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12Y1 - 소방차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412Y1
KR200428412Y1 KR2020060018757U KR20060018757U KR200428412Y1 KR 200428412 Y1 KR200428412 Y1 KR 200428412Y1 KR 2020060018757 U KR2020060018757 U KR 2020060018757U KR 20060018757 U KR20060018757 U KR 20060018757U KR 200428412 Y1 KR200428412 Y1 KR 200428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fire
pedestal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식
구성모
Original Assignee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8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좌우 회전동작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완충패드를 가진 받침대와; 수평으로 눕혀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첩동작되고, 이 절첩동작에 의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명등 지지대와; 상기 조명등 지지대에 설치되어 볼스크류 기구에 의해 상승하강되어 조명등의 높이조절을 하는 승강대; 및 상기 조명등의 회전동작, 조명등 지지대의 절첩동작과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이다. 이에 따라 조명등의 안정적인 높이조절과 아울러 그 높이조절에 따른 동작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하여 무선으로도 조명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그 조작위치에 구애받지 않아 더욱 효과적으로 화재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화재진압 또는 사고수습에 더욱 능동적이 될 수 있다.
소방차, 조명장치, 컨트롤러, 볼스크류, 무선, 받침대, 승강대

Description

소방차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 fire engin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 볼스크류
도 3은 본 고안의 컨트롤러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대 11 : 완충패드
20 : 조명등 지지대 30 : 승강대
40 : 볼스크류 기구 50 : 조명등
60 : 컨트롤러 61 : 조명등 회전동작용 조이스틱
62 : 승강대 승강작동용 조이스틱 63 : 조명등 지지대 절첩동작용 버튼
64 : 비상정지 버튼 65 : 조명등 온/오프 버튼
66 : 원점복귀 버튼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차의 지붕에 설치하여 화재 또 는 사고현장에서 사용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대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214059호(2000.8.16.공개)와 제0272616호(2002.04.18.공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화재 또는 사고현장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등을 상하좌우 회전동작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조명등을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텔리스코우프(telescope)식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하여 높이를 조절토록 하는 것이 주요 기술요지이다.
그러나 상기 조명등의 신축작용을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한 텔리스코우프(telescope) 식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동작소음이 크고, 또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조명등의 높이조절을 안정적으로 함과 아울러 동작소음을 최소화하는 한편, 무선으로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소방차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좌우 회전동작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완충패드를 가진 받침대와; 수평으로 눕혀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첩동작되고, 이 절첩동작에 의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명등 지지대와; 상기 조명등 지지대에 설치되어 볼스크류 기구에 의해 상승하강되어 조명등의 높이조절을 하는 승강대; 및 상기 조명등의 회전동작, 조명 등 지지대의 절첩동작과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소방차용 조명장치의 컨트롤러는 버튼과 조이스틱을 포함하되, 상기 조이스틱은 조명등의 회전동작과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상기 버튼은 조명등 지지대의 절첩동작, 상기 동작의 비상정지, 조명등의 온/오프, 조명장치의 원점복귀를 각각 유선제어 또는 RF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명등 지지대의 승강작동용 볼스크류의 기술구성을 나타낸 구조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명장치의 제어박스 형태의 컨트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명장치의 작동상태 개략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소방차용 조명장치는 받침대(10), 이 받침대(10)에 안착되는 조명등 지지대(20), 이 조명등 지지대(20)를 수직으로 세우는 구동모터부(21), 상기 조명등 지지대(20) 안에 설치된 볼스크류 기구(40)에 의해 상승하강되는 승강대(30), 조명등(50), 이 조명등(50)을 상하좌우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51), 상기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와 승강대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그 상부에 조명등 지지대(20)의 안착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드(11)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 지지대(20)는 구동모터부(21)에 의해 수평 으로 눕혀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90°절첩동작되고, 이 절첩동작에 의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받침대(10)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대(30)는 조명등 지지대(20)에 텔리스코우프식(telescope type)으로 설치되어 볼스크류 기구(40)에 의해 승강대(30)가 상승하강 신축되어 조명등(5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명등(50)은 상하좌우로 회전동작되는데, 그 동작범위는 상하로 230°, 좌우로 360°가 바람직하다.
상기 볼스크류 기구(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와 이에 의해 작동되는 볼스크류(42)와 볼스크류 너트(43)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43은 모터케이스, 44는 커플링, 45는 가이드 플랜지, 46은 승강대(30)의 상승하강 동작시 수직도를 유지시켜주는 가이드, 47은 연결볼트이다.
이러한 볼스크류 기구(40)에 의해 일정 높이의 조명등 지지대(20)에 설치된 승강대(30)의 높이의 조절은 종래처럼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한 완전 텔리스코우프식의 운용방식이 아니라 먼저 조명등 지지대(20)로 일정높이를 구현한 다음에 승강대(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운용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처럼 그 높이조절 범위가 짧고, 저소음의 볼스크류식이므로 안정적이고 동작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60)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조명등(50), 조명등 지지대(20), 승강대(3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조명등(50)의 상하좌우 회전동작, 조명등 지지대(20)의 90°절첩동작, 승강대(30)의 상승하강에 의한 텔리스코우프식 신축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그 동작의 한계점은 조명등(50)의 경우, 그 구동모터부(51)에 설치되 는 다수개의 리미트센서(도시안됨)에 의해 상하좌우 동작범위가 정해지고, 조명등 지지대(20)의 경우, 그 하단과 받침대(10) 부위에 설치되는 리미트센서(도시안됨)에 의해 그 동작범위가 정해지며, 승강대(30)의 경우, 조명등 지지대(20)의 상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리미트센서(도시안됨)에 의해 그 동작범위가 정해진다.
상기 컨트롤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조이스틱(61)(62)과 4개의 버튼(63)(64)(65)(66)을 포함하여 원격조종용 제어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유선으로 조작자가 용이하게 유선조작할 수 있는 소방차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설치되거나 또는 조작자가 휴대하여 마이컴에 의한 RF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으로 원격조작할 수 있게 별도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무선 컨트롤러(60)에 의해 휴대하여 무선으로도 원격조작이 가능해지므로 유선과 달리 그 조작위치에 구애받지 않아 더욱 효과적으로 화재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등 회전동작용 조이스틱(61)은 종래처럼 조명등의 상하좌우 회전동작을 자유롭게 조절해주는 장치로써, 다수의 리미트센서가 조명등(50)의 상하좌우 회전방향 및 원점위치를 잡아 제어해준다.
상기 승강대 승강동작용 조이스틱(62)은 승강대(30)가 상하로 작동되도록 그 구동모터부(21)의 구동을 정/역방향으로 조절해주는 조이스틱으로써, 원하는 최고 상향점과 최하 하향점에 도달시에 조명등 지지대(20)의 상하에 설치된 다수개의 리미트센서에 의해 그 위치가 센싱되어 그 승강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조명등 지지대 절첩동작용 버튼(63)은 1차 작동 스위치로써, 작동시 초 기원점위치인 받침대(10)의 완충패드(11)에 인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90°상태로 세워지며, 그 위치는 리미트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조명등(50), 조명등 지지대(20), 승강대(30) 동작의 비상정지 버튼(64)은 일시정지 버튼으로써, 위험상황이나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의 작동시의 오류로 인한 제어가 불가능할 시 모든 회로부의 전원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동작을 그 즉시 멈추게 하는 것이다.
상기 조명등 온/오프용 버튼(65)은 조명등의 온/오프 스위치로써, 조명등에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온/오프 시킨다.
상기 조명장치 원점복귀용 버튼(66)은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의 동작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버튼으로써, 작동시 상기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가 어떤 위치에 있던지 간에 모든 리미트센서가 그 위치를 감안하여 작동시 상기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의 초기 원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물론 조명등(50)도 오프되어 꺼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볼트(70)에 의해 소방차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데, 조작자는 소방차에 설치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명장치의 동작을 유선으로 조작하거나 조명장치의 동작을 잘 살필 수 있도록 휴대한 채로 소방차에서 적절한 거리로 떨어져 위치한 상태에서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 작동시, 초기 원점위치인 초기원점위치인 받침대(10)의 완충패드(11)에 조명등 지지대(20)가 인착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명등 지지대 절첩동작용 버튼(63)을 누르면, 그 구동모터부(21)의 구동모터에 의해 서서히 90°의 수직상태로 세워지는데, 그 수직위치는 리미트센서에 의해 정해진다.
이렇게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화재현장이나 사고현장의 높이나 위치에 따라 승강대 승강작동용 조이스틱(62)을 위로 조작하여 승강대(30)를 그 볼스크류기구(40)의 작동에 의해 상승작동시키거나 조명등 회전동작용 조이스틱(61)을 상하좌우 조작하여 조명등(50)을 그 상하 230°, 좌우 360°범위에서 상하좌우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면 된다.
한편,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의 작동시 갑자기 위험상황이 발생하거나 그 작동시의 오류로 인해 제어가 불가능해 질 경우에는 비상정지 버튼(64)을 눌러 모든 회로부의 전원공급을 중단시켜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할 수 있다.
이처럼 화재 또는 사고현장에 대응하여 조명등(50)을 위치시킨 후에 조명등 온/오프용 버튼(65)을 누르면 조명등이 켜짐에 따라 화재 또는 사고현장을 비추게 되어 화재진압이나 사고수습을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조작자는 화재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변화에 따라 컨트롤러(60)의 조작에 의해 조명등(50)과 승강대(30)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대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명장치의 조작을 통하여 화재진압 또는 사고수습이 완료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원점복귀 버튼(66)을 누르면, 조명등, 조명등 지지대, 승강대를 초기 원점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조명등(50)이 꺼지게 된다.
상기 도면과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의 높이조절을 조명등 지지대에다가 볼스크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조명등의 안정적인 높이조절과 아울러 그 높이조절에 따른 동작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하여 무선으로도 조명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그 조작위치에 구애받지 않아 더욱 효과적으로 화재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화재진압 또는 사고수습에 더욱 능동적이 될 수 있다.

Claims (2)

  1. 상하좌우 회전동작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완충패드를 가진 받침대와; 수평으로 눕혀지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첩동작되고, 이 절첩동작에 의해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명등 지지대와; 상기 조명등 지지대에 설치되어 볼스크류 기구에 의해 상승하강되어 조명등의 높이조절을 하는 승강대; 및 상기 조명등의 회전동작, 조명등 지지대의 절첩동작과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버튼과 조이스틱을 포함하되, 상기 조이스틱은 조명등의 회전동작과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상기 버튼은 조명등 지지대의 절첩동작, 상기 동작의 비상정지, 조명등의 온/오프, 조명장치의 원점복귀를 각각 유선제어 또는 RF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조명장치.
KR2020060018757U 2006-07-11 2006-07-11 소방차용 조명장치 KR200428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57U KR200428412Y1 (ko) 2006-07-11 2006-07-11 소방차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57U KR200428412Y1 (ko) 2006-07-11 2006-07-11 소방차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412Y1 true KR200428412Y1 (ko) 2006-10-11

Family

ID=4177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757U KR200428412Y1 (ko) 2006-07-11 2006-07-11 소방차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4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97Y1 (ko) 2017-06-14 2018-08-03 주식회사 승신 소방차용 조명기구의 회전장치
CN109464867A (zh) * 2018-11-19 2019-03-15 成都科锐志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灵活调节多场合应用的环保雾炮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97Y1 (ko) 2017-06-14 2018-08-03 주식회사 승신 소방차용 조명기구의 회전장치
CN109464867A (zh) * 2018-11-19 2019-03-15 成都科锐志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灵活调节多场合应用的环保雾炮机
CN109464867B (zh) * 2018-11-19 2021-11-12 林燕 一种能够灵活调节多场合应用的环保雾炮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584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rticulated turntable ladder of a rescue vehicle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20150091786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0428412Y1 (ko) 소방차용 조명장치
JPH08100411A (ja) 壁背面点検車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200439555Y1 (ko) 조명장치
JP5047428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昇降装置
JP2669381B2 (ja) 移動作業床のせり上げ拡張床装置
JP2004067319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2007038777A (ja) 作業用車両
JP4628000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3672007B2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自動格納装置
JP2009113881A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自動格納装置
JPH10226499A (ja) マニピュレータ付き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H10236798A (ja) ブーム作動制御装置
JP2567986Y2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作動規制装置
JP2528319Y2 (ja) 高所作業車の自動格納装置
US20220106175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with an aerial work platform
JP2586581Y2 (ja) 作業車のブーム作動制御装置
JPH0431087Y2 (ko)
JP2005289528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5161376A (ja) ワーク保持装置でのワーク衝突防止方法
JP2006036525A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3238092A (ja) 高所作業車の作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