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436A -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436A
KR20160060436A KR1020140162755A KR20140162755A KR20160060436A KR 20160060436 A KR20160060436 A KR 20160060436A KR 1020140162755 A KR1020140162755 A KR 1020140162755A KR 20140162755 A KR20140162755 A KR 20140162755A KR 20160060436 A KR20160060436 A KR 2016006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ble
wheelchair
occupan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023B1 (ko
Inventor
유영배
Original Assignee
유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6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023B1/ko
Application filed by 유영배 filed Critical 유영배
Priority to SG11201704057VA priority patent/SG11201704057VA/en
Priority to PCT/KR2015/012553 priority patent/WO2016080807A1/ko
Priority to CN201580062164.XA priority patent/CN107106388B/zh
Priority to CN201910285246.0A priority patent/CN110236813B/zh
Priority to US15/526,329 priority patent/US10765573B2/en
Priority to JP2017526972A priority patent/JP2017535346A/ja
Priority to EP15861175.6A priority patent/EP3222262A4/en
Priority to CN202010733281.7A priority patent/CN111888115A/zh
Publication of KR2016006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023B1/ko
Priority to JP2020122652A priority patent/JP7064788B2/ja
Priority to JP2020201136A priority patent/JP202104558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Wheelchairs having brakes of the parking brake type, e.g. holding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08Wheelchairs having brakes for gradually slowing down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2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an element of the drive or transmission, e.g. drive belt, electrodynamic bra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선 경우와 같이 평상시에는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거나 휠체어를 접은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은 경우에만 이동이 가능하여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Wheelchair Break System}
본 발명은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선 경우와 같이 평상시에는 브레이크 잠금 상태로 작동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거나 휠체어를 접은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자동 해제되어 탑승자가 휠체어에 앉은 경우 또는 휠체어가 접힌 경우에만 이동이 가능하여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수단으로 환자가 직접 휠체어를 끌거나 보호자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면서 이동하게 된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탑승하는 만큼 휠체어에 타고 내릴 때가 매우 위험하고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도중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환자가 휠체어로부터 떨어져 부상을 입는 낙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가 장착된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전거와 같이 브레이크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휠체어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때문에 낙상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여 정지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완전하게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함으로써 휠체어에서 내리거나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휠체어가 접혔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탄성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고 탑승자가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바 또는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연결된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감지 프레임에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이 가압되면 브레이크와 반대쪽으로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잠겨있던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되고, 각 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가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에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유닛만 동작해도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모든 유닛이 동작하는 경우에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세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광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회전시켜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탑승자의 하차를 감지하여 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회전 복귀시켜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정속 주행이 가능하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휠체어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는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로 작동하여 정지하고, 휠체어에 탑승자가 완전하게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함으로써 휠체어에서 내리거나 탑승하는 경우 휠체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2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휠체어 브레이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으로 구동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20) 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휠체어가 접혔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10)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110)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탑승자의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상기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면 브레이크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서거나 접혔던 휠체어가 펼쳐지면 상기 연결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10)는 케이블 또는 바로 구성될 수 있고,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에 장력이 제공되는 상태로 세팅되어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와이어(줄) 형태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케이블이 브레이크를 잠기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항상 브레이크가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케이블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비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120)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연결된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감지 프레임에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가압되면 브레이크와 반대쪽으로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잠겨있던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10)은 케이블이 아닌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2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관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제어부(20)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탄성결합되어,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하부로 탄성 변위가 발생하고, 탑승자가 하차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바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중심 축을 가지고 상기 중심 축이 바퀴의 브레이크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 장력을 제공하여 브레이크가 잠김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면 상기 동작 제어부(20)가 하부로 탄성 변위되고, 상기 탄성 변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재가 변위가 발생하여 브레이크와 연결된 케이브를 초기 장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가 복수 개로 분리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된 경우이지만, 도 4와 같이 2개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분리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프레임은 4개의 유닛으로 구획되고, 각 유닛 내부에는 도드래 어샘블리가 형성되고, 상기 도르래 어샘블리를 통해 연결부재인 케이블이 결합된다.
상기 도르래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잠금 해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메인 도르래와 브레이크 잠금 해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여 연결시키는 서브 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르래는 4개의 유닛 각각에 2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 도르래는 케이블이 감긴 상태에서 하나의 도르래는 케이블이 적어도 1회전 감긴 상태로 케이블이 서브 도르래를 통해 브레이크와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 역시 구획된 유닛 수와 동일하게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유닛 당 하나의 케이블이 체결되고, 4개 중 2개의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2개의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제 1 유닛에 체결된 제 1 케이블과 제 4 유닛에 체결된 제 4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제 1 브레이크에 연결되고, 제 2 유닛에 체결된 제 2 케이블과 제 3 유닛에 체결된 제 3 케이블이 하나의 쌍으로 제 2 브레이크에 연결된다.
상기 4개의 케이블이 시작되는 단에는 나사 조절부가 형성되어 각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는 4개로 분리 구성된다. 각 상부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하부에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감지 프레임과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탑승자의 탑승 여부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가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체결되기 위해 탄성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감지 프레임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플레이트 하부로 돌출된 돌출바와 상기 돌출바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용홈은 한 쌍의 메인 도르래에 김겨진 케이블을 수용해야 하므로 도 2와 같이 2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가 4개로 분리 구성되고, 한 쌍의 브레이크가 각각 2개의 케이블과 연결되고, 케이블과 연결된 브레이크 장력을 조절하여 4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가압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장력 조절을 통해 한쌍의 브레이크에 연결된 각각 하나의 유닛이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4개의 유닛이 모두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휠체어 브레이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케이블의 장력이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케이블은 일단이 브레이크와 결합되고, 타단은 감지 프레임의 케이블 조절부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조절부는 조절 나사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서, 고정단 역할을 담당하고, 케이블의 일단인 브레이크 결합 단은 탄성 단으로 외력에 의해 장력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일,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경우 감지 프레임과 탄성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케이블 수용부의 수용홈에 수용된 케이블이 하부로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하부로 가압되면 가압되는 변위 만큼 메인 도르래가 회전하게 되고, 타단은 고정단이므로 탄성단인 브레이크 결합단으로부터 잡아당기는 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4개의 유닛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하나의 브레이크는 2개의 유닛과 연결된 2개의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4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에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바뀌어 브레이크가 해제되기 때문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만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상기 4개의 유닛 중 몇 개의 유닛이 가압되는 경우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것인지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여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휠체어가 접힐 경우 굽힘에 의해 케이블을 잡아 당기는 장력이 발생하며, 타단은 고정단이므로 탄성단인 브레이크 결합단으로부터 잡아당기는 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면서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를 차단 바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단 바가 바퀴 살 사이를 통과하여 바퀴 살에 걸리기 때문에 휠체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바가 내부로 탄성 이동되어 바퀴 내부로 이동하므로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는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 후단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박스를 통해 변환된 변위만큼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차단 바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서 작용한 탄성력이 제거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기어 어셈블리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계적 변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 차단 바가 바퀴 살을 통과하여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이하,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으로 구동하는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장력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던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인 브레이크 잠금 및 해제 원리는 기계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탑승자가 하차하여 압력 감지 센서의 센싱 값이 변하는 경우 상기 구동 제어기는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복귀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장력의 방향이 다시 브레이크 방향으로 변환되어 브레이크가 해제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된다.
여기서, 탑승자가 완전히 탑승하거나 완전히 하차한 경우에만 브레이크가 해제 및 잠금되도록 기계식과 동일하게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를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속도가 빠른 경우나 내리막길인 경우 센서 유닛을 통해 감지되면 브레이크를 완전히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가 일부만 동작하게 함으로써 제동력을 제공하여 속도를 줄여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휠체어의 속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속도(예를 들어, 시속 5~10km 범위에서 설정)를 초과할 경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켜 브레이크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초과된 속도에 따라 걸려야하는 브레이크 잠금 정도를 조절하여 전동 도르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는 (a)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 작용식, (b)와 같이 유모차에 주로 적용되는 캘리퍼 작용식, (c)와 같이 자전거에 주로 적용되는 림브레이크식, (d)와 같이 밴드 브레이크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식의 경우 브레이크 잠금 정도의 조절이 용이한 밴드 브레이크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브레이크 20 :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

Claims (9)

  1. 휠체어 바퀴에 형성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레이크는 평상시 잠금 상태로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하거나 휠체어가 접혔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브레이크와 탄성적으로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고 탑승자의 탑승시 상기 브레이크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상기 탑승자가 일어서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복귀시켜 다시 브레이크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케이블 또는 바로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는
    비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연결된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감지 프레임에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케이블의 장력 방향을 전환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탑승자가 탑승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수용된 케이블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블이 가압되면 브레이크와 반대쪽으로 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잠겨있던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프레임과 상부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되고;
    각 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이 적어도 하나가 브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에 브레이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칭 부재가
    전동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휠체어 시트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회전시켜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기 구동부를 구비하는 감지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과 결합하고,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는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고, 케이블을 회전시키는 전동 도르래와 상기 전동 도르래를 구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회전시켜 장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탑승자의 하차를 감지하여 모터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전동 도르래를 원 위치로 회전 복귀시켜 장력이 브레이크 방향으로 작용하여 브레이크가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는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의 단순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경사지에서 주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40162755A 2014-11-20 2014-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65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55A KR101650023B1 (ko) 2014-11-20 2014-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PCT/KR2015/012553 WO2016080807A1 (ko) 2014-11-20 2015-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N201580062164.XA CN107106388B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CN201910285246.0A CN110236813B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SG11201704057VA SG11201704057VA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US15/526,329 US10765573B2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JP2017526972A JP2017535346A (ja) 2014-11-20 2015-11-20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EP15861175.6A EP3222262A4 (en) 2014-11-20 2015-11-20 Wheelchair brake system
CN202010733281.7A CN111888115A (zh) 2014-11-20 2015-11-20 轮椅制动系统
JP2020122652A JP7064788B2 (ja) 2014-11-20 2020-07-17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201136A JP2021045587A (ja) 2014-11-20 2020-12-03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55A KR101650023B1 (ko) 2014-11-20 2014-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90A Division KR20160089315A (ko) 2016-07-18 2016-07-18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36A true KR20160060436A (ko) 2016-05-30
KR101650023B1 KR101650023B1 (ko) 2016-08-22

Family

ID=5685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55A KR101650023B1 (ko) 2014-11-20 2014-11-20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340A (ko) 2018-08-17 2020-02-26 유영배 휠체어 안전바와 연동된 발걸이대 자동 제어 장치
EP3687046A1 (en) 2019-01-25 2020-07-29 LG Electronics Inc. Brake device of in-wheel motor and in-wheel motor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3821A (ja) * 1989-12-11 1991-08-09 Takenaka Komuten Co Ltd 軟弱地盤の圧縮による建築工法及び構造体
JP2004016406A (ja) * 2002-06-14 2004-01-22 Tsunayoshi Obata 車椅子
KR20160068615A (ko) * 2014-12-05 2016-06-15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3821A (ja) * 1989-12-11 1991-08-09 Takenaka Komuten Co Ltd 軟弱地盤の圧縮による建築工法及び構造体
JP2004016406A (ja) * 2002-06-14 2004-01-22 Tsunayoshi Obata 車椅子
KR20160068615A (ko) * 2014-12-05 2016-06-15 유영배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340A (ko) 2018-08-17 2020-02-26 유영배 휠체어 안전바와 연동된 발걸이대 자동 제어 장치
EP3687046A1 (en) 2019-01-25 2020-07-29 LG Electronics Inc. Brake device of in-wheel motor and in-wheel mo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023B1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45587A (ja) 車椅子ブレーキシステム
US7434664B2 (en) Elevator brake system method and control
CN105916791B (zh) 设有安全装置配置的电梯
US11590998B2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KR101681088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372784B1 (ko) 윈치 기구를 갖는 이동 장치 고정 시스템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US20060076748A1 (en) Wheelchair with damping mechanism
JP5850754B2 (ja) 調速機及びこの調速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650023B1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20190023367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CN209889032U (zh) 自平衡代步车
KR20160089315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US11485398B2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KR102344670B1 (ko) 보호 장치의 체결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동식 휠체어
EP3546317A1 (en) Braking mechanism for transferring means for children
KR20130107495A (ko) 경사면 이동에 적합한 전동 실버카
CN213441921U (zh) 一种防后溜的箱包轮结构
CN219412293U (zh) 升降式安全门设备
KR20200105296A (ko) 전동 휠체어 장치
US535096A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elevators
KR101130620B1 (ko) 자동차 안전벨트 체결장치
US800502A (en) Mechanical brake.
KR980009084A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