시료간의 유량편차를 제거했으며,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일자) 1007031780000 (2007.03.28)
본 고안은 각종 가스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인 유량조절신호에 의해 일정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에 의해 원하는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기술로서 상기 [문헌 1]의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가스유량조절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간단하고 정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며, 소비전력과 작동소음이 극히 낮으며, 유량의 히스테리시스가 없고 조절영점에서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간의 유량편차를 제거할 수있는 가스조절밸브 유량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문헌 1] (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에 의하면; 디지털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의 회동에 의해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며,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동력 일부를 안전차단수단을 작동시키며, 안전차단수단을 유지하는 유지전류를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열전대를 사용하여 소비전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종래기술의 특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부에 구비된 스테핑모터(10)와, 상기 스테핑모터(10) 하부에 형성된 모터샤프트(11)와, 상기 모터샤프트(11)와 형합되어 스테핑모터(10)의 회동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구동샤프트(13)와, 상기 구동샤프트(13)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샤프트(13)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각도씩 회동하면서 유량을 제어하는 조절판(30)과, 상기 조절판(30) 하부에 밀착 설치되어 회동력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리프터(40)와, 상기 리프터(4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스의 안전차단을 수행하는 흡착유니트(60)와, 상기 흡착유니트 (60)에 자기력을 전달하는 코아(70b) 및 프레임(70a)으로 형성된 솔레노이드(70)와, 상기 부품들을 수납하며 가스의 이동통로를 안내하는 바디(50)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가스의 안전차단 기능으로 인한 안전성과 안전차단수단에 인가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의 소비를 극소화 할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스테핑모터의 회동력이 모터샤프트 --> 구동샤프트--> 조절판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각 부품들간의 헐거운 결합틈새으로 인해 발생되는 백래쉬(backlash)에 의해 구조적으로 유량의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되고 또한 유량이 극히 낮은 영역 또는 조절영점에서 시료별로 유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되어 연료전지등의 정밀한 가스유량조절이 필요한 기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이 유량의 히스테리시스 발생 및 최소유량으로 밸브를 제어 할 경우 조절영점에서의 유량 편차가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원하는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본 고안의 가스조절밸브는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여 전기적인 제어 신호에 따른 유량의 히스테리시스를 제거하고 조절영점에서의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여 정밀한 유량조절이 가능한 가스조절밸브를 구현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유량의 히스테리시스 현상과 유량이 극히 낮은 영영에서의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그 해결 수단을 도면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고안에 의한 단면도로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씩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모터 (1)과, 상기 스테핑모터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전달하는 조절샤프트(3)과, 상기 조절샤프트의 회동에 의해 등속회전하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판(7)과, 상기 조절판에서 조절된 가스유량을 배출하는 베이스(9)와, 상기 부품들을 수납하고 가스 입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판(7)에 설치되어 조절판에 일정방향의 회전토크를 인가해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제거하는 제1스프링(5)과, 상기 밸브하우징(2)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3)의 조절영점을 조절해주는 조절나사(4)가 더우기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보완하여 조절유량의 히스테리시스 현상이 없고 전기적신호에 따라 정밀하게 유량이 조절되는한편 조절영점의 위치를 조절할수 있으므로 가스조절밸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부품치수의 편차로 인한 유량의 편차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미세한유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연료전지등의 정밀 가스유량조절에 적용할수있다. 더우기 상기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제거하고 조절영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절감의 효과가 크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샤프트(3)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판(7)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나사(4)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제1스프링(5)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판(7)과 베이스(9)를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판(7)과 베이스(9)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종래기술이 갖는 가스조절밸브의 히스테리시스현상을 나타낸 그림,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의 조절샤프트(3)의 키(35)와 조절판(7)의 키홈(76)의 결합에 의한 백래쉬를 설명한 그림.
도 10a 내지 도 10c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의 조절나사(4)의 조절원점 조 설명한 그림.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에 대한 내용을 도면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의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씩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모터(1)와, 상기 스테핑모터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전달하는 조절샤프트(3)와, 상기 조절샤프트(3)의 회동에 의해 등속회전하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판(7)과, 상기 조절판(7)에서 조절된 가스유량을 배출하는 베이스(9)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조절판(7)이 밀착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해주는 제2스프 링(6)과, 상기 스테핑모터(1), 조절샤프트(3), 조절판(7), 베이스(9)와 같은 부품들을 수납하고 일측에 가스 입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판(7)에 설치되어 조절판(7)에 일정방향의 회전토크를 인가해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제거하는 제1스프링(5)과, 상기 밸브하우징(2)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3)의 조절영점을 조절해주는 조절나사(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상하부가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스를 인입하는 입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2)의 내측에는 입구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리브(2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밸브하우징(2)의 상부에는 스테핑모터(1)이 고정되며 밸브하우징(2)의 상부 개구부에는 조절샤프트(3)이 삽입되어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동력을 조절판(7)에 전달한다. 상기 조절샤프트(3)와 밸브하우징사이에는 제1오링이 삽입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는 스테핑모터(1)이 고정되며 밸브하우징의 상부 개구부에는 조절샤프트(3)이 삽입되어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동력을 조절판(7)에 전달한다. 상기 조절샤프트(3)와 밸브하우징사이에는 제1오링이 삽입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는 베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9)는; 원기둥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조절판(7)이 밀착되어 설치되고, 베이스 측면과 밸브하우징 하부 개구부 사이에 제2오링이 삽입되어 가스가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한다. 베이스 상부 중심부에서 일정거리위치에 제2통공(9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통공은 가스가 유출되는 출구(93)와 연결되어있다.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가스밸브중 조절판(7)의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7)은; 원판상의 밀폐면(77)과, 상기 밀폐면 상부에 형성된 중공형상의 제2안착부(79)와, 상기 제2안착부(79) 상부에 상하로 내측에 형성된 키홈(76)과, 상기 제2안착부(79)의 외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안착부(73)과, 상기 제1안착부에 상하로 형성된 고정홈(75)으로 구성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샤프트(3)의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샤프트(3)는; 대략 축 대칭형상으로 상기 스테핑모터(1)의 모터축(11)이 삽입되는 결합홈(34)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외측면에 제1오링(32)이 설치되는 오링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하단에 직경이 감소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6)이 안착되는 제1단턱(36)과, 상기 결합홈하부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키(35)와, 상기 결합홈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 직각으로 돌출된 회전스토퍼(31)로 구성된다.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제1 스프링(5)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판(7)과 베이스(9)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중 조절판(7)과 베이스(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스프링은 토션형 스프링으로서 회전탄성력을 조절판(7)에 인가하여 상기 스테핑모터에서 발생된 회동력이 조절샤프(3)트와 조절판(7)으로 전달되는과정에서 발생되는 백래쉬를 제거하는 역활을 한다. 즉 상기 모터축(11)과 조절샤프트(3)간의 결합틈새와 조절샤프트와 조절판과의 결합틈새를 시계반대방향(51)의 회동력으로 상시적으로 인가하여 회전백래쉬를 제거한다. 상기 조절판(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9)의 제2통공(91)과 교차하는 조절판(7)의 조절홈(71)의 폭이 넓어지므로 통과 유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조절판(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9)의 제2통공(91)과 교차하는 조절판의 조절홈(71)의 폭이 좁어지므로 통과 유량이 감소한다. 상기 제1스프링의 회동력은 상기 조절판(7)과 베이스(9)간의 마찰토크보다는 크고 상기 스테핑모(1)터의 구동토크 및 스테핑모터(1)의 정지토크보다 작은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테핑모터(1)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경우 스테핑모터(1)는 상기 제1스프링(5)의 회전토크와 상기 조절판(7)의 베이스(9)와의 마찰토크를 합한값보다 큰 토크의 회전력으로 조절판(7)을 회전시키며, 반대로 스테핑모터(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스프링(5)의 회전력은 상기 조절판(7)과 베이스(9)와의 마찰토크보다 커서 결국 제1스프링(5)의 회전력으로 조절판(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스테핑모터(1)의 회전이 정지하면 스테핑모터(1)의 정지토크가 제1스프링(5)의 회전토크보다 크므로 조절판의 회전도 정지되는것이 특징이다. 즉 스테핑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제1스프(5)링이 조절판을 반시계방향으로 탄지하여 상기 모터축(11), 조절샤프트(3) 조절판(7)간의 결합틈새에 의한 백래쉬를 제거하며 이에 따라 유량의 히스테리시스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5)은 일종의 토션스프링으로서 일정권수의 원형으로 감겨진 권취부(52)와 상기 권취부(53) 끝단에서 권취부(52)와 접선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하여 끝이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된 제1고리(51)와, 상기 권취부 타단 끝에서 권취부와 직각으로 중심을 향해 굽어져 형성된 제2고리(53)으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제1스프링(5)는 상기 조절판(7)의 제1안착부(73)에 동심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고리(51)는 상기 밸브하우징(2)에 형성된 고정리브(21)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리(53)는 상기 조절판(7)에 형성된 고정홈(75)에 고정되되 제2고리(53)는 제1고리(51)가 고정리브(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를 권취하여 반시계방향의 풀림토크가 발생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유량의 히스테리시스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9와 도 9a에 도시 하였듯이 조절샤프트(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절샤프트(9)의 키(35)가 조절판(7)의 키홈(76)의 반시계방향측면(76-2)에 맞닿아 회전하며 유량이 도9의 C1의 커브를 따라 증가한다. 조절샤프트(3)의 각도가 A2일때 유량이 Q1이다. 도 9a에 조절샤프트(3)의 키 (35)가 조절판(7)의 키홈(76)에 결합된 모양을 도시하였다. 조절샤프트(3)가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여 각도 A1로 회전할경우 조절샤프트(3)의 키(35)는 조절판(7)의 키홈(76)의 시계방향측면(76-1)에 맞닿을때까지 조절판이 회전하지 않고 조절샤프트(3)만 공회전한다. 따라서 조절판(7)의 조절홈(71)을 통해 유출되는 유량은 Q1으로 변동이 없게된다. 이와 같이 전기적인 유량조절신호를 스테핑모터에 인가하여 유량을 제어할 경우 회전력이 상기 스테핑모터(1)에서 조절판(7)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스테핑모터(1)의 축(11)과 조절샤프트(3)의 결합홈(31)과의 결합틈새와 상기 조절샤프트(3)의 키(35)와 조절판(7)의 키홈(76)과의 결합틈새에 의해 발생되는 백래쉬에 의해 원하는 유량으로 조절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히스테리시스 현상이라고 하고 상기 제1스프링(5)는 상기 결합틈새를 한쪽방향으로 탄지하여 백래쉬를 제거하고 회동하는 역활을 하여 결국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의 조절영점을 조절하는 원리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밸브하우징(2)의 상부 개구부에 조절샤프트(3)이 삽입되어 회전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2)의 상부 개구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조절나사(4)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샤프트(3)의 회전스토퍼 (31)는 상기 밸브하우징(2)상부에 형성된 고정스토퍼(24)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조절샤프트(3)의 회전스토퍼(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조절나사(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조절나사(4)는 상기 회전스토퍼(31)의 원형이동경로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어 회전스토퍼가 시계방향으로 제한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도 10a의 경우 상기 조절나사(4)가 정상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의 경우 상기 조절나사(4)의 위치가 상기 회전스토퍼(31)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회전이 제한되도록 이동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조절판(7)의 조절홈(71)과 상기 베이스(9)의 제2통공(91)와 교차하는 통과면적이 감소하고 상기 제2통공(91)을 통과하는 유량이 감소하고, 반대로 도 10c과 같이 상기 조절나사(4)가 상기회전스토퍼의 이동경로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조절홈(71)과 상기 베이스의 제2통공(91)와 교차하는 통과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제2통공(91)을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4)는 상기 회전스토퍼(31)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편 회전의 제한위치를 조절해 줌으로서 유량이 극히 적은 구간에서의 영점에서의 유량을 일정량이 되도록 조절해 주므로 유량조절에 관련된 부품의 치수의 편차에 의한 유량편차를 제거해 주는 역활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판(7)의 조절홈(71)의 치수 편차, 상기 베이스(9)의 제2통공(91)의 크기편차 회전스토퍼(31)의 각도 및 크기, 조절샤프트의 키 (35)의 폭의 편차, 조절판(7)에 형성된 키홈(76)의 폭의 편차 등 편차들의 누적으로 인한 조절영점에서의 유량이 일정하지 않고 이로인한 극소유량구간에서의 유량조절이 정밀하지 않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밸브는 가스유량의 정밀조절을 방해하는 히스테리현상을 제거하였고 또한 가스조절밸브를 구성하는 가스조절관련부품들의 가공편차로 인한 유량의 편차를 제거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정밀유량조절이 가능한것이다. 또한 정밀한 유량조절을 위하여 많은 부품이 추가되지않고 간단하고 저렴한 원가의 부품 2개가 추가되어 정밀유량조절기능을 구현했다.
본 기술은 연료전지의 연료가스에 대한 정밀한 유량조절, 의료기기중 주사액의 정밀조절, 기타 화학용액의 정액 정량제어용 밸브로 적용될 수 있을것이다.
1; 스테핑모터 2; 밸브하우징 3; 조절샤프트 4.; 조절나사, 5; 제1스프링, 6; 제2스프링, 7; 조절판, 9; 베이스, 31; 회전스토퍼, 24; 고정스토퍼, 51; 제1고리, 53; 제2고리, 52; 권취부, 34; 결합홈, 35;키, 71; 조절홈, 91; 제2통공

Claims (3)

  1.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씩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모터(1)과, 상기 스테핑모터(1)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전달하는 조절샤프트(3)과, 상기 조절샤프트(3)의 회동에 의해 등속회전하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판(7)과, 상기 조절판(7)에서 조절된 가스유량을 배출하는 베이스(9)와, 상기 스테핑모터(1), 조절샤프트(3), 조절판(7), 베이스(9)를 수납하고 고정지지하며 일측에 가스를 인입하는 입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과, 상기 조절판(7)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판(7)에 일정한 일정방향의 회전토크를 인가하여 상기 스테핑모터(1)와 조절샤프트(3) 및 조절판(7)의 결합부에서 발생되는 백래쉬를 제거하여 유량의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제거하는 제1 스프링(5)과, 상기 밸브하우징(2)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3)의 조절영점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나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판(7)은 원판상의 밀폐면(77)과, 상기 밀폐면(77)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형상의 제2 안착부(79)와, 상기 제2 안착부(79)의 상부에 상하로 내측에 형성된 키홈(76)과, 상기 제2 안착부(79)의 외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 안착부(73)과, 상기 제1 안착부(73)에 상하로 형성된 고정홈(75)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판(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9)의 제2 통공(91)과 교차하는 조절판(7)의 조절홈(71)의 폭이 넓어지므로 통과 유량이 증가하고, 상기 조절판(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9)의 제2 통공(91)과 교차하는 조절판(7)의 조절홈(71)의 폭이 좁아지므로 통과 유량이 감소하며,
    상기 제1 스프링(5)은 토션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조절판(7)의 제1 안착부(73)에 동심축상으로 설치되며, 일정권수의 원형으로 감겨진 권취부(52)와, 상기 권취부 끝단에서 권취부와 접선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하여 끝이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된 제1 고리(51)와, 상기 권취부 타단 끝에서 권취부와 직각으로 중심을 향해 굽어져 형성된 제2고리(5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고리(51)는 상기 밸브하우징(2)에 형성된 고정리브(21)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리(53)는 상기 조절판(7)에 형성된 고정홈(75)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나사(4)는. 상기 밸브하우징(2)의 상부 개구부 일측면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3)에 구비된 회전스토퍼(31)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며, 회전스토퍼(31)의 제한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조절밸브.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9946U 2013-12-03 2013-12-03 가스조절밸브 KR200476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46U KR200476689Y1 (ko) 2013-12-03 2013-12-03 가스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46U KR200476689Y1 (ko) 2013-12-03 2013-12-03 가스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89Y1 true KR200476689Y1 (ko) 2015-03-30

Family

ID=5304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946U KR200476689Y1 (ko) 2013-12-03 2013-12-03 가스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8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5672A (zh) * 2017-07-02 2017-11-14 陈烁 燃气灶具点火供气二旋钮的联动装置
KR101803016B1 (ko) 2016-07-15 2017-12-28 지게이트(주) 가스 유량 제어장치
JP7379216B2 (ja) 2020-03-04 2023-11-14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US11892095B2 (en) 2019-06-11 2024-02-06 Denso Corporation Valv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168A (ja) 2004-03-22 2005-09-29 Saginomiya Seisakusho Inc 回転型電動弁
JP2005351308A (ja) 2004-06-08 2005-12-22 Ckd Corp 流体制御弁の制御方法
KR20080070294A (ko) * 2007-01-26 2008-07-30 한국본산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의 스토퍼장치
JP2011112212A (ja) * 2009-11-30 2011-06-09 Takara Belmont Co Ltd 電動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168A (ja) 2004-03-22 2005-09-29 Saginomiya Seisakusho Inc 回転型電動弁
JP2005351308A (ja) 2004-06-08 2005-12-22 Ckd Corp 流体制御弁の制御方法
KR20080070294A (ko) * 2007-01-26 2008-07-30 한국본산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의 스토퍼장치
JP2011112212A (ja) * 2009-11-30 2011-06-09 Takara Belmont Co Ltd 電動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16B1 (ko) 2016-07-15 2017-12-28 지게이트(주) 가스 유량 제어장치
CN107345672A (zh) * 2017-07-02 2017-11-14 陈烁 燃气灶具点火供气二旋钮的联动装置
US11892095B2 (en) 2019-06-11 2024-02-06 Denso Corporation Valve device
JP7379216B2 (ja) 2020-03-04 2023-11-14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689Y1 (ko) 가스조절밸브
KR101234937B1 (ko) 전동 밸브
US10795381B2 (en) Flow-rate adjustable valve
JP6254815B2 (ja) 流量制御弁及びこれを用いた流量制御装置
JP5976611B2 (ja) 圧力調整弁
JP2007028861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弁装置
KR20140070422A (ko) 유량 조정 장치
KR100903834B1 (ko) 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JP5473695B2 (ja) モータ安全弁
JP4850003B2 (ja) パイロット式流量制御弁
KR20200128568A (ko) 전자 팽창 밸브
KR20100008792A (ko) 날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080112147A (ko) 정지 기능을 갖는 롱스트로크 조절기 밸브
JP5190228B2 (ja) 流量調節バルブ
JP2000179731A (ja) 電動弁
JP4738065B2 (ja) 1回転電動弁
JP2006153205A (ja) ニードルバルブ
JPH08159320A (ja) 電動流量制御弁
JPH11270415A (ja) Egrバルブ
JP2007247743A (ja) 電磁遮断弁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321801A (ja) 電磁弁
JP6120638B2 (ja) 電動開閉弁
KR101803016B1 (ko) 가스 유량 제어장치
JP5995543B2 (ja) 流量制御弁
JP3620816B2 (ja) フリクション機構付き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用いた流体の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