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29Y1 -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29Y1
KR200344629Y1 KR20-2003-0038634U KR20030038634U KR200344629Y1 KR 200344629 Y1 KR200344629 Y1 KR 200344629Y1 KR 20030038634 U KR20030038634 U KR 20030038634U KR 200344629 Y1 KR200344629 Y1 KR 200344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llet
pipe
support portion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용
Original Assignee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8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Abstract

본 고안은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지지부와 상기 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이 상기 관지지부에 연통하도록 수용되는 관연결부를 구비한 바디부와, 하부영역에 복수의 탄성날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내표면에는 고정날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는 콜레트와, 상기 콜레트가 삽입 지지되는 관형상의 콜레트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콜레트지지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를 향하는 인장력이 인가될 때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콜레트지지부에 삽입된 콜레트와 상호 작용하는 연결캡을 갖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걸림판부와 단부영역이 날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판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의 자유단을 향해 절곡 형성된 고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에 가압 접촉하도록 상기 관연결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고주파 유전가열방식에 따른 바디부와 연결캡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연결구{Pipe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 상호간 또는 관구를 갖는 다른 조립체에 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관은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2000년 특허출원 제5711호(발명의 명칭 : 튜브관 연결밸브의 바디멤버와 캡멤버 접착방법)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연결구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이고, 도8은 도7의 콜레트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관연결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바디부(111)와, 바디부(111)에 수용된 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는 콜레트(Collet, 130)와, 바디부(111)와 콜레트(130)사이에 개재하는 관형상의 연결캡(120)을 갖고 있다.
바디부(111)는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관지지부(111)와, 관지지부(111)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연결부(112)를 갖고 있다.
관지지부(111)는 내경이 관(101)의 외경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연결부(112)는 내경이 관의 외경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캡스토퍼턱(112a)과 링스토퍼턱(11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연결부(112)의 내표면 외측단에는 도피홈(112c)이 형성되어 있다.
콜레트(130)는 원형단면형상의 헤드부(131)와, 헤드부(131)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날개부(132)를 갖고 있다.
탄성날개부(132)는 하부영역에 다수의 탄성날개(133)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있다. 각 탄성날개(133)의 저부 외표면에는 걸림턱(134)이 돌출 형성되고, 각 탄성날개(133)의 저부 내표면에는 금속재질의 고정날(135)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연결캡(120)은 내표면에 경사면(121)이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 결합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연결구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링(141)이 링스토퍼턱(112b)에 접촉하도록 연결관부(112)에 장착한 후, 결합플랜지(122)가 연결관부(112)의 종단에 접촉하도록 연결캡(120)을 연결관부(112)의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에 고주파 유전가열 방식에 따라 연결캡(120)을 연결관부(112)에 융착 결합시킨다. 고주파유전가열시 발생하는 용융물은 부분적으로 도피홈(112c)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탄성날개(133)를 중앙으로 모은 상태에서 콜레트(130)를 연결캡(120)을 통해 연결관부(112)의 내부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관(101)을 콜레트(130)를 통해 연결관부(112)에 삽입한다. 이 때 관(101)의 삽입동작은 종단이 오링(141)을 통과하여 관지지부(111)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한다.
연결관부(112)에 관(101)이 삽입되는 동안, 탄성날개(133)들은 걸림턱(134)이 연결캡(120)의 경사면(121)에 접촉할 때까지 벌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관연결구에 연결된 관에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인가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관(101)에 인가될 때 연결캡(120)은 바디부(111)와의 융착결합력에 의해, 콜레트(130)는 걸림턱(134)과 연결캡(120)의 경사면(121)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각각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캡(120)과 콜레트(130)가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관(101)에 인가될 때 콜레트(130)의 고정날(135)이 관(101)의 외표면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관(101)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관연결구에 따르면, 연결캡(120)은 고주파 유전가열을 통한 융착 결합방식으로 바디부(111)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고주파 유전가열시 발생하는 용융물에 의해 바디부(111)와 연결캡(120)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고, 조립공정의 자동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캡을 바디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키도록 한 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연결캡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콜레트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
도7은 종래의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
도8은 도7의 콜레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바디부 11 : 관지지부
12 : 연결관부 20, 120 : 연결캡
21 : 콜레트지지부 22 : 걸림판부
23 : 고정판부 24 : 가이드부
30, 130 : 콜레트 31, 131 : 헤드부
32, 132 : 탄성날개부 33, 133 : 탄성날개
34, 134 : 걸림턱 35, 135 : 고정날
41, 141 : 오링 122 : 결합플랜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지지부와 상기 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이 상기 관지지부에 연통하도록 수용되는 관연결부를 구비한 바디부와, 하부영역에 복수의 탄성날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내표면에는 고정날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는 콜레트와, 상기 콜레트가 삽입 지지되는 관형상의 콜레트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콜레트지지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를 향하는 인장력이 인가될 때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콜레트지지부에 삽입된 콜레트와 상호 작용하는 연결캡을 갖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걸림판부와 단부영역이 날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판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의 자유단을 향해 절곡 형성된 고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에 가압 접촉하도록 상기 관연결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콜레트를 연결캡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캡은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캡의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 상기 고정판부와의 접촉영역에는 고리상의 이탈방지턱 또는 이탈방지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연결캡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콜레트의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조립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바디부(11)와, 바디부(11)에 수용된 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된 콜레트(30)와, 바디부(11)와 콜레트(30)사이에 개재하는 관형상의 연결캡(20)을 갖고 있다.
바디부(11)는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관지지부(11)와, 관지지부(11)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관연결부(12)를 갖고 있다.
관지지부(11)는 내경이 관(101)의 외경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연결부(12)는 내경이 관의 외경보다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링스토퍼턱(12a)이 형성되어 있다.
콜레트(30)는 원형단면형상의 헤드부(31)와, 헤드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날개부(32)를 갖고 있다.
탄성날개부(32)는 하부영역에 다수의 탄성날개(33)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있다. 각 탄성날개(33)의 저부 외표면에는 걸림턱(34)이 돌출 형성되고, 각 탄성날개(33)의 저부 내표면에는 고정날(35)이 탄성날개(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캡(20)은 관형상의 콜레트지지부(21)와, 콜레트지지부(21)의 하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콜레트지지부(2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걸림판부(22) 및 가이드부(24)와, 걸림판부(22)로부터 상향 절곡된 고정판부(23)를 갖고 있다.
고정판부(23)는 단부영역이 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링(41)이 링스토퍼턱(12a)에 접촉하도록 연결관부(12)에 장착한다.
다음에 고정판부(23)가 관연결부(12)의 내표면에 가압 접촉하고 콜레트지지부(21)가 바디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결캡(20)을 바디부(11)의 연결관부(12)에 억지끼움한다.
다음에 탄성날개(33)를 중앙으로 모은 상태에서 콜레트(30)를 연결캡(20)의 콜레트지지부(21)를 통해 연결관부(1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 때 가이드부(24)에 의해 콜레트(30)의 삽입동작이 용이해진다.
마지막으로 관(101)을 콜레트(30)를 탄성날개(33)사이로 연결관부(12)에 삽입한다. 이 때 관(101)의 삽입동작은 종단이 오링(41)을 통과하여 관지지부(11)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한다.
연결관부(12)에 관(101)이 삽입되는 동안, 탄성날개(33)들은 걸림턱(34)이 연결캡(20)의 걸림판부(22)에 접촉할 때까지 벌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관연결구에 연결된 관에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인가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관(101)에 인가될 때 고정판부(23)가 연결관부(12)의 내표면에 침투하기 때문에 연결캡(20)은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콜레트(30)는 걸림턱(34)과 연결캡(20)의 경사면(121)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캡(20)과 콜레트(30)가 조립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관(101)에 인가될 때 콜레트(30)의 고정날(35)이 관(101)의 외표면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관(101)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캡(20)을 바디부(11)의 연결관부(1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고주파 유전가열방식에 따른 바디부(11)와 연결캡(20)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판부(23)와 연결관부(12)사이의 접촉영역에 연결캡(20)의 이탈방지를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연결부(12)의 내표면 고정판부(23)와의 접촉영역에 고리상의 이탈방지턱(12c)을 형성하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홈(12b)을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디부(11)의 양단에 연결관부(12)를 형성하고 있으나, 일단에 연결관부(12)를 형성하고 타단은 관구를 갖는 다른 조립체에 직접 결합할 수 있는 구조(나사부 등)를 갖도록 바디부를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캡을 바디부의 연결관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고 고주파 유전가열방식에 따른 바디부와 연결캡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지지부와 상기 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이 상기 관지지부에 연통하도록 수용되는 관연결부를 구비한 바디부와, 하부영역에 복수의 탄성날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탄성날개의 저부 내표면에는 고정날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도록 결합되는 콜레트와, 상기 콜레트가 삽입 지지되는 관형상의 콜레트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콜레트지지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관지지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를 향하는 인장력이 인가될 때 상기 관연결부에 수용된 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콜레트지지부에 삽입된 콜레트와 상호 작용하는 연결캡을 갖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걸림판부와 단부영역이 날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판부로부터 상기 관연결부의 자유단을 향해 절곡 형성된 고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부가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에 가압 접촉하도록 상기 관연결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상기 콜레트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 상기 고정판부와의 접촉영역에는 고리상의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의 내표면 상기 고정판부와의 접촉영역에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KR20-2003-0038634U 2003-12-11 2003-12-11 관연결구 KR200344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34U KR200344629Y1 (ko) 2003-12-11 2003-12-11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34U KR200344629Y1 (ko) 2003-12-11 2003-12-11 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29Y1 true KR200344629Y1 (ko) 2004-03-16

Family

ID=4942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34U KR200344629Y1 (ko) 2003-12-11 2003-12-11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79B1 (ko) * 2007-11-05 2009-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트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79B1 (ko) * 2007-11-05 2009-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트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0893B1 (en) Optical fiber locking submount and hermetic feedthrough assembly
CA2368526A1 (en) Fitting or mounting part for establishing a pressed connection with an inserted tube end
EP2171805B1 (en) Right angle type spring connector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US6952859B2 (en) Spring hinge
US7857671B2 (en) Contact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connections
JP2008147094A (ja) 同軸電気コネクタ
JP4772319B2 (ja) ランプ管を固定するための保持装置および片口金形ランプ
KR960002934A (ko) 밀폐형 축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H0526706Y2 (ko)
US20060160415A1 (en) Coup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rmetic seal
KR200344629Y1 (ko) 관연결구
JP3615551B2 (ja) ランプ
US4401359A (en) Integrated wire termination system terminal with fastened retainer
KR960005915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JP4084085B2 (ja) 光通信用コネクタ
US20110241530A1 (en) Electrical lamp having an outer bulb and a built-in lamp
JPH07105250B2 (ja) 整列用ボスを有する集合アセンブリ
KR200289507Y1 (ko) 플라스틱관 결합 구조
JP3553726B2 (ja) 電子部品用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レーザとその製法
KR20190069018A (ko) 초음파센서 조립체
JP2009188217A (ja) レンズ付き蓋体
KR20110002258U (ko) 차량용 조인트 로드 어셈블리
JP2008171883A (ja) レンズ付き蓋体
JP2006009611A (ja) 燃料ポンプユニット用フィルタ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