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86B1 -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86B1
KR101681086B1 KR1020150018616A KR20150018616A KR101681086B1 KR 101681086 B1 KR101681086 B1 KR 101681086B1 KR 1020150018616 A KR1020150018616 A KR 1020150018616A KR 20150018616 A KR20150018616 A KR 20150018616A KR 101681086 B1 KR101681086 B1 KR 10168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ble
buckle
ten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615A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SG11201704057VA priority Critical patent/SG11201704057VA/en
Priority to PCT/KR2015/012553 priority patent/WO2016080807A1/ko
Priority to JP2017526972A priority patent/JP2017535346A/ja
Priority to CN202010733281.7A priority patent/CN111888115A/zh
Priority to CN201580062164.XA priority patent/CN107106388B/zh
Priority to CN201910285246.0A priority patent/CN110236813B/zh
Priority to EP15861175.6A priority patent/EP3222262A4/en
Priority to US15/526,329 priority patent/US10765573B2/en
Publication of KR2016006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615A/ko
Priority to KR1020160087650A priority patent/KR10225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86B1/ko
Priority to JP2020122652A priority patent/JP7064788B2/ja
Priority to JP2020201136A priority patent/JP202104558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Wheelchairs having brakes of the parking brake type, e.g. holding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Wheelchair Brake System}
본 발명은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으로 환자가 직접 휠체어를 끌거나 보호자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는 만큼 휠체어에 타고 내릴 때가 매우 위험하고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도중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환자가 휠체어로부터 떨어져 부상을 입는 낙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장착된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전거와 같이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휠체어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때문에 낙상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동기화되어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여 정지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완전하게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함으로써 휠체어에서 내리거나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부재가 안전장치인 안전바 또는 안전벨트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칭 부재가 안전바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위칭 부재가 안전 벨트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 받침대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로 적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부재가 안전장치인 안전바 또는 안전벨트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칭 부재가 안전바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위칭 부재가 안전 벨트로 구성된 경우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의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후 안전바 또는 안전밸트를 채운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 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바 또는 안전벨트를 채우는 경우 이와 연동된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자동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안전장치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장치를 해제할 접을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상기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후 안전장치를 체결하면 연결부재를 가압하여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장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하여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안전장치를 해제하면 상기 연결부재에 가압이 제거되어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를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는 원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10)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또는 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에 장력이 제공되는 상태로 세팅되어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와이어(줄) 형태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를 잠기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항상 브레이크가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바 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 케이블을 가압하게 되고, 연결부재가 가압으로 변위되는 만큼 상기 케이블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의 구성이 안전바, 안전벨트 또는 후술할 발 받침대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브레이크를 잠금 해제하는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도 2는 안전바가 형성된 휠체어 구조로, 상기 안전바(121)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안전바(121)가 채워지기 전에는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를 향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단이지만, 타단은 장력 조절 부재에 결합되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브레이크에 결합되어 안전바 내부까지 연결되고, 도르레(풀리)를 통해 장력 조절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도 2c 및 2d와 같이 2개의 브레이크로부터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장력 조절부에서 연결된 제어 케이블이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를 통해 2개의 브레이크 케이블이 상기 제어 케이블의 동작에 따라 일체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탑승하여 상기 안전바(121)가 채워지면 안전바 내부에 형성된 제어 케이블이 가압되고, 도르레를 거쳐 연결된 장력 조절부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케이블 방향의 케이블이 당겨지고, 브레이크 케이블에 반대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121)를 해제하면 안전바 내부의 케이블에 작용했던 장력이 제거되어 케이블의 장력이 다시 브레이크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바(121)가 채워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므로 탑승자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안전벨트가 형성된 휠체어 구조로, 상기 안전벨트(122)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안전벨트(122)가 채워지기 전에는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를 향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작 원리는 동일하며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와 연결된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변환하여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상태, 다시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도 3a 및 3b는 안전벨트가 버클식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버클(122)이 채워지는 체결 프레임 내부, 버클 투입부에 브레이크에서 연결된 케이블이 위치하고, 안전 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버클(122)을 체결 프레임의 버클 투입부에 결합시키면 케이블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 가압에 따라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어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프레임 내부의 케이블은 복수 개의 도르레에 의해 결합되므로 버클(122)이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이 안쪽으로 변위하는 만큼 케이블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를 향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면서 블레이크가 풀리게 되고, 상기 버클(122)이 체결 프레임에서 분리되면 가압되었던 케이블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어 케이블의 장력이 다시 브레이크를 향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잠기게 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체결 프레임(123b)내에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는 가이드 부재(123c)를 포함하고, 버클(123a)이 체결 프레임(123b)에 삽입되어 체결됨에 다라 상기 가이드 부재(123c)가 케이블을 변위시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의 장력 방향이 반대로 변하여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123c)는 전면과 배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2개의 가이드 홈(A, B)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가이드 홈(A)의 위로 돌출되는 전면 돌출부(C)와 배면 가이드 홈(B)의 아래로 돌출되고 케이블이 체결되는 배면 돌출부(D)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전면 돌출부와 배면 돌출부를 가이드 홈을 따라 상대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실장되는 이동부재(12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231)는 회전축을 통해 이동하되, 이동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기본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전면 돌출부가 전면 가이드 홈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123a)이 체결되어 전면 돌출부가 전면 가이드홈의 하부로 이동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버클(123a)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클(123a)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 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버클(123a)이 체결 프레임(123b)에 삽입되면 상기 버클(123a)이 전면 돌출부(C)를 하부로 밀련서 삽입되고, 상기 전면 돌출부(C)가 전면 가이드 홈(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전면 돌출부(C)와 상대이동 하는 배면 돌출부(D)는 상기 전면 돌출부(C)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배면 가이드 홈(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면 돌출부(D)와 결합된 케이블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잡아 당겨지면서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던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반대가 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상기 버클(123a)이 체결 프레임(123b)에서 분리되면, 상기 이동 부재(1231)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이동하는 배면 돌출부도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케이블의 장력 방향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다시 브레이크를 향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 받침대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로 적용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의 실시예는 발 받침대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발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를 향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탑승하여 상기 발 받침대를 펼치면 발 받침대 내에 형성된 케이블이 가압되어 케이블에 반대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화게 된다.
도 4의 실시예는 가장 단순화된 형태의 실시예이고, 발 받침대(124)가 접혀있을 때를 기준으로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를 향하게 조절하여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고, 발 받침대(124)를 펼칠 경우 케이블을 땡겨주므로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이격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케이블이 연결부재(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 받침대가 상하 또는 좌우로 접힘에 따라 제 1 케이블(파란색)과 제 2 케이블(녹색)의 장력이 상대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발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 1 케이블은 장력이 없고, 제 2 케이블만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브레이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발 받침대가 펼쳐지면 반대로 제 1 케이블에 장력이 작용하고, 제 2 케이블은 장력이 없는 상태로 변환되어 브레이크의 장력이 바뀌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도 5의 실시예는 발 받침대(125)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 역할을 담당하되, 발 받침대와 브레이크 사이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장력 조절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상기 장력 조절부(60)는 브레이크 케이블(115)을 통해 브레이크(20)와 연결되고, 제어 케이블(116)을 통해 발 받침대(125)와 연결된다.
상기 장력 조절부(60)는 시트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610)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620)의 일단에는 제어 케이블(116)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브레이크 케이블(115)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115)은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제공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620)는 장력을 받는 브레이크 케이블의 영향을 받는다. 즉, 발 받침대(125)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케이블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발 받침대(125)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브레이크 케이블(115)의 길이가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증가하면서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어 케이블이 가압되면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620)가 가이드 레일(610)을 따라 휠체어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15)도 잡아 당겨져서 장력의 방향이 브레이크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 조절부(60)는 2개의 발 받침대(135)와 하나의 브레이크 케이블(115)로 연결되므로 상기 발 지지대가 모두 펼쳐진 경우에만 상기 장력 조절부(60)를 동작시켜 브레이크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 받침대(125)가 다시 접혀지면 브레이크 케이블(115)의 늘어났던 길이가 감소하면서 장력이 제거되어 상기 제어 케이블(116)에 작용했던 힘이 제거되면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620)가 원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15)에 작용했던 장력 역시 다시 브레이크 방향으로 바뀌면서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620)는 장력이 인가 또는 제거될 경우 이동 또는 원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610)과 슬라이딩 부재(620)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발 받침대(126)가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 역할을 담당하되, 발 받침대와 브레이크 사이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기어 어셈블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어 어셈블리(70)는 제어 케이블(118)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710)과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제 2축으로 회동하는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720)과 브레이크 케이블(117)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에 따라 제 1 축 회동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가압하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710)은 축을 중심으로 일단에 형성되어 제 1 및 2 제어 케이블(118a, 118b)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2 제어 케이블에 의해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케이블 연결부(711)와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회동력을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에 전달하는 제 1 기어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710)은 각 발 받침대(126)와 연결된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720)은 상기 제 1 기어부(712)와 결합되어 제 2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기어부(721)와 상기 제 2 기어부(7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바(7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720) 역시 제 1 축 회동 기어와 동일하게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720)의 2개의 회동 바(722, 723)가 발 받침대(126)가 순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각각 동작하여 모든 발 받침대(126)가 모두 펼쳐진 경우에만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을 가압하여 회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발 받침대(126)에 결합된 2개의 제어 케이블(118a, 118b)은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 따라 장력이 상대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발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 1 제어 케이블(118a)에만 장력이 작용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반대로 제 2 제어 케이블(118b)에만 작용하게 된다.
즉, 제 1 제어 케이블(118a)은 도 6과 같이 접힌 상태에서 최대 길이가 되어 장력이 발생하여 케이블 연결부(711)를 잡아 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펼친 상태가 되면 길이가 감소하여 장력이 소멸하고, 제 2 제어 케이블(118b)은 펼친 상태가 되면 최대 길이가 되어 장력이 발생하여 케이블 연결부(711)를 잡아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711)는 수직 형상을 이루는 플랜지에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및 2 제어 케이블(118a, 118b)이 결합되고, 제 1 제어 케이블(118a)가 수평 방향 플랜지에 결합되고, 제 2 제어 케이블(118b)가 수직 방향 플랜지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 받침대 모두 접힌 상태에서는 제 1 제어 케이블(118a)에만 잡아 당기는 장력이 작용하여 도 6의 (a)와 같이 유지된다.
여기서, 하나의 발 받침대를 펼치게 되면 반대로 제 2 제어 케이블(118b)에만 잡아 당기는 장력이 작용하여 도 6의 (b)와 같이 제 2 제어 케이블(118b)이 결팝된 수직 방향 플랜지에 잡아 당기는 힘이 발생해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710)이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710)의 회동에 따라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이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 1 회동 바(722)가 변위만큼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동 바(722)가 회동하면서 제 2 회동 바(723)를 가압하여 제 2 회동 바(723)도 회동하고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을 가압하기 직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에는 아무런 힘도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브레이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다른 하나의 발 받침대를 펼치게 되면 동일한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의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의 제 2 회동 바(723)가 더욱 회동하면서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을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은 중심 축 상에 형성되고, 브레이크 케이블(117)이 연결된 브레이크 가이드 바(7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회동 바(723)가 회동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가이드 바(731)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 유닛(730)의 중심 축이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브레이크 케이블(117)을 하부로 잡아 당기는 장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변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이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결국, 2개의 발 받침대가 모두 펼쳐진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발 받침대가 하나라도 접혀지게 되면 반대 작용에 의해서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브레이크 가이드 바(7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는 (a)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 작용식, (b)와 같이 유모차에 주로 적용되는 캘리퍼 작용식, (c)와 같이 자전거에 주로 적용되는 림브레이크식, (d)와 같이 밴드 브레이크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식의 경우 브레이크 잠금 정도의 조절이 용이한 밴드 브레이크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브레이크 20 :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

Claims (13)

  1.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장치 사용을 제거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장치는 안전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 벨트는 버클식으로 구성되고, 버클이 채워지는 체결 프레임 내부, 버클 투입부에 브레이크에서 연결된 케이블이 위치하고, 안전 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버클을 체결 프레임의 버클 투입부에 결합시키면 케이블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 가압에 따라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어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하여 안전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동기화되어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내에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버클이 체결 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케이블을 변위시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의 장력 방향이 반대로 변하여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전면과 배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2개의 가이드 홈(A, B)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가이드 홈(A)의 위로 돌출되는 전면 돌출부(C)와 배면 가이드 홈(B)의 아래로 돌출되고 케이블이 체결되는 배면 돌출부(D)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전면 돌출부와 배면 돌출부를 가이드 홈을 따라 상대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실장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회전축을 통해 이동하되, 이동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기본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전면 돌출부가 전면 가이드 홈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세팅되어, 버클이 체결되어 전면 돌출부가 전면 가이드홈의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버클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상기 버클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 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버클이 체결 프레임에 삽입되면 상기 버클이 전면 돌출부(C)를 하부로 밀련서 삽입되고, 상기 전면 돌출부(C)가 전면 가이드 홈(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전면 돌출부(C)와 상대이동 하는 배면 돌출부(D)는 상기 전면 돌출부(C)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배면 가이드 홈(B)을 따라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면 돌출부(D)와 결합된 케이블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잡아 당겨지면서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던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반대가 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버클이 체결 프레임에서 분리되면, 상기 이동 부재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이동하는 배면 돌출부도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케이블의 장력 방향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다시 브레이크를 향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18616A 2014-11-20 2015-02-06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68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6,329 US10765573B2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JP2017526972A JP2017535346A (ja) 2014-11-20 2015-11-20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CN202010733281.7A CN111888115A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CN201580062164.XA CN107106388B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SG11201704057VA SG11201704057VA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EP15861175.6A EP3222262A4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PCT/KR2015/012553 WO2016080807A1 (ko) 2014-11-20 2015-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N201910285246.0A CN110236813B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KR1020160087650A KR102258342B1 (ko) 2014-12-05 2016-07-11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JP2020122652A JP7064788B2 (ja) 2014-11-20 2020-07-17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201136A JP2021045587A (ja) 2014-11-20 2020-12-03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4131 2014-12-05
KR1020140174131 2014-12-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50A Division KR102258342B1 (ko) 2014-12-05 2016-07-11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27413A Division KR101681088B1 (ko) 2014-12-05 2016-10-04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615A KR20160068615A (ko) 2016-06-15
KR101681086B1 true KR101681086B1 (ko) 2016-12-01

Family

ID=561352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616A KR101681086B1 (ko) 2014-11-20 2015-02-06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087650A KR102258342B1 (ko) 2014-12-05 2016-07-11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27413A KR101681088B1 (ko) 2014-12-05 2016-10-04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50A KR102258342B1 (ko) 2014-12-05 2016-07-11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27413A KR101681088B1 (ko) 2014-12-05 2016-10-04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810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396A1 (ko) * 2018-03-22 2019-09-26 유영배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20200005098A (ko) * 2018-07-05 2020-01-15 유영배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WO2020036453A1 (ko) * 2018-08-17 2020-02-20 유영배 휠체어 안전바와 연동된 발걸이대 자동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023B1 (ko) * 2014-11-20 2016-08-22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WO2018097342A1 (ko) * 2016-11-22 2018-05-31 유영배 유아동 이송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KR102344670B1 (ko) * 2019-07-16 2021-12-29 문현덕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KR102547973B1 (ko) * 2021-04-08 2023-06-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940B2 (ja) * 1993-02-26 2001-07-23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ネシー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 新規な複合ウエブ
JP2009279120A (ja)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JP2010069216A (ja) * 2008-09-22 2010-04-02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12020022A (ja) * 2010-07-16 2012-02-02 Fi Engineering:Kk 車椅子の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940A (ja) * 1989-12-20 1991-08-21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940B2 (ja) * 1993-02-26 2001-07-23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ネシー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 新規な複合ウエブ
JP2009279120A (ja)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JP2010069216A (ja) * 2008-09-22 2010-04-02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12020022A (ja) * 2010-07-16 2012-02-02 Fi Engineering:Kk 車椅子のブレーキ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396A1 (ko) * 2018-03-22 2019-09-26 유영배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20190111399A (ko) * 2018-03-22 2019-10-02 유영배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102051740B1 (ko) 2018-03-22 2019-12-03 유영배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20200005098A (ko) * 2018-07-05 2020-01-15 유영배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KR102077063B1 (ko) 2018-07-05 2020-02-13 유영배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WO2020036453A1 (ko) * 2018-08-17 2020-02-20 유영배 휠체어 안전바와 연동된 발걸이대 자동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088B1 (ko) 2016-12-01
KR20160118199A (ko) 2016-10-11
KR102258342B1 (ko) 2021-05-31
KR20160068615A (ko) 2016-06-15
KR20160086314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088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JP7064788B2 (ja)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CN105722720A (zh) 儿童安全座椅
CN103707783B (zh) 儿童座椅,特别是用于车辆的儿童安全座椅
US20210015690A1 (en) Fall prevention safety wheelchair brake device
CN205706275U (zh) 可调节式isofix接口装置及儿童安全座椅
ITMI20000337U1 (it) Passeggino comprendente un telaio supportato da ruote di movimento con assi sostanzialmente allineati e con ciascuna di due ruote dotata di
KR101803829B1 (ko) 휠체어용 안전 장치
US5797606A (en) Transporter for patient's emergency escape
KR101816914B1 (ko)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77063B1 (ko)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US11110990B2 (en) Brake system for baby or child vehicle
KR20190016836A (ko) 휠체어 시트 장치
KR101446649B1 (ko) 브레이크를 구비한 스카이라인 트롤리
CN210283995U (zh) 一种儿童汽车安全座椅用坐垫
KR20170000931A (ko)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KR101972300B1 (ko) 안전벨트용 버클 길이 조절장치
CN107224030B (zh) 一种基于重力控制的防滑鞋
KR20160089315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EP0786396A1 (en) An emergency transporter for a patient
KR20190023367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JP7089446B2 (ja) 肩ベルト構造
JP6392074B2 (ja) チェアリフトの搬器用落下防止器
KR101642604B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