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678A - 흡수식 공조기 본체 - Google Patents

흡수식 공조기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678A
KR20040111678A KR10-2004-7018805A KR20047018805A KR20040111678A KR 20040111678 A KR20040111678 A KR 20040111678A KR 20047018805 A KR20047018805 A KR 20047018805A KR 20040111678 A KR20040111678 A KR 2004011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generator
tube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123B1 (ko
Inventor
위에 장
Original Assignee
위에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에 장 filed Critical 위에 장
Publication of KR2004011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3/00Boilers; Analysers; Rect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 multi-stag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7/00Absorbers; Ad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6Evapo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orpt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제로서 브롬화 리튬 용액을 이용하는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적이 작고 긴밀한 구조의 흡수식 공조기 본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공조기는 주요하게는 상측 용기(통)(24)와 하측 용기(통)(21)를 포함하고,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 사이에는 용액관 덮개(23), 냉매수 관(22), 냉각수 관(7), 가열증기 관(5)이 연결되며, 용액관 덮개(23) 내에는 두 개의 농축 용액관과 두 개의 희석 용액관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긴밀하고, 체적이 작으며, 용접 이음새가 적고, 진공도가 높다.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증발기(10) 및 흡수기(11)의 열교환관(30, 39, 61, 73)은 모두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어 열교환 효율이 높다.

Description

흡수식 공조기 본체 {AN ABSORPTION AIR CONDITIONER BODY}
종래의 흡수식 공조기의 고온 발생기는 별도의 용기로 되어 있고, 저온 발생기와 응축기(condenser)는 한 개의 용기로 되어 있으며, 증발기와 흡수기는 또 다른 용기로 되어 있고, 고온 및 저온 열교환기는 이러한 용기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러한 모양의 용기들은 용접 이음새가 많으므로 외부 누출 가능성이 높고 진공도가 낮고, 열전도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본 발명은 브롬화 리튬 용액을 흡수제로 사용하고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적이 작고 치밀한 구조의 흡수식 공조기 본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측 용기의 응축기 및 저온 발생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D-D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E-E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F-F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측 용기의 고온 발생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고온 발생기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G-G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측 용기의 증발기 열교환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하측 용기의 증발기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H-H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하측 용기의 흡수기 열교환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흡수기 열교환관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I-I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응축기 2: 저온 발생기
3: 용액 4: 고온 발생기
5: 가열증기 관 6: 가열증기 스위치 밸브
7: 냉각수 관 8: 판형 열교환기
9: 공조수 관 10: 증발기
11: 흡수기 12: 물받이
13: 냉매 배출 밸브 14: 냉각수 펌프
15: 공조수 펌프 16: 필터
17: 냉매 펌프 18: 필터
19: 용액 펌프 20: 용액
21: 하측 용기 22: 냉매수 관
23: 용액관 덮개 24: 상측 용기
25: 냉매수 26: 응축기 및 저온 발생기 케이스
27: 농축용액 배출관 28: 냉각수 배출관
29: 냉각수 유입관 30: 응축기 열교환관
31: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 32: 냉매수 배출 보호 덮개
33: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1 분리판 34: 비금속 절연판 35: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2 분리판 36: 응축 열교환관 지지판
37: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 38: 응축조
39: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 40: 응축기 튜브 시트
41: 고온 발생기 액체 안내판 42: 저온 발생기 튜브 시트
43: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 44: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통
45: 저온 발생기 분리판 46: 희석용액 유입관
47: 저온 발생기 정류판(baffle) 48: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
49: 냉매수 배출관 50: 고온 발생기 가열증기 관
51: 평형 튜브 52: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
53: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 54: 고온 발생기 케이스
55: 고온 발생기 연소실 56: 파형 핀(wavy fin) 57: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관 58: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
59: 고온 발생기 연관(smoke pipe) 60: 고온 발생기 연관 튜브 시트
61: 증발기 열교환관 62: 공조수 배출관
63: 공조수 유입관 64: 냉매수 1차 유입관
65: 냉매수 2차 유입관 66: 냉매수 분무관
67: 외부액체 보호판 68: 내부물 보호판
69: 측면 액체/물 보호판 70: 증발기 열교환관 지지판
71: 물받이 72: 냉매수
73: 흡수기 열교환관 74: 냉각수 배출관
75: 냉각수 유입관 76: 액체 보호판
77: 흡수기 용액 분무관 78: 흡수기 열교환관 지지판
79: 흡수기 고정판 80: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
81: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 82: 희석용액관
83: 냉매수 배출관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긴밀하게 하고, 외부 용접 이음새를 최소화하고, 진공 상태를 보다 개선하여 열전도의 손실을 적게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설계 방안은, 주요하게는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로 구성되어,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 사이에는 용액관 덮개, 냉매수 관, 냉각수 관 및 가열증기 관이 연결되어 접해 있고, 용액관 덮개 내에는 두 개의 농축 용액관과 두 개의 희석용액관이 위치한다. 상측 용기는 고온 발생기와 저온 발생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고, 고온 발생기와 저온 발생기는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1 분리판과 제2 분리판에 의하여 분리된다. 고온 발생기 위에는 저온 발생기가 있고, 저온 발생기 위에는 응축기가 있다. 고온 발생기와 저온 발생기의 사이, 저온 발생기와 응축기의 사이에는 비금속 절연판이 설치된다. 하측 용기는 판형 열교환기와 증발기 및 흡수기를 포함하고, 판형 열교환기는 하측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증발기와 흡수기는 판형 열교환기의 아래에 위치한다. 증발기는 하측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흡수기는 증발기를 둘러싼다. 저온 발생기, 증발기, 흡수기 및 응축기의 열교환관은 모두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 공조기 본체는 주요하게는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로 구성되어,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 사이에는 용액관 덮개(23), 냉매수 관(22), 냉각수 관(7), 및 가열증기 관(5)이 연결되어 있고, 용액관 덮개(23) 내에는 두 개의 농축 용액관과 두 개의 희석 용액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측 용기(24)는 고온 발생기(4), 저온 발생기(2) 및 응축기(1)를 포함하고, 고온 발생기(4)와 저온 발생기(2)는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1 분리판(35)과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2 분리판(33)에 의하여 분리되고, 고온 발생기(4) 위에는 저온 발생기(2)가 있고, 저온 발생기(2) 위에는 응축기(1)가 있으며, 고온 발생기(4)와저온 발생기(2)의 사이 및 저온 발생기(2)와 응축기(1)의 사이에는 비금속 절연판(34)이 설치되어 있고, 하측 용기(21)는 판형 열교환기(8), 증발기(10) 및 흡수기(11)를 포함하고, 판형 열교환기(8)는 하측 용기(21)의 상부에 위치하고, 증발기(10)와 흡수기(11)는 판형 열교환기(8)의 아래에 위치하고, 증발기(10)는 하측 용기(21) 중앙부에 위치하고, 흡수기(11)는 증발기(10)를 둘러싸고,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증발기(10) 및 흡수기(11)의 열교환관(30,39,61,73)은 모두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8, 도 14 및 도 17을 보면, 응축기(1)는 응축기 열교환관(30)과 응축조(38)를 포함하고, 응축기 열교환관(30)은 응축조(38) 내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수 배출관(28)은 냉각기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냉각수 관(7)은 냉각수 유입관(29)을 흡수기(11)의 냉각수 배출관(74)에 연결하고 있고, 응축기(1)의 냉매수(25)는 냉매수 배출관(49)과 냉매수 관(22)을 통하여 증발기(10)의 냉매수 1차 유입관(64)으로 유동한다.
도 1,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보면, 저온 발생기(2)는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 저온 발생기 튜브 시트(tube sheet)(42),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39),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통(44), 저온 발생기 분리판(45), 농축용액 배출관(27), 및 희석용액 유입관(46)을 포함하고,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의 일단은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에 연결되고,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상부의 고온 발생기 증기실 내에 있고, 저온 발생기증기 유입관(37) 입구 아래에 고온 발생기 액체 안내판(41)이 설치되어 있고,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39) 양단은 저온 발생기 튜브 시트(42)에 고정되어 접해 있고 또한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과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저온 발생기 분리판(45)은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통(44)과 희석용액 유입관(46)을 분리하고,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은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을 응축기(1)에 연결하고 있고, 농축용액 배출관(27)은 판형 열교환기(8)를 경유하여 흡수기(11)의 저온 발생기 용액 유입관(81)에 연결되어 있고, 희석용액 유입관(46)은 희석용액관(8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도 9, 도 10 및 도 11을 보면, 고온 발생기(4)는 고온 발생기 연소실(55), 고온 발생기 연관(smoke pipe) 튜브 시트(60), 고온 발생기 연관(59), 파형 핀(56),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58),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관(57), 평형 튜브(51) 및 고온 발생기 가열증기 관(50)을 포함한다. 고온 발생기(4)의 저부는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고온 발생기 연관 튜브 시트(60)는 고온 발생기의 좌측 및 후방에 고온 발생기 연소실(55)과 후방 밀봉 단부를 형성하고, 또한 전방과 후방에는 고온 발생기 연관(59) 다발을 고정시킨다. 고온 발생기(59) 다발 내에는 파형 핀(56)이 설치되어 있다.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의 일단은 판형 열교환기(8)의 희석용액 배출 단부와 접해 있고,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연관(59)의 상부에 놓여 있다.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는 고온 발생기 연소실(55)의 반대 편에 위치하고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58)은 고온 발생기(4)의 저부 가까이에 위치하여, 농축용액은 상기 저부로부터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로 진입할 수 있다.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관(57)은 판형 열교환기(8)를 경유하여 흡수기(11)의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에 연결된다. 평형 튜브(51)의 일단은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에 연결되고, 평형 튜브(51)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증기실에 연결된다. 고온 발생기 증기실은 고온 발생기 가열증기 관(50)을 통하여 가열 장치와 연결된다.
도 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보면, 증발기(10)는 증발기 열교환관(61), 냉매수 분무관(66), 외부액체 보호판(67), 내부액체 보호판(68), 측면 액체/물 보호판(69), 물받이(71), 냉매수 1차 유입관(64) 및 냉매수 2차 유입관(65)을 포함한다. 냉매수 2차 유입관(65)은 냉매수 분무관(66)과 연결되고, 물받이(71) 중의 냉매수(72)는 냉매수 배출관(83)을 통하여 냉매수 2차 유입관(65)으로 진입한다. 냉매수 1차 유입관(64)은 냉매수 관(22) 및 응축기(1)의 냉매수 배출관(49)에 연결된다. 냉매수 1차 유입관(64)과 냉매수 2차 유입관(65)의 냉매수 분무관(66)은 모두 증발기 열교환관(61) 위에 위치한다. 냉매수 분무관(66)의 외측으로부터 아래로 증발기 열교환관(61)에 이르기까지,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열교환관(61)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내부액체 보호판(68)이 위치한다. 증발기 열교환관(61) 외측에 측면 액체/물 보호판(69)이 위치하고, 내부액체 보호판(68) 외측에 외부액체 보호판(67)이 위치한다. 물받이(71)는 증발기 열교환관(61) 아래에 위치하고, 물받이(71) 가장자리는 측면 액체/물 보호판(69)의 중앙부와 정렬되어 있다.
도 1, 도 15, 도 16, 도 17을 보면, 흡수기(11)는 흡수기 열교환관(73), 흡수기 용액 분무관(77), 액체 보호판(76), 냉각수 유입관(75), 및 냉각수 배출관(74)을 포함한다. 흡수기 열교환관(73) 위 방향으로는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이 위치하고,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은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1) 및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에 연결된다.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1)과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은 판형 열교환기(8)의 농축용액 배출관에 연결된다.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의 외측으로부터 흡수기 열교환관(73), 바람직하게는 흡수기 열교환관(73)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액체 보호판(76)이 위치한다. 냉각수 유입관(75)은 외부 냉각기의 배출관에 연결되고, 냉각수 배출관(74)은 냉각수 관(7)을 통하여 응축기(1)의 냉각수 유입관(29)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도 9, 도 10, 도 11을 보면, 고온 발생기(4)의 고온 발생기 연소실(55)의 열원이 연소하여 1200℃에 이를 때,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을 통과하여 판형 열교환기(8)로부터 나온 희석 용액은 고온 발생기 연관(59)과 고온 발생기 연소실(55) 주위에서 158℃까지 가열된다. 희석 용액은 비등하고, 수증기를 대량으로 만든다. 희석 용액이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온 발생기 액체 안내판(41)은 희석 용액이 튀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고온 연관(59)으로부터 파형 핀(56)을 통하여 연기가 천천히 배출된다. 많은 양의 증기가 배출된 후에는 57%의 희석용액은 63%까지 농축되어 고온 발생기(4)의 원추형 저부 속으로 침잠하고, 그 다음으로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58)을 통하여 판형 열교환기(8) 속으로 유동하여, 열교환 과정을 거치고 흡수기(11)로 진입하여 분무된다. 도 4와 도8을 보면, 고온 발생기(4)가 만들어내는 대량의 수증기는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을 통하여 저온 발생기(2)의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39)에 진입하여, 관 외부의 희석용액을 90℃까지 가열한다. 희석용액으로부터 산출된 저온 발생기 냉매 증기와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으로부터 산출된 고온 발생기 냉매 증기가 응축기(1)로 진입하고, 열량을 방출한 후 물로 응축된다. 저온 발생기의 57%의 희석용액은 63%로 농축되고, 그 다음 재차 농축용액 배출관(27)을 경유하여 판형 열교환기(8)에 진입하여 열교환 과정을 거치고 흡수기(11)로 진입하여 분무된다. 도 1, 도 8 및 도 14를 보면, 흡수기(11)의 냉각수 배출관(74)으로부터 나와서 냉각수 관(7)을 경유하여 냉각수 유입관(29)에 이르는 냉각수는 응축기 열교환관(30)을 통하여 흘러서 관 외부의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킨다. 저온 발생기(2)의 열량은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수 배출관(28)을 경유하여 냉각기로 운반된다. 응축된 물(응축수)은 냉매로서 냉매수 배출관(49)으로부터 냉매수 관(22)과 냉매수 1차 유입관(64)을 통하여 증발기(10)로 진입하여 증발에 의하여 냉각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14를 보면,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14℃의 공조수는 공조수 유입관(63)을 경유하여 증발기 열교환관(61)으로 진입한다. 응축기(1)의 4℃ 냉매수는 냉매수 1차 유입관(64)을 통하여, 물받이(71)의 냉매수(72)는 냉매수 2차 유입관(65)을 통하여 증발기 열교환관(61)을 향하여 분무된다. 증발기 열교환관(61) 내의 공조수는 증발기 열교환관(61) 외부의 냉매수의 증발에 의하여 온도가 7℃까지 내려가고, 공조수 배출관(62)을 경유하여 외부 공기 팬(fan)을 구비한 공조 열교환관으로 진입한다. 냉매수는 공조기 시스템의 열량을 얻게 되고, 수증기로 변화되어 흡수기(11)에 흡수된다.도 1과 도 17을 보면, 농도가 63%이고 온도가 37℃인 브롬화 리튬 용액은 강력한 수증기 흡수 성능을 가진다. 판형 열교환기(8)에서 나온 농축용액은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을 경유하여 흡수기 열교환관(73)을 향하여 분무된다. 농축용액이 증발기(10)의 증기를 흡수하면, 온도가 상승하고 농도가 희석된다. 농축용액의 흡수된 열은, 냉각수 유입관(75)을 경유하여 흡수기 열교환관(73)으로 들어가는 냉각수에 의하여 운반된다. 농축용액이 57%로 희석되는 동안, 농축용액은 용액 펌프(19)에 의하여 판형 열교환기(8)로 퍼내어져서 그곳에서 열교환 과정에 관여하게 된다. 그 다음 이 농축용액은 고온 발생기(4)와 저온 발생기(2)로 각각 보내어져서 가열되고 응축된다. 상기 서술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공조기의 정상적인 작동이 유지된다.
1. 본 발명은 종래의 흡수식 공조기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및 고온 발생기(4)는 한 개의 용기 내에 있고, 고온 발생기(4) 위에 저온 발생기(2)가 위치하고 저온 발생기(2) 위에 응축기(1)가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로의 누설을 대폭 감소시킨다. 상측 용기(24)에는 단 한 개의 긴 용접 이음새가 있을 뿐이어서, 진공상태가 대단히 양호하고, 긴밀한 구조가 된다. 고온 발생기와 저온 발생기 사이의 열교환 구배가 적절하다. 고온 발생기(4)의 온도는 최고이며, 저온 발생기(2)의 온도는 중간이고, 응축기(1)의 온도는 최저이다.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증발기(10) 및 흡수기(11)의 열교환관은 모두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어 열교환 효율이 높다.
2. 상측 용기(24)에는 고온 발생기(4)와 저온 발생기(2)의 사이 및 저온 발생기(2)와 응축기(1)의 사이에 비금속 절연판(34)이 설치된다.
3. 저온 발생기(2)의 수증기가 응축기(1)로 들어가서 물로 응결하였을 때 그 압력차는 대단히 크다. 본 발명은 매우 긴 나선형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을 이용하여 응축기에 진입하기 위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저온 발생기(2)와 응축기(1) 간의 압력을 조절한다.
4. 고온 발생기(4)에서 나오는 농축용액과 고온 발생기(4)로 들어가는 희석용액을 위한, 그리고 저온 발생기(2)에서 나오는 희석용액과 저온 발생기(2)로 들어가는 농축용액을 위한 구조는, 용액을 높은 위치에서 진입 및 배츨시켜서 매우 안정된 액위를 유지한다. 이는 고온 발생기 연관(59)과 상측 용기(24)가 연소되지 않게 해주고, 용액이 지나치게 농축되거나 또는 지나치게 희석되지 않게 해준다. 또한 모든 고온 발생기 연관(59)이 충분히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고온 발생기(4)에는 편심의 고온 발생기 연소실(55)이 있고, 연기를 고온 발생기 연관(59)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후방 밀봉 단부가 있다. 고온 발생기(4)의 저부는 팬(pan)의 저부와 유사한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농축용액과 희석용액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농축용액은 원추면 바닥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평형 튜브(51)는 농축용액 중의 가스를 고온 발생기 증기실로 배출할 수 있다. 고온 발생기 액체 안내판(41)은 비등한 용액이 튀어서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6. 증발기(10)와 흡수기(11)에는 각각 내부물 보호판(68)과 액체 보호판(76)이 구비된다. 증발기(10)에는 또한 외부 액체 보호판(67)도 구비된다. 이러한 판으로 인하여, 냉매수가 외부로 분무되지 않고 동시에 외부의 용액도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증발기(10)와 흡수기(11) 사이에는 측면 액체/물 보호판(69)이 있어서, 흡수기(11)의 용액도 증발기(10) 속으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용액이 냉매수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고, 시스템의 냉동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7. 판형 열교환기(8)는 하측 용기(21) 내에 위치한다. 흡수기(11)의 농축용액을 흡입하고 희석용액을 배출하는 4 개의 용액관은 모두 하측 용기(21) 내에 위치한다. 소량의 누설이 생겨도 전체 시스템의 진공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 사이에 있는 4 개의 용액관이 용액관 덮개(23)로 둘러싸여 있고, 이 용액관 덮개(23)는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다.
8. 상측 용기(24), 하측 용기(21) 및 용액관 덮개(23)는 용접 이음새가 적어서, 고도의 진공 수준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 공조기 본체는 구조가 치밀하고 체적이 작고 용접 이음새가 적고 진공도가 높으며,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증발기(10) 및 흡수기(11)의 열교환관(30, 39, 61, 73)이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어 열교환 효율이 높다.

Claims (6)

  1.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를 포함하고,
    상측 용기(24)와 하측 용기(21)는 용액관 덮개(23), 냉매수 관(22), 냉각수 관(7) 및 가열증기 관(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용액관 덮개(23) 내에는 두 개의 농축 용액관과 두 개의 희석 용액관이 배치되고,
    상측 용기(24)는 고온 발생기(4), 저온 발생기(2) 및 응축기(1)를 구비하고, 고온 발생기(4)와 저온 발생기(2)는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1 분리판(35)과 고온 발생기 및 저온 발생기의 제2 분리판(33)에 의하여 분리되고, 고온 발생기(4) 위에는 저온 발생기(2)가 위치하고 저온 발생기(2) 위에는 응축기(1)가 위치하고, 고온 발생기(4)와 저온 발생기(2)의 사이 및 저온 발생기(2)와 응축기(1) 사이에는 비금속 절연판(34)이 설치되고,
    하측 용기(21)는 판형 열교환기(8), 증발기(10) 및 흡수기(11)를 구비하고, 판형 열교환기(8)는 하측 용기(21)의 상부에 위치하고, 증발기(10)와 흡수기(11)는 판형 열교환기(8)의 아래에 위치하고, 증발기(10)는 하측 용기(21)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흡수기(11)는 증발기(10)를 둘러싸고,
    응축기(1), 저온 발생기(2), 증발기(10) 및 흡수기(11)의 열교환관(30, 39, 61, 73)은 나선형 동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기(1)는 응축기 열교환관(30)과 응축조(38)를 포함하고,
    응축기 열교환관(30)은 응축조(38) 내에 설치되고,
    냉각수 배출관(28)이 냉각기 외부에 연결되고,
    냉각수 유입관(29)이 냉각수 관(7) 및 흡수기(11)의 냉각수 배출관(74)과 연결되고,
    응축기(1)의 냉매수(25)는 냉매수 배출관(49)과 냉매수 관(22)을 통하여 증발기(10)의 냉매수 1차 유입관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 발생기(2)는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 저온 발생기 튜브 시트(42),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39),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통(44), 저온 발생기 분리판(45), 농축용액 배출관(27) 및 희석용액 유입관(46)을 포함하고,
    저온 발생기 유입관(37)의 일단은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에 연결되어 있고, 저온 발생기 유입관(37)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상부의 고온 발생기 증기실 내에 위치하고,
    저온 발생기 증기 유입관(37) 입구 아래에 고온 발생기 액체 안내판(41)이 설치되고,
    저온 발생기 열교환관(39) 양단은 저온 발생기 튜브 시트(42)에 고정되어 접하고 또한 저온 발생기 전방 증기실(48)과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에 각각 연결되고,
    저온 발생기 분리판(45)은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통(44)과 희석용액 유입관(46)을 분리하고,
    저온 발생기 후방 수통(43)은 저온 발생기 압력차 모세관(31)에 의하여 응축기(1)에 연결되고,
    농축용액 배출관(27)은 판형 열교환기(8)를 통하여 흡수기(11)의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1)에 연결되고,
    희석용액 유입관(46)은 희석용액관(8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 발생기(4)는 고온 발생기 연소실(55), 고온 발생기 연관(smoke pipe) 튜브 시트(60), 고온 발생기 연관(59), 파형 핀(wavy fin)(56),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58),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관(57), 평형 튜브(51) 및 고온 발생기 가열증기 관(50)을 포함하고,
    고온 발생기(4)의 저부는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고온 발생기 연관 튜브 시트(60)는 고온 발생기의 좌측 및 후방에 고온 발생기 연소실(55)과 후방 밀봉 단부를 형성하고, 그 전방 및 후방 단부에 고온 발생기연관(59)들을 고정시키고,
    파형 핀(56)은 고온 발생기 연관(59) 내에 설치되고,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 일단은 판형 열교환기(8)의 희석용액 배출구에 연결되고, 고온 발생기 희석용액 유입관(52)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연관(59)의 상부 위에 위치하고,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는 고온 발생기 연소실(55)의 반대편 측에 위치하고,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58)은 고온 발생기(4)의 저부 가까이에 위치하여, 농축용액은 상기 저부로부터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로 진입하고,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배출관(57)은 판형 열교환기(8)를 통하여 흡수기(11)의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에 연결되고,
    평형 튜브(51)의 일단은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용기(53)에 연결되고 평형 튜브(51)의 타단은 고온 발생기 증기실에 연결되고,
    고온 발생기 가열증기 관(50)은 고온 발생기 증기실을 가열 장치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증발기(10)는 증발기 열교환관(61), 냉매수 분무관(66), 외부액체 보호판(67), 내부액체 보호판(68), 측면 액체/물 보호판(69), 물받이(71), 냉매수 1차 유입관(64), 냉매수 2차 유입관(65)을 포함하고,
    냉매수 2차 유입관(65)은 냉매수 분무관(66)에 연결되고, 물받이(71) 속의 냉매수(72)는 냉매수 배출관(83)을 통하여 냉매수 2차 유입관(65)으로 진입하고,
    냉매수 1차 유입관(64)은 냉매수 관(22)을 통하여 응축기(1)의 냉매수 배출관(49)에 연결되고,
    냉매수 1차 유입관(64)과 냉매수 2차 유입관(65)의 냉매수 분무관(66)은 모두 증발기 열교환관(61) 위에 위치하고,
    내부액체 보호판(68)은 냉매수 분무관(66)의 외측으로부터 아래로 증발기 열교환관(61)의 상부에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고,
    증발기 열교환관(61) 외부에 측면 액체/물 보호판(69)이 위치하고, 내부액체 보호판(68) 외부에 외부액체 보호판(67)이 위치하고,
    물받이(71)는 증발기 열교환관(61) 아래에 위치하고, 물받이(71) 가장자리는 측면 액체/물 보호판(69)의 중앙부와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6.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기(11)는 흡수기 열교환관(73), 흡수기 용액 분무관(77), 액체 보호판(76), 냉각수 유입관(75) 및 냉각수 배출관(74)을 포함하고,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은 흡수기 열교환관(73)의 위에 위치하고,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은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1)과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에 연결되고,
    저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1)과 고온 발생기 농축용액 유입관(80)은 판형 열교환기(8)의 두 개의 농축용액 배출관에 연결되고,
    액체 보호판(76)은 흡수기 용액 분무관(77)의 외측으로부터 아래로 흡수기 열교환관(73)의 상부에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고,
    냉각수 유입관(75)은 외부 냉각기의 배출관에 연결되고,
    냉각수 배출관(74)은 냉각수 관(7)과 응축기(1)의 냉각수 유입관(29)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기 본체.
KR1020047018805A 2003-03-11 2004-01-05 흡수식 공조기 본체 KR100592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3118157.0 2003-03-11
CNB031181570A CN1227492C (zh) 2003-03-11 2003-03-11 一种吸收式空调主体
PCT/CN2004/000008 WO2004081465A1 (fr) 2003-03-11 2004-01-05 Corps de climatiseur par absor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78A true KR20040111678A (ko) 2004-12-31
KR100592123B1 KR100592123B1 (ko) 2006-06-21

Family

ID=3273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805A KR100592123B1 (ko) 2003-03-11 2004-01-05 흡수식 공조기 본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20440B2 (ko)
EP (1) EP1457746A2 (ko)
JP (1) JP3989938B2 (ko)
KR (1) KR100592123B1 (ko)
CN (1) CN1227492C (ko)
AU (1) AU2004220006B2 (ko)
BR (1) BRPI0406191A (ko)
CA (1) CA2484143C (ko)
CL (1) CL2004000505A1 (ko)
MX (1) MXPA04011720A (ko)
MY (1) MY134645A (ko)
PE (1) PE20040791A1 (ko)
WO (1) WO200408146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070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US9212852B2 (en) 2012-07-1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Support mechanism for a heat exchanger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US9389026B2 (en) 2012-07-11 2016-07-12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US9677819B2 (en) 2013-02-01 2017-06-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55369A1 (es) * 2005-08-10 2007-08-22 Smithkline Beecham Corp Compuestos derivados de xantina, su us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para el tratamiento de una enfermedad mediada por el receptor hm74a, formulaciones y combinacion farmaceuticas que la comprenden y metodo de preparacion de los mismos
CN102095286B (zh) * 2011-01-25 2012-09-05 清华大学 一种回收低压蒸汽余热的吸收式热泵蒸发器结构
CN102601578A (zh) * 2012-04-01 2012-07-25 浙江腾云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生器的组装方法
CN102620483A (zh) * 2012-04-01 2012-08-01 浙江腾云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生器外管
JP6218407B2 (ja) * 2013-03-19 2017-10-25 大阪瓦斯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の運転方法
CN103743162A (zh) * 2013-12-13 2014-04-23 苏州市润元汽车配件有限公司 车用空调冷凝器芯体
CN103822395A (zh) * 2014-02-19 2014-05-28 双良节能系统股份有限公司 制取高温热水的直燃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JP7029807B2 (ja) * 2016-01-28 2022-03-04 クール4シー エーピーエス 吸収冷凍および空調装置
RU2665008C1 (ru) * 2017-04-26 2018-08-2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ЮРО ТЕХНИКИ" Компактная судовая абсорбционная холод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JP7024317B2 (ja) * 2017-05-22 2022-02-24 株式会社アイシン 車載用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CN113237248B (zh) * 2021-04-26 2022-06-24 清华大学 一种多层多头螺旋管型多级吸收式换热器
CN113175764B (zh) * 2021-04-26 2022-06-24 清华大学 一种分区供热的螺旋管型吸收式换热器
CN113175763B (zh) * 2021-04-26 2022-06-24 清华大学 一种多层多头螺旋管型吸收式换热单元
US20240027106A1 (en) * 2022-07-19 2024-01-2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Absorption chiller refriger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732A (en) * 1965-10-20 1970-05-05 Whirlpool Co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US3323323A (en) * 1965-10-22 1967-06-06 Whirlpool Co Absorption generator
US3407625A (en) * 1966-09-01 1968-10-29 Babcock & Wilcox Co Vapor generator
US3828575A (en) * 1973-04-13 1974-08-13 Columbia Gas Syst Service Corp Compa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S52129050A (en) * 1976-04-22 1977-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Absorption chiller with heating/cooling changeover and automatic conce ntration adjusting mechanism
US4106309A (en) * 1977-05-13 1978-08-15 Allied Chemical Corporation Analyzer and rectifier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on heat pump
JP3078364B2 (ja) * 1991-08-28 2000-08-21 川重冷熱工業株式会社 吸収冷温水機における高温度温水取出装置
CN1065041C (zh) * 1993-10-17 2001-04-25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热水型两级吸收式制冷机
GB9910758D0 (en) * 1999-05-11 1999-07-07 British Gas Plc An adsorption chill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852B2 (en) 2012-07-1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Support mechanism for a heat exchanger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US9389026B2 (en) 2012-07-11 2016-07-12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KR20140099070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US9677819B2 (en) 2013-02-01 2017-06-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040791A1 (es) 2005-01-16
CN1530601A (zh) 2004-09-22
CA2484143C (en) 2007-11-27
CA2484143A1 (en) 2004-09-23
KR100592123B1 (ko) 2006-06-21
US20040177645A1 (en) 2004-09-16
JP3989938B2 (ja) 2007-10-10
AU2004220006B2 (en) 2005-09-22
MXPA04011720A (es) 2005-02-14
CL2004000505A1 (es) 2008-01-04
EP1457746A2 (en) 2004-09-15
AU2004220006A1 (en) 2004-09-23
US6820440B2 (en) 2004-11-23
BRPI0406191A (pt) 2005-07-05
CN1227492C (zh) 2005-11-16
WO2004081465A1 (fr) 2004-09-23
JP2006509992A (ja) 2006-03-23
MY134645A (en) 200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123B1 (ko) 흡수식 공조기 본체
US6904768B2 (en) Absorption-type air conditioner system
JPH0364792B2 (ko)
US5373709A (en)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US4028904A (en) Preheater for weak absorbent
JP4132655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3479104B2 (ja) 縦型低温再生器
JP3604805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2728362B2 (ja) 吸収式冷凍装置
KR100188892B1 (ko) 흡수식 공조장치
JPS60599Y2 (ja) 低温発生器
KR100199251B1 (ko) 흡수식 냉동장치
JP4139068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2607037B2 (ja) 吸収式冷凍装置の再生器
KR0147749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기
JP3408116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7332800A (ja) 空気調和装置の低温再生器
JPH0979690A (ja) 吸収冷温水機の高温再生器
JPH07190549A (ja) 吸収式冷凍装置の再生器
CN107461967A (zh) 一种自复叠制冷系统用中间换热器及自复叠制冷系统
JP2000329426A (ja) 吸収冷凍機の縦型吸収器
JPH07190550A (ja) 吸収式冷凍装置の再生器
JPH07190552A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9264634A (ja) 吸収式冷凍機の再生器
JPH04371761A (ja) 吸収式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