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670B1 -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670B1
KR102344670B1 KR1020190085553A KR20190085553A KR102344670B1 KR 102344670 B1 KR102344670 B1 KR 102344670B1 KR 1020190085553 A KR1020190085553 A KR 1020190085553A KR 20190085553 A KR20190085553 A KR 20190085553A KR 102344670 B1 KR102344670 B1 KR 10234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astening
brake
protective device
electric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043A (ko
Inventor
문현덕
Original Assignee
문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덕 filed Critical 문현덕
Priority to KR102019008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21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specific bra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호구의 체결과 브레이크 장치 또는 전원을 연동한 전동식 휠체어이다. 보호구의 체결 시 브레이크 제어부의 동작으로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동시에 컨트롤러의 전원이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승하차 시에 낙상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보호구를 체결한 경우에만 주행 가능하여 사용자가 좌석에서 이탈되는 위험성을 줄여주는 안전성을 증대시킨 전동식 휠체어이다.

Description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An electric wheelchair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fastening of a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전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휠체어 탑승 중인 사용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신체가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이다. 휠체어는 크게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분류되며, 수동식은 보호자나 사용자의 힘으로 이동하는 휠체어이고, 전동식은 축전지의 전원으로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휠체어이다. 또한, 전동식 휠체어는 휠체어의 방향과 속도를 조이스틱으로 제어하여 주행한다.
전동식 휠체어에 사용자가 승하차할 때, 사용자에 의해 휠체어가 움직여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경사지거나 불균일한 노면 주행 시 사용자가 휠체어의 좌석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전동식 휠체어의 주행 중 급정지 또는 방향전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안전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종래에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식 휠체어가 존재하나, 보호 장치의 체결과 상관없이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체결하지 않고 주행하여 사고를 당하는 경우 심각하게 다칠 우려가 있어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문헌 000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29211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체결해야만 안전하게 탑승 또는 주행할 수 있는 전동식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로서, 휠체어 탑승자의 전면에서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된 보호구; 상기 보호구의 일단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구가 체결되는 경우에만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보호구가 해제되는 경우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측면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구가 체결되는 경우에만 스위치 전원이 켜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장치의 미체결 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사용자의 승하차 시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체결한 경우에만 휠체어 주행이 가능하여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휠체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보호구 및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구의 체결 및 해제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부의 작동원리 및 스위치 전원의 연동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축과 연결면 사이 거리와 브레이크 제어부 구성의 회전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휠체어 조작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휠체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식 휠체어는 보호구와 체결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의자의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90) 및 전륜(94)과 후륜(9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90)은 전륜(94)과 후륜(95)이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91)과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92) 및 사용자의 팔을 지탱하는 팔걸이에 해당하는 상부 프레임(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91)의 경우 그 일단에는 전륜(94)이 연결되고, 휠체어의 후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후륜(95)이 연결되며, 후륜(95)에서부터 하부 프레임(91)의 방향이 수직 상향으로 꺾여 등받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92)의 경우 그 일단이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높이에서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된다. 타단은 휠체어의 전방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전방 부분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아래로 꺾여 발받침부(96)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93)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서 연결되고, 타단은 휠체어의 전방을 향한다. 상부 프레임(93)은 사용자의 팔걸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타단에 전동식 휠체어의 조작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구는 안전바(11)로 도시된다, 안전바(11)의 일단은 상부 프레임(93)에서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9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바(11)의 타단은 체결부(2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체결부(20)의 내부에 브레이크 제어부(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안전바(11)의 체결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30)가 동작하고, 브레이크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부(30)에는 스위치부(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전바(11)의 체결 여부에 따라 스위치 전원을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식 휠체어 탑승 시 반드시 안전바(11)를 체결해야만 할 것이며, 이처럼 사용자에게 보호구 체결을 강제하여 주행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보호구는 안전바(11)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대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안전바(11)의 단면 또는 형상, 휠체어 프레임(90)에 고정되는 위치, 회전 여부 및 회전 각도 등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바(11) 및 체결부(20)를 확대한 모습이 도시된다.
체결부(20)는 휠체어의 상부 프레임(93)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가 빈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0)는 조이스틱(82) 또는 로터리 스위치(81)와 같은 조작부(8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0)는 안전바(11)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21)이 형성되므로, 안전바(11)가 홈(2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0)의 홈(21)은 안전바(11)의 일단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 체결되도록 상면과 안전바(11)를 향하는 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안전바(11)는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안전바(11)를 회전시켜 홈(21)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20)의 내부에는 브레이크 제어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11)가 홈(21)에 삽입될 때, 안전바(11)는 브레이크 제어부(30)와 만나 브레이크 제어부(30)를 동작하게 한다. 따라서, 홈(21)에 의해 형성된 면 중 안전바(11)와 브레이크 제어부(30)가 만나는 연결면(22)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안전바(11)가 홈(21)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브레이크 제어부(30)와 접촉하여 브레이크 제어부(30)의 동작을 유발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부(30)의 동작으로 브레이크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브레이크 제어부(30)에 형성된 스위치부(50)에 의해 스위치의 전원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홈(21)의 모양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구의 형상에 따라 상기 보호구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전바(11)는 전동식으로 회전하게 하여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의 편의를 더 고려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바(11)의 체결과 연동되는 브레이크 제어부(30)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부(30)는 회전부재(31)와 회전제어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1)는 제1 회전축(33)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부재(31)의 외면은 안전바(11)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움푹 들어간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전바(11)의 체결 시 안전바(11)를 수용하는 면인 체결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31)는 체결면(311)의 반대측에 걸림홈(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걸림홈(312)은 회전부재(31)의 회전을 제한하기 쉬운 직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어부재(32)는 제2 회전축(3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제1 돌출부(321)와 제2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34)에 회전탄성체(323)를 포함하여 회전제어부재(32)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돌출부(322)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홈(21)까지 돌출되고 회전부재(3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제1 돌출부(321)는 회전부재(31)의 걸림홈(312)에 맞물리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어부재(32)의 제2 회전축(34)에 형성된 회전탄성체(323)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제1 돌출부(321)에 형성된 돌기에 걸려, 제1 돌출부(321)를 회전부재(31)의 걸림홈(31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1)가 회전하여 걸림홈(312)이 적절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1 돌출부(321)가 회전부재의 걸림홈(312)에 삽입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회전축(33) 및 제2 회전축(34)의 위치와 회전부재(31) 및 회전제어부재(32)의 회전반경을 도시한다. 제1 회전축(33)과 연결면(22) 사이의 직선거리(c)는 회전부재(31)의 회전반경(a)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2 회전축(34)과 연결면(22) 사이의 직선거리(d)는 회전제어부재(32)의 제2 돌출부(322)의 회전반경(b)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1)의 체결면(311) 및 회전제어부재(32)의 제2 돌출부(322)가 연결면(22)을 넘어 체결부(20)의 홈(21)의 영역으로 돌출될 것이다. 다만, 제2 돌출부(322)가 안전바(11)가 체결되어 아래로 회전된 상태일 때, 제2 돌출부(322)의 끝단이 홈(21)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 돌출부(322)의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부(30)는 추가적으로 스위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50)는 회전부재(31)의 일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부의 전원을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0)의 홈(21)은 받침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23)는 홈(21)의 하면에 고정되고, 안전바(11)를 적절히 지지하도록 안전바(11) 하부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받침부재(23)는 접촉면(2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부(50)가 접촉면(24)에 접촉되어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이나 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60)의 일단은 회전부재(3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회전부재(31)의 회전 운동으로 브레이크가 제어될 수 있다. 보호구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이 가해져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보호구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인장력이 제거되어 브레이크의 잠금이 해제될 것이다.
연결부재(60)의 일단이 회전부재(31)의 상부에 연결된 경우는, 이와 반대로 보호구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이 없고, 보호구가 체결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브레이크가 풀리고, 주행이 가능한 방식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안전바(11)의 체결에 따른 브레이크 및 전원의 작동원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전바(11) 체결 상태와 미체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안전바(11)가 체결된 상태를 참조하면, 안전바(11)가 회전부재(31)의 체결면(311)과 맞물려 있다. 또한, 회전제어부재(32)의 제2 돌출부(322)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여 홈(21)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제1 돌출부(321)는 회전부재(31) 걸림홈(312)에서 이탈되어 있다. 회전부재(31)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부재(60)는 인장력이 제거된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안전바(11)의 체결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안전바(11)는 홈(21)의 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며, 안전바(11)가 삽입되면서 가장 먼저 제2 돌출부(322)와 접촉한다. 제2 돌출부(322)가 안전바(11)와 접촉하여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제어부재(32)가 회전하고, 제1 돌출부(321)는 회전부재(31)의 걸림홈(312)에서 이탈한다. 제1 돌출부(321)가 걸림홈(312)에서 이탈한 것은 회전부재(31)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속이 사라진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전바(11)가 홈(21)에 더욱 삽입되고 회전부재(31)는 안전바(11)를 수용하면서 더욱 회전할 수 있다. 안전바(11)의 체결이 완료되면, 안전바(11)는 받침부재(23)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제어부재(32)는 회전탄성체(323)에 의한 회전력이 있을지라도 제1 돌출부(321)가 회전부재(31)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제2 돌출부(322)는 홈(21)으로 돌출되지 못하고 아래로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될 것이다.
연결부재(60)는 안전바(11) 미체결 시 인장력을 받고 있다가, 안전바(11) 체결에 의해 회전부재(31)가 회전하면서 인장력이 제거된다. 연결부재(60)의 인장력이 제거될 때, 브레이크의 잠금은 해제되고 휠체어 사용자는 주행이 가능할 것이다.
도 4의 안전바(11) 미체결 시 상태를 참조하면, 회전부재(31)의 체결면(311)의 하단부는 홈(21)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제2 돌출부(322)의 끝단이 홈(21)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 해당하고, 제1 돌출부(321)는 걸림홈(312)에 삽입되어 있다. 회전부재(31)의 하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60)는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안전바(11)의 체결이 해제되는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안전바(11)를 해제하기 위해 안전바(11)를 위로 올리면, 안전바(11)는 홈(21)에서 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안전바(11)에 의해 회전부재(31)의 체결면(311) 상단부가 힘을 받아 회전부재(31)를 회전시킨다. 이때의 회전 방향은 회전제어부재(32)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 방향에 해당한다. 회전부재(31)가 회전하면서 걸림홈(312)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회전제어부재(32)의 제1 돌출부(321)가 회전탄성체(323)에 의해 걸림홈(312)에 삽입된다. 이때 안전바(11)는 홈(21)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에 해당된다.
사용자가 안전바(11)의 체결을 해제할 때,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회전부재(31)는 회전력을 받는다. 그러나, 회전제어부재(32)의 제1 돌출부(321)가 회전부재(31)의 걸림홈(312)에 삽입되어 회전부재(31)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회전부재(31)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재(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해소되지 않고, 인장력이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결국, 안전바(11) 미체결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용하며, 휠체어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탑승자의 승하차 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부재(31), 회전제어부재(32), 스위치부(50) 및 받침부재(23)의 형상 및 연결부재(60)의 고정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적절한 치환 또는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11) 체결과 연동하는 전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부(50)는 회전부재(3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1)의 회전에 따라 스위치부(50)가 제1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0)의 홈(21)의 하면에 받침부재(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재(23)는 접촉면(2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1)에 부착된 스위치부(50)는 회전부재(31)의 회전에 따라서 접촉면(24)과 접촉될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회전부재(31)의 회전은 안전바(11)와 연동되므로, 안전바(11) 체결 여부에 따라 스위치부(50)의 접촉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위치부(50)가 접촉면(24)에 접촉 시 전동식 휠체어의 콘트롤러 전원이 꺼지고, 비접촉 시 전원이 켜진다. 안전바(11)의 체결 시 스위치부(50)는 접촉면(24)과 떨어지고, 안전바(11) 미체결 시 스위치부(50)는 접촉면(24)과 접촉한다. 따라서, 안전바(11)를 체결해야만 콘트롤러의 전원이 켜져서 전동식 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다.
접촉면(24)은 받침부재(23)가 아닌 연결면(2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31)의 회전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50)의 접촉 상태가 변하도록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동식 휠체어의 조작 시스템을 도시한다. 조작 시스템은 전동식 휠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80)와 조작부(80)에서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고 모터드라이버(84)로 연산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부(83) 및 모터드라이버(84)에서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모터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80)는 로터리 스위치(81) 또는 조이스틱(82)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81)는 단계적으로 또는 회전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50)의 상태에 따라 컨트롤러부(83) 전원이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꺼진 상태일 때는 사용자가 로터리 스위치(81) 또는 조이스틱(82)을 조작하더라도 모터드라이버(84)로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므로 전동식 휠체어가 동작하지 않는다.
도 7은 전동식 휠체어의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 장치(70)를 도시한다. 수동 브레이크 장치(70)는 전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수동 브레이크 장치는(70)는 장력이 조절 가능한 케이블 또는 줄 등에 의해 연결부재(60)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수동 브레이크 장치(70)를 직접 조작하여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를 조절할 수 있다.
전동식 휠체어가 배터리 방전 등의 사유로 전원이 꺼진 경우,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없이 주행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휠체어는 보호구를 체결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도록 비상시를 대비한 수동 브레이크 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60)와 연결된 분배기(61)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60)의 일단은 각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60)의 타단은 분배기(61)의 이동부재(62)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부재(62)의 타측에는 다른 연결부재(60)를 연결할 수 있는 고정부(63)가 마련된다. 고정부(63)에는 상기 다른 연결부재(60)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다른 연결부재(60)의 타단은 브레이크 제어부(30)에 포함된 회전부재(31)에 연결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부(30)에 연결된 상기 다른 연결부재(6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인장력은 분배기(61)를 통하여 각 브레이크에 균일하게 전달될 것이다. 결국, 안전바(11)의 체결 여부에 따라 각 브레이크는 일체로 작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 안전바 20: 체결부
21: 홈 22: 연결면
23: 받침부재 24: 접촉면
30: 브레이크 제어부 31: 회전부재
311: 체결면 312: 걸림홈
32: 회전제어부재 321: 제1 돌출부
322: 제2 돌출부 323: 회전탄성체
33: 제1 회전축 34: 제2 회전축
a: 회전부재의 회전반경
b: 제2 돌출부의 회전반경
c: 제1 회전축과 연결면의 직선거리
d: 제2 회전축과 연결면의 직선거리
50: 스위치부
60: 연결부재 61: 분배기
62: 이동부재 63: 고정부
70: 수동 브레이크 장치
80: 조작부 81: 로터리 스위치
82: 조이스틱 83: 컨트롤러부
84: 모터드라이버 90: 프레임
91: 하부 프레임 92: 중간 프레임
93: 상부 프레임 94: 전륜
95: 후륜 96: 발받침부

Claims (8)

  1.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로서,
    휠체어 탑승자의 전면에서 상기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된 보호구;
    상기 보호구의 일단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구가 체결되는 경우에만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보호구가 해제되는 경우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보호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체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면의 반대측에 걸림홈을 구비하는 회전부재;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홈에 삽탈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홈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구가 체결되는 경우에 스위치의 전원이 켜지고, 상기 보호구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는 스위치의 전원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호구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형성된 면 중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와 인접하는 연결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에서 상기 연결면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반경보다 짧고, 상기 제2 회전축에서 상기 연결면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회전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부에 형성되며 접촉면을 구비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부착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접촉면에 접촉하여 컨트롤러의 전원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7. 제6항에 있어서,
    전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된 수동 브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휠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안전바로서 일단이 휠체어의 프레임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부의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190085553A 2019-07-16 2019-07-16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KR10234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53A KR102344670B1 (ko) 2019-07-16 2019-07-16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53A KR102344670B1 (ko) 2019-07-16 2019-07-16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43A KR20210009043A (ko) 2021-01-26
KR102344670B1 true KR102344670B1 (ko) 2021-12-29

Family

ID=7431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53A KR102344670B1 (ko) 2019-07-16 2019-07-16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973B1 (ko) * 2021-04-08 2023-06-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11Y1 (ko) 2001-01-29 2001-07-03 성동제 전동 휠체어
KR101681086B1 (ko) * 2014-12-05 2016-12-01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803829B1 (ko) * 2016-04-14 2018-01-10 유영배 휠체어용 안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43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247B1 (ko)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EP1656919B1 (en) Wheelchair-fixing device
KR100947497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JPH10147169A (ja) 自動車の座席
KR102344670B1 (ko)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JP2020179218A (ja)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US7971893B1 (en) Wheelchair
CN102975639B (zh) 安全座椅
CN203005354U (zh) 安全座椅
US20080061612A1 (en) Reclining Vehicle Infant Seat
JP3820761B2 (ja) 電動車椅子
CN111469950A (zh) 智能移动装置
KR200403336Y1 (ko) 헤드레스트.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20050112017A (ko) 전동휠체어
KR200311341Y1 (ko)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KR102077063B1 (ko)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KR102147440B1 (ko) 측면승하차용 휠체어
JP4617718B2 (ja) 電動車椅子
JP6799453B2 (ja) 電動車椅子
KR20190023367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20230173765A (ko) 전복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휠체어
JP4343619B2 (ja) 車椅子用身体保持装置
JP2009279120A (ja)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KR20160089315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