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29Y1 -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29Y1
KR200457329Y1 KR2020090014983U KR20090014983U KR200457329Y1 KR 200457329 Y1 KR200457329 Y1 KR 200457329Y1 KR 2020090014983 U KR2020090014983 U KR 2020090014983U KR 20090014983 U KR20090014983 U KR 20090014983U KR 200457329 Y1 KR200457329 Y1 KR 200457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ar wheels
brake lever
han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75U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에스앤티
Priority to KR2020090014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2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보행보조기를 잡고 내리막 길 등을 보행할 때 이의 속도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핸드브레이크장치(50)는;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단부를 핸들(40)의 상측 단부에 각각 축브래킷(52L)(52R)을 통해 축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되, 파지부위가 핸들(40)의 상측 단부에서 전방에 위치되게 장착된 브레이크레버(51)와; 양단은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 부위에 각각 축(56b)(56c)결합되도록 밴딩되어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 단부는 각각 한쌍의 후륜(11L)(11R) 직상부를 향하도록 연장된 마찰단부(56d)(56e)로 이루어져 쌍의 후륜(11L)(11R) 상면과 마찰할 수 있는 제동플레이트(56)와; 상단은 브레이크레버(5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에 고정되어, 브레이크레버(51)가 핸들(40)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를 상측으로 끌어당겨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가 한쌍의 후륜(11L)(11R) 상면에 마찰되게 하는 와이어(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보조기, 핸드브레이크, 실버카, 후륜, 핸들

Description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A WALKING ASSISTANT APPARATUS WITH HAND-BREAK DEVICE}
본 고안은 보행이 어렵거나 불편한 노약자들이 경제적 부담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보조기를 잡고 내리막 길 등을 보행할 때 속도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신체 장애우들은 혼자서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구로는 지팡이나 보행기, 또는 전동 휠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팡이와 보행기는 사용자의 팔과 다리의 힘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체력이 약한 노인들이나 장애우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다. 또한, 지팡이나 보행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가 개시되어 있다. 전동 휠체어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작동되므로 체력 소모가 덜하고 행동 반경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통상의 전동 휠체어는 상당히 고가이며 사용자의 작동이나 운전 미숙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보행이 어렵거나 불편한 노약자들이 경제적 부담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일명, 실버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실버카라고 불리우는 보행보조기는 접이식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상부에는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가벼운 걷기 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보행보조기의 핸들을 잡고 몸을 지탱하면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이식 프레임의 중앙부위에는 각종 소지품이나 휴대용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와, 정차한 상태에서 앉아 쉴 수 있도록 시트판이 마련된 보행보조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행보조기의 경우 평지에서는 핸들을 잡고 밀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데, 내리막 길을 갈 때에는 내려가는 속도를 안전하게 줄일 수 없어 오히려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행보조기를 잡고 내리막 길 등을 보행할 때 이의 속도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 중앙부위에 배치된 시트부위에 앉아 쉬는 경우 신체적인 접촉에 의해 핸드브레이크장치가 작동하여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쌍의 전방 보강대와 후방 보강대가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기본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전방 보강대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전륜과, 상기 한쌍의 후방 보강대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후륜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중앙부위에 마련되며 물건 수납을 위한 가방과 시트판이 배치되는 좌판프레임과,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핸들과, 상기 한쌍의 후륜을 제동할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핸드브레이크장치가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단부를 상기 핸들의 상측 단부에 각각 축브래킷을 통해 축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되, 파지부위가 상기 핸들의 상측 단부에서 전방에 위치되게 장착된 브레이크레버와; 양단은 상기 한쌍의 후방 보강대 하단 부위에 각각 축결합되도록 밴딩되어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한쌍의 후륜 직상부를 향하도록 연장된 마찰단부로 이루어져 상기 한쌍의 후륜 상면과 마찰할 수 있는 제동플레이트와; 상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중심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레버가 상기 핸들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중심부위를 상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마찰단부가 상기 한쌍의 후륜 상면에 마찰되게 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핸드브레이크장치가 일측 단부는 상기 후방 보강대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중심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레버를 놓는 경우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마찰단부가 상기 후륜에서 분리되도록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중심부위를 끌어당기는 인장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브레이크를 갖춘 보행보조기에 의하면; 노약자가 보행보조기의 핸들을 잡고 밀면서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내리막 길 등을 보행할 때 핸드브레이크장치의 브레이크레버를 잡아 당기면 한 쌍의 후륜이 제동됨으로써 이의 속도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핸들 바로 앞에 배치된 브레이크레버를 적절하게 후방으로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 후륜이 제동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의하면; 본체프레임 중앙부위에 배치된 시트판에 사용자가 앉아 쉬는 경우에는 핸들이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때에도 자연스럽게 사용자 등쪽이 브레이크레버를 밀어 작동시킴으로써 후륜이 제동되어 보다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핸드브레이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구성 설명>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와 후방 보강대(22L)(22R)가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기본골격을 이루는 본체 프레임(20)과,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전륜(10L)(10R)과,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후륜(11L)(11R)과, 본체 프레임(20)의 중앙부위에 마련되는 좌판프레임(23)과,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20)에 각각 연결된 핸들(40)과, 이 핸들(40)을 잡고 밀면서도 한 쌍의 후륜(11L)(11R)을 용이하게 제동할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50)를 갖추고 있다.
본체 프레임(20)은 금속 파이프를 밴딩하여 좌우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와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접이식 링크부재를 통해 접철식으로 조립되어 보행보조기의 기본 골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 하단에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전륜(10L)(10R)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에도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후륜(11L)(11R)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후륜(11L)(11R) 회전축이 장착되는 중심부위, 즉 허브에는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13)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후방 보강대(22L)(22R)의 하단부위에는 걸림홈(13)들을 통해 보행보조기를 주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파킹브레이크레버(60)가 장착되어 있다. 즉, 파킹브레이크레버(60)의 양측 단부는 후방 보강대(22L)(22R)의 하단부위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풋패달(6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파킹브레이크레버(60)의 양측 단부를 하측으로 내려 후륜(11L)(11R)의 걸림홈(13)에 걸리도록 하면, 후륜(11L)(11R)의 전후방향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보조기를 주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보행보조기를 밀고 가기 위해서는 풋패달(61)을 통해 파킹브레이크레버(60)를 들어 올려 파킹브레이크레버(60)의 양측 단부를 후륜(11L)(11R)의 걸림홈(13)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그리고 좌판프레임(23) 역시 본체프레임(20)의 중앙부위에 접철식으로 장착되는데, 이를 펼친 상태에서는 물건 수납을 위한 가방(30)과 함께 시트판(31)을 수평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 등은 좌판프레임(23) 상부에 배치된 시트판(31)에 앉아 보행보조기를 휴식용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킹브레이크레버(60)를 통해 후륜(11L)(11R)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40)은 원형 단면을 갖는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제작되며, 양측단부가 본체프레임(20)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40)을 펼친상태에서 중앙부위를 잡고 보행보조기를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핸드브레이크장치(50)는 간단한 조작으로 후방 보강대(22L)(22R)에 각각 장착된 한쌍의 후륜(11L)(11R)을 제동하여 보행보조기를 안전하게 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핸들(40)의 상단부위에 장착된 브레이크레버(51)와,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부위에 양단이 장착되어 후륜(11L)(11R)과 선택적으로 마찰하는 제동플레이트(56)와, 브레이크레버(56)의 조작으로 제동플레이트(56)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어(54) 등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브레이크레버(51)는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단부가 핸들(40)의 상측단부에 각각 축브래킷(52L)(52R)을 통해 축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브레이크레버(51)의 중앙부위, 즉 파지부위가 핸들(40)의 상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장착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브레이크레버(51)의 중앙부위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시트판(31)에 앉아 휴식을 취할 때 사용자의 등에 의해 밀려 브레이크 레버(51)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브레이크레버(51)의 일측 단부는 평상 시 핸들(40) 상단부위에 장착된 스톱퍼(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브레이크레버(51)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제 위치를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동플레이트(56)는 양단이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부위에 각각 축(56b)(56c)결합되도록 밴딩되어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 단부는 한쌍의 후륜(11L)(11R) 직상부를 향하도록 연장된 마찰단부(56d)(56e)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쌍의 후륜(11L)(11R) 상면과 마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동플레이트(56)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어(54)는 상단이 브레이크레버(5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은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레버(51)가 핸들(40)측으로 당겨져 회전되는 경우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를 상측으로 끌어당겨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가 한쌍의 후륜(11L)(11R) 상면에 마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레버(51)를 놓으면, 제동플레이트(56)를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인장스프링(57)이 후방 보강대(22L)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인장스프링(57)의 일측단부는 후방 보강대(22L)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이의 타측단부는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레버(51)를 놓는 경우 인장스프링(57)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를 끌어당겨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를 후륜(11L)(11R)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핸드브레이크장치 작동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핸드브레이크장치 사용 상태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드브레이장치(50)의 브레이크레버(51)를 잡고 이를 핸들(40)측으로 끌어당기면(도 3과 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와이어(54)가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를 상측으로 끌어 올린다.
이로 인해, 양단이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부위에 축(56b)(56c)결합된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는 인장스프링(57)을 인장시키면서 상측으로 끌어 올려짐과 동시에,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후륜(11L)(11R)의 직상부를 눌러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행보조기의 핸들(40)을 잡고 내리막 길 등을 보행할때 핸드브레이크장치(50)의 브레이크레버(51)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이의 주행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레버(51)를 다시 놓으면, 인장스프링(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가 다시 아래측으로 내려오면서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는 상측으로 회동하여 후륜(11L)(11R)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브레이크레버(51) 역시 스톱퍼(53)와 닿을때까지 전방으로 회동하여 초기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의 시트판(31)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경우 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핸들(40)이 등받이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을 핸들(40)측으로 기대면, 자연스럽게 핸드브레이크장치(50)의 브레이크레버(51)가 핸들(40)측으로 스윙된다. 이에 따라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가 후륜(11L)(11R) 상부를 압박하여 제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L,10R..전륜 11L,11R..후륜
20..본체프레임 21L,21R..전방 보강대
22L,22R..후방 보강대 40..핸들
50..핸드브레이크장치 51..브레이크레버
54..와이어 56..제동플레이트
60..파킹브레이크레버

Claims (2)

  1. 삭제
  2.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와 후방 보강대(22L)(22R)가 접철식으로 마련되어 기본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20)과, 상기 한쌍의 전방 보강대(21L)(21R)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전륜(10L)(10R)과, 상기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후륜(11L)(11R)과,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중앙부위에 마련되며 물건 수납을 위한 가방(30)과 시트판(31)이 배치되는 좌판프레임(23)과,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본체프레임(20)에 각각 연결된 핸들(40)과, 상기 한쌍의 후륜(11L)(11R)을 제동할 수 있는 핸드브레이크장치(50)를 갖춘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핸드브레이크장치(50)는;
    금속파이프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단부를 상기 핸들(40)의 상측 단부에 각각 축브래킷(52L)(52R)을 통해 축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되, 파지부위가 상기 핸들(40)의 상측 단부에서 전방에 위치되게 장착된 브레이크레버(51)와;
    양단은 상기 한쌍의 후방 보강대(22L)(22R) 하단 부위에 각각 축(56b)(56c)결합되도록 밴딩되어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한쌍의 후륜(11L)(11R) 직상부를 향하도록 연장된 마찰단부(56d)(56e)로 이루어져 상기 한쌍의 후륜(11L)(11R) 상면과 마찰할 수 있는 제동플레이트(56)와;
    상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5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레버(51)가 상기 핸들(40)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를 상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가 상기 한쌍의 후륜(11L)(11R) 상면에 마찰되게 하는 와이어(54)와;
    일측 단부는 상기 후방 보강대(22L)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레버(51)를 놓는 경우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마찰단부(56d)(56e)가 상기 후륜(11L)(11R)에서 분리되도록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제동플레이트(56)의 중심부위(56a)를 끌어당기는 인장스프링(5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KR2020090014983U 2009-11-19 2009-11-19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KR200457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83U KR200457329Y1 (ko) 2009-11-19 2009-11-19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83U KR200457329Y1 (ko) 2009-11-19 2009-11-19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75U KR20110005175U (ko) 2011-05-25
KR200457329Y1 true KR200457329Y1 (ko) 2011-12-15

Family

ID=4556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83U KR200457329Y1 (ko) 2009-11-19 2009-11-19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5A (ko) * 2017-08-09 2019-02-19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43282B1 (ko) * 2019-07-03 2019-11-11 김영태 보행보조기
WO2020045692A1 (ko) * 2018-08-27 2020-03-05 유영배 안전 휠체어 장치
KR102179942B1 (ko) * 2019-05-15 2020-11-17 신병권 스마트 보행기
US11648170B1 (en) * 2019-07-16 2023-05-16 Wheelie Llc Brake system for assistive mobilit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30B1 (ko) * 2020-12-30 2021-09-14 주식회사 월드케어 보행보조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046A (ja) * 1997-07-04 1999-02-16 Satsuki:Kk シルバーカ
JP2002211409A (ja) 2001-01-19 2002-07-31 Satsuki:Kk 手押し車用制動装置
KR100817723B1 (ko)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046A (ja) * 1997-07-04 1999-02-16 Satsuki:Kk シルバーカ
JP2002211409A (ja) 2001-01-19 2002-07-31 Satsuki:Kk 手押し車用制動装置
KR100817723B1 (ko)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5A (ko) * 2017-08-09 2019-02-19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56000B1 (ko) 2017-08-09 2019-03-08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WO2020045692A1 (ko) * 2018-08-27 2020-03-05 유영배 안전 휠체어 장치
KR102179942B1 (ko) * 2019-05-15 2020-11-17 신병권 스마트 보행기
KR102043282B1 (ko) * 2019-07-03 2019-11-11 김영태 보행보조기
WO2021002638A1 (ko) * 2019-07-03 2021-01-07 김영태 보행보조기
US11648170B1 (en) * 2019-07-16 2023-05-16 Wheelie Llc Brake system for assistive mobil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75U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29Y1 (ko)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EP2844208B1 (en) Sitting assembly
US7540527B2 (en) Mobile support assembly
JP4163731B2 (ja) 歩行器
KR200456241Y1 (ko)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WO2014081366A1 (en) Vehicle with a driving device that engages when the operator sits
JP5048311B2 (ja) 車椅子
KR101342962B1 (ko) 접이형 보행보조 기구
JP5459889B1 (ja) 歩行機具
JP4105731B2 (ja)
JP2006068087A (ja) 走行用補助車
US6578860B1 (en) Dual function wheelchair
JP3033342U (ja) 歩行補助車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JP2016022836A (ja) 手押し車
JP6368539B2 (ja) 位置調節機構
JP3123886B2 (ja) 歩行補助車
JP4573414B2 (ja) 手押し車用制動装置
JP3072460B2 (ja) 車椅子
JP3245054U (ja) 乗り物
KR20090098369A (ko)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JP3061180U (ja) 走行車のブレ―キ機構
JPH0316657Y2 (ko)
JP2007269159A (ja) 手押し車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