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336Y1 -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336Y1
KR200403336Y1 KR20-2005-0019091U KR20050019091U KR200403336Y1 KR 200403336 Y1 KR200403336 Y1 KR 200403336Y1 KR 20050019091 U KR20050019091 U KR 20050019091U KR 200403336 Y1 KR200403336 Y1 KR 200403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rame
stopper
angle adjus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치영
Original Assignee
허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치영 filed Critical 허치영
Priority to KR20-2005-0019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틸팅장치 및 승강장치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경사각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헤드레스트의 측면에 머리받침대를 더 구비하여 휴식중인 탑승자의 머리 측면을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시트백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각도조절휠과, 상기 각도조절휠의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을 구속 및 해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관통 지지하며 일단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동작과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좌, 우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각도조절휠에서 분리/결합시키는 작동프레임으로 구성한 수동틸팅장치가 설치된 헤드레스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a head rest}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틸팅장치 및 승강장치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경사각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차할 수 있도록 시트 및 시트백으로 이루어진 좌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백의 상단에는 승차한 운전자나 탑승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통상 시트백과 탈, 부착 가능하며 또한 높, 낮이 조절하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 헤드레스트에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틸팅수단이 구비되지 못한 관계로, 만일 탑승자가 조수석이 아닌 뒷좌석에 탑승할 경우에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시야를 가리게 됨으로서 탑승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는 좌회전시에 상기 헤드레스트로 인해 우측방향 시야가 가려짐으로서 자칫 차량충돌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틸팅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국내에 출원된 바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1998-0038571 호(명칭: 차량의 헤드레스트 접철장치)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361737 호(명칭: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헤드레스트가 시트백상에서 전, 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여 전방 및 운전석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는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나, 상기 선행기술들에 구비된 틸팅장치들 모두는 구조가 복잡 다단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가를 가중시켜 실용화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복잡해지면 작동방식의 번잡함은 물론 동작중에 잦은 오작동을 유발하게 됨으로서 유지 및 관리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이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이나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 내부에 진동모터를 설치하여 안마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백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각도조절휠과, 상기 각도조절휠의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을 구속 및 해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관통 지지하며 일단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동작과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좌, 우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를 상기 각도조절휠에서 분리/결합시키는 작동프레임으로 구성한 수동틸팅장치가 설치된 헤드레스트를 제시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자동으로 틸팅시키는 자동틸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백 내부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으로 상, 하 이동하며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시트백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프레임으로 구성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헤드레스트의 전체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는 차량의 시트백(12)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레스트(10)에는 수동틸팅장치(20), 자동틸팅장치(34), 승강장치(52)가 구성된다.
상기 수동틸팅장치(20)는 헤드레스트(10)가 틸팅되는 경사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장치로서, 첨부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2), 각도조절휠(24), 스토퍼(26), 작동프레임(28), 버튼부(30) 및 스프링(3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2)은 단면이 사각형태로서,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술한 시트백(12)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백프레임(14)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휠(24)은 상기 고정프레임(22)의 양단에 각각 복수개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이 각도조절휠(24)의 상부 둘레면에는 톱니형태로 다수개의 걸림홈(24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각도조절휠(24) 위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 스토퍼(26)의 하단에는 상기 각도조절휠(24)의 걸림홈(24a)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24a)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26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6)는 작동프레임(28)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휠(24)에서 분리/결합되며 헤드레스트(10)의 틸팅을 구속 및 해지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프레임(28)은 상기 스토퍼(26)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이 작동프레임(28)은 버튼부(30)의 누름동작에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에서 이탈시키게 된다.상기 버튼부(30)는 상기 작동프레임(30)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이 버튼부(30)는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측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의 누름압력으로 밀려나며 상기 작동프레임(28)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스토퍼(26)는 작동프레임(28)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며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2)은 상기 버튼부(30)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스프링(32)은 버튼부(30)의 누름압력이 해지될 때, 텐션력으로 상기 버튼부(30)와 작동프레임(28)을 처음상태로 복귀시켜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 다시 걸림 고정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3a와 도 3b는 수동틸팅장치(2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틸팅장치(20)의 동작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버튼부(30)를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이때의 누름압력으로 작동프레임은 일측방향(도면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작동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스토퍼(26)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26)의 걸림돌기(26a)가 각도조절휠(24)의 걸림턱(24a)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6)가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하게 되면 헤드레스트(10)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되며, 따라서 헤드레스트(10)는 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겨주면 첨부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는 탑승자의 원하는 경사각도만큼 틸팅되어 진다.
이후, 헤드레스트(10)를 적정각도 틸팅시킨 상태에서 버튼부(30)의 누름동작을 해지하면 버튼부(30)와 작동프레임(28)은 스프링(32)의 텐션으로 타측(도면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처음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스토퍼(26)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스토퍼(26)의 걸림돌기(26a)가 각도조절휠(24)의 다른 걸림홈(24a)에 끼워지게 됨으로서 스토퍼(26)는 각도조절휠(24)에 다시 걸려진 상태가 되며, 따라서 헤드레스트(10)는 경사각이 조절된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틸팅장치(34)는 헤드레스트(10)의 경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장치로서, 첨부된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6), 모터(38), 구동휠(40), 회전핀(42), 구속해지핀(44), 와이어(46), 위성기어(48) 및 고정기어(50)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6)은 단면이 사각형태를 가지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가이드프레임(36)은 자동틸팅장치(34)의 구동수단인 모터(38)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모터(38)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6)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되며 스위치(도면에 미 도시 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외부에선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휠(40)은 상기 모터(38)의 샤프트(38a)에 결합되어 모터(38)의 구동으로 정, 역회전하며 구속해지핀(44) 및 위성기어(48)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 구동휠(40)의 둘레면에는 단턱부(4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턱부(40a)에는 구속해지핀(44)과, 위성기어(48)의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48a)이 걸려지게 된다.상기 회전핀(4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6)의 하단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구속해지핀(44)은 전술한 수동틸팅장치(20)의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이 구속해지핀(44)은 상기 회전핀(42)과 수평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걸려지고, 타단은 수동틸팅장치(20)의 작동프레임(28)과 와이어(46)로 연결 구성된다. 즉, 헤드레스트(10)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틸팅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10)를 구속하는 수단인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시키는 동작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수동으로 틸팅시킬 때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튼부(30)를 누르는 동작으로 스토퍼를 이탈시킬 수 있으나, 자동으로 틸팅시킬 때에는 버튼부(30)의 누름동작 없이 자동으로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시켜야 하는 바, 이때에는 상기 구속해지핀(44)이 버튼부(30)의 누름동작을 대체하여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즉, 모터(38)의 동력으로 구동휠(40)이 회전하면 구속해지핀(44)은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와 부딧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구속해지핀(44)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핀(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단턱부(40a)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때 구속해지핀(44)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작동프레임(28)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6)를 당겨주게 됨으로서, 작동프레임(28)은 일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동프레임(28)에 지지되어 있는 스토퍼(26)는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서 헤드레스트(10)의 구속을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상기 와이어(46)는 언급한 바와 같이, 구속해지핀(44)의 타단과 작동프레임(28)을 상호 연결하며 구속해지핀(44)의 회전으로 발생한 당김력에 의해 작동프레임(28)을 일측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상기 위성기어(48)는 모터(38)와 구동휠(40)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에는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끼워지는 걸림턱(48a)이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위성기어(48)는 모터(38)의 동력으로 자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끼워져 있는 걸림턱(48a)을 통해 구동휠(4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위성기어(48)는 후술할 고정기어(50)와 맞물려 있으며, 따라서 위성기어(48)는 구동휠(40)의 회전으로 회전하면 고정기어(50) 둘레면을 타고 운행(회전)하게 됨으로서 헤드레스트(10)를 자동으로 틸팅시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위성기어(48)는 언급한 바와 같이, 자동틸팅장치(34)의 동작시에는 모터(38)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휠(44)을 통해 고정기어(50)의 둘레면을 타고 자동으로 운행(회전)하며 헤드레스트(10)를 틸팅시키게 되나, 만일 수동틸팅장치(20)의 동작시에는 모터(38)가 동작하지 않음으로서 자동으로 운행할 수 없으며, 이때에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10)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기어(50)의 둘레면을 타고 수동으로 운행하며 헤드레스트(10)의 틸팅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기어(50)는 전술한 고정프레임(22) 및 시트백프레임(14)에 고정 설치된 기어로서, 이 고정기어(5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위성기어(48)와 맞물린 상태에서 위성기어(48)를 둘레면을 따라 운행(회전)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자동틸팅장치(34)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틸팅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면 모터(38)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며 구동휠(40)을 회전시키게 된다.(도 5a)
이후,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 일측에 끼워져 있는 구속해지핀(44)은 상기 구동휠(40)의 회전으로 단턱부(40a)와 부딧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구속해지핀(44)은 가이드프레임(36)에 설치된 회전핀(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와이어(46)를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수동틸팅수단(20)인 작동프레임(28)을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프레임(28)에 지지되어 있는 스토퍼(26)는 연동하여 일측으로 이동하며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하며 헤드레스트(10)의 틸팅구속을 해지시키게 된다. 즉, 스토퍼(26)는 수동틸팅장치(20)의 동작시에는 버튼부(30)의 누름동작에 의해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동작을 수행하게 되나, 자동틸팅장치의 동작시에는 도 5b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부(30)의 누름동작없이 구속해지핀(44)의 회전동작에 따른 와이어(46)의 당김력으로 도 3a와 같이 각도조절휠(24)에서 자동으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도 5b, 5c)
삭제
이후, 구동휠(40)이 계속 회전하게 되면 위성기어(48)에 구비된 걸림턱(48a)이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걸려진 상태에서 구동휠(40)의 회전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회전하는 위성기어(48)는 고정프레임(22) 및 시트백프레임(14)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기어(50)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어(50)의 둘레면을 타고 운행(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위성기어(48)의 동작으로 헤드레스트(10)는 자동으로 틸팅되며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도 5d)
한편, 상기 자동틸팅장치(34)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의 설치위치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의 도어프레임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차량의 좌석인 시트 내부에 설치하여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되도록 하여 자동틸팅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52)는 헤드레스트(10)의 높, 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첨부된 도 1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4), 승강프레임(54), 랙(56), 모터(58) 및 피니언(60)으로 구성한다.
상기 시트백프레임(14)은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2)과 결합되며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시트백(12) 위에 지지시키는 프레임이다.
상기 승강프레임(54)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4)의 하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이 승강프레임(54)의 전면에는 모터(58)의 피니언(60)과 맞물리는 랙(56)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승강프레임은 모터(58)의 동력으로 상,하로 직선 이동하며 시트백프레임(14)을 승,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54)의 끝단은 수평으로 절곡시켜 걸림턱(54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승강프레임(54)의 작동으로 승강한 시트백프레임(14)이 시트백(12)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상기 랙(56)은 상기 승강프레임(54)의 전면에 형성된 기어로서, 이 랙(56)은 모터(58)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60)과 맞물려, 피니언(60)의 회전동작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승강프레임을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58)는 차량에 설치된 또 다른 스위치(미 도시 함)의 스위칭동작으로 구동하며 승강프레임(54)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 모터(58)의 샤프트(58a)에는 피니언(60)이 결합된다.상기 피니언(60)은 상기 승강프레임(54)의 랙(56)과 맞물린 상태에서 모터(58)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랙(56)을 직선운동시켜 승강프레임(54)을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상기한 구성을 가진 승강장치(52)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헤드레스트(10)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모터(58)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모터(58)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6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60)과 맞물리는 랙(56)은 피니언의 회전으로 직선운동하며 승강프레임(54)을 상, 하 이동시키게 됨으로서 시트백프레임(14)과, 상기 시트백프레임(14)에 지지된 헤드레스트(10)의 높, 낮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는 안마기능을 구현하는 진동모터(78)를 내설하여 휴식중인 탑승자의 목주변부를 안마시켜 피로를 풀어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으로 상술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앞좌석인 운전석과 보조석의 시트백 상단이나 혹은 뒷좌석의 양측 상단에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 외 차량의 뒷좌석의 중앙 상단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차량의 뒷좌석 중앙 상단은 운전자가 룸밀러를 통해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를 설치할 수 없으나, 본 고안인 헤드레스트는 수동 혹은 자동으로 틸팅되는 구성에 의해 뒷좌석 중앙 상단에 설치하여도 헤드레스트를 접는 동작만으로도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운전중에 후방 혹은 전방 및 측면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헤드레스트의 틸팅동작이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이나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로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네 번째로 헤드레스트에 안마기능을 구현하는 진동모터를 내장하여 휴식중인 탑승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헤드레스트 전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동틸팅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수동틸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틸팅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자동틸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드레스트 12: 시트백
14: 시트백프레임 20: 수동틸팅장치
24: 각도조절휠 26: 스토퍼
28: 작동프레임 34: 자동틸팅장치
38: 모터 40: 구동휠
44: 구속해지핀 48: 위성기어
50: 고정기어 52: 승강장치
54: 승강프레임 58: 모터
삭제
삭제
삭제

Claims (8)

  1. 차량의 시트백(12)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10)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2)과;
    상기 고정프레임(22)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부 둘레면으로 다수개의 걸림홀들이 형성된 복수개의 각도조절휠(24)들과;
    상기 각도조절휠(24)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홈(24a)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24a)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26a)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스토퍼(26)들과;
    상기 스토퍼(26)들을 지지하는 작동프레임(28)과;
    상기 작동프레임(28)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측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의 누름압력으로 상기 작동프레임(28)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이탈시키는 버튼부(30) 및;
    상기 버튼부(30)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텐션력으로 상기 버튼부(30)와 작동프레임(28)을 처음상태로 복귀시켜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 다시 걸림 고정시키는 스프링(32)으로 이루어져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틸팅시키는 수동틸팅장치(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프레임(2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36)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6)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38) 및 상기 모터(38)의 샤프트(38a)의 결합되어 회전하며 둘레면으로 단턱부(40a)가 형성된 구동휠(4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42)과;
    상기 회전핀(42)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작동프레임(28)과 와이어(46)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40a)의 회전에 따라 단턱부(40a)와 부딧치며 회전핀(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프레임(28)을 당겨 상기 작동프레임(28)에 지지된 스토퍼(26)를 각도조절휠(24)에서 자동으로 이탈시키는 구속해지핀(44)과;
    상기 구동휠(40)과 모터(38)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휠(40)의 단턱부(40a)에 걸려지는 걸림턱(48)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휠(4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위성기어(48) 및;
    상기 고정프레임(22)에 결합되며 상기 위성기어(48)가 둘레면을 타고 회전하도록 상기 위성기어(48)와 맞물리는 고정기어(50)로 이루어져 헤드레스트(10)를 자동으로 틸팅시키는 자동틸팅장치(3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2) 내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2)의 하단에 결합되며 헤드레스트(10)를 시트백(12) 위에 지지시키는 시트백프레임(14)과;
    상기 시트백프레임(14)의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전면으로 랙(56)을 구비한 승강프레임(54)과:
    상기 랙(56)과 맞물리며 모터(58)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랙(56)을 구비한 승강프레임(54)을 직선이동시키는 피니언(60)으로 구성하여 헤드레스트(10)의 높, 낮이를 조절하게 되는 승강장치(5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05-0019091U 2005-07-01 2005-07-01 헤드레스트. KR200403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091U KR200403336Y1 (ko) 2005-07-01 2005-07-01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091U KR200403336Y1 (ko) 2005-07-01 2005-07-01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336Y1 true KR200403336Y1 (ko) 2005-12-09

Family

ID=4370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091U KR200403336Y1 (ko) 2005-07-01 2005-07-01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3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84B1 (ko) 2012-03-27 2013-09-02 허인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21519B1 (ko) * 2012-02-07 2013-10-28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6080763A1 (ko) * 2014-11-20 2016-05-26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19B1 (ko) * 2012-02-07 2013-10-28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00484B1 (ko) 2012-03-27 2013-09-02 허인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3147454A1 (ko) * 2012-03-27 2013-10-03 Heo Chi Yeong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6080763A1 (ko) * 2014-11-20 2016-05-26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2702B2 (ja) 高さ調節可能領域と下降位置と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JP525915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KR101014456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틸팅장치
JP566332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00019390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592754B1 (ko)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CN107962986B (zh) 动力提升和调角器释放/折叠装置
EP3222462A1 (en) Headrest for vehicle
CN102076519A (zh) 具有棘爪布置的车辆座椅
KR200403336Y1 (ko) 헤드레스트.
JP3802859B2 (ja) 傾倒可能な背当て部を有する自動車座席
CN109693591A (zh) 汽车座椅四向头枕调节机构和汽车座椅
JP4082455B2 (ja) 昇降式のヘッドレスト
JP2009160303A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KR20120119281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113525243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CN113479140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KR102344670B1 (ko)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CN112177094B (zh) 挖掘机用控制台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CN220163865U (zh) 一种手自一体司机座椅
KR20060091755A (ko)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JP2931452B2 (ja) パワー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20040044782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