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696Y1 -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696Y1
KR200455696Y1 KR2020090011282U KR20090011282U KR200455696Y1 KR 200455696 Y1 KR200455696 Y1 KR 200455696Y1 KR 2020090011282 U KR2020090011282 U KR 2020090011282U KR 20090011282 U KR20090011282 U KR 20090011282U KR 200455696 Y1 KR200455696 Y1 KR 200455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rod
joint rod
bal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58U (ko
Inventor
김형래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1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9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탈방지돌기 및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볼 핀의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와 조인트 로드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연결고정됨과 동시에,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결합방향이 일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가지고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구비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측 중공부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로드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조인트부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인트 로드 하우징;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조인트부에 결합고정되며, 볼 핀의 볼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볼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볼 소켓; 그리고 상기 조인트부와 볼 소켓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면은 상기 볼 소켓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연장부에 밀착 지지되어 중앙부가 수직방향으로 연통형성되며, 상기 볼 핀의 볼이 상기 볼 소켓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를 가지는 볼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초음파 융착

Description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Joint rod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탈방지돌기 및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로드의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와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연결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결합방향성이 일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중앙에 배치된 로드의 양측에 조인트 로드 하우징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차량의 하체에 연결된 볼 핀과 차체의 진동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에 연결된 볼 핀에 조인트 로드 하우징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로드의 양측에 연결된 조인트 로드 하우징에 있어서, 일측 조인트 로드 하우징에 차량 측에 연결된 볼 핀의 볼이 연결되고, 타측 조인트 로드 하우징에 센서 어셈블리에 연결된 볼 핀의 볼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로드는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구비되어 양측에 각각 조인트 로드 하우징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조인트 로드 하우징은 내측에 볼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볼 소켓의 중앙부에는 상기 차체 및 센서 어셈블리로부터 연결된 볼 핀의 볼이 각각 결합되어 차체의 움직임을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통하여 센서 어셈블리에 전달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로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조인트 로드 하우징이 단순한 억지끼움 방식의 삽입 연결고정된 것으로, 장기간 사용시 로드로부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연결부에 유동이 발생하거나 조인트 로드 하우징과 로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측 조인트 로드 하우징에 결합된 볼 핀의 볼에 의한 작용하중이 타측 조인트 로드 하우징에 결합된 볼 핀의 볼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차체 측의 작용하중을 센서 어셈블리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실정이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볼 소켓에 결합된 볼 핀의 볼이 볼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로드와 조인트 로드 하우징과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볼 핀의 볼과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탈방지돌기 및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로드의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와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연결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결합방향성이 일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볼 소켓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에 융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밀착되는 조인트부 내면 밀착부에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을 형성함으로써 볼 지지구, 볼 소켓이 조인트부에 견고히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가지고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구비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측 중공부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로드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조인트부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인트 로드 하우징;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조인트부에 결합고정되며, 볼 핀의 볼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볼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볼 소켓; 그리고 상기 조인트부와 볼 소켓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면은 상기 볼 소켓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연장부에 밀착 지지되어 중앙부가 수직방향으로 연통형성되며, 상기 볼 핀의 볼이 상기 볼 소켓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를 가지는 볼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볼 지지구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볼 핀의 볼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 핀의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의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는 내면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 소켓 및 볼 지지구가 상기 결합홈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소켓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볼 지지구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단턱에는 융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밀착되는 상기 조인트부의 내면 밀착부에는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이 형성되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볼 소켓이 조인트부에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은 상기 로드가 삽입고정된 후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외주로부터 중앙으로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상하방향으로부터 중앙으로 함몰되어 상하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탈방지돌기 및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로드의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드와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연결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연결부의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양측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볼 핀의 결합방향성이 일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결합될 수 있으며, 로드가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연결부에 견고히 연결고정될 수 있다.
셋째, 볼 소켓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에 융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밀착되는 조인트부 내면 밀착부에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초음파 융착에 의해 볼 지지구, 볼 소켓이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조인트부에 견고히 결합고정될 수 있다.
넷째, 결합홈,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볼 지지구, 볼 소켓의 조립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요부인 볼 소켓의 초음파 융착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에서 로드의 단부가 고정홈에 코킹(caulking) 처리되고, 볼 핀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는 로드(100), 조인트 로드 하우징, 볼 소켓 그리고 볼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드(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은 상기 로드(100)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 및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으로 제 공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볼 소켓 및 볼 지지구는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에 대응되는 제1 볼 소켓(230), 제1 볼 지지구(240) 그리고 상기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에 대응되는 제2 볼 소켓(330), 제2 볼 지지구(3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은 제1 조인트부(210) 및 제1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220)는 상기 로드(100)의 중공부(110)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22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조인트부(210)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조인트부(210)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되, 하측 개방부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측 개방부는 상기 제1 볼 지지구(240)가 삽입되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 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220)는 상기 제1 조인트부(210)의 외면 일측에 축 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조인트부(21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220)는 외주 면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함몰형성된 고정홈(221, 221')을 가지며, 상기 고정홈(221, 221')은 상기 제1 연결부(2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로드(100)가 연결된 후 상기 로드(10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즉 상기 고정홈(221, 221')과 대응되는 부분을 코킹(Caulking) 처리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로드(100)와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의 연결상태 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220)의 고정홈(221, 221')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수직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홈(221)과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221')으로 상하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21, 2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드(100)가 제1 연결부(220)에 견고히 연결고정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과 로드(100)의 연결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볼 소켓(230)은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의 제1 조인트부(210)에 결합고정되며, 볼 핀(500)의 볼(5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볼(510)이 삽입되는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237)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볼 소켓(230)은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237)를 통과한 후 상기 볼(510)이 수용되는 수용홈(238)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하단에 외향 절곡된 절곡부(2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233)는 상기 제1 조인트부(210)에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결합시 상기 제1 조인트부(210)의 하단 테두리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볼 지지구(240)는 상기 제1 조인트부(210)와 제1 볼 소켓(2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개구부(237) 테두리 단부에 밀착고정되어 중앙부가 수직방향으로 연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볼 지지구(240)는 상기 볼 핀(500)의 볼(510)이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수용홈(23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 수직 하방 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이탈방지돌기(243)는 상기 볼 핀(500)의 볼(510)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510)의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510)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조인트부(210), 제1 볼 소켓(230) 및 제1 볼 지지구(240)는 상호 간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211), 제1 결합돌기(231) 및 제2 결합돌기(2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부(210)는 내면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211)과 대응되는 제1 결합돌기(23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돌기(231)는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길이만큼은 상기 제2 결합돌기(241)와 대응되는 안착홈(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볼 지지구(240)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211)과 대응되는 제2 결합돌기(24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211), 제1 결합돌기(231) 및 제2 결합돌기(241)가 구비됨으로써 제1 조인트부(210)에 제1 볼 소켓(230) 및 제1 볼 지지구(240)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결합홈(211)에 상기 제1 결합돌기(231) 및 제2 결합돌기(241)가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볼 소켓(230)은 상기 제1 조인트부(210)와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절곡부(233)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에 대하여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235)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35) 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융착돌기(2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볼 소켓(230)의 단턱(235)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조인트부(210)의 내면 밀착부(215)에는 상기 융착돌기(235)와 대응되는 융착홈(2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융착돌기(235) 및 융착홈(216)에 의해 상기 제1 볼 소켓(230)이 상기 제1 조인트부(210)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볼 소켓(230)이 상기 제1 조인트부(210)에 견고히 결합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은 제2 조인트부(310) 및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320)는 상기 로드(100)의 중공부(110)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320)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조인트부(310)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조인트부(310)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되, 상측 개방부는 전면이 개방되고 하측 개방부는 상기 제2 볼 지지구(340)가 삽입되어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 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3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320)는 상기 제2 조인트부(310)의 외면 일측에 축 상 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조인트부(31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20)는 외주 면으로부터 중앙 측으로 함몰형성된 고정홈(321, 321')을 가지며, 상기 고정홈(321, 321')은 상기 제2 연결부(3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로드(100)가 연결된 후 상기 로드(10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즉 상기 고정홈(321, 321')과 대응되는 부분을 코킹(Caulking) 처리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로드(100)와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320)의 고정홈(321, 321')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수직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홈(321)과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321')으로 상하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321, 3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드(100)가 제2 연결부(320)에 견고히 연결고정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상기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과 로드(100)의 연결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볼 소켓(330)은 상기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의 제2 조인트부(310)에 결합고정되며, 볼 핀(700)의 볼(7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볼(710)이 삽입되는 하측이 개방된 개구부(337)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볼 소켓(330)은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337)를 통과한 후 상기 볼(710)이 수용되는 수용홈(338)이 형성되며, 테두리부 하단에 외향 절곡된 절곡부(3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333)는 상기 제2 조인트부(310)에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결합시 상기 제2 조인트부(310)의 상단 테두리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볼 지지구(340)는 상기 제2 조인트부(310)와 제2 볼 소켓(3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개구부(337) 테두리 단부에 밀착고정되어 중앙부가 수직방향으로 연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볼 지지구(340)는 상기 볼 핀(700)의 볼(710)이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수용홈(33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 수직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이탈방지돌기(343)는 상기 볼 핀(700)의 볼(710)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710)의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710)의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조인트부(310), 제2 볼 소켓(330) 및 제2 볼 지지구(340)는 상호 간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311), 제1 결합돌기(331) 및 제2 결합돌기(3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인트부(310)는 내면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결합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311)과 대응되는 제1 결합돌기(33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돌기(331)는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은 상기 제2 결합돌기(341)와 대응되는 안착 홈(3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볼 지지구(340)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311)과 대응되는 제2 결합돌기(34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311), 제1 결합돌기(331) 및 제2 결합돌기(341)가 구비됨으로써 제2 조인트부(310)에 제2 볼 소켓(330) 및 제2 볼 지지구(340)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결합홈(311)에 상기 제1 결합돌기(331) 및 제2 결합돌기(341)가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 측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나,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300)은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과 상하방향 대칭되는 구성이므로, 제1 볼 소켓(230) 측의 구성과 대응되는 제2 볼 소켓(330)의 융착돌기(335), 밀착부(315), 융착홈(316), 단턱(335)의 구성을 병기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볼 소켓(330)은 상기 제2 조인트부(310)와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절곡부(333)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에 대하여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335)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335) 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융착돌기(3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볼 소켓(330)의 단턱(335)과 대응되는 상기 제2 조인트부(310)의 내면 밀착부(315)에는 상기 융착돌기(335)와 대응되는 융착홈(3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융착돌기(335) 및 융착홈(316)에 의해 상기 제2 볼 소켓(330)이 상기 제2 조인트부(310)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볼 소켓(330)이 상기 제2 조인트부(310)에 견고히 결합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되는 상기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과 제2 조인트 로드하우징(300)은 고정홈(221, 221', 321, 321')이 상하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볼 핀(500, 700)의 결합방향이 각각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며, 결합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연결부(220) 및 제2 연결부(320)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고정홈(221, 221', 321, 321')을 형성함으로써 제1 조인트부(210) 및 제2 조인트부(310)에 결합되는 볼 핀(500, 700)의 결합방향성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직 상하 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결합될 수 있으며, 로드(100)와 제1 및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200, 300)이 견고히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의 요부인 볼 소켓의 초음파 융착 부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에서 로드의 단부가 고정홈에 코킹(caulking) 처리되고, 볼 핀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드 110: 중공부
200: 제1 조인트 로드 하우징 210: 제1 조인트부
220: 제1 연결부 230: 제1 볼 소켓
240: 제1 볼 지지구 300: 제2 조인트 로드 하우징
310: 제2 조인트부 320: 제2 연결부
330: 제2 볼 소켓 340: 제2 볼 지지구
500, 700: 볼 핀 510, 710: 볼

Claims (5)

  1. 일정길이를 가지고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구비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측 중공부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로드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 조인트부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인트 로드 하우징;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의 조인트부에 결합고정되며, 볼 핀의 볼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기 볼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볼 소켓; 그리고
    상기 조인트부와 볼 소켓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면은 상기 볼 소켓에 밀착 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연장부에 밀착 지지되어 중앙부가 수직방향으로 연통형성되며, 상기 볼 핀의 볼이 상기 볼 소켓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를 가지는 볼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지지구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볼 핀의 볼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볼 핀의 결합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의 중앙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내면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 소켓 및 볼 지지구가 상기 결합홈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소켓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볼 지지구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단턱에는 융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과 밀착되는 상기 조인트부의 내면 밀착부에는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이 형성되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볼 소켓이 조인트부에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로드 하우징은 상기 로드가 삽입고정된 후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외주로부터 중앙으로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상하방향으로부터 중앙으로 함몰되어 상하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KR2020090011282U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KR200455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82U KR200455696Y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82U KR200455696Y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58U KR20110002258U (ko) 2011-03-08
KR200455696Y1 true KR200455696Y1 (ko) 2011-09-21

Family

ID=4420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82U KR200455696Y1 (ko) 2009-08-28 2009-08-28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6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31B1 (ko) * 2021-11-29 2023-05-10 주식회사 팸텍 스위블 조인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9391B (zh) * 2022-04-01 2024-02-09 晋江市立新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配套于汽车底盘的球销座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17A (ja) 1982-07-16 1984-01-28 Tokico Ltd ボ−ルジヨイント
JPH06272710A (ja) * 1993-03-19 1994-09-27 Nifco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14246A (ja) * 1994-06-29 1996-01-16 Showa:Kk ボールジョイント
JPH1047336A (ja) * 1996-08-01 1998-02-17 Showa:Kk ボール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17A (ja) 1982-07-16 1984-01-28 Tokico Ltd ボ−ルジヨイント
JPH06272710A (ja) * 1993-03-19 1994-09-27 Nifco Inc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14246A (ja) * 1994-06-29 1996-01-16 Showa:Kk ボールジョイント
JPH1047336A (ja) * 1996-08-01 1998-02-17 Showa:Kk ボールジョイ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31B1 (ko) * 2021-11-29 2023-05-10 주식회사 팸텍 스위블 조인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58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38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KR20070011116A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KR200455696Y1 (ko)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JP2015060730A (ja) コネクタ端子構造
KR101188872B1 (ko)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US6290264B1 (en) Piping structure
WO2019093298A1 (ja) コネクタ
JP5703982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WO2015174484A1 (ja) リザーバタンク
JP5745921B2 (ja) インサート成形コネクタ
CN105790010A (zh) 一种射频连接器及其制作工艺
KR200264758Y1 (ko) 가방끈걸이
EP2927719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CN218949323U (zh) 一种汽车的新型前轮罩总成
KR200400411Y1 (ko) 관체 연결용 카트리지
CN216958794U (zh) 单针卡口灯头
JP3202464U (ja) ボールジョイント
CN215724101U (zh) 一种液体加热器
KR20130009063A (ko) 결합체결이 간편한 내진용 배관이음용 커플링
WO2020145264A1 (ja) ソケット装置
JP3086602U (ja) ケーブルコネクタモジュール
TW202147682A (zh) 無線通訊裝置及其彎折天線
TWI427881B (zh) 線纜連接組件
JP2006144945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固定構造
KR200344629Y1 (ko)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