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61Y1 -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61Y1
KR200472061Y1 KR2020120001862U KR20120001862U KR200472061Y1 KR 200472061 Y1 KR200472061 Y1 KR 200472061Y1 KR 2020120001862 U KR2020120001862 U KR 2020120001862U KR 20120001862 U KR20120001862 U KR 20120001862U KR 200472061 Y1 KR200472061 Y1 KR 200472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nic device
package case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530U (ko
Inventor
창 리앙 린
Original Assignee
보스핸드 엔터프라이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핸드 엔터프라이즈 인크. filed Critical 보스핸드 엔터프라이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01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61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와 리드의 접속 부분의 위치를 통일시킴으로써, 수용조(收容槽)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延伸)되는 리드가 기계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각각의 단자에 납땜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22) 및 각각 같은 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先端面)(231)을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대(23)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우징(21)과, 각각 하우징(21) 내로부터 하우징(21) 밖으로 돌출되어 동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자(3)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로서, 각각의 단자(3)는, 선단면(231)에 고정되고, 상기 선단면(231)에 대응하는 지지대(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접속 플레이트를 각각 가지고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PACKAGE CASE FOR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각각의 단자와 리드의 접속이 신속하게 행해지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예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는 본체(61)와 커버(63)를 가지고, 본체(61)는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收容槽)(61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 개의 단자(62)에 의해 관통삽입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62)의 양단은 각각 제1 접속단(621)과 제2 접속단(622)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2 접속단(622)에서 수용조(610)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접속단(622)은 각각 2개의 제한 블록(623)과, 상기 2개의 제한 블록(623) 사이에 있는 권취부(624)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조(610)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延伸)되는 리드는, 각각 각 단자의 권취부(624)에 권취되어 납땜된다.
또한, 수용조(610)는, 전기적 절연 재료에 의해 충만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1)는, 수용조(610)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되는 리드를 각각 각 단자의 권취부(624)에 권취하고 나서 납땜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복잡한데 더하여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시간과 인원의 비용이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자와 리드의 접속 부분의 위치를 통일시킴으로써, 수용조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되는 리드가 기계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각각의 단자에 납땜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 및 각각 같은 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先端面)을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각각 상기 하우징 내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동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로서, 상기 각 단자는, 상기 선단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선단면에 대응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접속 플레이트를 각각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는 각각, 상기 접속 플레이트에 더하여, 상기 접속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대응하는 지지대 내에 매립(埋立)되어 있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더 상기 동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노출부와, 상기 매립부의 주위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에 대응하는 리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는, 가지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가 그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단자와, 가지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가 그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열(列)로 되어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리드 홈은, 상기 제2 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리드 홈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오목하게 되어 상기 수용조로 되는 오목부와, 상기 수용조의 양측에 있어 평행한 한쌍의 측벽을 가지는 접시형체이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2열로 되어 각각 상기 한쌍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열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벽의 상단의 외주 에지에 복수 개의 돌기벽이 사이를 두고 상기 측벽의 연신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돌기벽의 사이에 골간(谷間)이 구획되어 있고, 각 상기 단자가 가지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골간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벽의 상단에 각각 복수 개의 원기둥형 돌기가 사이를 두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각 상기 리드 홈은, 상기 리드 홈이 형성되는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된 상기 측벽의 상기 수용조에 면하는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원기둥형 돌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와 상기 한쌍의 측벽의 상단을 덮는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의 접속 플레이트는 각각의 지지대의 각각 같은 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용조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되는 리드를 각각의 단자의 접속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두면, 각각의 선단면이 향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기계를 사용하여 일제히 납땜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구성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구성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구성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구성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의 구성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는, 종래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4)를 수용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조(22)와, 수용조(22)의 양측에 있는 한쌍의 측벽(211)을 가지는 하우징(21)과, 수용조(22)와 상기 한쌍의 측벽(211)의 상단을 덮는 커버체(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 하우징(21)은, 오목하게 되어 수용조(22)로 되는 오목부와, 수용조(22)의 양측에 있어 평행한 한쌍의 측벽(211)을 가지는 접시형체인 동시에, 상기 접시형체의 상기 한쌍의 측벽(211) 사이에, 같은 쪽(도면 중의 위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231)을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대(23)와, 각각의 지지대(23)의 선단면(231)에 대면하도록 접촉 고정되고, 각각의 선단면(231)이 대응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접속 플레이트(32)를 가지는 복수 개의 단자(3)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접속 플레이트(32)는 각각의 선단면(231)과 동일하게 도면 중의 위쪽을 향하고 있는 상단면(322)을 가지고 있고, 수용조(22)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4)로부터 연신되는 에나멜선 등의 리드(6)를 각각의 단자(3)의 접속 플레이트(32)의 상단면(322)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두면, 각각의 선단면(322)이 향하고 있는 측(즉, 도면 중의 위쪽)으로부터 기계를 사용하여 일제히 납땜으로 리드(6)와 각각의 단자(3)를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대(23)는, 2열로 되어 각각 한쌍의 측벽(2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대(23)에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3)에 대응하는 리드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조(22)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4)로부터 연신되는 리드(6)는, 각 리드 홈(212)을 경유하여 각각의 지지대(23)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3)의 접속 플레이트(32)에 도달하여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단자(3)는 각각, 접속 플레이트(32) 외에, 상기 접속 플레이트(32)로부터 절곡되어 대응하는 지지대(23) 내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부(311)와, 상기 매립부(311)로부터 동일 방향(도면 중의 아래 방향)으로 더 연신되어 하우징(21)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노출부(312)와, 매립부(311)의 주위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2개의 걸림부(313)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부(313)는 각각 환형(環形)과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1)과 끼워맞추어져 각각의 단자(3)가 하우징(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복수 개의 단자는 2종류로 나눌 수 있고, 즉, 가지는 접속 플레이트(32)가 그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수용조(22) 측으로] 연신되는 제1 단자(3A)와, 가지는 접속 플레이트(32)가 그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하우징(21)의 외측으로] 연신되는 제2 단자(3B)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함께 측벽(211)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3)의 접속 플레이트(32)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23)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 즉 측벽(211)의 연신 방향에서 열로 되어 나란히 측벽(211)을 형성하고, 또한 제1 단자(3A)와 제2 단자(3B)는,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2열로 나란히 한쌍의 측벽(211)과 각각 일체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지지대(23)는, 각각이 가지는 제1 단자(3A)와 제2 단자(3B)가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3A)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23)에 형성된 리드 홈(212)은, 제2 단자(3B)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23)에 형성된 리드 홈(212)보다 깊게 절입, 즉 커트인(cut-in)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측벽(211)의 상단의 외주 에지에 복수 개의 돌기벽(24)이 사이를 두고 상기 측벽(211)의 연신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돌기벽(24) 사이에 골간(241)이 구획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3)가 가지는 접속 플레이트(32)는, 각각 1개의 골간(241)에 대응하여, 제1 단자(3A)의 접속 플레이트(32)가 골간(241)을 향해 연신되고, 제2 단자(3B)의 접속 플레이트(32)가 골간(241)로부터 이격(離隔)되어 연신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측벽(211)의 상단에 각각 복수 개의 원기둥형 돌기(25)가 사이를 두고 제3 방향[측벽(211)의 연신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각 리드 홈(212)은, 상기 리드 홈(212)이 형성된 지지대(23)와 일체로 된 측벽(211)의 수용조(22)에 면하는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원기둥형 돌기(2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용조(22)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4)로부터 연신되는 리드(6)는, 각 리드 홈(212)을 경유하여 측벽(211)의 상단에 도달하면, 각각의 원기둥형 돌기(25)에 권취되어 가(假)고정되고 나서, 납땜에 의해 각각의 지지대(23)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3)의 접속 플레이트(32)와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자 장치(4)로부터 연신되는 리드(6)는 각각의 원기둥형 돌기(25)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납땜된다.
또한, 돌기벽(24)의 형성에 의해, 리드(6)의 납땜이 완료된 후, 실리콘 등의 전기적 절연 재료로 수용조(22)를 충만할 때, 리드(6)가 접속 플레이트(32)에 고정되는 부분도 전기적 절연 재료에 의해 덮히도록 되어, 리드(6)나 접속 플레이트(32)는 대기와 접촉되지 않고, 습기나 산화(酸化) 등의 악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의 접속 플레이트는 각각의 지지대의 각각 같은 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에 접촉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용조 내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신되는 리드를 각각의 단자의 접속 플레이트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두면, 각각의 선단면이 향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기계를 사용하여 일제히 납땜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는 기계에 의한 자동적 작업에 적절하여, 생산의 속도를 빨리 하고, 또한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다.
21: 하우징
211: 측벽
212: 리드 홈
22: 수용조
23: 지지대
231: 선단면
24: 돌기벽
241: 골간
25: 원기둥형 돌기
3: 단자
311: 매립부
312: 노출부
313: 걸림부
32: 접속 플레이트
322: 상단면
3A: 제1 단자
3B: 제2 단자
4: 전자 장치
5: 커버체
6: 리드

Claims (8)

  1.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收容槽) 및 각각 같은 쪽을 향하고 있는 선단면(先端面)을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각각 상기 하우징 내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동일 방향으로 연신(延伸)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로서,
    상기 각 단자는, 상기 선단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선단면에 대응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접속 플레이트를 각각 가지고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는 각각, 상기 접속 플레이트에 더하여, 상기 접속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대응하는 지지대 내에 매립(埋立)되어 있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더 상기 동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노출부와, 상기 매립부의 주위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를 가지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에 대응하는 리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는, 가지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가 상기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단자와, 가지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가 상기 매립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열(列)로 되어 정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리드 홈은, 상기 제2 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리드 홈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오목하게 되어 상기 수용조로 되는 오목부와, 상기 수용조의 양측에 있어 평행한 한쌍의 측벽을 가지는 접시형체이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2열로 되어 각각 상기 한쌍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열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각각이 가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20001862U 2011-08-26 2012-03-09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KR2004720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16032U TWM419759U (en) 2011-08-26 2011-08-26 Packaging case of electronic device
TW100216032 2011-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30U KR20130001530U (ko) 2013-03-06
KR200472061Y1 true KR200472061Y1 (ko) 2014-04-02

Family

ID=4645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862U KR200472061Y1 (ko) 2011-08-26 2012-03-09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76152U (ko)
KR (1) KR200472061Y1 (ko)
TW (1) TWM419759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812A (ja) * 1994-11-07 1996-05-31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2373748A (ja) 2001-06-14 2002-12-2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10129505A (ja) 2008-12-01 2010-06-10 Elpida Memory Inc Icソケットおよびicソケット用ガイド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812A (ja) * 1994-11-07 1996-05-31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2373748A (ja) 2001-06-14 2002-12-2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10129505A (ja) 2008-12-01 2010-06-10 Elpida Memory Inc Icソケットおよびicソケット用ガイド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6152U (ja) 2012-06-14
KR20130001530U (ko) 2013-03-06
TWM419759U (en) 201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8616U (ja) 電子装置の収容ケース
JP4751390B2 (ja) 電気的コンポーネント用のホルダ
JP2016197591A (ja) 電気コネクタ
US939742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enlarged mating power contacts
CN203056342U (zh) 电连接器
CN1315204C (zh) 电池组
JP6075126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TWM499394U (zh) 電子裝置之封裝盒
KR100991546B1 (ko) 모터용 코일 보빈
US20080054749A1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4138453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0472061Y1 (ko) 전자 장치용 패키지 케이스
KR102280996B1 (ko)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095180B2 (en) Motor including a holding member support portion which supports portions of a bus bar
JP5666976B2 (ja) 回転電機
KR102424716B1 (ko) 전자 패키지 모듈
CN103296506A (zh) 电连接器
JP2015225974A (ja) Canパッケージ半導体レーザ用治具
KR20010024722A (ko) 커넥터 블록을 구비한 모터
KR20150045880A (ko) 전기-소자 거치대
JP2019033133A (ja) コンデンサ
JP2015135860A (ja) 抵抗器
CN211957316U (zh) 封装盒
CN111384339B (zh) 一种电池容纳装置
JP201716846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