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44B1 -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44B1
KR100836344B1 KR1020060121665A KR20060121665A KR100836344B1 KR 100836344 B1 KR100836344 B1 KR 100836344B1 KR 1020060121665 A KR1020060121665 A KR 1020060121665A KR 20060121665 A KR20060121665 A KR 20060121665A KR 100836344 B1 KR100836344 B1 KR 10083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latch
lumbar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들은 전/후/상/하 조절이 가능하지만 조절기가 2차원으로 구성되어 시트에 대한 정신적 부담이 크거나 상하 높이에 다른 전후 돌출량이 결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유연하게 적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시트백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조절손잡이(60)를 통해 요추받침대(20)의 회전잠금을 해제하고 조절캠(10)을 회전시킴으로써 요추받침대(20)의 전후 돌출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요추받침대(20)가 돌출됨에 따라 등으로 느껴지는 상하 위치가 높을 경우 등으로 눌러주면 요추받침대(20)가 회전하면서 최대 돌출점이 하향되어 자동으로 최적 위치를 찾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절손잡이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요추받침대를 출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인체별로 서로 상이한 요추 높이 및 돌출량을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시트 및 그를 적용하는 차량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요추받침대, 회전 조절손잡이, 래치고정구, 래치누름구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a variable lumbar supporting apparatus for a vehicle's sea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후방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배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측면도
도 4a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 회전잠금 해제상태의 측면도
도 4b는 동 요추받침대 회전잠금 해제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 4c는 동 요추받침대 회전잠금 해제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 전방 돌출상태의 측면도
도 6a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 받침돌출부 위치조정상태의 측면도
도 6b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의 회전잠금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 후퇴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동 실시예의 회전 조절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의 사시도
도 10은 동 실시예의 조절캠의 측면도
도 11은 동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12는 동 실시예의 회전 조절손잡이 부위의 정면도
도 13은 동 실시예의 회전 조절손잡이 부위의 종단면도
도 14는 동 실시예의 요추받침대 받침위치 조절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조절캠 20 : 요추받침대
30 : 요추받침대 누름블록 40 : 래치고정구
50 : 래치누름구 60 : 회전 조절손잡이
100 : 요추받침장치 200 : 시트백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회전 조절손잡이만을 조작하여 간편하게 요추받침대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인체별로 서로 상이한 요추 높이 및 돌출량을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의 요추받침장치는 미리 설정된 받침높이에서 전/후 돌출량만을 조절하는 타입이 대부분이며, 상/하 조절이 가능한 경우는 2차원(2-Dimension) 조작을 필요로 하는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6246호에는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을 손으로 돌리는 구조 또는 차량 시거잭에서 공급 되는 12V직류전기 및 모터, 스위치가 설치되고, 요추각도조절금속띠에 인장력을 가할수 있도록 장치된 워엄및 워엄기어가 설치되고, 상기부품들이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틀을 잡아주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 및 요추각도조절금속띠는 전·후로 휘어짐이 가능한 얇은 금속판재가 구비되며, 상기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워엄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워엄기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워엄기어에 고정되어 있는 요추각도조절금속띠는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의 등부위 다섯곳은 프레임과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장력을 받지 못하여 앞으로 또는 뒤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와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요추부위가 인장력을 받아서 앞으로 또는 뒤로 나오게 되는 것이 특징인 요추부위받침대의 각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등받이가 나타나 있는 바, 이 종래의 기술은 전/후 돌출량만이 조절 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종래의 다른 기술 역시 전/후/상/하 조절이 가능하지만 조절기가 2차원으로 구성되어 시트에 대한 정신적 부담이 크거나 상하 높이에 다른 전후 돌출량이 결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형에 유연하게 적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인체 요추의 상하높이는 신체 치수에 따라 상이하며, 인간공학분야에서 연구된 결과에 의하면 요추 받침이 자신의 최적 요추높이에서 20mm만 차이가 나도 불편함과 이물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전체 인구의 요추부 높이는 50mm 범위내에 존재한다.
차량용 시트는 차량 운행시 시트쿠션의 전/후/상/하/틸트(Tilt), 시트백의 각도 조절 등의 많은 조절기기가 포함되어 있어 요추받침 조절을 위한 다수의 콘트롤이 추가될수록 사용자의 정신적 부담(Mental Load)이 증가하게 된다.
관련 논문에 의하면 하나의 대상물에 대한 조절기의 개수를 7가지(7-Dimension)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인체별로 서로 상이한 요추 높이 및 돌출량을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그 다른 목적이 보다 간편하게 받침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백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 조절손잡이를 통해 조절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요추받침대의 전후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요추받침대가 돌출됨에 따라 등으로 느껴지는 상하 위치가 높을 경우 등으로 눌러주면 요추받침대가 회전하면서 최대 돌출점이 하향되어 최적 위치를 찾아줄 수 있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 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100)는
요추받침대(20)의 전후 돌출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캠(10)과;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요추받침대(20)와;
상기 조절캠(10)과 접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추받침대(20)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과;
요추받침대(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고정구(40)와;
상기 래치고정구(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래치누름구(50)와;
상기 래치누름구(50)를 작동하여 조절캠(10)에 대한 회전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절캠(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조절손잡이(60);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절캠(10)은 회전축(11)을 통해 시트백(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을 통해 요추받침대(20)의 전후 돌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요추받침대(20)는 전방에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돌출부(22)가 마련되는 동시에 후방 양측에 접속판(23)이 마련되고, 일측 접속판(22)의 상단 둘레에 래치(24)가 형성되며, 회전중심축(21)을 통해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받침돌출부(22)의 내측 중앙부와 회전중심 축(21) 사이에 리턴스프링(25)이 설치된다.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은 일측 중앙으로 돌출된 상기 요추받침대 회전중심축(21)과 일측 후방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축(31)이 시트백 내부측판(210)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11)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 전방과 후방에 승강가이드핀(32)이 설치된다.
래치고정구(40)는 상기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와 대응되는 래치(44)가 하단에 형성된 고정부(41)의 일측에 상기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의 승강가이드핀(32)에 코일스프링(43)으로 탄성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블록 접속부(42)가 마련된다.
래치누름구(50)는 일측에 래치고정구 가압부(51)가 마련되고, 타측에 원호형의 손잡이 접속부(52)가 마련되며, 상부에 가압스프링(53)이 설치된다.
회전 조절손잡이(60)는 손잡이부(61)와 리턴스프링(64)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푸시핀(63)이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하우징부(62)로 이루어지고, 시트백(200)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캠 회전축(11)에 접속되어 조절캠(10)의 회전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조절캠(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캠(10)은 요추받침대(20)의 돌출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백(200)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 조절손잡이(60)를 돌려서 그의 전후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캠(10)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돌출량에서 멈출 수 있도록 단계별로 평면화된 형태를 갖으며, 각 면에 대해 회전축(11)에서 그은 수직선이 면 내부에 존재하도록 하여 각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회전 조절손잡이(60)는 시트백(20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초기에 일정각도(예를 들면 10˚) 회전시 래치고정구(40)의 래치(44)와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의 결합에 의한 요추받침대 회전고정을 풀게 되고, 그 이후 회전시 조절캠(1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 조절손잡이(60)는 래치(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요추받침대(20)를 회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도록 래치 해제수단이 마련되고, 래치 해제후 조절캠(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캠 회전축(11)에 고정된다.
회전 조절손잡이(60)는 손잡이부(61)와 하우징(62)으로 구성되어 손잡이부(61)를 돌리면 하우징(62)에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푸시핀(63)이 하우징(62) 외부로 돌출되어 래치누름구(50)의 원호형의 손잡이 접속부(52)를 밀어주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푸시핀(63)은 120˚각도로 3개가 배치되고, 래치누름구(50)의 원호형 손잡이 접속부(52)는 150˚로 받쳐주어 회전 조절손잡이(60) 회전시 푸시핀(63)이 회전 조절손잡이(60)의 회전위치에 관계 없이 계속 래치누름구(50)를 밀어주게 된다.
래치누름구(50)는 회전 조절손잡이(60)의 푸시핀(63)이 밀려나오면 이를 전달하여 요추받침대(20)의 고정을 풀어주는 것으로, 시트백 내부측판(210)에 장착되어 회전 조절손잡이(60)의 푸시핀(63)이 돌출되면 래치누름구(50)가 상승되고, 래치누름구(50)가 상승하면 래치고정부(40)가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 하여 요추받침대(20)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요추받침대(20)가 회전 가능상태로 전환된다.
도 3과 같이 초기 상태에서 조절캠(10)은 최단 두께부에 위치하여 요추받침대(20)가 시트백(200) 내부쪽으로 가장 후퇴하게 되고, 요추받침대(20)는 리턴스프링(25)에 의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끝까지 돌아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래치누름구(50)는 가압스프링(53)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래치고정구(40)를 눌러주고 래치고정구(40)의 래치(44)가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에 치합됨으로써 요추받침대(20)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조절손잡이(6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캠 회전축(11)은 조절캠(10)과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 사이의 저항에 의해 돌지 않고 회전 조절손잡이(60)만 손잡이 스톱퍼(65)가 허용하는 구간에서 회전하게 되며, 회전 조절손잡이(60)의 회전에 따라 각 푸시핀(63)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핀(63)은 래치누름구(5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래치누름구(50)가 상승하게 되면 코일스프링(43)이 래치고정구(40)를 밀어올리게 되어 래치고정구(40)의 래치(44)가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와 분리되고, 그에 따라 도 4a에서 도 4c까지와 같이 요추받침대(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요추받침대(20)에 대한 회전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 조절손잡이(40)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조절손잡이(60)의 손잡이부(61)와 하우징(62) 사이에 설 치된 스톱퍼(65)에 의해 조절캠(10)이 회전하게 되며, 조절캠(1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이 시트백(200) 전방쪽으로 이동되면서 요추받침대(2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도 5와 같이 요추받침대(20)가 시트백(200) 전방쪽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추받침대(20)의 돌출정도는 회전 조절손잡이(30) 및 조절캠(10)의 회전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요추받침대(20)의 전방 돌출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추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요추받침대(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요추받침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이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승객의 요추부위로 요추받침대(20)의 상단부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요추받침대(20)는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의 전진과 동시에 도 6과 같이 회전중심축(2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받침돌출부(22)의 형태가 자동 조정된다.
사용자가 요추부에 느끼는 밀림량과 위치가 조정이 된 후 회전 조절손잡이(6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푸시핀(63)이 리턴스프링(64)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그와 동시에 래치누름구(50)와 래치고정구(40)가 하강하게 되어 도 6b와 같이 래치고정구(40)의 래치(44)와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요추받침대(20)가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회전 조절손잡이(6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조절캠(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회전 잠금상태의 요추받침대(20) 를 시트백(200) 내부쪽으로 후퇴시킬 수 있게 되어 도 7과 같이 요추받침대(20)의 돌출거리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 조절손잡이(60)를 통해 요추받침대(20)의 회전잠금을 해제하고 조절캠(10)을 회전시킴으로써 요추받침대(20)의 전후 돌출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요추받침대(20)가 돌출됨에 따라 등으로 느껴지는 상하 위치가 높을 경우 등으로 눌러주면 요추받침대(20)가 회전하면서 최대 돌출점이 하향되어 자동으로 최적 위치를 찾아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절손잡이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요추받침대를 출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인체별로 서로 상이한 요추 높이 및 돌출량을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시트 및 그를 적용하는 차량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삭제
  2. 회전축(11)을 통해 시트백(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요추받침대(20)의 전후 돌출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캠(10)과;
    전방에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돌출부(22)가 마련되는 동시에 후방 양측에 접속판(23)이 마련되고, 일측 접속판(22)의 상단 둘레에 래치(24)가 형성되며, 회전중심축(21)을 통해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받침돌출부(22)의 내측 중앙부와 회전중심축(21) 사이에 리턴스프링(25)이 설치되는 요추받침대(20)와;
    일측 중앙으로 돌출된 상기 요추받침대 회전중심축(21)과 일측 후방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축(31)이 시트백 내부측판(210)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11)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 전방과 후방에 승강가이드핀(32)이 설치되는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과;
    상기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와 대응되는 래치(44)가 하단에 형성된 고정부(41)의 일측에 상기 요추받침대 누름블록(30)의 승강가이드핀(32)에 코일스프링(43)으로 탄성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블록 접속부(42)가 마련되는 래치고정구(40)와;
    일측에 래치고정구 가압부(51)가 마련되고, 타측에 원호형의 손잡이 접속부(52)가 마련되며, 상부에 가압스프링(53)이 설치되는 래치누름구(50)와;
    손잡이부(61)와 리턴스프링(64)으로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푸시핀(63)이 출몰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하우징부(62)로 이루어지고, 시트백(200)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캠 회전축(11)에 접속되어 조절캠(10)의 회전 잠금을 해제하는 동시에 조절캠(10)을 회전시키는 회전 조절손잡이(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조절캠(10)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돌출량에서 멈출 수 있도록 단계별로 평면 화된 형태를 갖으며, 각 면에 대해 회전축(11)에서 그은 수직선이 면 내부에 존재하도록 하여 각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회전 조절손잡이(60)는 초기 회전시 래치고정구(40)의 래치(44)와 요추받침대(20)의 래치(24)의 결합에 의한 요추받침대 회전고정을 풀게 되고, 그 이후 회전시 조절캠(1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푸시핀(63)은 120˚각도로 3개가 배치되고, 래치누름구(50)의 원호형 손잡이 접속부(52)는 150˚로 받쳐주어 회전 조절손잡이(60) 회전시 푸시핀(63)이 회전 조절손잡이(60)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계속 래치누름구(50)를 밀어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KR1020060121665A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KR10083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65A KR100836344B1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65A KR100836344B1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344B1 true KR100836344B1 (ko) 2008-06-09

Family

ID=3977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65A KR100836344B1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431B2 (en) 2018-11-15 2020-12-29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CN114698967A (zh) * 2022-04-25 2022-07-05 浙江瑞尚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的腰靠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031U (ko) * 1994-04-30 1995-11-2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의 구조
KR20010002313U (ko) * 1998-12-12 2001-10-23 홍종만 차량용 시트의 요추지지대 높이 조절장치
KR20030037001A (ko) * 2001-11-01 200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30064032A (ko) * 2002-01-25 2003-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031U (ko) * 1994-04-30 1995-11-2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대의 구조
KR20010002313U (ko) * 1998-12-12 2001-10-23 홍종만 차량용 시트의 요추지지대 높이 조절장치
KR20030037001A (ko) * 2001-11-01 200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30064032A (ko) * 2002-01-25 2003-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431B2 (en) 2018-11-15 2020-12-29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CN114698967A (zh) * 2022-04-25 2022-07-05 浙江瑞尚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的腰靠机构
CN114698967B (zh) * 2022-04-25 2023-10-24 浙江瑞尚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的腰靠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JP2006513814A (ja) 一般にシート、特に自動車のシートの背部、ヘッドレスト及び座部のためのフレームと凸状クッションプレートを備えており、クッションプレートの凸状及び位置を手動又はモーター駆動によって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された解剖学的支持構造体
US9131777B2 (en) Variable lumbar support assembly
JPH037528B2 (ko)
US7942479B2 (en) Combined manual recline and manual lumbar adjustment mechanism
US4425910A (en) Seat having an adjustable backrest
CN110710816A (zh) 用于头枕的调节装置
JP4583613B2 (ja) 車両用シート支持機構
KR100836344B1 (ko) 차량용 시트의 가변형 요추받침장치
JP2002010852A (ja) 同時に揺動するシートと背もたれとを備えた椅子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A2547457C (en) Height adjustable chair with rocking function
KR101952033B1 (ko) 의자의 틸팅 레인지용 조절장치
JP4478949B2 (ja) シートバック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US10342353B2 (en) Chair reclining adjustment mechanism
KR101974037B1 (ko) 위치설정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의자용 팔걸이
EP3982791B1 (en) Headrest lifting mechanism for upholstered furniture
KR0112397Y1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101711928B1 (ko) 의자용 팔걸이
JPH0698913A (ja) 歯科治療用椅子のヘッドレストの角度付与装置
KR20040044782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H11244092A (ja) 椅子の肘掛け装置及びその肘掛け装置の高さ調整機構
JP3104562U (ja) 座椅子
JP2590500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H04466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