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82A -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82A
KR20040044782A KR1020020072955A KR20020072955A KR20040044782A KR 20040044782 A KR20040044782 A KR 20040044782A KR 1020020072955 A KR1020020072955 A KR 1020020072955A KR 20020072955 A KR20020072955 A KR 20020072955A KR 20040044782 A KR20040044782 A KR 20040044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operating rod
guide bar
heigh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782A/ko
Publication of KR2004004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단의 원주면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가이드바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 상기 헤드레스트의 바깥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작동봉과 연결되어 작동봉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로 사용되는 레버 및; 상기 작동봉에 연결되어 작동봉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이완되면서 작동봉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헤드레스트의 바깥에 설치된 레버를 당기면 작동봉이 당겨지면서 작동봉의 랙기어가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맞물려 있는 가이드바를 약 90도 정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높이조절홈의 위치가 시트백의 가이드스테이에 설치된 높이조절핀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해 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ead rest of a seat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착석자의 등부분을 지지해 주는 시트백의 상단에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착석자가 머리를 기댈 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충돌사고 등이 발생할 때 착석자의 머리가 심하게 앞뒤로 흔들리지 않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므로 아주 중요한 시트 요소 중의 하나이다.
한편, 시트백의 높이는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높이 역시 고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키가 큰 사람이 착석한 경우에는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신체 사이즈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1)에 가이드바(103)를 설치하고, 시트백(105)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바(103)가 삽입되는 가이드 스테이(106)를 설치하는 한편,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0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높이조절홈(107)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구멍(106a)속에 스프링(109)에 의해 탄력 설치된 높이조절핀(111)을 설치하여, 상기 헤드레스트(101)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핀(111)이 가이드바(103)의 높이조절홈(107)속에 끼워져 헤드레스트(101)의 높이를 조정해 주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101)가 가이드바(103)에 형성시킨 높이조절홈(107)속에 높이조절핀(111)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때 한 손으로는 버튼을 눌러 높이조절홈(107)속의 높이조절핀을 빼내고 다른 한 손으로 헤드레스트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야 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혼자서 하기에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작업을 할 때 여성운전자의 경우에는 손톱이 벗겨지거나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대형승용차의 경우에 있어서도 헤드레스트 조작시 손가락에 심한 압박이 가해져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투구형 헤드레스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손가락 또는 손이 헤드레스트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조작레버의 내구력이 약하여 중고차의 경우 레버가 떨어져 나가는 차량이 많아 사용상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단의 원주면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가이드바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 상기 헤드레스트의 바깥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작동봉과 연결되어 작동봉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로 사용되는 레버 및; 상기 작동봉에 연결되어 작동봉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이완되면서 작동봉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헤드레스트의 바깥에 설치된 레버를 당기면 작동봉이 당겨지면서 작동봉의 랙기어가 피니언기어를 통하여 맞물려 있는 가이드바를 약 90도 정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높이조절홈의 위치가 시트백의 가이드스테이에 설치된 높이조절핀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헤드레스트에 설치된 레버를 당기면 제어봉이 당겨지면서 가이드봉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가이드봉에 형성된 높이조절홈이 높이조절핀에서 빠져 나오게 함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켜 그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록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백 3 - 가이드구멍
5 - 헤드레스트 7 - 가이드바
9 - 가이드바 11 - 높이조절홈
13 - 피니언기어 15 - 작동봉
17 - 랙기어 19 - 레버
21 - 스프링 23 - 높이조절핀
25 -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어장치가 가이드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백(1)에 가이드구멍(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3)속에 헤드레스트(5)에 연결된 2개의 가이드바(7,9)가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2개의 가이드바(7,9) 중에서 하나의 가이드바(7)는 단순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헤드레스트(5)의 상하 안내 역할만 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바(9)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높이조절홈(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홈(11)이 형성된 가이드바(9)는 헤드레스트(5)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의 원주면에 피니언기어(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9)의 피니언기어(13)에는 상기 헤드레스트(5)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작동봉(15)의 랙기어(17)가 맞물려져 있고, 상기 작동봉(15)의 선단에는 헤드레스트(5)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으면서 손잡이로 사용되는 레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9)를 잡고 작동봉(15)을 당기면 작동봉(15)에 형성된 랙기어(17)가 피니언기어(13)를 구동시켜 가이드바(9)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9)의 회전각도는 랙기어(17)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조절해 줄 수가 있는 바, 대략 약 90도의 각도로 회전되어지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동봉(15)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스프링(21)이 설치되어 레버(19)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봉(15)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탄력 지지해 주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레버(19)를 통하여 가이드바(9)를 회전시키지 않은 통상적인 상태일 때는, 상기 가이드바(9)에 형성된 높이조절홈(11)에 시트백(1)의 가이드구멍(3)에 설치된 높이조절핀(23)이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록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록크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5)를 마음대로 승강 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5)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19)를 당기면 작동봉(15)이 스프링(21)을 압축시키면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봉(15)의 랙기어(17)가 피니언기어(13)를 통하여 가이드바(9)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바(9)가 약 90도의 각도로 회전하면 작동봉(15)에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11)이 가이드구멍(3)에 설치된 높이조절핀(23)의 결합위치에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9)가 높이조절핀(23)의 결합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 헤드레스트(5)에 설치된 양쪽 가이드바(7,9)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헤드레스트(5)를 작은 힘으로도 마음대로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헤드레스트(5)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에는 레버(19)를 놓으면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작동봉(15)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봉(15)의 랙기어(17)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13)를 통하여 가이드바(9)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바(9)에 형성된 높이조절홈(11)속에 높이조절핀(23)이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조정된 높이를 록크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에 높이조절홈과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가이드바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헤드레스트의 가로방향으로 탄력 이동하게 설치된 작동봉의 랙기어가 맞물려 결합되는 한편, 상기 작동봉의 선단에 손잡이 레버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 레버를 사용하여 작동봉을 이동시키면 작동봉의 랙기어가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가이드바를 록크위치로부터 이탈시켜 주게 되므로 자유로이 헤드레스트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는 손잡이 레버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봉과 가이드바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다시 가이드바를 록크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하면서 작은 힘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이드바에 형성된 높이조절홈 속에 결합되는 높이조절핀의 노후화로 인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5)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높이조절홈(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단의 원주면에 피니언기어(13)가 형성된 가이드바(9)와; 상기 헤드레스트(5)의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가이드바(9)의 피니언 기어(13)와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17)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15) 및; 상기 헤드레스트(5)의 바깥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작동봉(15)과 연결되어 작동봉(15)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로 사용되는 레버(19)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15)에 연결되어 작동봉(15)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이완되면서 작동봉(15)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20020072955A 2002-11-22 2002-11-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040044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55A KR20040044782A (ko) 2002-11-22 2002-11-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55A KR20040044782A (ko) 2002-11-22 2002-11-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82A true KR20040044782A (ko) 2004-05-31

Family

ID=3734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55A KR20040044782A (ko) 2002-11-22 2002-11-22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7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9B1 (ko) * 2013-12-29 2015-01-2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FR3017570A1 (fr) * 2014-02-17 2015-08-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glage en hauteur d'un appuie-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9878645B2 (en) 2014-03-17 2018-01-30 Hyundai Dymos Incorporated Electric-powered headrest
CN111840727A (zh) * 2020-06-29 2020-10-30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麻醉科头枕式悬空麻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43U (ko) * 1995-01-10 1996-08-17 김문재 자동차 의자용 머리 받침대의 머리 받침판 유동장치
KR970005839A (ko)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자동차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정장치
KR19980021055A (ko) * 1996-09-13 1998-06-25 김영귀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19990021479U (ko) * 1997-11-29 1999-06-25 정몽규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43U (ko) * 1995-01-10 1996-08-17 김문재 자동차 의자용 머리 받침대의 머리 받침판 유동장치
KR970005839A (ko)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자동차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정장치
KR19980021055A (ko) * 1996-09-13 1998-06-25 김영귀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19990021479U (ko) * 1997-11-29 1999-06-25 정몽규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9B1 (ko) * 2013-12-29 2015-01-2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FR3017570A1 (fr) * 2014-02-17 2015-08-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glage en hauteur d'un appuie-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9878645B2 (en) 2014-03-17 2018-01-30 Hyundai Dymos Incorporated Electric-powered headrest
CN111840727A (zh) * 2020-06-29 2020-10-30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麻醉科头枕式悬空麻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225C2 (ru)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
DE19548339C2 (d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8126615B2 (en) Adjustable seat bolster for easy access
US6302483B1 (en) Revolving seat,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JP2007523008A (ja) 座席横方向部品の調整機器
US3462193A (en) Seat with a movable headrest
KR20040044782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U2021254511B2 (en) Improved windscreen with an adjustable height for a motorcycle
JP200517722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100189489B1 (ko)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KR20110020965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608780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836344B1 (ko)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KR100330874B1 (ko) 차량용 시트의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03306066A (ja) 遠隔操作式ヘッドレスト格納装置
KR0112397Y1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JP2009120044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200212579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152225Y1 (ko) 차량의 조수석 발받침대
JP2595337Y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0139471B1 (ko) 차량용 시이트 높이 조절장치
JP200430689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取付位置調節装置
KR100716382B1 (ko) 후방 추돌 시 승객의 목 상해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