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40B1 -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40B1
KR101764240B1 KR1020160148082A KR20160148082A KR101764240B1 KR 101764240 B1 KR101764240 B1 KR 101764240B1 KR 1020160148082 A KR1020160148082 A KR 1020160148082A KR 20160148082 A KR20160148082 A KR 20160148082A KR 101764240 B1 KR101764240 B1 KR 10176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afety guard
gear
ten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992A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ublication of KR201601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8Steering or braking devices for cast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8Apparatus for transporting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이동 침대가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있다가 환자가 이동 침대에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 침대 측면의 안전 팔걸이가 모두 올라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이동 침대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Movable Bed Brake System}
본 발명은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이동 침대가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있다가 환자가 이동 침대에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 침대 측면의 안전 가드가 모두 올라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이동 침대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침대는 병원에서 수술이 필요한 환자를 수술실로 이송하거나, 수술이 끝난 환자를 병실로 이송하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 또는 응급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동 침대는 몸이 불편하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가 이용하는 만큼 이동 중 침대에서 낙상하여 부상을 입는 낙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중 환자를 낙상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침대 측면에 안전 가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전 가드를 올린후 이동이라는 원칙하에 이동 침대를 운용하고 있지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나 부주의로 인해 안전 가드를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송함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이동 침대에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 침대 측면의 안전 가드가 모두 올라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이동 침대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은 침대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환자가 눕혀지고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지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상시에는 이동 침대가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있다가 환자가 이동 침대에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 침대 측면의 안전 가드가 모두 올라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됨으로써 이동 침대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침대의 브레이크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의 동작에 따른 브레이크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 구조와 그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은 환자가 침대에 눕혀지고 침대 측면의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진 후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은 침대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 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환자가 눕혀지고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지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침대 측면에 형성된 2개의 안전 가드가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진 경우에만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 가드가 원 상태로 내려지면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안전 가드의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환자가 침대에 눕혀진 후 안전가드가 모두 올려지면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안전가드가 다시 접혀지면 상기 연결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10)는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안전 가드가 내려진 상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에 장력이 제공되는 상태로 세팅되어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자전거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통상의 와이어(줄) 형태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를 잠기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항상 브레이크가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안전가드가 모두 올려지면 자동으로 상기 케이블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침대의 브레이크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 가드(121)와 브레이크 케이블(111) 사이에 상기 안전 가드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11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장력 조절부(130)는 침대 바퀴와 안전 가드 사이, 침대 하부에 형성되고 안전 가드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장력 조절부가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력 조절부는 침대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형성된 안전 가드와 결합되고, 양단에서 결합되고 2개의 안전 가드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장력 조절부가 작용하고, 모든 안전 가드가 올려질 경우 비로소 장력 조절부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바꿔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130)는 안전 가드의 회전 축에 결합되어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131)과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제 2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132)과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에 따라 제 1 축 회동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가압하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131)은 안전 가드(121)의 회전 축과 동일 축선 상에서 결합되어 상기 안전 가드가 올려질 경우 안전 가드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131)은 일단에서 안전 가드의 회전 축과 결합된 안전 가드 연결부(131a)와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회동력을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에 전달하는 제 1 기어부(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은 각 안전 가드와 연결된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132)은 상기 제 1 기어부(131b)와 결합되어 제 2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기어부(132a)와 상기 제 2 기어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바(1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132) 역시 제 1 축 회동 기어(131)와 동일하게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의 2개의 회동 바가 안전 가드가 순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각각 동작하여 모든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진 경우에만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가압하여 회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안전 가드가 올려진 경우 제 1 회동 바(A)가 회동하면서 제 2 회동 바(B)를 회동시켜 상기 제 2 회동바를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가압하기 직전상태까지 회동시키고, 나머지 안전 가드가 올려진 경우 제 2 회동바(B)가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제어 유닛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을 잡아당겨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안전 가드(121)에 결합된 2개의 안전 가드 연결부(131a)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 따라 장력이 상대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안전 가드가 접힌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케이블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도록 세팅된다.
이어서, 하나의 안전 가드가 회동 축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상기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정 변위 만큼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전 가드 연결부 역시 동일하게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안전 가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이 아니라, 접혀진 상태에서 각도가 90도 변화하면서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펼쳐지므로 안전 가드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기만 하면 안전 가드의 회동 축이 회동하는 원리를 그대로 장력 조절에 이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와 같이 안전 가드가 모두 접힌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케이블(111)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도록 세팅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도 2의 (b)와 같이, 하나의 안전 가드(121)를 펼치게 되면 안전 가드의 회동 축이 일정 변위 만큼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일체로 결합된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131)이 역시 동일하게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게된다.
도 2c와 같이 다른 하나의 안전 가드를 펼치게 되면 다른 하나의 안전 가드의 회동 축이 역시 일정 변위 만큼 제 1축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2 회동 바(B)가 변위만큼 제 2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동 바(B)가 회동하면서 인근의 제 1 회동 바(A)를 가압하여 제 1 회동 바(A)도 회동하고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가압하기 직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에(133)는 아무런 힘도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브레이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의 회동에 따라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132)이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 1 회동 바(A)가 변위만큼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동 바가 회동하면서 인근의 제 2 회동 바(B)를 가압하여 제 2 회동 바도 회동하고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가압하기 직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에(133)는 아무런 힘도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브레이크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2의 (d)와 같이 나머지 하나의 안전 가드를 펼치게 되면 동일한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의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의 제 2 회동 바(B)가 더욱 회동하면서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을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유닛(133)은 중심 축 상에 형성되고, 브레이크 케이블이 연결된 브레이크 가이드 바(133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회동 바가 회동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가이드 바(133a)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중심 축이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브레이크 케이블을 하부로 잡아 당기는 장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변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이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결국, 2개의 안전 가드가 모두 펼쳐진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 가드가 하나라도 접혀지게 되면 반대 작용에 의해서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브레이크 가이드 바(133a)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111)의 장력 방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이동 침대의 경우 환자를 수술 침대 또는 병실 침대와 같은 고정 침대로 옮기기 위해 하나의 안전 가드만 접은 상태에서 환자를 옮길 수 있으며, 이 때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일 경우 이동 침대가 이동하여 환자를 옮기는 과정에서 낙상사고와 같이 환자에게 부상을 초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안전 가드라도 접혀지게 되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가드 구조와 그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 가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므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안전 가드를 접어야 하지만, 이동 중 잠시 정차하는 경우와 같이 안전 가드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도 이동 침대에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은 안전 가드의 동작과 상관없이 브레이크를 수동적으로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140)는 안전 가드의 회동 축에 형성된 보조 기어(141)와 안전 가드의 회동 축에서 안전 가드와 분리 결합되고 하단에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기어와 기어 결합하는 보조 레버(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가드의 동작에 관계없이(안전 가드의 동작에 따라 회동축은 회동하지 않도록 결합됨)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레버(142)를 회전 시키면 보조 레버의 하단 기어와 결합된 보조 기어(141)가 회동하면서 장력을 변화시켜 브레이크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가드가 모두 펼쳐져서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있는 경우 도 5와 같이, 안전 가드에 결합된 보조 레버(142)만 탈착하여 회동시키면 보조 레버와 결합된 보조 기어(141)가 회동하면서 안전 가드의 회동 축이 안전 가드를 펼쳤을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안전 가드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 가드를 접은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보조 레버(142)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보조 레버를 안전 가드의 원위치에 복귀시키면 안전 가드의 회동 축이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다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안전 가드의 동작 여부와 상관없이,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브레이크 상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브레이크 20 :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

Claims (5)

  1. 침대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안전 가드가 모두 올려진 경우에만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의 장력을 변화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안전 가드가 원 상태로 내려지면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조절부는
    안전 가드의 회전 축에 결합되어 안전 가드가 올려질 경우 제 1 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과;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의 회동에 따라 회동 바를 제 2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과; 연결부재인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된 브레이크 가이드 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의 제 1 회동 바와 제 2 회동 바가 순차적으로 제 2 축 회동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가이드 바를 가압하여 제 1 축 회동시켜 브레이크 케이블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장력을 변화시키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모든 안전 가드가 올려질 경우 비로소 장력 조절부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바꿔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회동 기어 유닛은
    일단에서 안전 가드의 회전 축과 결합된 안전 가드 연결부와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과 결합되어 회동력을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에 전달하는 제 1 기어부를 포함하되, 각 안전 가드와 연결된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축 회동 기어 유닛은
    상기 제 1 기어부와 결합되어 제 2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기어부와 상기 제 2 기어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제 2 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바를 포함하되, 제 1 축 회동 기어와 동일하게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안전 가드가 순차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각 제 2 축 회동 기어 유닛의 2개의 회동 바(A, B)가 각각 순차적으로 회동하여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브레이크 가이드 바를 가압 회동시켜 브레이크 가이드 바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브레이크 반대 방향으로 변화시켜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안전 가드가 하나라도 접혀지게 되면 상기 회동 바가 원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브레이크 가이드 바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이 원래의 브레이크 방향으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안전 가드의 동작과 상관없이(안전 가드의 동작에 따라 회동축은 회동하지 않도록 결합됨) 브레이크를 수동적으로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는
    안전 가드의 회동 축에 형성된 보조 기어와;
    안전 가드의 회동 축에서 안전 가드와 분리 결합되고 하단에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기어와 기어 결합하는 보조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레버를 안전 가드로부터 분리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보조 레버의 하단 기어와 결합된 보조 기어가 회동하면서 장력을 변화시켜 브레이크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서 안전 가드의 동작 여부와 상관없이 브레이크 상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48082A 2014-12-05 2016-11-08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KR101764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4139 2014-12-05
KR1020140174139 2014-12-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617A Division KR20160068616A (ko) 2014-12-05 2015-02-06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92A KR20160131992A (ko) 2016-11-16
KR101764240B1 true KR101764240B1 (ko) 2017-08-04

Family

ID=561352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617A KR20160068616A (ko) 2014-12-05 2015-02-06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48082A KR101764240B1 (ko) 2014-12-05 2016-11-08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617A KR20160068616A (ko) 2014-12-05 2015-02-06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686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63Y1 (ko) 2000-10-17 2001-03-15 최운한 환자운반 카
JP3167094B2 (ja) * 1995-06-27 2001-05-14 株式会社東芝 マイクロ波スイッチ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094B2 (ja) * 1995-06-27 2001-05-14 株式会社東芝 マイクロ波スイッチ素子
KR200217663Y1 (ko) 2000-10-17 2001-03-15 최운한 환자운반 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616A (ko) 2016-06-15
KR20160131992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342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US9662261B2 (en) Fail-safe system for exoskeleton joints
EP2881098B1 (en) Combination bed
JP2010240399A (ja) マタニティグリップ
KR20110044262A (ko) 지브가 부착된 크레인차의 지브 격납 장치
US10765573B2 (en) Wheelchair brake system
KR102051740B1 (ko)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US9856015B2 (en) Rudder bar for an aircraft
KR101764240B1 (ko) 이동 침대 브레이크 시스템
WO2010026199A1 (en) Fall arrest device
CN103169578A (zh) 新型对接担架车
US10836510B2 (en) Naval platform provided with a deck landing/take-off zone and means for handling an aircraft
KR101956000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DE102011078803B4 (de) System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Hinaufziehen einer Fahrtrage in einen Rettungswagen
ITUD20100185A1 (it) "dispositivo di aggancio e sgancio di bozzelli"
KR101956004B1 (ko) 휠체어 시트 장치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DE102018113346A1 (de) Rückenlehne und Stuhl, insbesondere für einen Rollstuhl
JPS5823107B2 (ja) ロ−プの降下制御ブレ−キ装置
CN103321672A (zh) 救援提升舱及脱开装置
CN106586762A (zh) 电梯抱绳器
US10980686B2 (en) Collapsible mobility aid
ITMO20090316A1 (it) Dispositivo di carico/scarico particolarmente per barelle e simili
ITPN20100008A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fezionato applicabile preferibilmente a carrelli principalmente per uso industriale"
KR102336392B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