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76Y1 -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 Google Patents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76Y1
KR200473476Y1 KR2020140002164U KR20140002164U KR200473476Y1 KR 200473476 Y1 KR200473476 Y1 KR 200473476Y1 KR 2020140002164 U KR2020140002164 U KR 2020140002164U KR 20140002164 U KR20140002164 U KR 20140002164U KR 200473476 Y1 KR200473476 Y1 KR 20047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efrigerant
drum portion
rotary dr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호
문성수
Original Assignee
문성수
양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수, 양영호 filed Critical 문성수
Priority to KR2020140002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내부에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원통으로서, 인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통해 가공되는 중공 원통의 내부에 상기 진원링부를 밀착 삽입한 다음, 상기 드럼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삭바이트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되는 드럼부와, 드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냉매의 유입로와 유출로 토출구와 흡입구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축관체 및 상기 드럼부 내에서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축관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빙장치용 회전드럼{ICE MAKING DRUM FOR ICE MAKING DEVICE}
본 고안은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드럼에서 얼음이 형성되는 드럼부의 진원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드럼부가 냉매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회전드럼(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얼음으로 조각얼음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제빙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급수조(400) 내에 회전드럼(10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회전드럼(100)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압축 냉매를 회전드럼(100) 내에서 기화시키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회전드럼(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을 결빙시키면서 제빙날(500)로 회전드럼(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얼음을 절삭한다. 절삭된 얼음은 보관함(600)에 수용되어 조각얼음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되는 회전드럼(100)과 제빙날(500)의 밀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드럼(100)은 진원도를 유지해야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9928호(2008. 02. 27. 등록, 발명의 명칭 : 조각얼음 제빙장치용 제빙드럼유닛)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얼음이 형성되는 드럼부의 진원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드럼부가 냉매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내부에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원통의 드럼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냉매의 유입로와 유출로, 토출구와 흡입구,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축관체; 및 상기 드럼부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진원 형상의 진원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진원링부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 내에서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축관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배바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바디에는,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균압챔버가 함몰 형성되고, 냉매로를 통해 상기 열교환간극과 상기 냉매균압챔버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바디에는,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균압챔버; 및 상기 진원링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각각 상기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냉매균압챔버와 상기 열교환간극을 연결하는 관통홀유로;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원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요철홈부와, 내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요철홈부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부의 두께는,
Figure 112014026200964-utm00001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t는 상기 드럼부의 두께이고, P는 상기 드럼부 내부에서 상기 냉매 압력이며, D는 상기 드럼부의 내경이고, T는 상기 드럼부의 인장강도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는, 인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통해 가공되는 중공 원통의 내부에 상기 진원링부를 밀착 삽입한 다음, 상기 드럼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삭바이트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얼음이 형성되는 드럼부의 진원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드럼부가 냉매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의 내벽으로 냉매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드럼부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축관체에 다수의 분사노즐이나 모세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순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매균압챔버를 통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를 균압 상태로 수용할 수 있고, 드럼부와 분배바디 사이에서 열교환간극에 균일한 압력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며, 드럼부에서 열교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좁은 열교환간극으로 인해 냉매에 의한 열교환율이 균등해지고, 드럼부의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드럼 내에서 냉매 체적이 감소되어 제빙장치의 운전 반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의 초기 냉각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간극에서 냉매의 이동을 원활하게하고, 드럼부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드럼부의 표면에서 결빙되는 얼음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회전드럼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의 가공이 간편하고 드럼부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드럼의 회전에서 외팔보의 모멘트가 작용할 때, 회전드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진원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의 가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진원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드럼부(130)와 축관체(210)와 진원링부(140)를 포함한다.
드럼부(13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드럼부(13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체로써, 일측에 제1개방단(131)이 형성되고, 타측은 제2개방단(132)이 형성된다. 제1개방단(131)에는 제1플랜지(133)가 형성되고, 제2개방단(132)에는 제2플랜지(134)가 형성된다. 도면부호가 표시되지 않았지만, 제1플랜지(133)와 제2플랜지(134)에는 각각 전,후방커버(110, 120)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부(130)는 회전부(100)로 구성되고, 회전부(100)는 진원링부(140)를 더 포함하며, 제1개방단(131)에 결합되는 전방커버(110)와, 제2개방단(132)에 결합되는 후방커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커버(110)는 원판형의 제1원판부(111)와, 제1원판부(111)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소정 길이 원주형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제1연장부(112)와, 제1원판부(111)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길이 원주형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연장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제2연장부(112, 113)의 내주면 관공(114)과 축관체(210) 사이에는 제1베어링(231)이 장착된다.
후방커버(120)는 원판형의 제2원판부(121)와, 제2원판부(121)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연장하여 형성하는 모터연결부(122)와, 제2원판부(121)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길이 원주형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3연장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제3연장부(123)의 내주면 관공(124)과 축관체(210) 사이에는 제2베어링(232)이 장착된다. 그러면, 드럼부(13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 및 제1, 제2베어링(231, 232)를 통해 축관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연결부(122)에는 구동모터(300)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드럼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분배바디(220)와 축관체(21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축관체(210)는 드럼부(130)의 중심축 상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다. 축관체(210)는 드럼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축관체(210)에는 냉매를 드럼부(130)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로(212)와, 드럼부(130) 내의 냉매를 유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출로(214)와, 유입로(212)의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213)와, 드럼부(130) 내의 냉매를 유출로(214)로 흡입하는 흡입구(215)와, 유입로(212)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218)와, 유출로(214)의 냉매를 배출시키는 배출구(219)가 포함된다. 이러한 축관체(210)의 일단부는 드럼부(130)의 제2개방단(132) 내측에서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드럼부(130)의 제1개방단(131)을 벗어나 외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축관체(210)는 고정부(200)로 구성되고, 고정부(200)는 분배바디(220)와 실링부(23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분사노즐(240, 도 8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원링부(140)는 진원 형상으로 드럼부(13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어 수용공간을 구획한다. 진원링부(140)는 드럼부(13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어 드럼부(130)가 진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진원링부(140)에는 제1요철홈부(141)와 제2요철홈부(142)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요철홈부(141)는 진원링부(14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함몰 형성되고, 제2요철홈부(142)는 진원링부(14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진원링부(140)에 의해 구획된 두 수용공간에서 냉매가 교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요철홈부가 형성되는 경우, 드럼부와 진원링부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고, 드럼부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부(100)는 진원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분배바디(220)와 실링부(23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바디(220)는 축관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이다. 분배바디(220)의 중심에는 축관체(210)가 관통 형성되고, 전단부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냉매균압챔버(b)를 형성하며, 분배바디(220)를 관통하는 고정공(222)에서 삽입되는 고정구(221)가 축관체(210)의 고정홈(211)에서 고정됨으로써, 축관체(210)와 분배바디(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바디(220)에는 드럼부(130) 내에서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간극(a)이 형성된다. 열교환간극(a)은 드럼부(130)와 분배바디(220) 사이에서 열교환 작용을 하여 드럼부(130)의 외주면 물을 냉각시켜 얼음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분배바디(220)는 축관체(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고, 진원링부(140)는 드럼부(130)에 밀착 지지되어 회전됨에 따라 분배바디(220)와 진원링부(140)는 상호 이격 배치되거나 슬라이딩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분배바디(220)는 축관체(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고, 드럼부(130)는 회전됨에 따라 분배바디(220)와 전, 후방커버(110, 120) 사이에는 각각 접촉부재(223)를 구비하고, 각각의 전, 후방커버(110, 120)와 접촉부재(223) 사이는 상호 이격 배치되거나 슬라이딩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더불어 분배바디(220)는 드럼부(130)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외팔보의 모멘트가 작용할 때, 드럼부(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드럼부(13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분배바디(220)는 일단부 내측으로 실링부(2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냉매균압챔버(b)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균압챔버(b)의 공간 일부에는 제1베어링(231)을 지지하는 실링부(23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230)는 축관체(210)와 전방커버(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베어링(231)을 밀봉하여 냉매가 축관체(210)와 전방커버(11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230)는 제1베어링(231)을 밀봉하는 제1실링부재(233)와 제2실링부재(235)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링부재(233)는 제1지지링(234)으로 지지되고, 제2실링부재(235)는 제2지지링(236)으로 지지되며, 탄성체(237)와 가압링(238)으로 최종 탄성 가압 설치되어 제1베어링(231)을 더욱 안전하게 밀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회전드럼 동작을 살펴보면, 압축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사이클에서 고압 액화된 냉매가 공급구(218)를 통하여 공급되고, 유입로(212)를 거쳐 토출구(213)에서 수용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냉매는 냉매균압챔버(b) 내에 토출되고, 냉매가 일시적으로 환류되면서 균압된 뒤 냉매로(b1)를 따라 분산 공급된다. 냉매로(b1)를 따라 분산된 냉매는 드럼부(130)와 분배바디(220) 사이의 열교환간극(a)에 상당한 압력으로 공급되어 냉각 작동을 한 다음, 흡입구(215)를 통하여 회수되고, 유출로(214)를 거쳐 배출구(219)에서 배출되어 냉각사이클로 순환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과 더불어 드럼부(130)가 회전되면서 외주면에 접촉된 물이 결빙되어 얼음층을 형성하고, 제빙날(500, 도 1 참조)로 긁어내어 얼음을 낙하 적재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의 가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의 가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130)는 인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통해 가공되는 중공 원통의 내부에 진원링부(140)를 밀착 삽입한 다음, 드럼부(13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삭바이트(170)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한다.
좀더 자세하게, 모재를 인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뽑아낸다. 중공 원통 형상의 모재는 드럼부(130)의 길이에 대응하여 재단되고, 재단된 모재에 진원링부(140)를 밀착 삽입한다. 그리고 재단된 모재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드럼부(13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삭바이트(170)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한다. 여기서, 절삭바이트(170)를 통한 외주면 절삭은 선반 가공 또는 밀링 가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부(130)에 진원링부(140)가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드럼부(130)의 진원도를 유지시키고, 드럼부(13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제1개방단(131) 또는 제2개방단(132)에서 전, 후방커버(110, 120)없이 드럼부(130)의 일단이 차단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모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드럼부(130)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모재의 내부에 진원링부(140)를 밀착 삽입한 다음, 절삭바이트(170)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드럼부(130)를 가공할 수 있다.
이때, 드럼부(130)의 두께는
Figure 112014026200964-utm00002
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서, t는 상기 드럼부(130)의 두께이고, P는 드럼부(130) 내부에서 냉매 압력이며, D는 드럼부(130)의 내경이고, T는 드럼부(130)의 인장강도이다. 추가로 P는 제빙날(500, 도 1 참조)의 가압력이거나 드럼부(130)를 가공하는 절삭바이트(170)의 가압력일 수 있다.
일예로, P는 20~40kg/㎠ 이고, D는 10~15cm 이며, T는 3500~5500k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P는 40kg/㎠ 이고, D는 13cm 이며, T는 5000kg/㎠ 인 경우, t는 0.52mm 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회전드럼에서 드럼부(130)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드럼부(130)는 정확한 진원도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드럼부(130)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해야 한다.
셋째, 드럼부(130)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냉매에 의한 열전달력과 드럼부(13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넷째, 드럼부(130)의 외주면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두께를 균일(얼음층은 열전도율이 드럼부의 20% 내지 30%에 불과하여 얼음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제빙효율이 저하됨)하게 해야 한다.
다섯째, 드럼부(130)의 두께에 대응하여 드럼부(130)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냉매의 압력 또는 제빙날(500, 도 1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드럼부(130)의 외주면을 선반 가공 또는 밀링 가공할 때, 절삭바이트(170)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드럼부(130)에 진원링부(140)가 밀착 지지되어 가공됨으로써, 상술한 드럼부(130)의 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한편, 모재를 인발 성형, 압출 성형으로 함이 바람직하지만 중공의 원통 형상을 뽑는 데에 있어 조관(용접관)성형도 가능하다. 성형의 진원도는 낮지만 진원링부를 적용하여 가공한다면 그 적용이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전, 후방커버(110, 120)는 드럼부(130)의 내경에 일치시켜서 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드럼에서 전, 후방커버(110, 120)는 드럼부(130)의 외경에 일치시켜서 될 수 있다.
또한, 분배바디(220)에는 토출구(213)와 연통되는 냉매균압챔버(b)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흡입구(215)와 연통되는 냉매균압챔버(b)가 형성된다. 이때, 분배바디(220)에는 냉매균압챔버(b)와 열교환간극(a)을 연결하는 관통유로(225)가 관통 형성되어 진원링부(14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 또는 열교환간극(a)으로 각각 냉매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배바디(220)에는 흡입구(215)와 연통되는 냉매균압챔버(b)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토출구(213)와 연통되는 냉매균압챔버(b)가 형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은 분배바디(220)를 생략하고, 토출구(213)는 진원링부(14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때, 토출구(215)에는 분사노즐(240)이 결합되어 냉매의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빙장치용 회전드럼에 따르면, 얼음이 형성되는 드럼부(130)의 진원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드럼부(130)가 냉매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130)의 내벽으로 냉매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드럼부(130)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213)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축관체(210)에 다수의 분사노즐(240)이나 모세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순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매균압챔버(b)를 통해 토출구(213)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를 균압 상태로 수용할 수 있고, 드럼부(130)와 분배바디(220) 사이에서 열교환간극(a)에 균일한 압력의 냉매를 공급할 수 있으며, 드럼부(130)에서 열교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좁은 열교환간극(a)으로 인해 냉매에 의한 열교환율이 균등해지고, 드럼부(130)의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130) 내에서 냉매 체적이 감소되어 제빙장치의 운전 반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130)의 초기 냉각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간극(a)에서 냉매의 이동을 원활하게하고, 드럼부(130)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드럼부(130)의 표면에서 결빙되는 얼음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회전드럼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부(130)의 가공이 간편하고 드럼부(130)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드럼의 회전에서 외팔보의 모멘트가 작용할 때, 회전드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회전부 110: 전방커버 111: 제1원판부
112: 제1연장부 113: 제2연장부 114: 관공
120: 후방커버 121: 제2원판부 122: 모터연결부
123: 제3연장부 124: 관공 130: 드럼부
131: 제1개방단 132: 제2개방단 133: 제1플랜지
134: 제2플랜지 140: 진원링부 141: 제1요철홈부
142: 제2요철홈부 170: 절삭바이트 200: 고정부
210: 축관체 211: 고정홈 212: 유입로
213: 토출구 214: 유출로 215: 흡입구
218: 공급구 219: 배출구 220: 분배바디
221: 고정구 222: 고정공 225: 관통유로
223: 접속부재 230: 실링부 231: 제1베어링
232: 제2베어링 233: 제1실링부재 234: 제1지지링
235: 제2실링부재 236: 제2지지링 237: 탄성체
238: 가압링 240: 분사노즐 300: 구동모터
400: 급수조 500: 제빙날 600: 보관함
a: 열교환간극 b: 냉매균압챔버 b1: 냉매로

Claims (7)

  1. 내부에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원통의 드럼부;
    상기 드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냉매의 유입로와 유출로, 토출구와 흡입구,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축관체; 및
    상기 드럼부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진원 형상의 진원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 내에서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축관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배바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바디에는,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균압챔버가 함몰 형성되고, 냉매로를 통해 상기 열교환간극과 상기 냉매균압챔버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바디에는,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냉매가 수용되는 냉매균압챔버; 및
    상기 진원링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각각 상기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냉매균압챔버와 상기 열교환간극을 연결하는 관통홀유로;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인발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통해 가공되는 중공 원통의 내부에 상기 진원링부를 밀착 삽입한 다음, 상기 드럼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삭바이트로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원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1요철홈부와, 내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제2요철홈부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의 두께는,
    Figure 112014059022816-utm00003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여기서, t는 상기 드럼부의 두께이고,
    P는 상기 드럼부 내부에서 상기 냉매 압력이며,
    D는 상기 드럼부의 내경이고,
    T는 상기 드럼부의 인장강도이다.
KR2020140002164U 2014-03-19 2014-03-19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KR200473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64U KR200473476Y1 (ko) 2014-03-19 2014-03-19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64U KR200473476Y1 (ko) 2014-03-19 2014-03-19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476Y1 true KR200473476Y1 (ko) 2014-07-04

Family

ID=5199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164U KR200473476Y1 (ko) 2014-03-19 2014-03-19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281A (ko) * 2014-11-20 2016-05-30 강신빈 눈꽃빙수 제빙기
CN113124591A (zh) * 2020-01-15 2021-07-16 博利国际股份有限公司 制冰装置及刨冰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686B2 (ja) * 1988-02-18 1997-02-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回転式熱交換器
JP2007032989A (ja) * 2005-07-28 2007-02-0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ドラム式製氷機
JP2007033012A (ja) * 2005-07-29 2007-02-0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ドラム式製氷機
KR20090104336A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오션아이스 해수 및 담수 겸용 제빙장치
KR20100103205A (ko) * 2009-03-13 2010-09-27 (주)아이스맨코리아 제빙기용 드럼, 그 제조 방법 및 제빙기용 드럼을 갖는 제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686B2 (ja) * 1988-02-18 1997-02-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回転式熱交換器
JP2007032989A (ja) * 2005-07-28 2007-02-0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ドラム式製氷機
JP2007033012A (ja) * 2005-07-29 2007-02-0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ドラム式製氷機
KR20090104336A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오션아이스 해수 및 담수 겸용 제빙장치
KR20100103205A (ko) * 2009-03-13 2010-09-27 (주)아이스맨코리아 제빙기용 드럼, 그 제조 방법 및 제빙기용 드럼을 갖는 제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281A (ko) * 2014-11-20 2016-05-30 강신빈 눈꽃빙수 제빙기
KR101642298B1 (ko) 2014-11-20 2016-07-25 강신빈 눈꽃빙수 제빙기
CN113124591A (zh) * 2020-01-15 2021-07-16 博利国际股份有限公司 制冰装置及刨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5094B (zh) 包括制冰器的冰箱
JP6403684B2 (ja) 製氷機
KR100809928B1 (ko) 조각얼음 제빙장치용 제빙드럼유닛
KR200473476Y1 (ko) 제빙장치용 회전드럼
JPH05148643A (ja) 冷却可能なスパツタリング・ターゲツト・プレート・アセンブリ、マグネツト・ハウジングユニツト、ターゲツト・プレートの冷却方法、及びマグネトロン・スパツタリング装置
JP2008095999A (ja) ドラム式製氷機の製氷ドラム
KR101491447B1 (ko) 스노우 아이스 제빙장치
CN106640641B (zh) 用于压缩机系统的具有内部冷却剂歧管的转子
KR101415724B1 (ko) 제빙장치의 회전드럼
KR101415351B1 (ko) 2가지 이상의 맛을 갖는 가루얼음 생산용 드럼식 제빙기
JP2007033012A (ja) ドラム式製氷機
JP5830188B1 (ja) 流下式製氷機及び該流下式製氷機の製氷棚の製造方法
JP2007032989A (ja) ドラム式製氷機
CN211182446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组冷却装置
KR101567975B1 (ko) 얼음 제조장치용 냉동유닛 및 이에 채용되는 냉매 유출입 구조체
JP4726667B2 (ja) 冷蔵庫
EP3728968B1 (en) Ice maker apparatus
WO2020031223A1 (ja) 急速冷却かき氷製造装置
US11137188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CN106257217A (zh) 冰箱及其制造方法
KR101659921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조 방법
JP2585686B2 (ja) 回転式熱交換器
CN216676988U (zh) 一种旋转圆筒式蒸发器
US20190331381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