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186A -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 Google Patents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186A
KR20040111186A KR1020040045802A KR20040045802A KR20040111186A KR 20040111186 A KR20040111186 A KR 20040111186A KR 1020040045802 A KR1020040045802 A KR 1020040045802A KR 20040045802 A KR20040045802 A KR 20040045802A KR 20040111186 A KR20040111186 A KR 2004011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mount
waste
predetermined
to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004B1 (ko
Inventor
이시하라미츠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6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based on the amount printed or to be pr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액체용기의 사용기간에서의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실제의 총사용량을 뺀 값을 폐기된 액체의 양이라 간주하고,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폐기액량을 검지한다.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와,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와,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는 연산부(3)와,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는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4)와,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하는 폐기액량 고지부(5)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MOUNT OF WASTE LIQUI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용기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작업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그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액체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잉크젯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직렬헤드방식이라 부르고, 기록지의 인쇄폭보다 짧은 치수의 프린트 헤드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인쇄를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잉크토출노즐의 막힘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기록지의 외측 쪽에 퇴피한 위치에 폐잉크 받음부를 배치하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 폐잉크 받음부까지 이동시켜 잉크를 허위 토출하며, 또한, 기록지의 외측 쪽에 퇴피한 위치에 배치된 헤드캡에 잉크흡인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 잉크흡인기구까지 이동시켜 잉크를 흡인하여, 노즐클리닝을 행하고 있었다.
이들 방식에 의한 프린트 헤드의 노즐클리닝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좌우로 왕복이동시켜 인쇄를 행하는 직렬헤드방식의 잉크젝트 프린터로서는 실현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폐잉크 받음부에 잉크를 허위 토출해도, 프린트 헤드의 노즐수가 적기 때문에 폐기된 잉크량이 적어 자연건조하므로, 그 폐잉크 받음부를 사용자가 적절한 사용간격으로 교환할 필요는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록지(예를 들면 A4판)의 한변의 폭에 걸쳐 장척하게 형성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가 제공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로는, 잉크토출 노즐열이 기록지의 인쇄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에 나열되어 있고, 그 잉크토출노즐의 막힘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폐잉크 받음부에 잉크를 허위 토출하면, 그 허위 토출되는 잉크량이 직렬헤드방식인 것에 비해 많아져, 상기 폐잉크 받음부를 사용자가 적절한 사용간격으로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폐잉크 받음부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필요가 있지만, 그 교환시기의 고지에 관한 기술로서는, 잉크의 토출회복처리의 누적실행회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한 누적실행회수를 기억해 두고, 잉크의 토출회복처리를 행하기 전에, 상기 기억된 누적실행회수를 판독하여, 폐잉크 용기가 그 토출회복처리에 의해 배출되는 폐잉크를 수용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그 폐잉크 용기의 교환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하여, 폐잉크 용기의 교환을 지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허 제2755791호 공보(제1페이지, 도 5)
그러나, 이러한 폐잉크 받음부의 교환시기의 고지에 있어서는, 잉크의 토출회복처리의 누적실행회수를 그 때마다 카운트함과 동시에 그 누적실행회수를 기억해 두고, 이 기억된 누적실행회수를 판독하여, 폐잉크 용기가 그 토출회복처리에 의해 배출되는 폐잉크를 수용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해야만 하기 때문에, 폐잉크 받음부에 누적실행회수를 카운트하는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비용도 드는 것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기액량 검지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상기 폐기액량 검지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상기 플로우차트의 스텝 S5에서의 비교판단을 다단계적으로 행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액체토출장치에서의 헤드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의 외커버를 벗겨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헤드캡 개폐기구에 의해 헤드캡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잉크젯 프린터에 구비된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헤드캡 교환고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고지신호를 프린터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로 전송하고, 그 표시화면의 다이알로그 박스 내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 2 :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
3 : 연산부 4 :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
5 : 폐기액량 고지부 6 : 액체용기교환 검지부
7 :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 8 : 액체용기잔량 검지부
9 : 액체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
10, 61, 63 : 상한값 메모리 11 : 잉크젯 프린터
12 : 프린터 본체부 13 : 헤드 카트리지
14 : 기록지 트레이 18 : 표시패널
19 : 잉크탱크 20 : 프린트 헤드
21 : 헤드캡 22 : 노즐면
23 : 잉크토출노즐 24 : 클리닝 롤러
25 : 폐액 받음부 50 :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
51 : 잉크탱크교환 검지부 52 :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
53 : 잉크탱크잔량 검지부 54 : 잉크 총사용량 산출기억부
55 : 잉크액체 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
56 : 제1 연산부 57 :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
58 : 클리닝롤러 동작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
59 : 제2 연산부 60 :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
62 :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 64 : 헤드캡교환 고지부
65 : 다이알로그 박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여,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기간에서의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실제의 총사용량을 뺀 값을 폐기된 액체의 양이라고 간주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 및 액체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폐기액량 검지방법은,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T)을 구하고,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P)을 구하며,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T)으로부터 총용량(P)을 뺀 값(T-P)을 폐기된 액체의 양(D)이라 간주하고, 폐기액량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구하고,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구하며,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뺀 값을 폐기된 액체의 양이라고 간주하여, 그 액체용기의 사용기간에서의 폐기액량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수법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기액량 검지장치는,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는수단과,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는 수단과,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며,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함으로써,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는,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는 액체토출헤드를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 액체토출헤드에 형성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는 수단과,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며,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함으로써,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액체토출장치는,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공급을 받으며,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갖고, 상기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를 구비하고,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을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노즐면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클리닝 부재의 액체흡수량을 미리 정해진 액체흡수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을 누적하여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수용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2개의 상한값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를 입력하여 헤드캡의 교환을 고지하는 교환고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을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산출하고, 노즐면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이 산출된 클리닝 부재의 액체흡수량을 미리 정해진 액체흡수량의 상한값과 비교하고,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을 누적하여 산출함과 동시에, 이 산출된 수용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며, 상기 2개의 비교결과를 입력하여 헤드캡의 교환을 고지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 저하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교환고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표시부의 교환고지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헤드캡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고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교환고지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헤드캡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기액량 검지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폐기액량 검지방법은,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잉크탱크(액체용기)로부터의 잉크(소정의 액체)를 잉크토출노즐(작업실행수단)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기록지에의 인화를 위한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잉크의 양(폐잉크량)을 검지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에서, 우선,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 T를 산출한다(스텝 S1). 이때,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 T는, 액체용기의 저장용량을 V로 하고, 그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의 보충회수 또는 액체용기의 교환회수를 N으로 하며,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으로서 그 액체용기에 구비된 액체잔량 검지수단으로 검지한 액량을 R로서,
T=V(N+1)-R…(1)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상기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의 보충회수란, 처음에 셋트한 액체용기 내에 가득차게 충전된 액체가 비워진 후에, 그 액체용기는 셋트한 채로액체만을 외부에서 보충한 회수를 말한다.
또한, 액체용기의 교환회수란, 처음에 셋트한 액체용기 내에 가득차게 충전된 액체가 비워진 후에, 그 액체용기를 떼어, 내부에 액체가 충전된 새로운 액체용기로 교환한 회수를 말한다. 이때,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 R을 검지하는 액체잔량 검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탱크(액체용기)의 측벽부에 종래 공지의 전극바늘에 의한 잔량센서가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 P를 산출한다(스텝 S2). 이때, 상기 액체의 총사용량 P는,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를 M으로 하고, 그 액체의 1방울의 체적을 L로 하여,
P=M·L…(2)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상기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액체방울수란, 예를 들면 잉크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방울수이지만, 이것은 상기 잉크토출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구동부에 인가하는 구동신호의 토출용 펄스수를 카운트하면 된다. 또한, 액체의 1방울의 체적은, 피코리터(pl) 정도인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한 액체의 총소비량 T로부터 총사용량 P를 빼내어, 폐기액량 D(=T-P)를 산출한다(스텝 S3). 이때, 실제의 폐기액량 D를 검출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떤 사용기간에서의 액체의 총소비량 T에서 총사용량 P를 뺀값(T-P)을 폐기된 액체의 양 D라 간주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의 총소비량 T로부터 총사용량 P를 뺀 값(T-P)을 폐기된 액체의 양이라 간주함으로써, 폐기액량 D를 검지한다(스텝 S4). 이것으로부터, 액체용기 내의 액체에 대하여, 실제의 폐기액량 D를 직접검출하지 않고, 간단한 수법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폐기액량 검지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폐기액량 검지장치는,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와,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와, 연산부(3)와,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4)와, 폐기액량 고지부(5)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는, 소정의 액체(잉크)가 저장된 액체용기(잉크탱크)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 T를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그 입력측에는, 액체용기교환 검지부(6)와,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7)와, 액체용기잔량 검지부(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액체용기교환 검지부(6)는, 처음에 셋트한 액체용기 내에 가득차게 충전된 액체가 비워진 후에, 그 액체용기를 떼어, 내부에 액체가 충전된 새로운 액체용기로 교환한 것을 검지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종래 공지의 물체의 유무검지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체용기가 교환된 것을 검지할 때마다 교환검지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7)는, 상기 액체용기교환 검지부(6)로부터의 교환검지신호를 입력하여 그 신호의 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그 카운트값을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액체용기의 교환회수 N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액체용기잔량 검지부(8)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용기를 교환하였을 때의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을 검지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액체용기의 측벽부에 설치된 종래 공지의 전극바늘에 의한 잔량센서로 이루어지고, 액체잔량 R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는, 액체의 총소비량 T를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즉, 액체용기의 저장용량 V는 이미 알고 있다고 하고, 그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용기의 교환회수 N의 신호를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7)로부터 입력하고,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 R의 신호를 액체용기잔량 검지부(8)로부터 입력하여, 전술한 식 (1)과 동일하게 하여,
T=V(N+1)-R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이때, 도 2에서는, 상기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는,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용기의 교환회수를 "N"으로서 입력하여 액체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용기교환검지부(6) 대신에 「액체보충 검지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7) 대신에 「보충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를 설치하여, 액체의 보충회수를 "N"으로서, 액체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해도 된다.
상기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는,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잉크토출노즐)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인화를 위한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 P를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그 입력측에는, 액체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액체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9)는, 작업의 실행수단인 예를 들면 잉크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방울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그 카운트값을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잉크토출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구동부에 인가하는 구동신호의 토출용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의 총계 M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는, 액체의 총사용량 P를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즉,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 M의 신호를 액체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9)로부터 입력하여, 그 액체의 1방울의 체적을 L로서, 전술한 식 (2)와 동일하게 하여,
P=M·L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상기 연산부(3)는,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 T로부터 총사용량 P를 빼서 폐기액량 D를 산출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감산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폐기액량 D를,
D=T-P
의 연산에 의해 구하고, 그 연산결과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4)는, 연산부(3)로 산출된 폐기액량 D를 입력하고,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 Dmax와 비교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3)로부터 출력되는 폐기액량 D의 신호를 입력하고, 상한값 메모리(10)에 기억된 폐기액량 상한값 Dmax를 판독하여 인출, 양자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고지신호 W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폐기액량 D와 폐기액량 상한값 Dmax와의 비교결과는, D가 Dmax보다도 큰지 크지 않은지, D와 Dmax와의 차, 또는 D와 Dmax와의 비율로서 구한다. 그리고, D≥Dmax가 되었을 때, D와 Dmax와의 차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 또는 D와 Dmax와의 비율이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고지신호 W를 출력한다. 이때, D와 Dmax와의 차가 "0" 또는 비율이 "1"이 된 것으로 고지신호 W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폐기액량 고지부(5)는, 상기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4)로부터의 고지신호 W를 입력하여 폐기액량 D와 폐기액량 상한값 Dmax와의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은 것을 고지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경고음 발생수단(부저 등) 또는 경고등 또는 경고표시수단(표시패널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차트의 스텝 S1∼S3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1∼S3과 동일하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로, 전술한 식 (1)을 적용하여 액체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한다(스텝 S1). 다음에,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에서, 전술한 식(2)을 적용하여 액체의 총사용량 P를 산출한다(스텝 S2). 그리고, 연산부(3)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한 액체의 총소비량 T에서 총사용량 P를 빼서 폐기액량 D를 산출한다(스텝 S3).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폐기액량 상한비교 검지부(4)로, 연산부(3)로부터의 폐기액량 D의 신호와, 상한값 메모리(10)로부터의 폐기액량 상한값 Dmax의 신호를 입력하여,
D≥Dmax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5). 폐기액량 D가 폐기액량 상한값 Dmax보다도 작을 때는, "NO"측으로 진행하여, 소정의 작업을 속행한다.
한편, 폐기액량 D가 폐기액량 상한값 Dmax 이상이 된 경우는, "YES"측으로 진행하여 스텝 S6으로 들어 간다. 그리고, 폐기액량 D와 폐기액량 상한값 Dmax와의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은 것을 고지한다(스텝 S6).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기액량 D가 그 상한값 Dmax를 넘은 것을 알고 소요의 처치를 행한다.
이때, 상기 스텝 S5에서의 폐기액량 D와 폐기액량 상한값 Dmax와의 비교판단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단계의 폐기액량 상한값과의 비교에 의해 다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즉, 폐기액량 상한값으로서 D1, D2, Dmax(D1<D2<Dmax)의 3단계를 설정하고, 스텝 S51에서는 D2>D≥D1의 상태를 판단하고, 스텝 S52에서는 Dmax>D≥D2의 상태를 판단하며, 스텝 S53에서는 D≥Dmax의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51에서 "YES"측으로 진행한 경우는, 스텝 S6에서 예를 들면 「폐기액량이 90%를 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스텝 S52에서 "YES"측으로 진행한 경우는, 「폐기액량이 95%를 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스텝 S53에서 "YES"측으로 진행한 경우는, 「폐기액량이 100%를 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상황에 따라 다단계적으로 폐기액량을 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처치가 행하여 쉽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폐기액량 검지장치를 구비한 액체토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액체토출장치는,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는 액체토출헤드를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 액체토출헤드에 형성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술한 도 2에 나타내는 폐기액량 검지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잉크젯 프린터(11)는, 기록매체의 소정위치에 잉크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프린터 본체부(12)와, 헤드 카트리지(13)와, 기록지 트레이(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린터 본체부(12)는, 장치 본체부로서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대하여 적정하게 인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기록지반송 기구부나 전기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한 것으로, 상면에는 헤드 카트리지(13)를 수납하는 수납부(15)가 개구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그 수납부(15)를 개폐하는 상부덮개(16)가 설치된다.
또한,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면 하부에는, 후술의 기록지 트레이(14)를 장착하기 위한 트레이 삽입구(17)가 설치된다. 또한, 이 트레이 삽입구(17)는 기록지의 배지구도 겸하고 있다. 또한, 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면 상부에는, 잉크젯 프린터(11)의 전체 동작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표시부)(18)이 설치된다.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수납부(15)에는, 헤드 카트리지(13)가 화살표 Z와같이 수납되고, 탈착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헤드 카트리지(13)는, 옐로우 Y, 진홍색 M, 시안 C, 블랙 K의 4색의 잉크탱크(19)를 구비한 프린트 헤드(20)와, 이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 장착된 헤드캡(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기록지(예를 들면 A4판)의 한변의 폭에 걸쳐 노즐부재가 장척하게 형성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2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트레이 삽입구(17)에는, 기록지 트레이(14)가 탈착가능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기록지 트레이(14)는, 기록지를 거듭 수납하는 것으로, 그 상면부에는 프린터 본체부(12)로부터 배지되는 기록지의 배지 받음부(14a)가 설치된다.
도 6은, 상기 헤드 카트리지(13)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 측면도이다.잉크탱크(19)는, 소정의 액체(잉크)가 저장된 액체용기가 되는 것으로, Y, M, C, K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개의 탱크(19y, 19m, 19c, 19k)가 탈착가능하게 셋트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20)는, 상기 잉크탱크(19y, 19m, 19c, 19k)로부터 잉크의 공급을 받아 잉크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가 되는 것으로, 그 하면의 노즐면(22)에는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액체토출노즐)(23)의 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는, 헤드캡(21)이 그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헤드캡(21)은,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을 보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4둘레에 직립편을 갖는 가늘고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노즐면(22)을 이동하면서 증점부착된 잉크 찌꺼기를 와이프하는 클리닝 롤러(클리닝 부재)(24) 및 상기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허위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25)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클리닝 롤러(24)는, 탄력성을 가짐과 동시에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폐액 받음부(25)는,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호 26은, 상기 헤드캡(21) 내에서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노즐밀봉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기 헤드캡(21)의 이동구조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12)의 외커버를 벗겨 내부구조를 나타내는설명도이고, 도 8은, 헤드캡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프린터 본체부(12)에 대하여 헤드 카트리지(13)를 화살표 Z 방향으로 내려 수납부(15)에 수납한 후, 헤드탈착기구(27)를 약 90도 앞측에 기울여, 상기 헤드카트리지(13)를 프린터 본체부(12)에 고정한다. 이때, 도 6에 나타내는 헤드캡 21이, 도 7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 20과 걸어 맞추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28)의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클리닝 롤러(24)가 부착된 헤드캡(2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변부에 직선형의 락(29)이 형성된 이동용 락판(40)에 연결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이동용 락판(40)은, 상기 헤드캡(21)을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이동용 락판(40)의 내측 측면의 상부 양단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핀(41a, 41b)을, 도 7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12)의 한쪽의 외측판(42)에 형성된 직선형의 이동가이드홈(43)에 걸어 맞추고, 하변부에 형성된 락(29)을, 상기 한쪽의 외측판(42)에 부착된 이동용 모터(44)의 회전축 상의 웜기어(45)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30)에 맞물리게 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캡(21)의 한쪽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용 락판(40)측에 향하여 전후 2개의 캡 가이드핀(46a, 46b)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12)의 한쪽의 외측판(42)의 중간부에는, 상기 헤드캡(21)의 이동궤적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형상으로 만곡한 2개의 캡가이드홈(47, 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캡(21)의 전후 2개의 캡 가이드핀(46a, 46b)은, 각각 상기프린터 본체(12)의 외측판(42)의 캡가이드홈(47, 48)에 관하여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전방부의 캡 가이드핀 46a만은 상기 이동용 락판(40)의 전단부에 세로길이로 형성된 가이드홈(49)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상기 이동용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45)를 통해 피니언(30)이 화살표 F, G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락(29)에 의해 이동용 락판(40)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헤드캡(21)의 전방부의 캡 가이드핀(46a)이 상기 이동용 락판(40)의 전단부의 가이드홈(49)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그 헤드캡(21)은 상기 이동용 락판(40)과 동시에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때의 헤드캡(21)의 이동궤적은, 전후 2개의 캡 가이드핀(46a, 46b)이 걸어맞추어지는 캡가이드홈(47, 48)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캡 개폐기구(28)에 의해 헤드캡(21)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a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헤드캡(21)이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에 대하여 닫힌 위치에 있고, 노즐면(22)의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이 노즐밀봉부재(26)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프린터기동 또는 인화개시시 또는 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프린터 본체(12)에 캡 트리거신호가 입력되면, 도 8에 나타내는 이동용 모터(44)가 회전구동되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헤드캡(21)의 이동에 따라, 예를 들면 스폰지 제조의 클리닝 롤러(24)가 노즐면(22)을 마찰하면서 순차 회전이동한다. 그리고, 이 회전이동시에,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에 고화하여 증점한 잉크 찌꺼기를, 상기 클리닝 롤러(24)로 닦아 없앤다.
또한, 광식 또는 기계식 등의 센서에 의해, 예를 들면 스폰지 제조의 폐액 받음부(25)가 상기 클리닝 롤러(24)로 잉크 찌꺼기를 닦아낸 후의 잉크토출노즐(23)의 바로 아래에 이른 것을 검지하면, 그 잉크토출노즐(23)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잉크의 허위 토출이 행해진다. 도 9b에서는, Y색의 잉크토출노즐(23)에 대하여 클리닝 롤러(24)로 잉크 찌꺼기를 닦아낸 후에, 그 Y색의 잉크토출노즐(23)의 바로 아래에 이른 폐액 받음부(25)에 대하여 잉크를 허위 토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의 전부에 대하여, 클리닝 롤러(24)에 의한 와이프와 잉크의 허위 토출이 종료한 상태로,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은 화살표 A 방향으로 꽉 채워 이동하여 헤드캡 퇴피위치에 계류된다. 이 상태로, 프린터 본체부(12) 및 헤드 카트리지(13)는 인화가능해진다.
소정의 인화가 종료하면, 프린터 본체(12)에 캡닫힘 트리거신호가 입력되고, 도 8에 나타내는 이동용 모터(44)가 역회전되어,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상기 헤드캡 퇴피위치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왕로와 동일한 궤적을 통해 원래의 위치에 복귀동작한다. 이 복귀로에서는, 클리닝 롤러(24)는 잉크토출노즐(23)의 와이프를 하지 않고, 잉크의 허위 토출도 하지 않는다. 클리닝 롤러(24)의 수명을 길게 하여, 부품교환시기를 늦추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도 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화살표 B 방향으로 꽉 채워 이동한 것으로, 도 9a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잉크젯 프린터에 구비된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50)는, 잉크가 저장된 잉크탱크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잉크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 T를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그 입력측에는, 잉크탱크교환 검지부(51)와,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2)와, 잉크탱크잔량 검지부(5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50), 잉크탱크교환 검지부(51),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2) 및 잉크탱크잔량 검지부(53)는, 도 2에 나타내는 액체 총소비량 산출기억부(1), 액체용기교환 검지부(6),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7) 및 액체용기잔량 검지부(8)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50)는, 잉크의 총소비량 T를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즉, 잉크탱크의 저장용량 V는 이미 알고 있다고 하고, 그 잉크탱크 내의 잉크의 소비에 의한 잉크탱크의 교환회수 N의 신호를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2)로부터 입력하여, 마지막의 잉크탱크 내의 액체잔량 R의 신호를 잉크탱크잔량 검지부(53)로부터 입력하여, 전술한 식 (1)과 동일하게 하여,
T=V(N+1)-R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이때, 도 10에서는, 상기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 50은, 잉크탱크 내의 잉크의 소비에 의한 잉크탱크의 교환회수를 "N"으로서 입력하여 잉크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탱크교환 검지부(51) 대신에 「잉크보충 검지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2) 대신에 「보충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를 설치하고, 잉크의 보충회수를 "N"으로서, 잉크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해도 된다.
잉크 총사용량 산출기억부 54는, 잉크탱크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인화를 위한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잉크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 P를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그 입력측에는, 잉크액체 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5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잉크 총사용량 산출기억부(54) 및 잉크액체 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55)는, 도 2에 나타내는 액체 총사용량 산출기억부(2) 및 액체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9)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잉크 총사용량 산출기억부 54는, 잉크의 총사용량 P를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즉,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인화를 위한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잉크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 M의 신호를 잉크액체 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55)로부터 입력하여, 그 잉크의 1방울의 체적을 L로 하여, 전술한 식 (2)와 동일하게 하여,
P=M·L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제1 연산부(56)는, 상기 잉크의 총소비량 T로부터 총사용량 P를 빼서 도 6에나타내는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폐잉크량) D를 산출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감산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폐잉크량 D를,
D=T-P
의 연산에 의해 구하여, 그 연산결과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 57은, 도 6에 나타내는 노즐면(22)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그 입력측에는, 클리닝롤러 동작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8)가 접속되어 있다.
이 클리닝롤러 동작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8)는, 노즐면(22)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롤러(24)의 동작회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그 카운트값을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헤드캡(21)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의 총계를 클리닝 롤러의 동작회수 Wt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 57은,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을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한다. 즉, 클리닝 롤러의 동작회수 Wt의 신호를 클리닝 롤러 동작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8)로부터 입력하고, 클리닝 롤러(24)의 1회의 와이프당 잉크흡수량을 k로서,
Dr=Wt-k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은, 그 클리닝 롤러(24)가 노즐면(22)을 와이프한 회수 Wt에 비례하기 때문에 이 회수 Wt만으로 구해도 되고, 혹은 이 회수 Wt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Dr=F(Wt))으로부터 산출한 액량으로 구해도 된다.
제2 연산부(59)는, 상기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한 폐기액량(폐잉크량) Dh를 누적하여 산출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감산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한 폐잉크량 Dh는,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그 폐액 받음부(25)에 허위 토출된 폐잉크량 D로부터, 노즐면(22)을 와이프한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을 빼내어 구할 수 있으므로, 제2 연산부(59)는,
Dh=D-Dr
의 연산에 의해 폐잉크량 Dh를 구하고, 그 연산결과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는, 제2 연산부(59)에서 산출된 폐잉크량 Dh를 입력하고,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25)의 수용폐기액량(수용폐잉크량)의 상한값 Dhmax와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산부(59)로부터 출력되는 폐잉크량 Dh의 신호를 입력하고, 상한값 메모리(61)에 기억된 수용폐잉크량의 상한값 Dhmax를 판독하여 도입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폐잉크량 Dh와 수용폐잉크량의 상한값 Dhmax와의 비교결과는, Dh가 Dhmax보다도 큰지 크지 않은지, Dh와 Dhmax와의 차, 또는 Dh와 Dhmax와의 비율로서 구한다. 그리고, Dh≥Dhmax가 되었을 때, Dh와 Dhmax와의 차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 또는 Dh와 Dhmax와의 비율이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한다. 이때, Dh와 Dhmax와의 차가 "0" 또는 비율이 "1"이 된 것으로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는, 상기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57)에서 산출된 클리닝 롤러(24)의 잉크의 흡수량 Dr를 입력하여, 미리 정해진 클리닝 롤러(24)의 잉크흡수량의 상한값 Umax와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흡수량 산출부(57)로부터 출력되는 잉크의 흡수량 Dr의 신호를 입력하고, 상한값 메모리(63)에 기억된 잉크흡수량의 상한값 Umax를 판독하여 도입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클리닝 롤러(24)의 잉크의 흡수량 Dr과 잉크흡수량의 상한값 Umax와의 비교결과는, Dr이 Umax보다도 큰지 크지 않은지, Dr과 Umax와의 차, 또는 Dr과 Umax와의 비율로서 구한다. 그리고, Dr≥Umax가 되었을 때, Dr과 Umax와의 차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 또는 Dr과 Umax와의 비율이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한다. 이때, Dr과 Umax와의 차가 "0" 또는 비율이 "1"이 된 것으로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헤드캡교환 고지부(64)는, 상기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및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 X, Y를 입력하여 헤드캡(21)의 교환을 고지하는 교환고지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경고음 발생수단(부저 등) 또는 경고등 또는 경고표시수단(표시패널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헤드캡교환 고지부(64)는, 상기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 및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 X, Y를 사용하여, 어느 한쪽이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헤드캡(21)의 교환을 고지하게 되어 있다.
혹은, 도 9에 나타내는 클리닝 롤러(24)가 노즐면(22)을 와이프한 회수 Wt와 미리 정해진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의 상한값 Wtmax와의 비율의 계산값에 근거하여 비교결과신호를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로부터 비교결과신호 Y로서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하여 폐잉크량으로서 산출된 수용폐잉크량 Dh와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25)의 수용잉크량의 상한값 Dhmax와의 비율의 계산값에 근거하여 비교결과신호를 상기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로부터 비교결과신호 X로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헤드캡 교환부(64)는, 양자 중 비율이 큰 쪽을 기준으로서 다단계적으로 헤드캡(21)의 교환시기를 고지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의 폐기액량 검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린터 기동시 또는 인화개시전 또는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노즐면(22)의 클리닝의 실행신호가 프린터 본체(12)에 입력되면, 잉크의 총소비량을 산출하기 위해, 도 10에 나타내는 잉크탱크잔량 검지부(53)로 잉크탱크잔량 R을 검지한다(스텝 S11).
이때, 잉크탱크잔량 검지부(53)는, 예를 들면 잉크탱크를 교환하였을 때의 마지막의 잉크탱크 내의 잉크잔량 R을 검지한다.
다음에, 잉크 총소비량 산출기억부(50)로, 잉크의 소비에 의한 잉크탱크의 교환회수 N의 신호를 교환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2)로부터 입력함과 동시에, 마지막의 잉크탱크 내의 잉크잔량 R의 신호를 상기 잉크탱크잔량 검지부(8)로부터 입력하여, 전술한 식 (1)을 적용하여 잉크의 총소비량 T를 산출한다(스텝 S12).
다음에, 잉크 총용량 산출기억부 54에서,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인화를 위한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잉크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 M의 신호를 잉크액체 방울수 카운트 및 기억부(55)로부터 입력하여, 전술한 식 (2)를 적용하여 잉크의 총용량 P를 산출한다(스텝 S13).
다음에, 제1 연산부(56)로, 상기 구한 잉크의 총소비량 T로부터 총용량 P를 빼서, 도 6에 나타내는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에 허위 토출된 폐잉크량 D를 산출한다(스텝 S14).
다음에, 잉크흡수량 산출기억(57)에서, 클리닝 롤러의 동작회수 Wt의 신호를 클리닝롤러 동작회수 카운트 및 기억부(58)로부터 입력하여,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을 산출한다(스텝 S15).
다음에, 제2 연산부(59)에서,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폐액 받음부(25)에 허위 토출된 폐잉크량 D를 제1 연산부(56)로부터 입력함과 동시에, 노즐면(22)을 와이프한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 Dr을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57)로부터 입력하고, D에서 Dr를 빼내어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한 폐잉크량 Dh를 산출한다(스텝 S16).
다음에,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에서, 상기 제2 연산부(59)에서 산출된 폐잉크량 Dh와,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25)의 수용폐잉크량의 상한값 Dhmax를 비교하여, Dh≥Dhmax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7). Dh≥Dhmax인 경우는, "YES"측에 자진하여 스텝 S19로 들어 간다. Dh<Dhmax인 경우는, "NO"측에 자진하여 스텝 S18로 들어간다.
스텝 S18에서는,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에서, 상기 잉크흡수량 산출기억부(57)에서 산출된 클리닝 롤러(24)의 잉크의 흡수량 Dr과, 미리 정해진 클리닝 롤러(24)의 잉크흡수량의 상한값 Umax를 비교하여, Dr≥Umax인 경우를 판단한다. Dr<Umax인 경우는, "NO"측으로 진행하여 인화를 속행한다. Dr≥Umax인 경우는, "YES"측으로 진행하여 스텝 S19로 들어간다.
그리고, 스텝 S19에서는, 헤드캡교환 고지부(64)에 의해, 수용폐잉크량 상한비교 검지부(60) 및 잉크흡수량 상한비교 검지부(6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 X, Y를 입력하여, 어느 한쪽이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헤드캡(21)의 교환을 고지한다.
이 경우, 상기 헤드캡교환 고지부(64)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고지신호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21)에 설치된 잉크젯 프린터(11)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8)에 전송되어, 경고등이 점등되고, 또는 헤드캡 교환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혹은, 상기 헤드캡교환 고지부(64)로부터 출력되는 교환고지신호는, 프린터 본체부(21)가 접속된 도시 외의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되고,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다이알로그 박스(65) 내에, 헤드캡(21)의 수용폐잉크량 Dh를 나타내는 지표 E1(예를 들면, 수치 98)을 표시하거나, 클리닝 롤러(24)의 잉크의 흡수량 Dr을 나타내는 지표 E2(예를 들면, 수치 93)를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헤드캡 교환의 목표가 "100"이라 표시해 두면,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지표 E1, E2가 "100"이 된 것을 인식하여, 적절한 타이밍으로 헤드캡(21)을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이 경우는, 각종의 수치가 기억된 메모리 등은, 잉크젯 프린터(11)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프린터(11)는, 다른 컴퓨터 등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도 11에 나타내는 스텝 S17 및 스텝 S18의 판단은, 도 3에 나타내는 스텝 S5의 판단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단계로 나눠 단계적으로 행하도록, 각 스텝의 판단을 각각 복수단계로 나눠 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이에 따라, 사용상황에 따라 다단계적으로 헤드캡(21)의 교환시기를 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처치가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헤드캡(21)이 교환되면, 각종 메모리 등에 누적된 수치는 리셋트되고, 이후에는 다시 잉크젯 프린터(11)의 사용상황에 따라 각종의 수치가 적산하여 카운트된다. 이때, 상기 수치의 리셋트는, 사용자에게 리셋트 버튼을 누르게 하거나, 혹은 프린터 본체부(12)에 헤드캡(21)의 교환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이때,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된 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액체방울로서 토출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록방식이 잉크젯방식의 패시밀리장치나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는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것이면, 다른 액체의 토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NA 감정 등에 있어서 DNA 함유용액을 파렛트 상에 토출하기 위한 액체토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본 발명에 관한 폐기액량 검지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구하고,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구하며,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뺀 값을 폐기된 액체의 양이라 간주하고, 그 액체용기의 사용기간에서의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다.따라서, 간단한 수법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폐기액량 검지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며,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함으로써,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저하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체토출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며,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함으로써,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저하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액체토출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을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산출하며, 노즐면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산출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이 산출된 클리닝 부재의 액체흡수량을 미리 정해진 액체흡수량의 상한값과 비교하고,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을 누적하여 산출함과 동시에, 이 산출된 수용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며, 상기 2개의 비교결과를 입력하여 헤드캡의 교환을 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검출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폐기액량을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저하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고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본체부에 설정된 표시부의 교환고지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헤드캡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T)을 구하고,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용량(P)을 구하며,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T)으로부터 총사용량(P)을 뺀 값(T-P)을 폐기된 액체의 양(D)라 간주하여, 폐기액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T)은, 액체용기의 저장용량을 V로 하고, 그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의 보충회수 또는 액체용기의 교환회수를 N으로 하며,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으로서 그 액체용기에 구비된 액체잔량 검지수단으로 검지한 액량을 R로 하여,
    T=V(N+1)-R
    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총사용량(P)은,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를 M으로 하고, 그 액체의 1방울의 체적을 L로 하여,
    P=M·L
    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방법.
  4.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는 수단과,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수단으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작업의 실행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T)은, 액체용기의 저장용량을 V로 하고, 그 액체용기 내의 액체의 소비에 의한 액체의 보충회수 또는 액체용기의 교환회수를 N으로 하며, 마지막의 액체용기 내의 액체잔량으로서 그 액체용기에 구비된 액체잔량 검지수단으로 검지한 액량을 R로 하여,
    T=V(N+1)-R
    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총사용량(P)은, 소정의 작업의 실행수단으로부터 그 작업의 실행에 사용된 액체의 액체방울수를 누적한 총계를 M으로 하고, 그 액체의 1방울의 체적을 L로 하여,
    P=M·L
    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액량 검지장치.
  7.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는 액체토출헤드를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 액체토출헤드에 형성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채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폐기액량을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기액량 상한값과 비교하는 수단과,
    이 비교의 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이것을 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용기에 저장된 소정의 액체를, 액체토출헤드의 각 액체토출노즐로 공급하여 소비할 때에, 상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는 사용되지 않고 폐기된 액체의 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8.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으며,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갖고, 상기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며,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을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노즐면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클리닝 부재의 액체흡수량을 미리 정해진 액체흡수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을 누적하여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수용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2개의 상한값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를 입력하여 헤드캡의 교환을 고지하는 교환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은, 그 클리닝 부재가 노즐면을 와이프한 회수, 또는 이 회수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으로부터 산출한 액량으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은, 그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으로부터, 상기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빼내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고지수단은, 상기 2개의 상한값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를 사용하여, 어느 한쪽이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헤드캡의 교환을 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고지수단은, 상기 2개의 상한값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가 노즐면을 와이프한 회수와 미리 정해진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회수의 상한값과의 비율을 계산하고, 또한, 상기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으로서 산출된 수용폐기액량과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의 비율을 계산하며, 양자 중 비율이 큰 쪽을 기준으로서 다단계적으로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고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고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5.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으며,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의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의 소비량을 누적하여 총소비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도트열 또는 도트의 형성에 사용된 액체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총사용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된 폐기액량을 액체의 총소비량으로부터 총사용량을 빼서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노즐면의 와이프에 의해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액체의 흡수량을 산출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클리닝 부재의 액체흡수량을 미리 정해진 액체흡수량의 상한값과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폐액 받음부가 수용한 폐기액량을 누적하여 산출하는 수단과,
    이 산출된 수용폐기액량을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의 수용폐기액량의 상한값과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과,
    상기 2개의 상한값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폐액 받음부의 교환을 고지하는 교환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KR1020040045802A 2003-06-20 2004-06-19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KR101028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5916A JP2005007785A (ja) 2003-06-20 2003-06-20 廃棄液量検知方法及び廃棄液量検知装置並びに液体吐出装置
JPJP-P-2003-00175916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86A true KR20040111186A (ko) 2004-12-31
KR101028004B1 KR101028004B1 (ko) 2011-04-13

Family

ID=3407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802A KR101028004B1 (ko) 2003-06-20 2004-06-19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284807B2 (ko)
JP (1) JP2005007785A (ko)
KR (1) KR101028004B1 (ko)
CN (1) CN131712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71B1 (ko) * 2005-09-01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7394B2 (ja) 2009-03-25 2012-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5831678B2 (ja) * 2011-02-28 2015-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5991113B2 (ja) * 2012-09-25 2016-09-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060403B1 (en) * 2013-10-21 2020-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a service cartridge for an inkjet printhead
JP6215113B2 (ja) 2014-03-31 2017-10-1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275072B2 (ja) * 2014-08-28 2018-0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体、偏光板、カバーガラス、画像表示装置、及び反射防止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8051868A (ja) * 2016-09-28 2018-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915334B2 (ja) 2017-03-23 2021-08-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廃液量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791B2 (ja) 1990-06-13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151184A (en) * 1990-11-14 1992-09-29 Biomedical Devices Company Fluid collecting and dispensing system
US5262049A (en) * 1990-11-14 1993-11-16 Biomedical Devices Company Fluid collecting and dispensing system
JPH063890A (ja) * 1992-06-24 1994-01-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322192A (en) * 1992-07-28 1994-06-21 Automed Corporation Pipetting apparatus
ES2271984T3 (es) * 1997-11-19 2007-04-16 Grifols, S.A. Aparato para la realizacion automatica de pruebas de laboratorio.
JP2000141704A (ja) 1998-11-06 2000-05-23 Fine Technol Kk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廃インク回収機構
JP2001187457A (ja) * 1998-11-26 2001-07-10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00225334A (ja) * 1999-02-04 2000-08-15 Shimadzu Corp 自動合成装置
US6225061B1 (en) * 1999-03-10 2001-05-01 Sequen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reactions in an unsealed environment
JP2002029065A (ja) * 2000-07-18 2002-01-2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6689621B2 (en) * 2000-11-29 2004-02-10 Liquid Logic, Llc Fluid dispensing system and valve control
JP2002166540A (ja) 2000-12-01 2002-06-1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時期の判定制御方法。
JP2002234182A (ja) * 2001-02-09 2002-08-2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情報検出装置、インク情報検出方法
JP4945843B2 (ja) 2001-02-21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659142B2 (en) * 2001-03-27 2003-12-09 Irm,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luid mixtures
US7250303B2 (en) * 2001-07-20 2007-07-31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Chemistry system for a clinical analyzer
US6696298B2 (en) * 2001-12-07 2004-02-24 Biosearch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reagent dispensing apparatus
WO2003064585A1 (en) * 2002-01-25 2003-08-07 Irm,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manifolding materials
US7361509B2 (en) * 2002-04-29 2008-04-22 Ortho-Clinical Diagnostics Dynamic metered fluid volume determin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7097810B2 (en) * 2002-06-26 2006-08-29 The Public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The City Of New York, Inc. Delivery of metered amounts of liquid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71B1 (ko) * 2005-09-01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004B1 (ko) 2011-04-13
CN1317129C (zh) 2007-05-23
JP2005007785A (ja) 2005-01-13
US20070031288A1 (en) 2007-02-08
US7284807B2 (en) 2007-10-23
US20070008371A1 (en) 2007-01-11
CN1572507A (zh) 2005-02-02
US20050018000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994B2 (ja) 印刷装置
KR101028003B1 (ko) 액체토출장치
KR100521688B1 (ko) 잉크 제트형 기록 장치, 이 장치의 잉크 종류 정보 설정방법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
JP5327370B2 (ja) 液体カートリッジ
US20070031288A1 (en) Waste liquid quantity detecting method, waste liquid quantity detecting device, and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EP18883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68028A1 (en) Ink cartridge and printer using the same
JPH06126981A (ja) 記録装置
KR100781731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303404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システムにおけるプリンタ整備のためのインク保存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システム
JP529847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822489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JP3577012B2 (ja) インクの残量検出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237706A (ja) 液体噴射装置
JP2005238832A (ja) 液体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5229030B2 (ja) 液滴噴射装置
US11813880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delivery system for liquid ejection head
EP1541356A1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7131030B2 (ja) 液体排出装置
JP7159065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排出状態測定方法
JP7073890B2 (ja) 液体吐出装置
JP2021146620A (ja) 印刷装置、及びインク残量管理方法
JP2016175377A (ja) 液体消費装置
JP2003072098A (ja) 印刷装置
JP2004160938A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