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13Y1 -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13Y1
KR200465213Y1 KR2020120005613U KR20120005613U KR200465213Y1 KR 200465213 Y1 KR200465213 Y1 KR 200465213Y1 KR 2020120005613 U KR2020120005613 U KR 2020120005613U KR 20120005613 U KR20120005613 U KR 20120005613U KR 200465213 Y1 KR200465213 Y1 KR 200465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anchor bolt
jaw
bump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제이투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투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투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시 바퀴가 방지턱에 부딪치는 충격을 분산시켜 방지턱에 전달되는 하중과 충격을 격감시킴과 아울러 지면과 앙카볼트 사이에 기밀부재를 구비하여 방수 기능으로 인한 앙카볼트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기능을 갖는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Automobile parking guide}
본 고안은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방지턱의 구조를 개선하여 충격을 분산시켜 파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 방지턱은 주차 공간내에 주차시 차량의 바퀴가 방지턱에 부딪쳐서 차량의 정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선출원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10-2010-223245호 ' 안장형 주차 방지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바퀴가 주차방 지턱에 접근시 1차 자동차 바퀴가 주차 방지턱에 올라않을 때 자동차 몸체가 들려 운전자가 오감(몸)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지턱을 주는 구간과 경사를 주어 자동차 바퀴가 굴러서 턱에 걸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주차 방지턱은 먼저 주차 방지턱에 올라 앉고, 이어 경사진 턱에 부딪치는 구조로 주차 방지턱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주차 방지턱은 방지턱의 경사 부분이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1차 방지턱을 올라가면서, 바로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며 상기 방지턱의 경사 부분에 의해 가속도가 붙어 방지턱의 턱에 충격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반복적인 충격이 방지턱에 가해지면 앙카볼트에서 방지턱이 파손되거나 분리되어 자체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주차 방지턱은 바닥에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형성시키고 이 구멍에 앙카볼트를 체결하여 방지턱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지턱은 야외에 설치된 방지턱인 경우, 방지턱과 앙카볼트 사이로 비 또는 눈 등이 스며들어 앙카볼트에 녹이 발생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앙카볼트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방지턱은 방수와 방진 역할을 하는 에폭시, 우레탄 등의 도막재의 도장에도 불구하고 앙카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천공한 부분에 방수 처리가 되지 않아 지하구조물의 하부층으로 누수가 되는 건축물의 하자를 초래하기도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차시 바퀴가 방지턱에 부딪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방지턱에 전달되는 하중과 충격을 격감시킴과 아울러 지면과 앙카볼트에 기밀부재를 구비하여 방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앙카볼트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을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전면이 직교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바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홈이 형성된 제1충격방지턱과; 상기 제1충격방지턱에 연장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져 바퀴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방지턱과; 상기 몸체의 내부와 지면의 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에 체결되어 지면의 구멍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는 기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은 주차시 바퀴에 접촉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방지턱에 전달되는 하중, 충격을 격감시킴과 아울러 지면과 앙카볼트에 기밀부재를 구비하여 방수 기능으로 인한 앙카볼트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지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지턱의 일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지턱의 사용상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은 몸체(100)에 제1충격방지턱(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연장되는 수평면(2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면(20)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충격방지턱(3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와 지면(50)에 앙카볼트(40)가 체결되며, 상기 앙카볼트(40)와 지면(50) 사이에 기밀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앙카볼트(40)가 체결되도록 결합공(1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결합공(101) 상부를 막도록 덮개(7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은 몸체(100)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완충홈(11)이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시 바퀴가 제1충격방지턱(10)에 접촉되는 순간 힘이 X,Y,Z 축 방향으로 전달되어 앙카볼트(40)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홈(11)은 제1충격방지턱(10)에 부딪치는 순간 바퀴가 접촉되는 표면적을 분산시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면(20)은 제1충격방지턱(10)과 제2충격방지턱(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부딪치는 순간 상기 제2충격방지턱(30)측과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충격방지턱(30)은 수평면(20)에서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차량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띠(31)가 구비된다.
상기 앙카볼트(40)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으며, 지면(50)의 구멍(51)에 삽입된 앙카볼트축(41)에 끼워져 쇄기관(42)과 너트(43), 기밀부재(44)가 구비되며, 이 상태에서 앙카볼트에 끼워져 잇는 쇄기관(42)를 앙카펀치로 타정하면 쇄기관(42)이 확관되어 구멍(51)내부에서 고정되고, 기밀부재(44)를 앙카볼트축(41)에 삽입하여 상기 너트(43)를 조이면 기밀부재(44)가 지면 방향으로 눌리면서 외경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멍(51)내부에서 밀착되어 수밀 역할을 하므로 빗물이나 눈 등이 상기 앙카볼트의(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앙카 볼트 쇄기관(42)이 확장되어 하부쪽에만 고정되어 있는 체결력을 기밀부재(44)가 구멍(51)의 상부에서 고정 되므로, 앙카볼트(40)의 체결력이 커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2충격방지턱(20,30)을 따라 보강부재(60)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몸체(100)에 보강부재(60)가 구비되어, 주차시 바퀴의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변형이나 파손 등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충격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주차시 후진 또는 전진시 바퀴가 상기 몸체(100)의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부딪치는 순간 운전자가 정지 시점을 확인하게 되고, 순간 바퀴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은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의해 X,Y,Z 축 방향으로 분산된다. 이때 바퀴는 제1충격방지턱(10)에 의해 정지되어져 상기 제2충격방지턱(30)에 부딪치지 않아 상기 몸체(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주차시 바퀴가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부딪치는 순간을 늦게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충격방지턱(10)과 제2충격방지턱(30)에 순차적으로 부딪쳐 전달되는 충격과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제1충격방지턱 30: 제2충격방지턱
40: 앙카볼트 50: 지면

Claims (3)

  1.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되,
    전면이 직교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바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홈(11)이 형성된 제1충격방지턱(10)과;
    상기 제1충격방지턱(10)에 연장되는 수평면(20)과;
    상기 수평면(20)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져 바퀴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방지턱(30)과;
    상기 몸체(100)의 내부와 지면(50)의 구멍(51)에 체결되어 상기 몸체(100)를 고정하는 앙카볼트(40)와;
    상기 앙카볼트(40)에 체결되어 지면(50)의 구멍(51)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는 기밀부재(4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2충격방지턱(20,30)을 따라 보강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재(60)에 의해 주차시 상기 제1,2충격방지턱(20,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상기 몸체(100)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5613U 2012-06-29 2012-06-29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KR200465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613U KR200465213Y1 (ko) 2012-06-29 2012-06-29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613U KR200465213Y1 (ko) 2012-06-29 2012-06-29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213Y1 true KR200465213Y1 (ko) 2013-02-07

Family

ID=5136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613U KR200465213Y1 (ko) 2012-06-29 2012-06-29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7393B2 (en) 2020-04-03 2022-08-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riving depending on baby mode
US11565697B2 (en) 2019-12-16 2023-01-3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quipped with electric motor and parking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20853B1 (ko) * 2022-11-17 2023-04-12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방수성능과 지지력이 향상된 주차장 카스토퍼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529A (ja) * 1998-07-21 2000-04-04 Fuji Autetsuku:Kk 車止め
KR200408057Y1 (ko) * 2005-11-08 2006-02-07 윤대범 차량 주차 스톱퍼
KR20100113245A (ko) * 2009-04-13 2010-10-21 박동준 안장형 주차 방지턱
KR20120059789A (ko) * 2010-12-01 2012-06-11 이수호 차량 중량을 이용한 주차 스톱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529A (ja) * 1998-07-21 2000-04-04 Fuji Autetsuku:Kk 車止め
KR200408057Y1 (ko) * 2005-11-08 2006-02-07 윤대범 차량 주차 스톱퍼
KR20100113245A (ko) * 2009-04-13 2010-10-21 박동준 안장형 주차 방지턱
KR20120059789A (ko) * 2010-12-01 2012-06-11 이수호 차량 중량을 이용한 주차 스톱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5697B2 (en) 2019-12-16 2023-01-3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quipped with electric motor and parking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07393B2 (en) 2020-04-03 2022-08-0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riving depending on baby mode
KR102520853B1 (ko) * 2022-11-17 2023-04-12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방수성능과 지지력이 향상된 주차장 카스토퍼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7772B (zh) 用于汽车保险杠的混合能量吸收器
KR200465213Y1 (ko)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KR100500653B1 (ko)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
KR200469891Y1 (ko) 자동차 흙받이
EP1457406A2 (en) Reservoir with an integrated bracket
WO2007010165A2 (fr) Ensemble d'absorption d'energie, notamment pour un pare-chocs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ensemble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JPS598912Y2 (ja) 衝撃吸収バンパ構造
KR200362995Y1 (ko) 롤러가 부착된 차량용 범퍼
KR20110085565A (ko) 자동차용 리어 휠아치부의 차체구조
KR100483189B1 (ko) 도로용 엘형측구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100773333B1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WO2010056018A3 (ko) 도로의 가드레일
CN109050447A (zh) 通过弹性件转向的机械高效缓冲装置
KR101710955B1 (ko) 오프로드 주행성능이 개선된 캠핑 트레일러
CN208498428U (zh) 应用于汽车的缓冲设备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KR200156279Y1 (ko) 충격 흡수용 견인장치
KR200425904Y1 (ko) 차량 완충안전봉
KR200201598Y1 (ko) 차량 충격흡수대
KR100526788B1 (ko) 자동차의 와이퍼 결합구조
KR100507646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101055119B1 (ko) 차량의 후방 충격 분산구조
KR200155469Y1 (ko) 차량용 전면범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