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740B1 -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740B1
KR102051740B1 KR1020180033463A KR20180033463A KR102051740B1 KR 102051740 B1 KR102051740 B1 KR 102051740B1 KR 1020180033463 A KR1020180033463 A KR 1020180033463A KR 20180033463 A KR20180033463 A KR 20180033463A KR 102051740 B1 KR102051740 B1 KR 102051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chair
safety bar
safety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399A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KR102018003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740B1/ko
Priority to PCT/KR2019/003354 priority patent/WO2019182396A1/ko
Priority to US16/982,594 priority patent/US20210015690A1/en
Publication of KR2019011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Wheelchairs having brakes of the parking brake type, e.g. holding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61G5/1018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on the runn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 중 낙상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바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안전바가 체결될 경우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Safety Wheelchair Brake Device}
본 발명은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 중 낙상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바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안전바가 체결될 경우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으로 환자가 직접 휠체어를 끌거나 보호자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는 만큼 휠체어가 이동 중일 때보다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가 매우 위험하고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도중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환자가 휠체어로부터 떨어져 부상을 당하는 낙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휠체어에 탑승하는 사람은 몸이 불편하기 때문에 낙상 사고가 발생시 대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큰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장착된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전거와 같이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휠체어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때문에 낙상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바와 브레이크를 연동시켜 상기 안전바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휠체어가 정지해 있는 상태이며 탑승자가 휠체어에 올라타거나 내리는 상태라는 점에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안전바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이 가능한 상태라는 점에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의 이동은 물론, 휠체어의 승하차시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는 하나의 쌍으로 구성된 안전 바가 휠체어 외측에서 중앙 또는 이와 반대로 수직으로 회동하면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안전바 유닛과; 상기 안전 바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바 유닛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안전바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안전바가 회동하여 안전바가 체결되면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바 유닛은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을 회동축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수직 회동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되는 안전바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안전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바의 회동에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바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과 직각으로 꺾이도록 형성된 회동단과; 상기 회동단의 직각으로 꺾여진 타단에서 연장된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일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단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암의 돌출부가 상기 회동단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암은 수평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에 평행하게 접힐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단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되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브레이크 결합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동단 내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용되고, 고정프레임 내에서는 통과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단이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재도 같이 회동하지만 상기 고정 프레임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휠체어 바퀴를 가압하거나 상기 바퀴로부터 이격되어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상기 고정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회동 부재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크랭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크랭크가 변위하면서 상기 브레이크가 바퀴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 또는 상기 바퀴로부터 이격되어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단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랭크와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의 변위에 따라 상기 일단이 회동 축으로 작용하여 타단이 변위되어 브레이크가 바퀴와 맞닿는 브레이크 잠금상태 또는 바퀴와 이격된 브레이크 해제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는 안전바의 암이 휠체어 외측으로 정방향 회동되어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동부재와 연결된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크는 휠체어 바퀴와 맞닿아서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암을 반대로 휠체어 중앙으로 역방향 회동시켜 안전바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암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부재도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크랭크가 변위되어 브레이크가 바퀴로부터 이격되고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장치는 휠체어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바와 브레이크를 연동시켜 상기 안전바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휠체어가 정지해 있는 상태이며 탑승자가 휠체어에 올라타거나 내리는 상태라는 점에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안전바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이 가능한 상태라는 점에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의 이동은 물론, 휠체어의 승하차시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회동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는 휠체어 이동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바와 브레이크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안전바의 체결과 분리에 따라 브레이크가 해제와 잠금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기 전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과정에서 휠체어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휠체어 승하차시 휠체어가 밀리거나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자가 휠체어에 안전하게 탑승한 후 안전바를 체결하면 상기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휠체어가 이동가능 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휠체어가 이동하기 위해서 탑승자는 반드시 안전바를 체결해야 하므로 이동 시 안전바 체결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는 하나의 쌍으로 구성된 안전 바가 휠체어 외측에서 중앙 또는 이와 반대로 수직으로 회동하면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안전바 유닛(10)과 상기 안전 바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바 유닛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안전바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안전바가 회동하여 안전바가 체결되면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브레이크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바 유닛(10)은 고정 프레임(120)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수직 회동에 따라 2개의 안전바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안전바(110)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안전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바의 회동에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바(110)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과 직각으로 꺾이도록 "ㄱ"형상으로 구성된 회동단(112)과 상기 회동단의 직각으로 꺾여진 타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과 평행하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암(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111)의 일단에는 돌출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단(112)은 수용홈(112a)이 형성되어 상기 암의 돌출부(111a)가 상기 회동단의 수용홈(112a)에 삽입되어 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단(112)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는 데 반해 상기 암(111)은 도 3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120)에 평행하게 접힐수 있다.
상기 회동단(112)은 도 4와 같이 상기 암(111)을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결합단을 회동 축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시켜 상기 2개의 암이 체결되어 안전바가 체결되거나 상기 2개의 암이 휠체어 외측으로 분리되어 안전바가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단(112)의 고정 프레임(120)과 맞닿는 일단은 안전바가 체결된 경우 회동단이 쉽게 회동되지 않도록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12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상기 회동단(112)과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암(111)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동단(112)이 회동하면서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30)의 일단은 상기 회동단(112) 내에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120) 외부로 돌출되는 브레이크 결합단(131)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130)의 일단은 상기 회동단(112)과 일체로 결합되지만, 고정 프레임 내에서는 통과되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회동단(112)이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재(130)도 같이 회동하지만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유닛(20)은 휠체어 바퀴를 가압하거나 상기 바퀴로부터 이격되는 브레이크(220)와 상기 브레이크와 상기 고정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회동 부재의 브레이크 결합단(131) 사이에 연결된 크랭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220)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단(121)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랭크(210)와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210)의 변위에 따라 상기 일단이 회동 축으로 작용하여 타단이 변위되어 브레이크(220)가 바퀴와 맞닿거나 이격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 부재(130)가 회동하면 상기 크랭크(210)가 변위하면서 상기 브레이크(220)가 바퀴에서 이격되어 있다가 바퀴와 맞닿으면서 가압하여 브레이크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회동 부재(130)가 반대로 회동하면 상기 바퀴로부터 다시 이격되어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220)의 외주에는 상기 바퀴를 제동하기 위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톱니 모양의 브레이크 패드(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b)와 같이 먼저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세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바의 암(111)이 휠체어 외측으로 회동되어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동부재(130)와 연결된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크(220)는 휠체어 바퀴와 맞닿아서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세팅된다. 상기 암이 휠체어 중앙에서 외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정의하고, 반대로 암이 휠체어 외측에서 중앙으로 회동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암은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접힐 수 있다. -> 접힌 상태의 도면이 하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상기와 같이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는 브레이크 잠금 상태이며 휠체어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탑승자가 휠체어에 승하차하는 경우 휠체어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휠체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승하차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암(111)을 2개의 안전바가 체결되도록 휠체어 중앙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브레이크(22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111)을 휠체어 중앙으로 회동시켜 안전바를 체결하게 되면 암(111)이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111)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부재(130)도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130)의 회동에 따라 크랭크(210)가 변위를 일으킨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220)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단(121)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랭크(210)와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210)의 변위에 따라 상기 일단이 회동 축으로 작용하여 타단이 변위되어 브레이크(220)가 바퀴로부터 이격되고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안전바가 체결되어야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휠체어에서 하차하기 위해 상기 안전바를 체결된 상태에서 다시 분리된 상태로 회동시키면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안전하게 승하차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안전바 유닛 110 : 안전바
120 : 고정 프레임 130 : 회동 부재
20 : 브레이크 유닛 210 : 크랭크
220 : 브레이크

Claims (7)

  1.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을 회동축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수직 회동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되는 안전바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안전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바의 회동에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여 하나의 쌍으로 구성된 안전 바가 휠체어 외측에서 중앙 또는 이와 반대로 수직으로 회동하면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안전바 유닛과;
    상기 안전 바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바 유닛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안전바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있다가 상기 안전바가 회동하여 안전바가 체결되면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는
    상기 고정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 프레임과 직각으로 꺾이도록 형성된 회동단과;
    상기 회동단의 직각으로 꺾여진 타단에서 연장된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일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단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암의 돌출부가 상기 회동단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암은 수평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에 평행하게 접힐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단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되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브레이크 결합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회동단 내에 일체로 결합되어 수용되고, 고정프레임 내에서는 통과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단이 회동하면 상기 회동부재도 같이 회동하지만 상기 고정 프레임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휠체어 바퀴를 가압하거나 상기 바퀴로부터 이격되어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상기 고정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회동 부재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크랭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크랭크가 변위하면서 상기 브레이크가 바퀴를 가압하여 잠금 상태 또는 상기 바퀴로부터 이격되어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단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랭크와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의 변위에 따라 상기 일단이 회동 축으로 작용하여 타단이 변위되어 브레이크가 바퀴와 맞닿는 브레이크 잠금상태 또는 바퀴와 이격된 브레이크 해제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안전바의 암이 휠체어 외측으로 정방향 회동되어 안전바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동부재와 연결된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크는 휠체어 바퀴와 맞닿아서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암을 반대로 휠체어 중앙으로 역방향 회동시켜 안전바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암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부재도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크랭크가 변위되어 브레이크가 바퀴로부터 이격되고 브레이크가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1020180033463A 2018-03-22 2018-03-22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10205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63A KR102051740B1 (ko) 2018-03-22 2018-03-22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PCT/KR2019/003354 WO2019182396A1 (ko) 2018-03-22 2019-03-22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US16/982,594 US20210015690A1 (en) 2018-03-22 2019-03-22 Fall prevention safety wheelchair brak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63A KR102051740B1 (ko) 2018-03-22 2018-03-22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99A KR20190111399A (ko) 2019-10-02
KR102051740B1 true KR102051740B1 (ko) 2019-12-03

Family

ID=6798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463A KR102051740B1 (ko) 2018-03-22 2018-03-22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15690A1 (ko)
KR (1) KR102051740B1 (ko)
WO (1) WO2019182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089B1 (ko) * 2020-05-28 2023-07-06 유영배 안전바 일체형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KR102547973B1 (ko) * 2021-04-08 2023-06-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용 낙상 예방 휠체어
US11963921B2 (en) 2022-07-08 2024-04-23 Leo Harden Convertible walker
US11633322B1 (en) 2022-07-08 2023-04-25 Leo Harden Convertible wheel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205B2 (ja) * 1996-12-26 2000-01-17 三生 和田 罠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トリガー手段
JP2002021889A (ja) 2000-05-01 2002-01-23 Kawamura Cycle:Kk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
KR101681086B1 (ko) 2014-12-05 2016-12-01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47829B1 (ko) 2016-05-27 2017-06-2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차단바 동작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433A (en) * 1991-12-16 1993-04-20 Dugas Grady A Automatic braking wheelchair
JP3000205U (ja) * 1994-01-17 1994-08-02 国立身体障害者リハビリテーションセンター総長 車椅子
US6431572B1 (en) * 2001-10-11 2002-08-13 Jerrell William Harden Wheelchair safety lock
US6851522B2 (en) * 2002-02-01 2005-02-08 Larry V. Wren Wheelchair brake attachment apparatus
US6739610B2 (en) * 2002-04-08 2004-05-25 Air Movement Technologies, Inc. Wheelchair brake apparatus and wheelchair including same
US6978864B2 (en) * 2002-10-02 2005-12-27 Jim Peron Wheelchair braking device
US20050248121A1 (en) * 2004-05-04 2005-11-10 Jerry Ford Automatic wheelchair brake device
WO2015131165A1 (en) * 2014-02-28 2015-09-03 Safely Made U.S.A., L.L.C. Wheel chair with automatic braking
JP2016116823A (ja) * 2014-12-23 2016-06-30 橋本螺子株式会社 三輪の車椅子
JP6308565B2 (ja) * 2015-06-10 2018-04-11 有限会社夢の里 歩行器及び歩行器用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205B2 (ja) * 1996-12-26 2000-01-17 三生 和田 罠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トリガー手段
JP2002021889A (ja) 2000-05-01 2002-01-23 Kawamura Cycle:Kk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
KR101681086B1 (ko) 2014-12-05 2016-12-01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47829B1 (ko) 2016-05-27 2017-06-2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차단바 동작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99A (ko) 2019-10-02
WO2019182396A1 (ko) 2019-09-26
US20210015690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740B1 (ko)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US20110193325A1 (en) Stroller frame with a swivel seat and a limiting mechanism
KR102258342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JP2017535346A (ja)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EP3193809B1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s such as, for example, walking frames, strollers or disabled wheelchairs
JP2018187956A (ja) セーフティペダル機構。
AU2011312946B2 (en) Safety arrangement
KR101633496B1 (ko) 유모차의 이중 제동 장치
KR101956004B1 (ko) 휠체어 시트 장치
KR20180125809A (ko) 휠체어용 브레이크 유닛
JP2927716B2 (ja) キャスタのロック装置
CN211167058U (zh) 一种推车
US11110990B2 (en) Brake system for baby or child vehicle
KR101982319B1 (ko) 휠체어용 역진방지장치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EP3437965A1 (en) Bicycle brake lock device and bicycle brake assembly comprising same
GB2616390A (en) Brake mechanism and stroller therewith
KR102553089B1 (ko) 안전바 일체형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JPH0464893B2 (ko)
KR101764240B1 (ko)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JP2525765Y2 (ja) ブレーキ構造
US7051969B2 (en) Belt retractor
KR20210083577A (ko) 휠체어용 브레이크
KR20180125849A (ko) 휠체어용 브레이크 유닛
JP2001071803A (ja) 遠心力に感応するドライバー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